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창의성 증진을 위한 예술통합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송민서,홍순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4 No.1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recognize the need for integrated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o develop art integrated early childhood science program that can promote creativity and positive attitude toward science and art, and to verify legitimacy of the program by implementing on 5-year-old young children. For this, this study reviewed related researches and literature, such as art education for infants,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arts integrated education, creativity thinking technique, and creativity education program and The integration of arts for the promotion of creativity of infants Establishment of a system composed of goals and objectives, teaching content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of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program. In addition, the study drafted 21 art integrated early childhood scientific program activities by combining music, art, body expression, literature, and creativity thinking techniques including brainstorming, forced binding, cinematic, scamper, attribute enumeration, lotus technique, PMI technique, and CPS technique. Based on this, the contents of the program were designed to verify applicability of the program, verify the suitability of the program on the field, and verify the 21 programs developed through the expert consultation, followed by modification and complementation towards developing a final program.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의 통합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유아의 창의성을 증진시키며 예술과 과학에 긍정적 태도를 기르기 위하여 예술통합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만 5세 유아에게 적용하여 프로그램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유아예술교육, 유아과학교육, 예술통합교육, 창의성 사고기법, 창의성 프로그램 등 관련된 선행연구 및 문헌을 고찰하였고,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예술통합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 교수내용, 교수․학습방법, 평가로 이루어진 구성 체계를 구축하였다. 또한 각 교과 영역 중 음악, 미술, 신체표현, 문학의 구성요소와 창의성 사고기법인 브레인스토밍, 강제결합법, 시네틱스기법, 스캠퍼기법, 속성 열거법, 연꽃기법, PMI기법, CPS기법을 포함한 교육내용을 통합하여 21개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예술통합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 활동시안을 개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프로그램 내용을 구안하여 프로그램 적합성 검증 및 프로그램의 현장 적용가능성에 대한 검증 및 전문가 협의회를 거쳐 개발된 21개의 프로그램을 적용 가능성 검증을 통하여 수정․보완의 과정을 거쳐 최종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 KCI등재

        성공적인 장애유아 통합교육 실천을 위한 협력중심 장애유아 통합교육 교사지원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양진희(Yang Jin-He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일반유치원에서의 성공적인 장애유아 통합교육 실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통합학급 교사들을 위한 교사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현장에 적용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유아교사의 통합교육 교사교육에 대한 요구에 기초하여 프로그램의 방향을 설정한 다음 프로그램의 목표, 프로그램의 내용, 프로그램의 활동방법을 구성함으로써 협력중심 장애유아 통합교육 교사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프로그램은 10주간 총 60시간(1주일에 2회씩)에 걸쳐 실험집단에 적용하였다. 연구대상은 협력중심 장애유아 통합교육 교사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12명과 특수교사 일반연수에 참여한 통제집단 12명으로, 모두 유아교육현장에서 통합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이다. 연구결과 본 프로그램은 교사의 통합교육 교사효능감, 교수수행능력, 통합교육 직무만족도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장애유아 통합교육의 성공적인 실천을 증진시키는 현직교사교육 및 교사지원 프로그램 개발의 바람직한 접근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어 가치 있는 자료가 될 것이다. This study developed, implemented and evaluated a teacher support program of collaborative inclus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based on childcare teachers' demands on the teachers' efficacy, teaching performance, and teachers' work satisfaction. The demand characteristic of teacher about teacher support program of collaborative inclus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ere considered in the process of the program's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The program was implemented for 10 weeks(20 times) with 12 teacher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esting the effects of the teacher support program of collaborative inclus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eacher efficacy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two sub-areas of teacher efficiency-general teacher efficacy and personal teacher efficacy-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eaching performance than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work satisfaction than the control group.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장 리더십 연구에 대한 분석

        곽윤숙(Yoon Sook Kwa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9 No.1

        유아교육기관장의 리더십은 유아교육과 보육의 질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 학회지에 게재된 유아교육기관장 리더십에 대한 연구들을 연구시기,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내용, 리더십 유형의 다섯 가지분석 요인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유아교육기관장 리더십 연구는 2004년 이후 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여 현재까지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유아교육기관장 리더십 연구의 연구대상에 있어서 유아교육기관장 보다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훨씬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연구방법은 양적 연구가 다수인 것으로 나타나며, 연구내용은 네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유아교육기관장 리더십 효과가 절대다수를 차지한다. 분석대상의 논문에서 나타나는 유아교육기관장의 리더십 유형은 변혁적 리더십이 가장 많이 나타나며, 그 외에 거래적·변혁적 리더십, 다양한 대안적 리더십, 유아교육기관 특유의 리더십 등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터하여 유아교육기관장 리더십 연구에서는 기존의 리더십 이론을 유아교육기관에 적용 하는데 숙고가 필요하며, 유아교육기관 특유의 리더십에 대한 개념화가 요구된다.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recognized to influence the quality of childcare and education is the leadership of the kindergarten and childcare center director. This study analyzes studies relating to the leadership of the directors of kindergarten and childcare centers. The 26 studies selected from 4 academic journals of early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were analyzed according to 5 categories: period of leadership research, object of leadership research, method of leadership research, theme of leadership research, and type of leadership in research. The study`s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Leadership studies began appearing in 2004 and have continued to the present. 2) The ratio of childcare and education teachers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the directors. 3) The dominant research method was the quantative method. 4) The main theme of the leadership studies was the effect of the director`s leadership. 5) The types of leadership include transformational, transactional·transformational, alternative, and special leadership of kindergarten and childcare center.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s the deliberate application of leadership to kindergarten and childcare centers and development of unique leadership in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 KCI등재

        전통문화에 기초한 유아감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김명희(Myung Hee Kim),김영옥(Young Ok Kim)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전통문화에 기초한 유아감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통문화와 감성교육에 대한 문헌고찰 및 선행연구 분석을 토대로 전통문화에 기초한 유아감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구성된 프로그램은 만 5세 유아에게 8주간 총 24차시를 적용하였으며, 유아의 감성지능 척도, 사회적 유능감 척도, 전통문화 인지와 선호도 척도를 사용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 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전통문화에 기초한 유아감성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감성지능,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유아의 전통문화 인지와 선호도 증진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 개발한 전통문화에 기초한 유아감성교육 프로그램은 유아교육현장에서 전통문화의 의미 있는 내용들을 감성교육과 연계하는 이론적 탐색의 근거를 지원할 뿐만 아니라 전통문화에 내재된 교육적 가치를 기초로 한 감성교육 프로그램으로 적용 가능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nd verify a young children`s emotional education program based on Korean traditional culture. In doing so, this paper reviews the literature review and then offers an analysis of a preliminary study on traditional culture and emotional education, and lays out the program developed. The program consists of 24 classes that were given to 5-year-old children eight weeks. In addition, the effects of the program were verified by usi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social competence, cognition and preference about traditional culture. The young children`s emotional education program based on Korean traditional culture is proven to be effective at improving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social competence, cognition and preference toward traditional culture. Therefore, this program provides a theoretic basis for intertwining the value of traditional culture and emotional education. Furthermore, it suggests the feasibility of applying emotional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educational merits of Koreans.

      • KCI등재

        전통문화에 기초한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서현(Hyun Seoh),박희숙(Hee-sook Par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5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0 No.5

        본 연구는 전통문화에 기초한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통문화와 인성교육에 대한 문헌고찰 및 선행연구 분석을 토대로 전통문화에 기초한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유아기는 인성의 기초가 형성되는 시기이므로 일상생활 속에서 인성교육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져야하며, 이 시기에 형성된 태도와 습관은 평생 지속될 뿐 아니라 교육적인 효과도 크다는 기존의 연구를 고려해 볼 때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은 중요하다고 말 할 수있다. 구성 된 프로그램은 만 5세 유아에게 8주간 총 24차시를 적용하였으며, 유아의 자아존중감척도, 배려능력척도, 전통문화 인지도와 선호도 척도를 사용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전통문화에 기초한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유아의 배려능력, 유아의 전통문화 인지도와 선호도 증진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 개발한 전통문화에 기초한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은 유아교육현장에서 전통문화의 의미 있는 내용들을 인성교육과 연계하는 이론적 탐색의 근거를 지원할 뿐만 아니라 전통문화에 내재된 가치를 기초로 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으로 적용 가능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traditional korean culture and to examinc its effects. Towards this,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and previous studies on traditional culture and character personality education were reviewed. The results were used as the basis for developing, an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traditional korean culture. After the developed program was applied to five-year-old children in a total of 24 sessions over an 8-week period, its effects were tested using early childhood scales for self-esteem, empathic concern, traditional culture awareness, and affinity for traditional cultur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traditional culture developed in this study was effective in enhancing young children’s self-esteem, empathic concern, traditional culture awareness, and affinity for traditional culture. The findings suggest that such a charact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meaningful content related to traditional cultre not only supports theoretical inquiries in to character education, but is also applicable as a charact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values inherent in traditional culture.

      • KCI등재

        유아 기본생활습관 교육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정혜순(Hye Soon Jeong),이병래(Byung Nae Le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국내에서 연구되어온 유아기본생활습관교육 관련 연구들을 연구시기, 연 구내용, 연구방법 등의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우리나라 유아기본생활습 관 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성을 모색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4년 2월 현재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유아기본생활습관교육 관련 연구논문 128편을 대상으로 연구문제에 따라 자료를 내용분석법에 따라 분석하고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 과는 첫째, 유아기본생활습관교육에 대한 연구는 1995년 이후부터 급격히 증가하면 서 이후 꾸준히 연구되어 왔는데, 석사학위 연구논문의 비중이 높았다. 둘째, 유아기본생활습관교육 연구는 기초연구보다 실천연구의 비중이 높았다. 셋째, 유아기본생활 습관교육을 위한 교육목표와 관련된 직접적인 연구논문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실천연구 과정에서 제시된 유아기본생습관교육의 주요 덕목은 예절, 질서, 청결, 절제 등이 주된 지향점이었다. 넷째, 유아기본생활습관교육을 실천하기 위한 교육방법은 교수- 학습방법을 구안하여 적용하는 방법과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는 방법의 두 가지 형태로 이루어졌다. 다섯째, 유아의 기본생활습관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은 주로 아버지, 어머니, 유아, 교육활동 등 이었다. 여섯째, 유아기본생활습관 연구를 위한 연구방법은 주로 양적연구 방법이 적용되었다. This paper investigates studies related to this era`s “young children`s basic habits education”. The study investigates the current trends, and scrutinizes the current state of “young children`s basic habits education” in Korea. This study reviews the 128 research papers, written from 1992 to February of 2014, “young children`s basic habits education”. After 1995, due to the high level of importance given to having a master`s degree, research escalated in “young children`s basic habits education”. It is important to carry out practical research and not just research on the foundations. Another gap that this research fill is the lack of studies on the educational goal of “young children`s basic habits education”. Practical research shows that the points that have become mainstream regarding young children`s basic habits education are: etiquette, order, cleanliness, and self restraint. Two methods have arisen for professors to learn about young children`s basic habits education, and an education program has been developed. Finally, in their research on young children`s basic habits education, researchers have applied the quantitative method.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 강점과 강점평가에 대한 암묵적 지식 연구

        홍성희(Sung Hee Hong),황해익(Hae Ik Hwa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5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들이 유아교육기관 강점과 강점평가에 대하여 어떠한 개념을 가지고 있는지 탐색하기 위하여, 교사들의 암묵적 지식을 수집.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재직 중인 교사 202명이며, 유아교육기관 강점과 강점평가에 대한 암묵적 지식을 작성하고 그 이유를 기술하도록 하는 개방형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영유아교사의 유아교육기관 강점에 대한 암묵적 지식은 ``유아교육기관의 본질적 요인(44.1%)``, ``타 유아교육기관과의 차별적 요인(26.2%)``, ``발전을 기대할 수 있는 긍정적 요인(19.8%)``, ``기관이 만들어 가는 창조적 요인(5.0%)``과 같은 4개의 개념적 주제로 분류되었다. 또한 교사들의 강점평가에 대한 암묵적 지식은 ``강점을 기반으로 하는 평가(37.1)``, ``성장의 과정으로서의 평가(25.7%)``, ``다양성을 존중하는 평가(22.8%)``, ``비전(vision)을 실현하는 평가(14.4%)``와 같은 4개의 개념적 주제로 분류되었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는 유아교육기관 강점평가의 방향에 있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준다. 첫째, 유아교육기관 강점평가는 유아교육기관이 스스로 강점을 발견하고, 강점에 가치를 부여하여 발현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어야하며, 둘째, 내용적인 면에서 유아교육기관의 질적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긍정적 요인인 ``강점``을 다루어야 하며, 셋째, 교육주체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넷째, 평가주체가 실천주체가 되는 과정 지향적 평가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tacit knowledge of infant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of the strength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the strength assessments for those institutions. The aim is to explore teachers` concepts of the two. Participants consist of 202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Teachers respond to open-ended questionnaires by writing down their tacit knowledge of the strength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those institutions` strength assessments. Teachers also explained how they possessed such knowledge. The study classifies their tacit knowledge into four conceptual themes: the essential facto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44.1%), factors of differentiating one institution from another(26.2%), potential factors for development(19.8%), and self-made creative factors(5.0%). Their tacit knowledge of strength assessment is also classified into four conceptual themes: strength-based assessment(37.1%), evaluation as a growth process(25.7%), diversity-based assessment(22.8%) and vision-oriented assessment(14.4%). Regarding the direction of strength evalu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the findings offer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the strength evalu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 needs to aim at allow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to discover their own strengths and to express those strengths by giving value to them. Second, the term “strength” itself needs to be addressed. It is a positive factor available to promote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 in its contextual aspect. Third, the diversity of education entities needs to be recognized. Fourth, it should be a process-oriented evaluation by which the main agent of evaluation becomes the main agent of practice.

      • KCI등재

        유아교육 재정 배분 방식 전환에 따른 지방 유아교육 예산 변화

        이일주(Lee Yil-Ju),이신경(Lee Shin-Gy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2008년부터 유아교육 재정 배분방식이 지방교육재정교부금으로 전환하기 시작함에 착안, 최근 2년간의 예산을 분석하여 16개 시ㆍ도별 유아교육재정의 변화 실태를 분석하였다. 지방유아교육예산 변화실태를 분석하기 위하여 국고보조금사업과 특별교부금 사업으로 집행된 2007년과 유아교육 지원 사업이 지방교육재정교부금사업으로 전환된 2008 회계년도의 16개 시ㆍ도 교육청의 유아교육 예산자료를 분석한 결과 유아교육재정의 확보는 유아교육법과 지방교육 재정교부금법에 유아교육비 항목을 포함하고 있어 안정성을 도모하고 있으나 시ㆍ도간 실제 예산 편차가 심하다. 또한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에 의한 기준재정 수요액의 산정기준에서 사립유치원을 제외하고 있는 점에서 볼 때 공정성이 결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2008년부터 유아교육재정이 지방으로 이양되는 시점에서 지역 간 재정 균등화를 위한 정책이 요구된다. 향후에는 저출산 현상에 대비하는 획기적인 유아교육 재정수요 대처 및 유아교육 공교육 체제 기반 확립을 위한 공·사립유치원 재정지원의 구체적인 방안의 실천이 요구된다. As early childhood education budget distribution changed into financial grants for local education starting from 2008, this study analyzed recent 2 years’ budgets to track chang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budget of 16 cities and provinces. To analyze the local early childhood education budget distribution and its changes in 2008,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budget of 16 cities and provinces of year 2007 and 2008 were used. In 2007, early childhood education support project was with Government grants project and financial grants for special grants.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budget is quite stable enough, as the budget includes early childhood education fact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ct and financial grants for local education law. Meanwhile, private kindergartens' budget was excluded in estimating the standard financial demand by financial grants for local education, which implies the lack of justice. Also, policies regarding finance equality among local areas are required since the regulations related to local government's educational financing mostly focus on elementary and junior-high schools. Now it is time to come up with specific plans of action to financially support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to establish early childhood public education foundation and to deal with early childhood financial demand for the low birth rate era. At a time when local governments have their own leeway about the early childhood budget in 2008,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medium- and a long-term plan at the national level until the basic framework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akes a firm root. That is because close relationship between policies and financial investment, specialist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per teachers and administrative attention are of the utmost importance.

      • 유아교사의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지식과 유아코딩교육 인식의 관계

        최가영,이병호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2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2 No.5

        4차 산업혁명 시대 유아교육현장에서는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교육이 유용한 교육방법론으로 인식되면서 최근 테크놀로지 교육을 수행하는 교사들에게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지식(TPACK)이 요구되고 있다. 21세기 5C 핵심역량 중 컴퓨팅 사고력과 함께 코딩교육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데, 유아코딩교육은 유아의 논리‧수학적 사고력 증진 및 창의성과 문제해결력 증진에 도움을 준다. 코딩교육과정에서는 교사의 역할이 중요하며, 교사가 가지는 코딩교육인식이 코딩교육에 영향을 미친다. 주로 디지털 기술을 접목한 교구를 활용한 유아코딩교육에서는 교사가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지식에 대한 역량을 갖추어야 하므로,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아코딩교육의 실행주체인 유아교사의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지식 수준과 유아코딩교육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이 둘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 KCI등재

        미국 유아교육과 보육 서비스의 역사 및 유형이 국내에 주는 시사점에 관한 연구

        차기주(Cha, Ki-Joo),박은혜(Park, Eun-Hy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미국 유아교육과 보육 서비스의 유형과 구조적 문제점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주목적으로 현구조 형성에 영향을 미친 미국 내 유아교육과 보육의 발생 배경 및 우리나라에 주는 시사점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관련 문헌 검토를 통해 미국은 전통적 가치관으로 인해 유아교육과 보육에 대한 공영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정부의 개입이 늦어지는 과정에서 다양한 보육중심 민영 서비스들이 먼저 자리를 잡았고, 이후 저소득층을 위한 연방정부의 복지 프로그램과 ‘교육 및 학습 준비도’에 초점을 둔 공립 서비스들이 차례로 등장하면서 현재의 분리된 체계에 이르렀음을 알 수 있었다. 미국은 다른 OECD 국가에 비해 유아교육과 보육 제공을 위한 공적 지출이 적어 양육자의 비용부담이 상당하고, 재정지원 프로그램들도 연방 · 주정부로 분리된 채 다양한 경로를 통해 제공됨으로써 행 · 재정상의 비효율성이 높다는 평가를 받고 있었다. 미국 내에서 유아교육과 보육 서비스의 개선을 위해 공공성 강화를 위한 공적 지출 규모 및 공영 서비스의 확대와 일원화된 행 · 재정 체계 구축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국내 유아교육과 보육시스템 개선에 제공하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ypes and major problems of public and private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ECEC) in the United States. Also, this study examines the birth and development of ECEC that have influenced the current landscape of the U.S. ECEC structures, as well as implications for South Korea. Relevant literature revealed that due to traditional values, the U.S. government did not intervene in providing public ECEC services quite late until the mid 1960s. Meanwhile, a variety of private services had grown and taken hold of the sector, which was followed by the provision of public welfare and early education services for low-income families. These beginnings of different kinds of public and private ECEC services have led to current fragmented ECEC system in the U.S. The U.S. private sector’s larger share in the total ECEC funding, compared to other OECD countries, has also caused enormous financial burden on parents. In addition, administration and financing of the services have also been deemed inefficient due to various channels of provision at the levels of federal and state governments in the U.S. Thus, expanding public expenditure to strengthen the ECEC publicness and unifying the fragmented administrative and financing systems have been proposed in order to improve efficiency of the system in the U.S. The implications of the U.S. case are discussed with respect to ways to enhance ECEC sector’s structural efficiency in South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