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DESIGN OF LINEAR PHASE FIR DIGITAL FILTERS USING MINIMAL NUMBER OF ADDERS AND SUBTRACTORS

        Yagyu, Mitsuhiko,Shiratori, Masatsugu,Nishihara, Akinori 대한전자공학회 1996 APCCAS:Asia Pacific Conference on Circuits And Sys Vol.1 No.1

        Linear phase FIR digital filters whose coefficients are expressed as canonic signed digit (CSD) code can be efficiently realized by using a small number of adders and subtractors instead of multipliers. Common uses of the adders and subtractors can further reduce the number of adders and subtractors (NAS). The use of additional address and snbtractors to recover the reduction can improve the frequency responses of those filters. An algorithum to optimize the frequency responses of such filters is proposed. Many examples confirm that, using the specified NAS, the obtained filters have better frequency responses compared to the CSD structures.

      • Coarse-Grained Molecular Dynamics Model of Double-Stranded DNA for DNA Nanostructure Design

        Yagyu, Hiromasa,Lee, Jae-Young,Kim, Do-Nyun,Tabata, Osamu American Chemical Society 2017 The Journal of physical chemistry B Vol.121 No.19

        <P>A new coarse-grained molecular dynamics double-stranded DNA model (nCG-dsDNA model) using an improved beads spring model was proposed. In this model, nucleotide comprising phosphate, sugar, and base group were replaced by a single bead. The double stranded model with 202 base pairs was created to tune the parameters of the bond, the nonbond, stack, angle bending, and electrostatic interaction. The average twisted angle and the persistence length of the model without electrostatic interaction were calculated at 35.3 degrees and 120.3 bp, confirming that the proposed model successfully realized the experimentally observed double-stranded DNA structure. Moreover, the model with electrostatic interaction was discussed. From calculation results, we confirmed that the dependency of the salt concentration on the persistence length of the nCG-dsDNA model at the 30% charge is in good agreement with the Poisson-Boltzmann theoretical model.</P>

      • KCI등재

        최한기(崔漢綺)의 윤리사상(倫理思想) -기통(氣通)的 윤리관을 중심으로-

        유생진 ( Yagyu Makoto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1 윤리교육연구 Vol.0 No.26

        본고에서는 혜강최한기(惠岡崔漢綺)(1803-1877)의 기학적(氣學的)"통(通)"의 윤리관을 신념대립 극복과 소통의 윤리로써 검토하고자 한다. 원래 최한기의 인식론과 윤리관은 "나의 신기(神氣)가 그의 신기(神氣)와 통하는 것이고, 그의 신기(神氣)가 나의 신기(神氣)와 통하는 것"이라는 통(通)의 관념을 떠나서 생각하기 어렵다. 그리고 그 저변에는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진 신체의 여러 기관들을 횡단매개 하는 신기(神氣)의 작용에 의해 연동하고 있다는 다원적·동태적·기통(氣通)的인 인체의 이미지가 깔려 있다. 따라서 그에 있어서 신기(神氣)가 두루 통하는 것이 건강이자 선(善)이고 신기(神氣)가 치우치고 정체된 것은 병이고 불선(不善)이다. 그는 이러한 이미지를 단지 인간 개체만이 아니라 가(家)(가족 공동태(共動態)), 국(國)(국가 공동태(共動態)), 교(敎)(문화권, 문명권 혹은 종교문화 공동태(共動態))라는 크고 작은 사회집단에까지 확대 적용시켰다. 그는 세계가 여러 敎에 의해 갈라지고, 조선 국내에서는 정부의 혹심한 천주교 탄압으로 유교(성리학)과 천주교의 신념대립이 들어나고 있었다. 이러한 신념체계의 분열과 대립을 극복하고 나와 너, 자기와 타자 사이를 황단 매개하고 어울려야 한다고 하는 그의 윤리사상은 초월적·형이상학적·초감각적인 리(理)에 윤리의 바탕을 두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개개인이 실제로 서로 협력해서 타자의 쓰임이 되는(인인상위용(人人相爲用)) 가운데서 사람들이 함께하고 서로 돕는 도(道)가 생겨온다고 하는 윤리관을 제시했다. 崔漢綺の氣學思想の原型は、個體內でそれぞれ固有のはたらきをする身體の各器官が、一つの神氣によって橫斷媒介されて通じあい、總體として一つに調和しているという多元的·動態的·有機的な身體いめ一じにあった。そこでは氣が通ずることが健康·善であり、氣が偏滯しているのが病氣·不善であるから、この偏滯をいかにして「變通」して通ずるかが根本課題となる。彼の倫理思想も、この原型を拔きに考えることは難しい。なぜなら彼はこのいめ一じを、人間の個體に對してだけでなく社會集團にも適用したからである。そして主要な共動態として、家(家族共動態)·國(國家共動態)·敎(文化圈·文明圈または宗敎文化共動態)を擧げた。この中でも注目すべきは「敎」で、彼はすでに儒敎中心の世界觀を脫して、世界には普遍的伽値と倫理道德を說く「敎」がいくつも存在し、それら一つひとつが多くの國家·地域·民族を統合して文化圈を形成していることを認識していた。また一方、彼の目の前にあった時代的な課題として、たとえば天主敎を邪敎とみなして殘酷な迫害を續ける朝鮮政府(そしてその根底にある性理學)と、彈壓に對し信徒たちがむしろ喜クとして殉敎する天主敎という、相互に疏通も妥協も不可能な二者が存在した。セそこで彼は、性理學や天主敎はもちろん、後來の多くの倫理思想がそうであったような超越的·普遍的伽値や內在的德にもとづいた倫理を斥け、具體的な人クの互惠關係を通して相通じ、相和するに至るという新しい倫理を構想した。また同じ觀点から、塡統儒學の五倫も「人人相爲用」つまり人と人が相互に相手の役に立つという倫理として捉え直された。そして彼は人ひとり異なる能力と人格とはたらきを有する無數の民たち(兆民)が自發的に實現をはかる、地球規模での和、すなわち兆民致和という目標を提示したのである。

      • KCI등재

        일본서원의 장서구축-이토 진사이(伊藤仁齋) 가문과 고의당문고(古義堂文庫)-

        야규마코토 ( Yagyu Makoto ) 한국서원학회 2021 한국서원학보 Vol.13 No.-

        고의당(古義堂)은 일본의 유학자로 고학(古學) 인재학파(仁齋學派, 또는 고의학파古義學派)의 창시자이자 사상가인 이토 진사이(伊藤仁齋)가 1662(寬文2)년에 교토(京都) 호리카와(堀川)의 자택에 개설한 사숙(私塾)이다. 고의당은 호리카와주쿠(堀川塾) 또는 호리카와학교(堀川學校)라고도 일컬어졌다. 에도시대의 교토에는 유명한 사숙이 여러 군데 존재했는데 고의당은 그 대표적인 것 중 하나이다. 고의당은 초대인 진사이(仁齋)부터 6대 유사이(輶齋)까지 무려 240여 년 동안, 1906(明治39)년에 그 역사에 막을 내릴 때까지 대대로 이토가 당주(當主)로서 숙주(塾主) 자리를 세습했다. 그런데 교토는 도쿠가와 시대에 여러 차례 큰 화재를 당했음에도 고의당은 기적적으로 화재를 면할 수 있었고 그 귀중한 서적과 문헌, 사료, 서화 등이 고스란히 간직하게 되었다. 고의당의 유품들은 1941(昭和16)년부터 1945(昭和20)년에 걸쳐 일괄적으로 덴리도서관(天理圖書館)에 인수되고 ‘고의당문고(古義堂文庫)’라고 불리게 되었다. 덴리도서관은 덴리교 2대 진주(眞柱; 교당지도자) 나카야마 마사요시(中山正善)가 1926(大正15)년에 개설한 도서관이다. 오늘날 고의당문고는 덴리교 나카야마가(中山家)의 원래 장서인 와타야문고(綿屋文庫), 요시다신도(吉田神道) 가문의 옛 장서인 요시다문고(吉田文庫), 그리고 나라현(奈良県)의 향토사가인 야스이 요시타로(保井芳太郎)가 수집한 향토자료인 긴세이문고(近世文庫)와 함께 덴리도서관의 4개 특별문고 중 하나가 되고 있다. 고의당문고 중에는 고의학파와 관련된 문헌들 외에도 의학・본초학이나 고의당의 조선문화연구, 조선통신사와 관련된 것, 중국 송・명・청나라에서 간행된 문헌 등도 포함되어 있다. Kogido(古義堂) is a private school established in AD 1662. by I to Jinsai(伊藤仁齋), who was an educator and a Japanese Confucian philosopher of Kogigaku(古義學, “study of ancient meanings”). It was also called Horikawa-Juku(堀川塾) or Horikawa-School(堀川學校). There were several famous private schools in Kyoto in the Edo period, and Kogido wa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From Jinsai to Yusai(輶齋, the 6th), the head of the Ito family inherited the president of the academy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over 240 years until 1906. Kyoto was also hit by many big fires in Tokugawa era, but Kogido miraculously escaped fire and valuable books, literature, historical materials, calligraphy and paintings have been handed down. From 1941 to 1945, All of the literature of Kogido was collected by Tenri Central Library(天理圖書館) and named "Kogido Bunko(古義堂文庫)". Tenri Central Library was opened in 1926 by Shozen Nakayama(中山正善), the 2nd Shinbashira(the leader of Tenrikyo). Currently, Kogido Bunko is one of the four special collections of the Tenri Central Library. Others include the Wataya Bunko(綿屋文庫), a collection donated by the Tenrikyo Nakayama family, the Yoshida Bunko(吉田文庫), a books by the Shinto Yoshida family, and the Kinsei Bunko(近世文庫), a collection of materials collected by the local historian Yasui Yoshitaro(保井芳太郎). In addition to literature on Kogigaku school, the Kogido Bunko also includes literature on medicine and herbs, Korean cultural studies, materials related to the Joseon Tongsinsa(朝鮮通信使; Joseon missions to Japan), and books published in the Sung(宋), Ming(明), and Qing(淸) dynasties of China.

      • KCI등재

        崔漢綺の氣通的倫理

        柳生?(Yagyu Makoto)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인문과학연구 Vol.0 No.31

        최한기 氣學은 개체 안에서 각각 고유의 기능을 가진 기관들이 하나의 神氣가 그 사이를 두루 흘러 다니고 순환하고 매개함으로써 하나의 유기체로도 총체성을 유지하고 있는 신체에 대한 이미지가 원형이 되어 있다. 따라서 신체적으로나 정신·의식·사고의 영역으로나 神氣가 통하는 것이 건강이자 선이고, 神氣가 치우치고 막혀서 不通한 것이 병폐이자 불선이다. 그래서 어떤 분야이든 이 치우치고 막혀 있는 것을 어떻게 “變通”해서 두루 통하게 하느냐가 그의 실천적 과제가 된다. 그의 윤리사상도 이것을 무시해서는 이해하기 어렵다. 최한기는 이러한 사고방식을 인간 개체에만이 아니라 크고 작은 사회집단에도 적용했다. 그 중에서도 대표적인 공동체로써 家(가족 공동체)·國(국가 공동체)·敎(문화권·문명권 또는 종교문화공동체)를 들었다. 개체나 공동체의 “체(體)”에 해당되는 말을 그는 “事”라고 표현하고 그 유기적인 결합의 구조에 있어서 개체와 각종 공동체는 서로 상통하다고 보았다. 그 중에서도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여러 국가·민족·지역이 어떤 초월적·보편적 가치를 기축으로 통합된 “敎”이다. 그는 온 세계가 敎마다 갈라지고, 또 각각 敎 내부에서도 분열되고 不通이 되어 있다고 보았다. 또 그가 살던 19세기 한국에서는 조선왕조가 성리학의 입장에서 천주교를 邪學으로 몰아 혹독한 탄압을 가하고, 수많은 천주교도들도 신앙을 굳게 지키며 순교를 마다하지 않았다. 그들은 서로 통할 여지가 양립 불가능한 관계에 있었던 것이다. 최한기는 이와 같은 세계적·국내적인 신념대립을 하나의 “不通”으로 보고, 기존의 윤리사상과 같이 초월적·형이상학적·절대적인 것(神·理·道·空·虛·無)이나 선험적·생득적·내면적인 인간의 도덕적 본성은 전혀 객관성이 없기 때문에 신념을 달리하는 사람들 사이의 신념대립을 극복하고 불통을 변통해서 상통하기에 이르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보았다. 이것을 대신하여 그는 실제 사람들의 구체적인 호혜관계를 통해 윤리적 상생을 실현하는 길을 찾으려 했다. 이러한 시각에서 그는 전통유학의 五倫을 “人人相爲用” 즉 사람과 사람이 서로 상대에게 도움이 되는 뜻이라고 재해석하고, 그 연장선상에 각각 다른 재주와 인격과 입장을 가지는 무수한 백성(兆民)들이 자발적으로 실현을 지향하는 온 지구 규모의 어울림, 즉 “兆民致和”라는 방향성을 제시했던 것이다. This paper is examine that the origin and the purpose of the ethics of Ki-Hak (Qi-philosophy) of Choe Han-gi(崔漢綺, 1803-77). I would like to summarize three points of my paper. The first point deals with the archtype thought of Choe Han-gi. The second point is concerned with the opposed of faith in the world and in 19th century of Chosen dynasty. Then third point refers to clarifying Choe Han-gi criticizes any kind of metaphysics and innate idea and conscience. And presents his new ethics. His ethics founds on human relations and aims to overcome metaphysical conflict.

      • KCI등재

        동서양의 자연관, 그리고 기학과 동학의 생태적 윤리 ―이성과 덕성의 조화―

        야규마코토 ( Yagyu Makoto ) 한국실학학회 2022 한국실학연구 Vol.- No.44

        오늘날 ‘인류세(Anthropocene)’가 전 세계적으로 회자하고 있다. 이것은 네덜란드의 대기화학자이자 노벨 화학상 수상자인 파울 크뤼첸에 의해 널리 보편화된 개념이다. 2000년에 개최된 어느 국제회의에서 그는 “이제 인류세라고 말해야 되지 않을까?”라고 문제 제기하면서 ‘인류세’는 학계의 중요한 화두가 되었다. 또 2022년 7월에는 인류세의 중요한 지질학적 지표가 될 수 있는, 비키니 핵 실험에 유래한 방사성물질의 흔적이 일본 別府灣의 해저 지층에서 발견되었다. 이 ‘인류세’가 근대에 확립된 인간과 자연의 관계에 대한 재설정을 요구하고 있다. 인류세 시대를 맞이하면서 인류가 이미 수많은 측면에서―대기, 기온, 기후, 생태계 등등―지구에 활동의 자취를 남기고 지구를 압박하는 존재가 되었다는 사실을 더 이상 외면하지 못하게 되었다. 흔히 듣는 이야기로는 자연과 인간을 분리하는 서구 근대의 철학이 이윽고 이러한 사태를 가져왔다고 한다. 데카르트의 물심 2원론에 대표되는 서구근대철학은 자연을 ‘기계화’시키고, 인간정신은 능동적으로 그 자연을 관찰, 조작, 개조하는 것으로 자연과학과 기계문명, 자본주의의 눈부신 발달을 이루었다. 그러나 그 모순이 지구에 전가되면서 마침내 이 지경에 이르렀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서구 근대가 걸어간 이외의 자연―인간관계는 어떤 것이 있을까? 자연과 인간을 가르지 않고 조화로울 수 있는 관계 설정은 가능할까? 이 글에서는 먼저 고대부터 중세, 근대에 이르기까지 서구의 자연관과 인식론을 개관한다. 이어서 자연과 인간, 이성과 덕성의 분리를 겪지 않았던 동양의 그것과 비교해 본다. 마지막으로 서세동점의 시대에 동서양 양쪽의 자연관을 뛰어넘어서 독자적인 사상을 제출한 최한기 기학과 최제우, 최시형의 동학적 자연관, 인식론을 살펴보고 이성과 덕성, 과학과 윤리의 조화를 지향하는 인류세적 자연―인간관계를 재구축하는 실마리를 찾고자 한다. Today, The Anthropocene is talked about all over the world. It is a concept widely famous by Dutch atmospheric chemist and Nobel Prize laureate Paul J. Crutzen. At an international conference held in 2000, he raised the question that We should say already not Holocene but Anthropocene. And 'the Anthropocene' became an important topic of conversation in academia. In July 2022, radioactive materials deposited in the seabed layer of Beppu Bay, in Japan were confirmed to have originated from the Nuclear testing at Bikini Atoll, which was reported to be an important geological indicator of the Anthropocene. The Anthropocene make us for a rese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nature established in modern times. Because this concept makes us no longer turn a blind eye to the fact that mankind has already become a force on Earth, leaving traces of activity in the atmosphere, temperature, climate, ecosystem, etc. in many ways. It is often said that the Western modern philosophy of separating nature from humans brought about this situation. The Western modern philosophy, represented by Descartes' mind and materials Dualism, it made nature to mechanical nature. And the human spirit actively observed, manipulated, and modified that mechanical nature, and resulting in the remarkable development of natural science, mechanical civilization, and capitalism. But now the footprints of human activity have had a negative impact everywhere in the Earth's environment. Then, what is the nature-human relationship other than the Western modern era? Was it possible to establish a relationship that can be harmonious without separating nature and humans? This article first outlines the Western view of nature and epistemology from ancient times to the Middle Ages and modern times. Next, we compare it with that of the East, which did not experience the separation of nature and humans, reason and virtue. Lastly, we would like to look at Choi Han-gi(崔漢綺), Choe Je-u(崔濟愚), and ChoeSi-hyeong(崔時亨), who submitted their own ideas beyond the natural view of both East and West in the era of Western impact, and find a clue to rebuild the anthropological nature-human relationship.

      • KCI등재

        "공공철학(公共哲學)"의 올바른 이해를 위한 시론(試論) -중앙대학 이명한 교수의 비판적 견해에 대한 반론을 포함해서

        야규마코토 ( Yagyu Makoto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1 윤리교육연구 Vol.0 No.25

        본 논문은『양명학』제28호(2011년 4월)에 실린 이명한 교수의「공공철학과 공공철학 보급에 대한 반성적 고찰」과 이와 비슷한 생각을 하는 사람들에 대한 반론을 계기로 해서 공공철학의 내용과 지향에 대한 열린 대화의 장을 펼쳐보고 싶은 것이다. 본고에서는 먼저 공(公)과 사(私)에 대한 공공철학의 견해를 밝히고 그것에 대한 오해와 왜곡을 시정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공공철학은 어떤 개인이나 집단의 입장과 관점을 변호·계몽·보급하려는 것이 아니다. 국적, 민족, 정치적 신조 등이 서로 다른 사람들이 여러 주제에 대해 대화·토론하면서 새로운 철학적 지평을 열어나가는 철학 활동이고, 그것은 자기와 타자의 진솔하고 활발한 소통·상통·통달을 이루고자 하는 철학적 운동이며, 그것을 통해서 한일간, 나아가서는 동아시아의 대화와 상호이해 및 화해와 공복(共福)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염원을 가진 현재진행형의 철학적 영위이다. This paper is a preliminary attempt to critically respond to the ungrounded critique of Kyoto Forum-promoting public philosophy in professor Lee Myeong-Han`s paper titled "the Reflective Consideration for the Dissemination of Public Philosophy in Korea now" in Yangmyeonghak, No.28 (April 2011) published by Korea Yangmyeonghak Society. I would like to summarize three points of my paper. The first point deals with the main currents of thoughts and ideas underlying Kyoto Forum public philosophy movements. The second point is concerned with clarifying Director Kim Tae-Changs philosophysing activities. Then third point refers to clarifying prof. Lee Myong-Han`s misunderstanding and/or distortions of public philosophy promoted through Kyoto Forum for the past twenty years in Japan and abroa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