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Mixture IRT Approach to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 차별적 기능 문항 분석을 위한 혼합분포 문항반응이론의 적용

        Taehoon Kang(강태훈),Allan S. Cohen 한국교육평가학회 2006 교육평가연구 Vol.19 No.3

        교육 및 심리검사 결과에서 차별적 기능 문항을 찾기 위한 많은 통계학적 기법들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방법들은 가장 중요한 질문이라고 할 수 있는 차별적 기능 문항의 원인에 대해서는 시사하는 바가 거의 없었다. 다시 말해서, 성별이나 인종과 같은 관찰변인에 따라 차별적 기능 문항을 찾아내었다고 하더라도 이들이 왜 차별적으로 기능하는 지에 대한 답은 거의 주어지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이산적 혼합분포 문항반응 모형에 기반을 두어 이러한 질문에 답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론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 1에서는 우도비 검증을 사용하여 백인과 흑인 그리고 백인과 히스패닉 학생들 각각에서 차별적으로 기능하는 문항들을 찾아낸 뒤에, 이들을 이용하여 실제적으로 차별적 기능 문항들로 인해 이득을 보거나 혹은 불이익을 보는 피험자들 즉 잠재집단을 확인하였다. 연구 2에서는 탐색적 혼합분포 모형 분석을 통해서 차별적 기능 문항의 원인이 되는 변수들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다른 인종에 속하는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태도에 관련된 변수를 비교 분석하여 관찰집단과 잠재집단들 간의 명확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A number of methods exist for detection of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DIF), but these methods tell us little about the causes of DIF. DIF is typically defined based on a relationship with some manifest group characteristic, such as gender or ethnicity, which is usually only weakly associated with DIF. What is lacking is a method that will lead to understanding why some examinees respond differentially to an item and others do not. We present a new methodology for this purpose which is based on the use of discrete mixture item response theory (IRT) models. In Study 1, we compared responses from Caucasian and African-American examinees and Caucasian and Hispanic examinees using a likelihood ratio DIF test. We then used the patterns of DIF in these two samples to define two separate mixture IRT models in an attempt to determine whether the manifest characteristic of ethnic group membership was useful in identifying those examinees who were actually advantaged or disadvantaged by the item(s) in either sample. In Study 2, we performed an exploratory mixture model analysis on a sample containing members of all three ethnic groups to find and pursue the dimension(s) according to which DIF occurs. Comparisons of background and attitude variables of these examinees revealed some clear differences between manifest and latent groups.

      • KCI등재

        Application of Statistical Model Selection Methods to Assessing Test Dimensionality

        Taehoon Kang(강태훈) 한국교육평가학회 2008 교육평가연구 Vol.21 No.4

        통계적 모형 선택을 통하여 가장 적절한 문항반응모형을 선택하는 것은 검사 관련 연구자들이 보다 효과적으로 자료를 분석하는 데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가 된다. 이 연구에서는 다차원 문항반응이론 모형들 하에서 네 가지 모형 선택 지수들(AIC, BIC, DIC, and CVLL)이 검사 차원성 평가에 있어서 얼마나 효과적인 지를 시뮬레이션 연구를 통하여 비교 및 평가하였다. 추가적으로, 이들 방법의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가장 널리 쓰이는 비모수적 검사 다차원성 평가 방법의 하나인 DETECT를 같은 시뮬레이션 자료에 적용해 보았다. 네 가지 모형 선택 방법 중에서, 조건에 따라 다른 방법이 보다 나은 경우도 존재하였지만, 전반적으로 CVLL이 검사의 일차원성 및 다차원성을 모두 평가하는 데에 있어서 가장 유용한 방법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검사 차원성 평가에 있어서 모형 선택 방법들과 DETECT의 공통점과 차이점도 함께 논의되었다. A good model selection method can help a researcher or practitioner choose the most appropriate psychometric model. r practitioner choose the most appropriate psychometric model. In this paper, the performances of four model selection indices (AIC, BIC, DIC, and CVLL) were evaluated in the context of assessing test dimensionality through a simulation study. Additionally, for the purpose of validating the use of model selection indices, the DETECT procedure was applied to the same simulated data sets. Among the four model selection criteria, CVLL appeared to be the most useful method for both evaluating the assumption of unidimensionality and determining the correct number of latent dimensions in given test data. The communa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model selection methods and DETECT in assessing test dimensionality were further discussed.

      • KCI등재

        IRT summed-score linking to achieve comparability between observed test scores

        Taehoon Kang(강태훈) 한국교육평가학회 2010 교육평가연구 Vol.23 No.2

        문항반응이론을 적용하여 피험자의 능력 모수를 추정할 때 총점-기반 EAP가 사용된다면 2모수나 3모수 모형이 사용될 때에도 검사 총점과 능력 추정치는 일대일 대응 관계를 갖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속성을 이용하여 두 다른 검사의 관찰점수간 비교를 가능하게 해줄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인 IRT 총점 연계 기법을 소개하였고 기존에 알려진적용 절차를 보다 정교화하기 위하여 여러 보간법을 고려하였다. 두 개의 실제 자료에 대하여 이러한 방법들을 적용해 보았으며 또한 그 결과를 전통적인 문항반응이론의 검사동등화 방법들이 산출한 값들과 비교해 보았다. 이러한 비교는 세 개의 손실 지수, 총점연계 패턴, 동등화 표준오차 등을 근거하여 이루어졌다. 이 연구에서 소개된 기법은 관찰점수간 비교가능성을 획득함에 있어서 기존의 IRT 동등화 방법에 뒤지지 않는 수행을 보여 주었으며 IRT 진점수 동등화보다는 IRT 관찰점수 동등화 방법의 결과에 더 유사한 총점 연계 결과를 산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 기법을 보다 심도 있게 이해하기위해서는 획득된 비교가능성의 의미를 보다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한 여러 종류의 추가적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If the summed-score EAP is used for the purpose of scoring, it enables us to get one-to-one relationship between observed scores and theta estimates even in the use of 2- or 3-parameter models. In this study, a technique using the summed-score EAP is introduced, which is expected to provide approximate comparability between observed test scores from two different test forms. The introduced method was illustrated with two real data sets after being elaborated from the original procedure by adopting various interpolation skills. The linking results were compared to those of traditional IRT true score and IRT observed score equating methods. To compare the performance of the three methods, (1) three loss indices, (2) the conversion relationships between new form scores and their linking equivalents on the old form scale, and (3) the bootstrap standard errors of equating were calculated and provided. Based upon the results, the introduced method appeared to produce similar comparability to those of the traditional IRT methods. The summed-score linking results of the alternative method were more similar to those of the IRT observed score equating than those of the IRT true score equating. To further understand the method, however, various future studies need to be additionally performed to clarify the meaning of comparability achieved by the introduced method.

      • Diagnostic Utility of Adding Needle Aspiration (Using PeriView FLEX needle®) to Radial EBUS Transbronchial Lung Biopsy

        ( Taehoon Lee ),( Hyeon Hui Kang ),( Jin Hyoung Kim ),( Byung Ju Kang ),( Seung Won Ra ),( Kwang Won Seo ),( Yangjin Jegal ),( Eun Ji Park ),( Jong Joon Ahn )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21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Vol.129 No.-

        Background Radial endobronchial ultrasound (rEBUS) transbronchial lung biopsy (TBLB) improves the diagnostic yield of peripheral lung lesions (PLL). However, its diagnostic yield is around 60%, so efforts for improvement are needed. In the present study, we evaluated the diagnostic utility of adding transbronchial needle aspiration (TBNA) to rEBUS-TBLB. Methods In this retrospective study, we initially screened 124 patients who underwent rEBUS for PLLs since December 2020 when PeriView FLEX needle® (Olympus, Tokyo, Japan), a commercial TBNA needle dedicated to rEBUS-TBNA, was introduced. The analysis was performed on 74 PLLs in 73 patients who received both rEBUS-TBLB and rEBUS-TBNA. Results PLLs showed following characteristics: lesion size (mean), 24 mm; nature (solid vs. subsolid), 59 (79.7%) vs. 15 (20.3%); distance from pleura (mean), 14 mm; rEBUS visualization type (probe within PLL vs. probe adjacent to PLL), 56 (75.7%) vs. 18 (24.3%). Among 74 PLLs, 47 (63.5%) were successfully diagnosed by rEBUS-TBLB. In 27 PLLs not diagnosed by rEBUS-TBLB, 5 (18.5%) were further diagnosed by rEBUS-TBNA [making the overall diagnostic yield 70.3% (52/74)] (Figure 1). EBUS visualization type of “probe adjacent to PLL” was a significant factor associated with the diagnostic yield of additional rEBUS-TBNA. Conclusions In performing rEBUS for PLLs, diagnostic yield could be improved by implementing TBNA in addition to TBLB. 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o additionally perform TBNA when the probe is adjacent to the lesion rather than when the probe is within the lesion, on rEBUS.

      • KCI등재

        DINA 모형 하에서 MLE, MAP, EAP 능력 추정 방법의 분류 정확도 및 합치도 연구

        강태훈(Taehoon Kang),심혜진(Hye-Jin Shim) 한국교육방법학회 2017 교육방법연구 Vol.29 No.1

        본 연구에서는 DINA 모형 하에서 피험자 능력 모수를 추정할 수 있는 방법인 MLE, MAP, EAP 각각의 분류 정확도 및 상호 간의 합치도를 모의실험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선행연구와의 차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문항의 질, 검사 길이, 능력 정도, 인지요소 간 상관 정도, 그리고 검사 성격 등의 다양한 모의실험 요인을 고려하였다. 연구 결과, 개별 인지요소를 추정할 때의 정확성은 어느 방법을 사용하여도 모든 조건에서 약 75%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전체 인지요소를 모두 함께 정확 하게 추정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문항의 질이 좋지 않고 문항 수가적을 때에는 50% 초반까지 분류 정확도가 하락하였다. 능력추정 방법 간 결과를 비교해 보면, 개별인지요소를 추정할 때에는 EAP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전체 인지요소 모두를 정확하게 추정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면 MLE/MAP를 선택하는 것이 나았다. 다음, 검사별 Q-matrix 구성에 따라서 능력 추정의 정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 검사 문항 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인지요소를 고려할 경우 분류 정확도가 낮아짐을 확인하였다. 문항 수가 많을수록 그리고 문항의 질이 좋을수록 분류 정확성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흥미롭게도 특정 인지요소만을 측정하는 문항이 5문항 이상인 경우 문항의 질이 다소 하락하여도 높은 분류 정확도를 구할 수 있었다. 또한 인지요소 간의 상관 정도는 능력 추정의 정확도와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imulation study, the classification and agreement of MLE, MAP, and EAP which are methods to estimate examinees’ ability parameters under the DINA model. For the purpose of ensuring differentiation from the previous studies, various simulation factors were considered such as quality of test items, test lengths, ability distributions, correlations among cognitive attributes, and natures of tes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ccuracy of estimating each individual cognitive attribute was higher than about 75% in all conditions using any of three methods. It was relatively difficult, however, to accurately estimate all the cognitive attributes together. Especially, when the number of test items is small, the classification accuracy has decreased to the early 50%. It was better to use EAP when estimating individual cognitive attribute. If it was more important to accurately estimate mastery pattern, however, it is better to choose MLE/MAP. Next, the Q-matrix configuration appeared to affect the accuracy of ability estimation. As the number of cognitive attributes came to be relatively larger compared to the number of related test items, the classification accuracy tended to be lower. The higher the number of items and the better the quality of items, the higher the classification accuracy. Interestingly, if the number of items that measure a specific cognitive attribute were more than 5, the ability estimation accuracy could be kept relatively high even though the quality of items dropped somewhat. Also, the amounts of correlations among cognitive attributes appeared not to be related to the accuracy of ability estimation.

      • KCI등재

        초6-중3 학업성취도 검사의 IRT 수직척도 개발을 위한 탐색 연구

        강태훈(Kang, Taehoon),송미영(Song, Mi-Young) 한국교육평가학회 2012 교육평가연구 Vol.25 No.2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이용하여 여러 해에 걸친 학생 및 학교의 변화나 성장을 파악하고자 할 때 요구되는, 종단적 수직척도를 마련하기 위하여 문항반응이론에 기반한 측정학적 검토를 실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우선 수직척도화 개념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도모하였고, 문항반응이론을 사용하여 수직척도를 구성하고자 할 때 결정해야 할 제반 사항들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국어와 수학 두 과목에 대하여 초등학교 6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의 수직척도 체계를 탐색적으로 개발한 뒤, 학년별 척도점수 분포와 함께 학년이 올라감에 따른 평균 및 표준편차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또한 인접학년 공통문항의 총점을 이용하여 수직 척도점수 체계에 대한 평가를 시도하였다. 마지막으로, 산출된 수직척도를 활용할 때 유의할 점과 함께 수직척도 개발 연구에 있어서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A vertical scale could be used to monitor students’ and schools’ growth over years.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IRT vertical scaling could be developed to establish such longitudinal scales of Korean and mathematics achievement tests for grade 6 through grade 9. To construct those scales, first, the accurate concept of vertical scaling was to be clarified. Second, for the purpose of applying IRT as the scaling method, the item response theory models, the item parameter calibration methods, and the student proficiency estimation approaches were discussed and compared. After constructing various types of vertical scales, the fluctuation of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over grades were investigated. And, the scaling results could be partially evaluated against the total scores of common items used in each adjacent grades’ tests. Discussions of the findings were provided, followed by practical implications, description of limitations, and directions of future studies.

      • KCI등재

        중재판정 집행재판 관련규정의 개정에 관한 검토

        강태훈(Kang, Taehoon) 한국법학원 2015 저스티스 Vol.- No.151

        중재법 개정안은 중재판정의 간이하고 신속한 집행을 촉진할 목적으로 중재판정 집행재판절차를 종전의 판결절차에서 결정절차로 변경하는 규정을 두고 있다. 그러나 사설재판으로서 단 1회의 판정으로 확정판결과 동일한 효력이 인정되는 중재판정에 대한 집행재판절차를 결정절차로 변경하게 되면 그 절차는 필요적 변론이 아닌 임의적 변론 또는 필요적 심문에 의하게 되고, 그에 따라 당사자의 절차적 권리 내지 재판받을 권리가 위태롭게 될 가능성이 높다. 특히 개정안대로 개정을 하게 된다면 아직 확정되지 아니한 집행결정에 대하여 곧바로 집행력을 부여하는 결과가 되는데 이는 독일이나 일본의 개정중재법의 집행결정보다 훨씬 급진적인 내용으로 중재절차에서 이긴 당사자에게 과도한 편의를 베푸는 것이어서 당사자 간의 형평 내지 절차적 정의에 반한다. 또한 집행재판절차를 결정절차로 변경하는 경우 법리상으로 기판력, 집행력 등의 처리를 둘러싼 어려움을 아직 극복하지 못하고 있는 상태이다. 그동안 집행판결을 처리한 실무례를 보더라도 집행판결을 집행결정으로 변경할 경우 따르게 될 재판례(가압류이의 · 취소, 가처분이의 · 취소)와 비교할 때 기일횟수나 접수일부터 선고일 또는 고지일까지 소요기간 면에서 큰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아니하다. 그렇다면, 중재판정의 간이․신속한 집행에 치중하여 집행재판절차를 현행 판결절차에서 결정절차로 굳이 개정할 필요가 있는지 의문이다. The revised bill of Arbitration Act is now trying to change execution judgement procedure of arbitration award to execution order procedure in the name of promoting easier and prompter execution. If this happens, pleading would no longer be mandatory, leaving the parties" right to be tried in danger. Especially, if the revised Arbitration Act, which is much radical compared with the execution order system of Germany or Japan, comes into effect, the decision not final nor binding would hold execution force. This would indeed be too much favorable to the party who won the arbitration case. Furthermore, there are many theoretical problems like ‘res judicata’ that are yet to be solved. On top of these, proceeding cases illustrate that no considerable amount of time is saved, taking the proceedings of the objection against the ruling on a provisional seizure process and the revocation of provisional disposition process into consideration. Therefore, the shift from the execution judgement procedure to execution order procedure leaves much doub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