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중일 전통생활과 디자인문화

        박영순(Young-Soon Park),김은정(Eun-Jeong Kim),김성아(Seong-Ah Kim),임선희(Sun-Hee Yim) 국민대학교 동양문화디자인연구소 2009 Journal of Oriental Culture&Design Vol.1 No.2

        디지털정보시대를 맞이하면서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중요시하는 전통 문화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한중일 삼국의 문화를 함께 발전시키고 세계화시키기 위해서는 이들 간의 역사·문화적 배경과 생활 속에 나타난 조형문화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대륙에 위치한 중국, 반도국인 한국, 섬 나라인 일본은 전통적으로 유가사상을 공유하면서 각각 중화사상, 천지인사상, 신국주의 등을 구축해 왔다. 이를 바탕으로 중국은 과장법과 화려한 장식이 발달하였고, 한국은 자연과의 조화를 추구하는 멋이, 일본은 인공적인 간결함을 강조하는 조형의식이 발달하였다. 각국의 고유한 아이멘티티가 두드러지는 식생활 문화, 조형의식을 바탕으로 한 의생활의 멋, 그리고 자연환경에 대응해온 주생활 문화의 지혜 등 한중일 삼국은 생활문화 전반에 있어서 각기 다른 조형문화를 발전시켜왔다. 현대 디자인의 과제는 전통 문화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탐구를 필요로 하며, 전통문화의 현대적 계승을 위해서는 주어진 상황과 그 의미에 따라 전통성의 사실적, 장식적, 절충적, 현대적 표현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접근해야 할 것이다. As we embrace the age of digital information, there is a worldwide increase in the interest of nature, and traditional culture. In order to simultaneously develop the cultures of Korea, China, and Japan for globalization, we need to understan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raditional culture evident from each country’s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 Continental China, Korean peninsula, and island of Japan share the Confucian ideologies. On the other hand, differences are observed between the three countries as China based on Sinocentrism, Korea based on the harmony of heaven, earth, and man, and Japan is focused mythology. Accordingly, China’s extravagant decorations makes things appear larger than life. Korea's aesthetics is based on harmonizing beauty of the nature while Japan pursues elements artificial simplicity. Through such cultures as everyday life that gives distinct identities to each country’s clothing aesthetics and wisdom, and their life has developed their own design culture. Modern design is required to fulfil the homogeneity of western oriented culture whilst differentiating by regional culture. Thus, a new understanding and research of traditional culture is needed. Today, in order to better modern succeed traditional cultures, we need to approach the given context and meaning through various expression that address realistic, ornamental, eclectic, and modern aspects.

      • 문화적 요소를 통해 본 다도 관련 디자인

        최경란 국민대학교 동양문화디자인연구소 2009 Journal of Oriental Culture&Design Vol.1 No.1

        다도는 찻잎을 따는 것부터 달여 마시는 것까지 그 모든 과정을 아우르는 것으로, 폼과 마음을 수련하여 덕을 쌓는 행위을 말한다. 일본 다도는 ‘와비’사상으로 표현할 수 있고 다도의 절차, 다실, 다기 등이 발달되어 있다. 자연스러움과 균형미는 한국의 미를 설명하는 데 가장 많이 등장하는 단어 중의 하나일 것이다. 그러한 한국미가 다도에서 또한 잘 드러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상, 가치, 인식 등의 문화적 요소를 통해 다도와 관련된 디자인을 살펴보았고 한국과 일본을 연구대상으로 한다. 한국의 경우 불가, 유가, 도가 사상의 영향을 받았고 일본의 사상은 ‘화’, ‘경’, ‘청’, ‘적’으로 정리할 수 있다. 다도 process를 살펴보면 한국의 경우 차가 맛있는 온도를 위해 차를 식히는 과정이 있다. 한국은 균형미, 일본은 불균형미를 추구한다. 한국은 자연의 그대로 조작 없는 아름다움을 균형미라고 일컬었고 일본의 불균형미는 ‘완벽한 형태를 취하지 않은 것’이다. 정리되거나 완전하지 않은 상태로 이것이 다도에서는 좀 더 적극적으로 불균형미가 되었다. 이는 비대칭적이고 불균형한 것에서 오는 아름다움을 더 값지게 여기는 ‘와비’의 정신이기도 하다. 그러한 양국의 미의식은 공간에서도 반영된다. 일본과 한국의 다도에 쓰이는 주요 다도구 역시 그 나라의 process에 따라 달라지며, 미의식을 반영한다. 한국, 일본을 포함한 동양의 다도 문화가 지니는 미적(美的) 가치와 디자인적 요소를 더 심도 있게 연구하여 동양의 다도 문화와 관련된 디자인 제반 영역에 활용 및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A tea ceremony is process which is from picking the tea leaves off to making and drinking the tea and cultivating the virtue by practicing how to make mind and body clean. The Japanese tea ceremony is represented as Wabi and has developed steps of the tea ceremony, a teahouse and tea utensils. The natural and beauty of balance are one of the most often used words which explain the beauty of korea. The beauty of korea appear in the tea ceremony too. At this study, I study a design which is related with the tea ceremony by the culture factors like an ideology, value, recognition and so on. The object of this study is korean and japanese tea ceremony’s design. The Korean tea ceremony is influenced by the Buddhism, a Confucian and Daoist Philosophy The Japanese tea ceremony is influenced by the Wha, Kyung, Chung and Juck. The Korean tea ceremony has the process of cooling the tea off lor suitable temperature which make tea delicious. The Korea tea ceremony pursues the beauty of balance, but the Japanese tea ceremony pursues the beauty of imbalance. In the Korea, the beauty of natural which is not influenced by artificiality is called the beauty of balance. In the Japan, the beauty of the unfinished situation and imperfect is called the beauty of imbalance. And this is the origin of Wabi. These esthetic senses of Korea and Japan is reflected in space. And the main tea utensils which is used in Korea or Japan are also different by their process. We need the continuous study about the possibility of applying and using to a field of design through deep investigate on aesthetic value and design factor of oriental Dado cuIture include Korea and Japan.

      • 동양의 仁義禮智사상으로 본 전통의 일상 공간에 나타난 생활문화 요소

        성윤정(Sung, Yun Jung) 국민대학교 동양문화디자인연구소 2011 Journal of Oriental Culture&Design Vol.3 No.1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a cultural factor from a point of view eastern philosophy in the traditional everyday life. Because of extensive range of eastern philosophy, scope of the research is set as a In-ui-ye-ji (benevolence and righteousness, rituals, knowledge)that is primary virtue of the human being. By targeting traditional living spaces, it was analyzed cultural factor as a attitude, meaning & symbol, function and roles about spaces. The nature of In-ui-ye-ji is the moral principles. Since the Joseon Dynasty, social order practicing of the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human, nature, and society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metaphysical philosophy of Confucianism such as Neo-Confucianism. The concept of eastern philosophy is a practice of filial piety, distinction between the genders, the formation of social hierarchy on the traditional residential space. The attitudes and habits for space is unconscious behaviors such as ritual acts through repetition and it appears as a habitual daily lifestyle. The tangible presence of a traditional residential space becomes life, therefore, courtesy and hospitality space for the conduct of human. According as culture and leisure is outside the home and the economic life to make a living, consumption was daily. Also, The role of rituals and recognition of knowledge can be allowed a value of eastern philosophy. Accordingly, a cultural factor in the traditional way of life were as follows: It is the attitudes and habits through the benevolence and righteousness, amusement through rituals and the symbol of cultural- politics as a social interaction through knowledge. 본 논문의 목적은 전통의 일상 생활양식에 나타난 문화적 요소를 동양사상의 인의예지 관점에서 보고자 한다. 동양사상이 광범위하기 때문에 연구범위는 인간본성의 기본 덕목인 인의예지(仁義禮智)로 설정할 것이다. 전통 주거공간을 대상으로 하여 사용자의 공간에 대한 태도, 습관, 공간이 주는 의미와 상징, 기능과 역할로서 문화적 요소를 분석하였다. 인의예지(仁義禮智)라는 사람의 본성은 도덕적 원리의 근본이 된다. 조선시대에는 유교의 형이상학적인 이념을 근간으로 하여 인간과 자연, 사회의 유기적인 관계를 실천하는 사회질서가 구축되었다. 전통주거공간에 형성된 동양사상의 개념은 효의 실천, 남녀유별, 위계질서의 형성이다. 공간에 대한 태도와 습관은 반복을 통한 의례와 같은 무의식적인 행위이며, 그것은 일상화되고 습관화된 생활양식으로 나타난다. 전통주거공간이라는 가시적인 존재는 인간의 행위에 따라서 생활, 의례, 접객의 공간이 되며 그것은 비가시적인 존재인 성리학적인 이념을 포함한다. 문화와 여가를 가정 이외의 공간에서 찾음에 따라, 경제생활이 생계를 위한 활동으로 되면서 소비가 일상이 되었다. 게다가 예를 통한 유희와 사회적 교류로서 지식의 인식은 동양사상의 가치를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전통의 일상 생활방식에 나타난 문화적 요소는 생활로서 인의(仁義)를 통한 태도와 습관, 의례로서 예(禮)를 통한 유희, 지(智)를 통한 사회적인 교류로서 접객이다.

      • 한국 전통 궁궐 의장요소를 모티브로 한 가구디자인 연구

        김명 국민대학교 동양문화디자인연구소 2012 Journal of Oriental Culture&Design Vol.4 No.1

        이 시대의 중요한 화두는 자국의 문화적 정체성을 찾는 것이다. 한국 문화만의 정체성을 찾기 위해서는 같은 동아시아의 문화권에 속한 중국과 일본을 제외할 수 없을 것이다. 궁궐 건축은 창궐 당시 국가가 표방하고자 하는 정치적 이념을 상징하는 건축이다. 궁궐에 적용된 의장요소는 최고의 기술과 사유로 형성되었다. 민족 조형의식 표현의 기본이 되고, 민족의 감정, 의식체계, 미에 대한 기준 등이 가장 잘 반영되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현대에서 중요한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 문화적 상징성이 있다. 이를 위해 삼국 궁궐의 정전 지붕부에 적용된 의장요소들을 비교분석하였다. 비교대상은 비슷한 시기 최고 권력자가 살던 창덕궁 인정전, 자금성 태화전, 니조성의 니노마루고텐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현대 공간에 걸맞는 스툴을 디자인하였다. 연구는 문헌조사와 현지답사를 함께 진행하여 사진자료를 모았고, 의장요소를 정리, 분석하였다. 궁궐이 지어질 당시 한중일 삼국이 처했던 정치, 사상을 고려하여 사용된 의장요소의 상징과 의미를 심층적으로 해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파악된 한중일 삼국 궁궐 의장요소는 각국이 역사적으로 거쳐온 정치적, 사상적, 지리적 환경에 따라 다른 방향으로 발전해왔음을 도출하였다. 첫째, 황제와 왕, 쇼군이라는 정치체제의 차이에 따라 다른 모습을 보였다. 둘째, 유교와 불교, 도교를 받아들이는 방식에 따라서 표현과 상징성에 차이를 가져왔다. 셋째, 지리적 여건에 따라 표현의 독창성과 상징성에 차이를 가져왔다. I think that it is important to find the cultural identity of the country in this time. We need to consider China and Japan which are belonged to the East-Asian Culture to find the identity of Korean Culture. Building the Palaces reflects the political ideology that the nation wants when it began to build. The design that was applied to the palace is formed into the best technologies and considerations. The design Shows the sensibility, spiritual system of the nation and standards of beauty. And cultural symbolism is also critical in the modern society. I compared and analized the design which is applied to the roof of palaces in three nations. Injeongjeon of Changdeok palace, Taehwajeon of Jageum castle and Ninomarugoten of Nijo castle are what I compared and analized and these are places where the most powerful people live. And based 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design stool suitable for the modern space. I did the research, especially I collected the photos by proceeding reviewing the Literature and visiting the sites. After doing that, I arranged and reviewed the designs. I interpreted the meaning of designs that are considered the political situation while building the palaces in the three nations.(Kor, Chn, Jpn) This research shows that the design of the palaces in three nations has developed differently through the political and ideological, geographical situation. First, the Emperor and the King, Shogun of the political system appeared to be different. Second, Confucianism, Buddhism, Taoism lead to expression and a symbol, depending on how the differences brought on. Third, depending on geographical conditions, has brought creativity of expression and the differences of the symbol.

      • 동아시아 3국의 공통 식사도구의 전파ㆍ수용 및 변화에 대하여

        정미선 국민대학교 동양문화디자인연구소 2009 Journal of Oriental Culture&Design Vol.1 No.1

        The three main countries in Northeast Asia region, China, South Korea, and Japan had established their cultures by having a close connection between one another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feature of traditional gastronomic culture especially focusing on chopsticks, which was the most common tool for eating for the three countries, and to propose a new food environment suitable 10 our new era. Currenlly, Chinese people use chopslick along wilh Renge which is a Iype of spoon. Korean people use chopsticks along wilh a spoon. However, in Japan, mosl of people use just chopsticks. Although thesese three counlries may look 10 have a similar food life cullure by using the same chopsticks, it may be distinctive by having a food or environmental difference. Then, we will be able to analyze why the distinction occurred and know the birth of the use of chopsticks by looking at the literatures, excavated articles, and wall paintings and so forth. Throughout this research, we will analyze the historical change of chopsticks and focus on the difference of their food culture. It could be the basic materials for comparing the features, functions, and research for future modeling of chopsticks. Also, it could be the basis for proposing a new food tools and new food environment for our global. 동아시아의 한 · 중 · 일 3국은 오랫동안 상호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전통적 문화를 형성해왔다. 이번 연구에서는 3국의 공통된 식사도구인 젓가락을 중심으로, 각 국의 전통적인 관습에 따른 식사문화의 특징을 비교분석하고, 새롭게 변화되는 국제화 시대에 알맞은, 새로운 식사도구와 식생활 환경을 제안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현재, 3국의 식사문화를 비교해 보면, 중국에서는 젓가락을 주요 식사도구로 렝게(숟가락의 변형)와 함께 사용하고 있으며, 한국에서는 젓가락과 숟가락을 세트로 병용하고 있다. 한편, 일본에서는 일반적으로 젓가락 만을 사용하는 식사문화가 형성되었다. 일반적으로는 동아시아권 역사 및 문화적인 배경의 공통적인 성격에 초점을 맞추어 한, 중, 일 삼국이 젓가락을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유사한 식사 문화를 형성하였다고 볼 수 있지만, 실질적으로는 각 국의 식생활 환경에는 차별화 된 특정이 있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존재하고 있는 젓가락 사용에 상이점은 무엇인지와 어떠한 배경이 원인이 되었는지에 대한 연구를 동아시아 3국의 젓가락의 탄생부터 현재까지의 문화적 요인과 배경 등을 출토품, 문헌 및 벽화 등을 통하여 고찰. 분석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하여 3국의 식생활 환경의 차이점을 인지하고 젓가락의 시대별 디자인 및 기능상의 특징 및을 비교 분석할 수 있었고 새로운 국제화 시대의 식사도구 및 식생활 환경을 제안할 수 있는 기초를 확립할 수 있었다.

      •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의 상택지, 이운지, 섬용지 부분 참고 문헌 특성

        Lee Min,Zheng Shu Yang 국민대학교 동양문화디자인연구소 2010 Journal of Oriental Culture&Design Vol.2 No.1

        문헌 저술 시, ‘참고(參考)를 한다는 것’은 저자의 판단 아래, 모범과 당위성을 확보한다는 전제가 있이다. 이 때문에 참고 문헌 자체는 저자의 사상과 당시 시대적 인식을 엿볼 수 있는 가치를 지닌다. 본 논문은 디자인 분야에서 재해석되는 고문헌의 전통 문화를 차용하기에 앞서 조선 후기 대표 문헌인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에 참고된 문헌을 살펴봄으로써, 그 속에 담긴 특성을 인식하고자 하는 사전 작업이다. 디자인 분야에서도 고문헌에 대한 관심 증가와 응용 활동이 다양하게 전개됨에 따라 조선 후기에 저술된 서유구의 <임원경제지>의 활용도 역시 상당하다. <임원경제지>는 사회, 문화, 식생, 건축 등 내용의 범위가 총체적이고, 농민에서부터 상류 문인에 이르기까지 적용 대상을 확장하여 독자의 폭을 넓히고 있다. 또한 그 목적성이 단순한 백과사전식 기술 전수형 농서를 넘어 문인의 품위 있는 생활 유지를 위한 지침서로까지 확장된 성향을 갖고 있어 다양한 관점에서의 활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성향을 토대로, 본 논고는 <임원경제지>의 16항목 가운데 공간 디자인과 관련이 깊은 상택지(相宅志), 이운지(怡雲志), 섬용지(贍用志) 부분의 참고 문헌 성격을 확인하여 조선 후기 문인에 미친 영향력을 알아본다. <임원경제지>의 참고 문헌을 살펴봄으로써 내용의 원류 및 수용도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현재의 문화적 아이덴티티(Identity)를 갖는 컨텐츠(Contents) 개발 발전에 있어 좀 더 정제된 시선과 관점으로 조선 후기 문화상 이해에 일조할 수 었다. Design for, the 21st century must place more stress on cultural and emotional aspects, and more over should create a new social value through integration between other fields of study. In order to meet such demand of times, afield study of design is in a progress of paying more attention to ancient literatures and is finding ways to apply them. To illustrate such movement in the design field, we would be taking a close look at one of the ancient records named <Yim Won Kyung Jae Ji> compiled by SEO, Yoo-Goo in the late Cho-sun era. <Yim Won Kyung Jae Ji> was written in a diverse level, including social, cultural, lifestyle and architectural contents. <Yim Won Kyung Jae Ji> targeted wide range of readers (from the upper class intellectuals down to the lower class family) and therefore the book was not only an encyclopedia which had a purpose of simply recording technical knowledge of rural life but also was equipped with a characteristic of an ‘ethical yardstick’ guiding the readers to live a decent and moral life. This paper will thoroughly explore, reorganize and classify the characteristics of ancient records, particularly Sang Tack Ji, Yi Wun Ji, Sum Yong Ji out of the 16-Volumes of <Yim Won Kyung Jae Ji>. Under the writer’s judgemental decision, the mentioned records will be solely used as a reference to picture a clear image of Cho-sun intellectual’s ideological concept and awareness of the historical era. Thus, it would be easy to grasp the basic features and characteristics of <Yim Won Kyung Jae Ji>. Furthermore, it would allow the readers to figure out possible contents that wouI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urrent generation’s cultural identity and help them to carry out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cuItural concepts in the late Cho-sun era.

      • 바람과 흙; 동아시아 문화의 정체성

        쿠로가와 마사유키(Kurokawa, Masayuki) 국민대학교 동양문화디자인연구소 2011 Journal of Oriental Culture&Design Vol.3 No.1

        본 논문의 목적은「바람」과「흙」이라는 두 개의 한자를 더한 풍토(風)_(土)를 통해서 동아시아 문화의 아이덴티티를 제고하는 데에 있다. 풍토란 각 지역에 뿌리 내린 자연과 문화를 의미하여 그 중에서 바람풍(風)은 항상 흐르는 정보이며, 흙(土)은 그 지역에 기인한 ‘축적된 기억의 집적’ 이라 할 수 있다. 지역의 아이덴티티를 생각하기 위해서는「바람=정보」는 지역끼리의 사상이나 문화의 교류를 의미하고,「흙=역사」는 자연과 토착적인 문화를 의미하고 있다는 데에 중요한 시점(視點)이 있다. 동아시아의 한국, 중국, 일본은 각각의 문화의 아이덴티티를 형성하고 있으며 동시에 3개의 나라들에 공통된 문화의 아이덴티티가 있다. 지금의 시대가 글로벌 시대이기 때문에 서로 다른 각각의 아이덴티티를 생각하는 것보다 동아시아의 공통된 아이덴티티를 생각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무리(群, group)의 사상」은 서양에 대한 동아시아의 중요한 문화의 특징을 표현하는 것이다. 대략적으로 말하면, 서양의 사상에는 일신교(크리스트교)의 가치관이 뿌리 깊게 있고, 동양의 사상에는 다신교의 사상(애니미즘)과 자연주의의 사상이 뿌리 깊다는 것이다. 서양에서는 일신교(크리스트교)가 철학이라고 하는 「거대한 나무」에 비유할 수 있는 사상 체계를 떠받드는 생각이 지배하고 있는 것에 반해, 동아시아에서는 자연과의 일체감으로부터 「생물끼리의 대등한 관계」나 「인간끼리의 대등한 관계」가 세계관이 되는 「숲의 사상」이 지배하고 있습니다. 관계의 중심적 존재를 갖는 「일신교(크리스트교)의 사상」에 반해서 「각각이 중심이 되어서 연결되는 관계」가 지배하는 사상이 동아시아의 사상입니다. 또한, 무리를 만들어 내는 「복수의 개(個)가 조화를 유지하는 전체」를 위해서 「사이(MA)」의 개념이 있다. 그것은 사람과 사람의 사이나, 일과 일의 사이에 「사이」가 중재해 전체성을 만들어 내는 발상이다. 風と土」というキワドの元に、東アジアの文化とデザインのアイデンティティを模索するのが今回の大きなテマでした。「風」と「土」の二つの漢字を合わせると「風土」です。それぞれの地域に根付いた自然と文化を風土というのですが、その中の「風」は常に流れる「情報」であり、「土」はその地域に根ざした「蓄積された記憶の集積」です。地域のアイデンティティを考えるためにこの「風=情報」は地域同士の思想や文化の交流を意味し、「土=歴史」は自然と土着的な文化を意味していて重要な視点を与えてくれます。東アジアとは「中国と韓国と日本」を差しますが、この3つの国には歴史的に緊密な情報の行き来があり、3つの国の地理的関係にも興味深いものがあります。 「群れの思想」は西洋に対して東アジアの重要な文化の特徴を表現しています。 大まかにいいますと、西洋の思想には一神教(キリスト教)の価値観が根強くあり、東洋の思想には多神教の思想(アニミズム)と自然主義の思想が根強いということです。西洋では一神教が哲学という「巨大な樹」に喩えられるような思想体系を重んじる考えが支配しているのに対して、東アジアでは自然との一体感から「生き物同士の対等な関係」や「人間同士の対等な関係」が世界観となる「森の思想」が支配しています。関係の中心的存在を持つ「一神教の思想」に対して「夫が中心となって結ばれる関係」が支配する思想が東アジアの思想です。群れをつくりあげる「複数の個が調和を保つ全体」のために「間」の概念が育ちました。人と人の間や、事と事の間に「間」が介在して全体性をつくりあげるという発想です。

      • 시대문화에 따른 2013 S/S 한국, 일본 유행색 비교분석

        이윤희 국민대학교 동양문화디자인연구소 2012 Journal of Oriental Culture&Design Vol.4 No.2

        각 나라의 시대문화에 따라 유행색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특히 한국과 일본은 인접국가 이면서 서로 다른 문화를 갖고 있어 두 나라의 유행색 비교분석은 문화가 갖는 유행색의 차이점을 살펴볼 수 있는 사례가 될 것이다. 국제유행색위원회 인터컬러(INTERCOLOR)에서 발표된 2013년 S/S (Spring/ Summer)한국과 일본의 유행색 결과물을 비교분석하여 객관적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시대문화에 따른 유행색의 변화를 분석한다. 이러한 유행색의 결과를 토대로 시대문화에 따라 변화하는 유행색의 움직임을 이해하고 향후 시대문화에 따른 유행색 예측을 통해 제품디자인과 색채마케팅 발전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The trend color has been changed according to each country's culture of era. Especially, Korea and Japan are geographically close but they have cross-culture so it can be an example of comparative analysis about the trend color of each country'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ir own culture background. Will analyse both Korea and Japan's trend color change matter based on authority of INTERCOLOR, which is international specialized agency of color, announced on 2013 S/S. And will check and well understand the change of trend color as its culture background. And guess the trend color and great contribution of product design and color marketing development.

      • 조선시대 궁궐의 창호디자인 연구

        이민경,김형준 국민대학교 동양문화디자인연구소 2009 Journal of Oriental Culture&Design Vol.1 No.2

        본 연구에서는 전통창호가 갖는 사상적 배경과 공간구성에서의 관련성 및 한국 전통창호의 특징과 종류를 시대를 대표하는 최상급의 건축이라 할 수 있는 궁궐의 사례를 통해 알아보고 그 안에서의 창호문양을 연구하여 현대 디자인에 전통문양을 도입하여 디자인 해보는 연구를 할 것이다. 우리나라는 특히 건축의 건물의 정면 창호의장이 강하게 나타나는 것이 특정이다. 본 연구조사에서는 서울에 있는 5대 궁궐을 현장 조사하여 각 수집된 건물의 창호를 중심으로 궁궐문양(궁궐에 주로 쓰이는 띠살, 완자살, 정자살, 용자살, 빗살, 꽃살)과 형태와 비례를 종합적으로 비교 분석하여 창호살의 의장적인 형태의 유형과 문양, 비례, 배치를 수집하고 각 관련 논문과 궁궐의 도면 그리고 현장사진을 통해 고찰하였다. It is to do a study I write down the phenomenon that tradition window Ho whom I put a Chairman of grating into it, and there is has in a study, and I be understood and recognize a reward of the palace which is able to be a building of the superlative degree to represent the times and study windows and doors pattern of he In buccinis and introduce Miss tradition door to a design, and a design does Republic of Korea windows and doors goodwill characteristic and a kind with a meaning and aesthetic of windows and doors and, and to watch a background and relevance of space configuration. It is a characteristic we or front windows and doors of a building of a building in particular is strong gets, and to break.

      • 현대적 심미 관점으로 본 한국 전통 원림의 표현 특성

        이민 국민대학교 동양문화디자인연구소 2012 Journal of Oriental Culture&Design Vol.4 No.2

        In the midst of a re-illumination of the cultural character of East Asia, East Asian countries such as China and Korea have attempted to reflect independent spatial cultures based on their own unique ways of thinking. This led to an ignorance of the value and construction character of Wonrim, which is regarded as a core of spatial art in Korea. Accordingly, the significance of Wonrim is quite underestimated. The uniqueness of Wonrim was not properly recognized because the criterion was focused on the western formation.In particular, this study put an emphasis on literary Wonrim, which was formed at the initiative of the scholars who were establishing the ideological foundation of East Asia. Through a comparative study on Wonrim,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ultural background of traditional Wonrim,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both countries’ Wonrim, and suggest identity and cultural factors in East Asia’s spatial design. The "essence" which emphasizes the development of literary trends, and contains the essence, if its shape is not important in itself the idea is formed. Its features are as follows: Non-processed, contrast, geometry and its significance to the description presented. This study considers the interpretation of the cultural significance in Wonrim in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is valuable as a preliminary work to aboutOriental spatial culture. 동아시아의 문화성이 재조명되는 가운데, 중국과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는 고유의 사유를 바탕으로 한 독자적 공간 문화를 되돌아보게 한다. 이는 중국과 한국 역시 공간 문화 예술의 정수로 꼽히는 원림에 대한 가치와 조영성을 인식하지 못하는 결과로 이어졌고, 원림에 대한 이해도도 낮게 되었다. 기준이 서구의 형상 중심적 논의에 맞춰져 있다 보니, 원림 자체의 특유성을 바로 인식하지 못한 것이다. 이러한 문제 인식 아래, 동아시아의 공간 문화성을 강하게 띄면서도, 실증이 가능한 16-19세기의 원림을 선택하였으며, 그 중 동아시아의 사상적 근간을 이룬 계층인 “문인”들의 주도로 만들어진 문인 원림으로 집중하였다. 이는 “본질”을 중시하는 문인의 경향으로 발전되었고, 그 본질을 담고 있다면, 그 형체 자체가 중요하지 않다는 관념이 형성된다. 이에 대한 표현 특징은 비가공화, 대비화, 기하학화로 설명하여 그 의의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원림의 내면에 포함된 문화적 의의를 형상적 특징 속에서 해석하는데 중점을 두었으며, 동양 공간 문화의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한 기반 연구로서의 가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