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NMP를 연동한 콘텐츠 중심 네트워킹 망관리를 위한 이름 구조 및 이의 구현

        김광수,노병희,Kim, Kwangsoo,Roh, Byeong-hee 한국정보처리학회 2018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컴퓨터 및 통신시스템 Vol.7 No.5

        Content-centric networking (CCN) is a future Internet technology to reorganize the paradigm of end-to-end communication of the current IP-based Internet architecture into a content-based paradigm. In managing such new networks, the network managemen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unctions. The standard for typical network management in existing IP networks is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SNMP). Though there have been several works to implement network management functions on CCN, they have their own limitations to apply them to pure CCN operational environments. The basic reason of the limitation is that existing methods operate in an IP-overlay structure, or do not support push-type information exchange.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naming structure that can accommodate both pull and push-type SNMP methods for CCN network management with SNMP. Then, methods to support GET and TRAP methods as well as a SET method of SNMP in the pure CCN environment using the proposed naming structure are proposed. We implement the proposed method using CCNx, and construct a CCN network testbed to valid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by monitoring appropriate exchange of SNMP messages over the testbed. 콘텐츠 중심 네트워크(Contents-Centric Networking, CCN)는 현재의 IP 기반 인터넷에서의 단대단 통신 패러다임을 콘텐츠 중심으로 전환하기 위한 미래 인터넷 기술이다. 이러한 새로운 네트워크를 운영하는데 있어서, 망관리는 매우 중요한 기능들중의 하나이다. 기존의 IP 네트워크에서 전형적인 망관리 표준은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SNMP)이다. CCN에 망관리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많은 연구들이 있었으나, 이들을 순수한 CCN 운영 환경에 적용하는데에는 각각의 한계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한계를 갖는 주된 이유는 기존 방법들이 IP-overlay 구조로 운용되거나, push 형태의 정보 전달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SNMP를 연동한 CCN 망관리를 위하여, pull과 push-type의 SNMP 메쏘드들을 CCN에서 모두 수용 가능한 새로운 naming structure를 제안한다. 그리고, 제안하는 naming structure를 활용하여 순수 CCN 환경에서 SNMP의 network 와 node의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GET과 TRAP 메쏘드 뿐만 아니라, 이들의 설정을 위한 SET 메쏘드를 지원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제안 방법을 CCNx를 활용하여 구현하고 한 테스트베드를 구축하여, 테스트베드상에서 SNMP 메시지들이 정상적으로 교환됨을 보인다.

      • 압축 공기 에너지 Saver 개발

        김광수(Kwangsoo Kim),김명섭(Myoung Sub Kim),김강대(Kang Dae Kim),정덕채(Duk Chae Jung),김동수(Dong Soo Kim),최병오(Byung Oh Choi) 한국유체기계학회 2008 유체기계 연구개발 발표회 논문집 Vol.2008 No.-

        In this paper, we designed sandwich type pressure regulator for air pressure control system. As a result of research, we obtained several important conclusion. First, we decided theory of popper valve and relief valve which are used in sandwich type pressure regulator, and then designed prototype of pressure regulator. Second, we organized circuit diagram of dual pressure regulator of air pressure control system.

      • KCI등재

        부분공간 기반 특징 추출기의 조명 변인에 대한 얼굴인식 성능 분석

        김광수(Kwangsoo Kim),부덕희(Deokhee Boo),안정호(Jungho Ahn),곽수영(Sooyeong Kwak),변혜란(Hyeran Byun) 한국정보과학회 2007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4 No.7

        오늘날 개인의 정보 보호 및 신분 확인을 위하여 생체 인식 분야 중에서 사람의 얼굴 인식기술이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조명, 자세, 표정 변화로 인하여 얼굴 인식의 성능 저하를 일으키는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얼굴 인식 결과에 큰 영향을 주는 요소인 조명 변화에 초점을 맞춰 D-LDA(Direct-Linear Disciminant Analysis)가 다른 기법들에 비해 덜 민감하게 수행할 수 있는 성질을 지녔음을 밝히고자 한다. 측면광과 역광등의 조명 변화와 농도의 변화를 고려하여 조명 변화를 갖는 테스트를 갖는 ORL, Yale, 포항공대 데이타베이스를 여러 특징 추출 알고리즘에 적용함으로써 클래스, 학습 데이타 그리고 테스트 데이타 수가 각기 다른 세 종류의 데이타베이스에서 모두 D-LDA가 적은 학습 데이타에서도 조명 변인에 가장 덜 민감하게 반응하는 좋은 인식 성능을 갖는 성질을 지녔음을 보여준다. Face recognition technique is very popular for a personal information security and user identification in recent years. However, the face recognition system is very hard to be implemented due to the difficulty where change in illumination, pose and facial expression. In this paper, we consider that an illumination change causing the variety of face appearance, virtual image data is generated and added to the D-LDA which was selected as the most suitable feature extractor. A less sensitive recognition system in illumination is represented in this paper. This way that consider nature of several illumination directions generate the virtual training image data that considered an illumination effect of the directions and the change of illumination density. As result of experiences, D-LDA has a less sensitive property in an illumination through ORL, Yale Univirsity and Pohang Univirsity face database.

      • KCI등재

        미국 행정소송과 원고적격

        김광수(Kwangsoo Kim) 행정법이론실무학회 2014 행정법연구 Vol.- No.39

        원고적격론은 누가 행정소송을 제기할 수 있는지의 문제이다. 특히 취소소송과 관련하여 소를 제기할 수 있는 사람의 범위를 확정하는 문제는 많은 논의의 대상이 되었다. 우리 행정소송법 제12조는 “취소소송은 처분등의 취소를 구할 법률상 이익이 있는 자가 제기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취소소송의 원고적격 공식은 행정소송법 제35조의 무효등확인소송과 제36조의 부작위위법확인소송 등에도 준용되고 있다. 행정소송법 개정시 원고적격 규정은 핵심적인 사항이 된다. 그간 원고적격 규정과 관련하여 학설을 통하여 권리회복설, 법률상 보호이익설, 보호가치이익설 그리고 적법성보장설 등이 주장되거나 소개된 바 있었다. 2006년 9월에 국회로 송부되었던 대법원 행정소송법 개정의견에서는 현행 ‘법률상 이익’ 개념을 변경하여 ‘법적으로 정당한 이익’을 새로운 원고적격으로 제시한 바 있다. 현재 개정 논의 중에 있는 법무부 행정소송법 개정안은 ‘법적 이익’을 원고적격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원고적격은 행정소송법 개정의 단골 차림표가 되는데 이는 원고적격이 그만큼 중요하다는 뜻이다. 원고적격은 결국 행정소송을 제기하여 다툴 수 있는 사람의 범위를 정하는 것이므로 권리구제의문을 얼마나 열어 둘 것이냐의 문제와 연결된다고 할 것이다. 즉, 국민이 가지는 재판청구권을 어느 정도로 보장하는가의 문제와 관련이 된다. 한편 이는 행정활동에 대한 법원의 관여의 시기와 폭을 정하는 점에서 권력분립의 한 측면이기도 하다. 미국 헌법과 행정절차법의 관련 규정이 명확하게 원고적격을 정의하지 않은 관계로 이 부분에 관한 논의는 매우 변화무쌍하고 복잡하다. 그리고 미국은 판례법의 국가이므로 제정법을 근간으로 하는 우리 행정소송법에 그대로 수용할 수 없는 부분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행정소송법과 비교하여 미국 행정소송법상의 원고적격에 관한 검토 결과를 정리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미국 행정소송법상의 원고적격은 법률상 보호되는 이익으로부터 사실상의 손상 법리로 확대되어 오고 있다. 그 결과 행정소송의 이용 가능성이 넓어지고 있다. 둘째로, 원고적격에 관하여 미연방 헌법 제3조와 행정절차법에서 그 요건을 규정하고 있으나 법원은 이를 구체화하여 인과관계 요건과 구제가능성 그리고 침해되는 이익의 범위론을 발전시킴으로써 행정소송이 민중소송화 되는 경향을 방지하고자 하고 있다. 셋째로, 미국 행정소송법상 원고적격의 확대는 법규정의 모호성으로 인하여 법의 해석에 의한 필연적인 귀결이라기보다는 행정청의 활동에 대한 감시자의 확대를 통한 공익실현을 위한 정책적 필요에 의하여 이루어진 측면이 강하다. 그러므로 미국 연방법상 원고적격에 관한 논의는 행정소송의 기능적 측면과 관련된다고 할 수 있다. The issue of plaintiff"s standing to institute litigation deals with the matter of who can bring administrative litigation. Especially, the issue of deciding the persons who can institute such suit has been discussed a lot in relation to revocation suits. Article 12 of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 of South Korea states that “Revocation litigation may be instituted by a person having legal interests to seek the revocation of a disposition, etc.” This principle for determining standing to institute a revocation suit applies mutatis mutandi to litigation for affirmation of nullity or for affirmation of illegality of omission described respectively in Articles 35 and 36 of the same Act. When amendment of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 is brought up for discussion, provisions on standing to sue become one of the core issues. In connection with stipulations on standing to file a suit, academic theories such as theory of rights restoration, theory of legally-protected interests, theory of interests with protection value and theory of legality assurance have been argued or introduced in the past. In the Supreme Court"s opinion on amendment of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 presented to the National Assembly in September 2006, the concept of ‘legally justifiable interests’ was newly proposed as a requirement for the plaintiff"s standing to sue, instead of then current ‘legal interests’. The draft amendment of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 being prepared by the Ministry of Justice stipulates ‘legal interests’ as the plaintiff"s standing to file a suit. As can be seen here, plaintiff"s standing to institute litigation has been a regular menu in revision of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 which shows the importance of plaintiff"s standing to bring litigation. Since the issue of plaintiff"s standing to sue can be boiled down to deciding who can institute administrative litigation, it is connected to the matter of how wide open a door to a remedy for rights violation should be. In other words, this is connected to the matter of how far people"s rights of access to the courts should be assured. On the other hand, this issue also reflects an aspect of separation of powers, in that it determines when and to what degree the courts can interfere in administrative activities. As the relevant provisions of the U.S. Constitution and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do not clearly define plaintiff"s standing to sue, discussions about this issue are very varied and complicated. Aside from this, the U.S.A. is a nation with a case law system, those provisions as they cannot be adopted into our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 which is a statute law. None the less,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on standing to institute administrative litigation in the U.S.A., in comparison with that described in our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tanding to bring legal challenges against administrative actions has been expanded in the U.S.A. from legally protected interests to practical damages. As a result, the possibility to take advantage of administrative litigation is being broadened. Second, even though the requirements for plaintiff"s standing to institute administrative litigation are stipulated in Article 3 of the Federal Constitution and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the courts are attempting to prevent administrative litigation from becoming public interest litigation, by detailing those requirements and developing theories of causal relationship, possibility of remedy and scope of interests damaged. Third, the expansion of standing to sue under the U.S.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has been achieved not as a result of inevitable legal interpretation arising from ambiguity of the legal provisions, but rather through the policy needs for realization of public interests by way of expansion of supervision over the actions of ad

      • 무가선 트램용 추진 유도전동기 설계 및 특성 고찰

        김광수(Kwangsoo Kim),김미정(Mi-Jung Kim),편경범(Kyung-bum Pyun),이주(Ju Lee) 한국자동차공학회 2010 한국자동차공학회 학술대회 및 전시회 Vol.2010 No.11

        The latest generation of tram is low-floor design, various nations in europe and japan have developed battery driven hybrid trams that combine battery and wiring. Battery driven tram system is achieved by contact-less power supply system, thus system is needed high efficiency, high power and low weight traction motor for maximization of energy efficiency. Research from abroad is still in induction motor(IM) application, but, the research of determinations of loading condition and design point is not enough to design induction motor for railway vehicle traction. In this paper, considerations of induction motor design and characteristics are studied for railway vehicle traction.

      • KCI등재후보

        권력분립과 행정소송

        김광수(Kwangsoo Kim) 한국행정법학회 2012 행정법학 Vol.3 No.1

        이 글의 목적은 행정소송을 권력분립의 관점에서 재조명 하는 데 있다. 과거 국회에 행정소송법 개정안이 제출되었으나 통과에 이르지 못하였다. 현재 법무부에서 위원회를 구성하여 행정소송법 개정작업을 하고 있다. 행정소송법의 개정은 행정법 학자 누구나 관심을 가지게 된다. 이 글에서 행정소송을 권력분립이라는 프리즘을 통하여 다시 보는 이유는 법의 개정 논의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필자의 생각으로는 현대 행정소송의 발전은 권력분립론과 필요충분적인 관계에 있기 때문에 권력분립 이론은 행정소송에 관한 이론을 다시 검토하게 하고, 또한 행정소송 제도의 앞으로의 발전방향에 대해서도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믿는다. 종래 권력분립은 국가기관 간의 통치권한의 배분문제로 이해되어 왔다. 그러나 현대의 권력은 국가기관을 넘어 지방기관으로 확장된다. 나아가 시민단체와 개인들도 종래 국가기관에 버금가는 권력을 행사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고 있다. 거대 방송매체의 자리에 개인들이 운영하는 인터넷 매체가 들어서고 있는 현실이 이를 잘 보여준다. 그래서 권력은 입법, 행정 및 사법 사이의 횡적 분립에 이어서 국가와 지방 그리고 시민단체와 개인에 이르는 종적인 분립의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횡적 권력과 종적 권력이 접하는 곳마다 다양한 권력지형이 형성되고 또한 권력충돌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현재의 행정소송법 체계는 1987년의 민주화시대의 패러다임을 벗어나지 못하고있다. 이 구도 아래서는 힘 있는 국가와 그에 대응하는 시민사회의 이분법이 지배한다. 그 후에 전개된 정보통신 환경의 변화 및 글로벌화 현상은 행정소송법에 있어서 도 새로운 과제를 던지고 있다. 이 과제를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는 사법이 국민의 권리보호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보편적인 권리구제 수단을 갖추어야 한다. 즉, 권리구제 수단의 확대가 필요하다. 둘째는 법적인 판단에 앞서 근거와 이유가 명확하게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물론 사법부의 권한 밖에 있는 문제이기도 하겠지만 법원의 판단과정에서 이를 요구함으로써 행정의 체질개선을 유도하여야 한다. 셋째는 이해관계의 복잡화와 사회적 갈등의 다양성에 대응하는 적절한 분쟁해결 방법을 고안해야 할 것이다. 앞에서 든 단체소송과 주민소송이 대표 적인 사례이며 예상하지 못한 법적 분쟁에도 대비할 수 있는 유연성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ed new lights on administrative litig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eparation of powers. A draft amendment bill of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 was submitted to the National Assembly in its last session but it did not pass through parliament. At present, a committee has been established at the Ministry of Justice to work on revision of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 Every scholar studying administrative law becomes interested in the revision of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 The reasons why this author re-looks at administrative litigation through the prism of separation of powers are not limited to discussions on revision of the law. In the opinion of this author, since the advancement of modern administrative litigation is in the relationship of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 with the theories on separation of powers, these theories are believed to provide opportunities of reviewing theories on administrative litigation and studying the direction of future advancement of administrative litigation system. Separation of powers has previously been understood as an issue of division of ruling powers among state organs. However, modern powers expand beyond state organs to local organs. Furthermore, opportunities are being provided for civic groups and individuals to exercise powers second to those of previous state organs. Nothing shows this better than the reality that internet media operated by individuals are taking the place of giant broadcasting media. So following the horizontal separation of powers among the executive, the legislative and the judiciary, now has come the time of vertical separation of powers among state governments, local governments and even civic groups and individuals. Wherever horizontal power and vertical power contact each other, there form a variety of topographies of power and happen phenomena of power conflicts. The present system of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 has not yet gotten out of the paradigms of democratization in 1987. Under this composition dominates the dichotomy between the powerful state and the civil society responding to it. The changes in and the globalization of IT environment which have happened thereafter are presenting new challenges in the field of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 First, universal remedies for violation of private rights should be made available to contribute to protection of citizens rights. Expansion of such remedies is necessary. Secondly, the executive branch should be required to present clear grounds and reasons for making its judgments. Of course, this is outside of the power of the judiciary branch, but, by demanding them in the process of court s judgment, improvement of the attitude of the executive branch may be induced. Thirdly, A variety of methods for resolving disputes should be developed in order to cope with complication of interests and diversity of social conflicts. Aforementioned class action and resident action are the representative examples, and flexibility is also required to prepare for unexpected legal disputes.

      • KCI등재

        지속가능한 국토이용 평가

        김광수(Kwangsoo Kim) 세계헌법학회 한국학회 2010 世界憲法硏究 Vol.16 No.3

        As a big population living concentrated in a small country, Koreans cannot but have an interest in the planning and usage of land. To many people, land is the source for wealth and is on the top of the property list. Land is a commodity of concern for future generations, as well as the present one, and that is why land sustainability becomes a big issue. It has already been foreseen that land usage will change, from current practices, in the future. Almost every day, we hear news of phenomena caused by global warming, such as increasing temperatures, rising sea levels and changes in ecosystems. Such phenomena have resulted in previously uncommon disasters such as flooding and typhoon causing enormous damage. In addition, changes in temperature make us face new problems such as changes in the conditions necessary for cultivating crops, and the need to make preparatory measures to prevent disease and insects. Land usage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sustainability, since land is part of nature and forms the foundation of human life. Therefore,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land sustainability starts with the right land policies. To date, there have been many changes in land usage, due to implementations of policies for economic growth which were focused on development. Roads and railway lines have been extended in all directions and urbanization has been rapidly progressed. Nationwide, apartments have been built everywhere. Mud flats have been reclaimed and mountainous areas have been developed. Subsequently, the economic index has improved, and life has become more convenient: but the price for that has been high. Natural disasters owing to environmental changes on Earth are global problems, not localized ones. In other words, we are not the people to be blamed. Neither is it Korea or Koreans only who have the solution. It is a common task that the whole human race must share. For example, the shrinking of the ice bergs at the North Pole and the reduction of the Icelandic ice sheets, seem to have no direct impact on our life and it feels as though there is nothing we can do about these problems. However, scientific methods have proved global warming exists, and its subsequent harmful effects have gradually been growing up to a level that Koreans can sense. Only about 40 years ago, there were birds singing wherever you went, and insects such as dragonflies, butterflies, beetles and dung beetles were commonly seen around us. But without our hardly realizing it, our surroundings have been filled with increasing scenes of dull cement buildings, cars and people. We need to learn to regard the destruction of the ecosystem and the reduction in species as disasters. If it has been policy so far to develop land and to increase the harvest by using pesticides and fertilizers, so it will have to become our task from now on to restore our ecology and create a community where diverse species live together. It has not been long since the word, sustainability, appeared as a motto for ecology. However in the meantime, the same word of sustainability has become an ideological motto covering all aspects of society. In other words, it has been overused, and there has been criticism that ‘sustainability’ is only an empty echo. It overflows everywhere in phrases such as ‘sustainable management’, ‘sustainable enterprise’ and ‘sustainable government’. Nevertheless, the concept of sustainability cannot be abandoned. The present government has suggested the concept of ‘green growth’ as the core concept for an economic society. Green growth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sustainability. In this paper, sustainability and green growth will be compared and analyzed (IV). 좁은 국토에 많은 인구가 밀집하여 살고 있는 우리로서는 국토의 계획과 이용에 지대한 관심을 가질 수밖에 없다. 많은 사람들에게 땅은 부의 원천이자 재산목록의 으뜸자리를 차지한다. 토지는 현세대만이 아니라 미래세대 또한 이해관계를 가지고 있는 재화이다. 그러므로 국토의 지속가능성이 큰 이슈가 된다. 국토이용은 지속가능성과 특히 밀접한 관계를 맺는다. 국토 그 자체가 자연의 일부이며 인간생활의 기초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속가능성은 올바른 국토정책으로부터 시작된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니다. 그간 개발위주의 경제발전 정책을 시행하면서 국토이용의 측면에서 많은 변화가 있었다. 도로 및 철도교통이 사방팔방으로 확충되었고 도시화가 급속도로 진행되었다. 전국 곳곳에 아파트가 들어서 있다. 갯벌은 간척되었고 산지는 개간되었다. 이로써 경제지표가 개선되고 생활이 편리하여 졌지만 그에 대한 대가 또한 만만치 않다. 지구환경 변화에 의한 자연재해는 전지구적인 문제이므로 우리에게 국한된 문제는 아니다. 그 원인을 우리가 제공한 것은 아니라는 이야기다. 그리고 그 해법도 우리나라나 우리국민이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 인류 전체가 가지고 있는 공통의 과제라고 할 수 있다. 가령 지구온난화에 의해서 북극의 빙산이 축소된다든지 아이슬란드의 얼음이 줄어든다든지 하는 일이 우리에게 직접 어떤 영향을 가져오는 것 같지도 않을뿐더러 우리가 어떻게 할 수도 없는 일처럼 느껴진다. 그러나 지구온난화는 과학적인 방법으로 증명되고 있다. 그로 인한 폐해도 점점 우리가 감지하는 수준까지 오고 있다. 대략 40년 전만 하더라도 어디를 가든 새들이 지천없이 지저귀고 잠자리나 나비 그리고 장수벌레, 쇠똥구리와 같은 곤충들을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었다. 그런데 어느 틈엔가 우리주위에는 무미건조한 시멘트 건물과 자동차들 그리고 사람들로만 채워지고 있다. 생태계의 파과와 생명종의 축소 자체만 하더라도 엄청난 재앙이라고 생각하여야 한다. 토지를 개간하고 농약과 비료를 써서 수확량을 늘리는 일이 이제까지의 정책이었다면 앞으로는 생태를 복원하고 다양한 생명종들과 함께 사는 공동체를 만드는 일을 우리의 과제로 삼아야 한다. 지속가능성이 화두로 등장한지는 얼마 되지 않는다. 그렇지만 그 사이에 지속가능성은 사회의 모든 분야를 망라하는 이념적인 모토가 되고 있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즉, 지속가능성이라는 말이 과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지속가능성이라는 말이 알맹이가 없는 공허한 울림이라는 비판도 있다. 지속가능 경영, 지속가능 기업, 지속가능 정부 등 지속가능성은 도처에서 범람한다. 그렇다고 하여도 지속가능성은 포기할 수 없는 개념으로 생각된다. 현 정부는 녹색성장 이념을 경제사회의 핵심개념으로 제시하였다. 녹색성장은 지속가능성과 밀접한 관계에 있다. 이 글에서는 지속가능성과 녹색성장을 비교분석하기로 하였다(Ⅳ). 그전에 지속가능성의 개념에 대하여 몇 가지 논의하고(Ⅱ), 국토이용에 대하여 지속가능성이 주는 효과(Ⅲ)를 언급하였다. 마지막으로 지속가능성의 관점에서 국토의 이용이 가지는 몇 가지의 거시적인 문제를 제시하였다(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