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년기 형제관계에 관한 연구

        임선영(Sun Young Im),김태현(Tae Hyun Kim) 한국노년학회 1994 한국노년학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utility of the sibling relationship as a support network for old age through the comparison of objective tie, reciprocity aid, siblingship type that is embossed with the prolongation of the old age. The sample of this study is selected from the elderly living in seoul metropolitan area and who are old people have thier sibling. The data is analyzed by the statistical methods such as frequency, percentage, oneway anova Fisher's LSD, Pearson's correl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sed as follows : 1. Objective tie, reciprocity aid and sibling solidarity differ each other and under variables. 1) Objective tie is affected by the variables such as old people whose religion and living together make contact a visit and a telephone. Distance is affected by income and marital status. 2) Reciprocity aid is influenced by old people's sex, marital status, living together. Also, it is affected by education and income variable. 3) Sibling Solidarity is influenced by old people's religion, education level and sibling coalition. 2. Objective ties are correlated by visiting, telephone, distance and solidarity, but one is reciprocity aid. Also, Aid(received) is correlated by sibling solidarity and received aid is correlated by provided aid. 본 연구는 노년기의 연장에 따라 새롭게 부각되는 노년기 형제관계를 조명해 봄으로써 노인부양체계로써의 형제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에 거주하는 노인으로 형제가 생존해 있는 남자노인 86명과 여자노인 15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살펴본 결과, 객관적 유대에서 종교가 있고 배우자와 동거하고 있는 노인이 대면적 접촉과 전화접촉이 활발하였으며 별거 또는 이혼을 했고 소득 수준이 '하'인 노인들이 형제들과 지리적으로 가까운 위치에서 살고 있었다. 상호원조에서는 별거 또는 이혼을 했거나 친척과 동거하고 있는 노인이 형제와의 원조의 수혜와 제공이 활발하게 일어났고 교육수준과 소득수준이 낮은 집단은 주로 형제에게 원조의 수혜를, 교육수준이 높고 소득수준이 높은 집단이 형제에게 원조의 제공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형제결속력을 보면, 종교가 있는 노인들이 형제간 결속력이 높았으며, 형제연합에 따른 차이에서는 남자형제가 남매형제나 여자형제보다 결속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노년기 형제간의 객관적 유대, 상호원조, 결속력의 상관관계를 보면 객관적 유대는 원조의 수혜와 제공간에 부적 상관관계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객관적 유대가 강할수록 형제간의 결속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호원조의 경우 원조의 수혜와 결속력이 정적상관관계를 이루었고 원조의 제공과 수혜간에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났다.

      • 학령 전 자녀를 둔 기혼취업여성의 양육스트레스, 사회적지지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임선영(Sun-Young Im) 성신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소 2016 여성연구논총 Vol.19 No.-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 자녀를 둔 기혼취업여성들이 경험하는 자녀양육의 스트레스와 더불어 가족 및 주변 환경의 지지에 긍정적 지각 수준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인과관계를 살펴보고자 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시에 거주하는 지역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취업여성을 대상으로 2015년 4월1일부터 2015년 4월20일까지 총 340부를 배포하여 296부를 회수하였다. 본 연구결과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양육스트레스는 2.97(SD=1.01)으로 중간값 3점보다 약간 낮게 나타났으며 사회적지지의 경우 배우자 지지는 3.08점(SD=.99), 보육기관 이용만족도는 3.06점(SD=.82)로 결혼만족도 3.04점(SD=.90)으로 나타났으며 모두 중간값 3점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기 자녀를 둔 기혼취업여성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델Ⅰ은 통제변수와 결혼생활만족도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한 것으로 전체 설명력은 22.8%로 나타났다. 가구소득(β=.24, p<.01)만 결혼생활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결혼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모델 Ⅱ은 통제변인, 양육스트레스, 사회적지지와 결혼생활만족도의 인과관계를 살펴본 것으로 전체 설명력은 32.6%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사회적지지 중 배우자 지지가 높을수록,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그리고 양육스트레스가 낮을수록 결혼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기혼 취업여성의 가장 영향력 있는 변인으로 배우자지지가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married working women’s parenting stress and marital satisfaction. And relation between marital satisfaction and positive perception level on the support of family and the environment. For this study from April 1, 2015 April 20, 2015, we distributed a total of 340 survey papers to working women living in Seoul who use day care center, and 296 papers were returned . A summary of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Parenting stress is 2.97 (SD = 1.01). It is slightly lower than the median (three points). In the case of social support, the spouse support is 3.08 points (SD = .99), using daycare center experience was 3.06 points (SD =. 82) marital satisfaction is 3.04 points (SD = .90). All are slightly higher than the median (three points.) 2. The results of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marital satisfaction of married working women who have infant child , model Ⅰis the analysis of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marriage satisfaction and the control variable and its explanatory power is found to be 22.8%. Income (β = .24, p <.01) onl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marital satisfaction, i.e. the higher the level of income the higher marital satisfaction. Model Ⅱ examine the causal factors of control, parenting stress, social support and marital satisfaction, and its explanatory power is found to be 32.6%. This study show that the marital satisfaction was higher. when the higher the support of spouses, the higher the income, the lower the level of parenting stress. Spouse support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of married working women in this study.

      • KCI등재

        외상 후 성장에 관한 인식 분석 : 한국인과 미국인의 비교 및 종교유무에 따른 비교

        임선영(Sun-Young 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0

        본 연구의 목적은 외상 후 성장(posttraumatic growth)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을 국가와 종교적 맥락에 따라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한국 일반성인 251명을 대상으로, 외상 후 성장 척도(PTGI)의 각 문항에 대해 ‘성장으로 인식하는 정도’를 평정하도록 한 후, 이를 미국인 표본의 측정치와 비교하고, 종교의 유무에 따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인과 미국인이 공통적으로 강점 발견, 감사, 가능성 발견 요인에 해당되는 문항들을 성장으로 인식하는 정도가 높았던 반면, 영적 변화 요인은 성장으로 인식하는 정도가 낮았다. 이에 반해 대인관계 향상 요인의 경우에는 한국인은 감정표현의 증가, 미국인은 친밀감 향상과 의지하기를 성장으로 더욱 높게 인식하였다. 종교유무에 따른 분석 결과, 영적 성장에 해당되는 두 문항 모두 성장으로 인식하는 정도가 뚜렷하게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문화적 맥락에 따른 외상 후 성장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의 제안점에 대해 언급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Korean perceptions of posttraumatic growth(PTG) depending on the national background and religious affili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while most of the items in three domains(personal strength, appreciation of life, new possibilities) were considered to be indicative of growth, the items in the ‘spiritual change’ domain were the least representative of growth in both Koreans and Americans. However, the perceived indicators of items from the ‘relating to others’ domain varied between Koreans and Americans. As the results of comparing perceptions of growth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religiosity, any item in the ‘spiritual change’ was hardly considered as growth in the group with no religiosity. The relations between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PTG also varied depending on the religious affiliation. Based on the overall findings, the meaning and clinical implications of the current study regarding the cross-cultural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s of PTG we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노년기 부부 스트레스와 결혼불안정성

        임선영(Sun Young Im),김태현(Tae Hyun Kim) 한국노년학회 2002 한국노년학 Vol.21 No.3

        본 연구는 노인인구의 중가 및 노년기의 연장으로 노년기의 부부관계가 중요시되고 있는 시점에서 노년기 부부들을 대상으로 부부스트레스, 배우자지지, 부부대처행동 유형이 결혼불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부부로서 조사대상자는 126쌍(252명)이다. 연구결과 첫째, 부부스트레스는 부인이 남편보다 유의하게 높게 지각하였으며 배우자 지지는 남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편과 부인의 대처행동 유형을 보면, 남면이 긍정적 대처행동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체로 노년기 부부가 지각한 부부스트레스, 배우자지지, 대처행동, 결혼불안정성에 뚜렷한 성차가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년기 부부의 결혼불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살펴보면, 남편의 경우 부부스트레스가 높을수록 그리고 긍정적 대처행동을 적게 사용할수록 결혼불안정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부인은 부부스트레스가 높을수록 배우자지지가 적을수록 결혼불안정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노년기 결혼불안정성에 대한 이론적 토대뿐만 아니라 노년기 부부관계 중진을 위한 교육적 활동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pouse support, coping behavior and marital stress on the marital instability of the elderly couples. Each participant was administered marital stress scale, spouse support scale, coping behavior scale, marital instability scale. 120 elderly couples(240subjects) used in the final analysis were over 60 years. The elderly couples who have spouse at least over 60 years old and live in Seoul were recurited. The test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the elderly couples experienced stress, spouse support, coping behavior, marital instability and the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Wife perceived stress higher than husband. And husband perceived spouse support higher than wife. Husband used more positive coping behavior than wife. And marital instability was higher in wife's side. Second, the perception of marital stress, positive coping behavior and spouse support influence on marital instability of husbands and wives. That is, the higher husbands perceived marital stress and the less they used positive coping behavior, the higher they perceived marital instability. And the higher wives perceived marital stress and the less they perceived spouse support the higher they perceived marital instability.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importance of marital interaction to clarify the relation of marital stress and marital instability of elderly couples. This study propose the means of marital interaction to keep the marital life good and healthful. Also, this study is helpful to the counselling and therapy for the couples who are in crisis of marital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