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라인 사회망 시스템의 집단 스팸 리뷰의 특성 분석

        박수희(Suehee Pak),이은영(Eunyoung Lee)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18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11

        Online social media systems and various review platforms provide useful product information to customers in purchasing most satisfactory products. As a greater number of customers relied on online product reviews and ratings, online reputation became an important factor in making purchasing decisions. However, internet review systems attracted bots and fraudsters who post promoting or demoting false reviews to achieve financial gains. Falsified information leads to unsatisfactory experiences to users and damages the credibility of internet review systems. Many researchers tackled the false review problems and discovered various spam features that can be classified into context, behavior and structure features.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network characteristics of crowdturfing spam attacks with a large real-world dataset. Our analysis reveals several distinguishing features obtained from the user-rating bipartite network and projection networks. The results are expected to lit a light in developing detection schemes based on network features.

      • KCI등재후보

        나선형 모형을 이용한 대학 IT 교육의 개선

        박수희(Suehee Pak),노은하(Eunha Rho),장준호(Juno Chang) 한국공학교육학회 2008 공학교육연구 Vol.11 No.3

        본 논문에서는 산학간 협력을 통해 대학의 IT 분야 전공교육을 강화하기 위한 정부 주재의 교과과정 개발, 적용 및 점증적 개선 과정을 설명한다. 특히, 소프트웨어 개발방법론인 Boehm의 WINWIN 나선형 모형을 이용하여 수요자로서의 산업계, 공급자로 서의 학계, 중재자로서의 정부가 모두 만족(winwin)할 수 있는 협상작업을 통해 교과과정이 개발되고 정련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또한, 개발된 교과과 정들이 정부의 사업을 통해 전국의 교육 현장에 적용되어 활용된 결과와 그에 대한 평가를 제시한다. 이 모형의 기본 원리는 일반적이어서 타 영역의 대학 교과과정 개발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presents the process of developing, applying and increasingly updating curriculums to reinforce education in IT field through cooperation of industry and academy by the invention of government. In particular, the curriculums are developed and refined in order to satisfy both industry as users and academy as suppliers, using a spiral model, which was originally proposed for software development by Boehm. The result and the assessment are described where the developed curriculums have been applied at the universities in a national-wide base through a project by government. The basic principles of this model are general enough to be applied to curriculum development in various areas of college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저널링 파일 시스템을 위한 비휘발성 메모리 기반 병행적 저널링 기법의 설계 및 구현

        박수희(Suehee Pak),이은영(Eunyoung Lee),한혁(Hyuck Han)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7

        파일 시스템에서 하나의 쓰기 연산은 여러 데이터를 수정할 수 있지만, 이러한 파일 시스템의 변경들은 원자적으로 디스크에 써지지 않는다. 따라서 파일 시스템의 일관성을 위해 기존의 저널링 기법은 시스템 성능을 저하시키는 대신 충돌 일관성을 보장한다. 비휘발성 메모리를 저널 공간으로 사용하면 비휘발성 메모리의 낮은 지연 시간과 바이트 수준 접근성으로 성능 저하를 완화시킬 수 있다고 알려졌다. 그러나 비휘발성 메모리를 고려한 저널링 기법 중에서 확장성을 제공하는 것은 없다. 본 논문에서는 확장적 저널링을 위해 비휘발성 메모리상의 저널 공간을 여러 영역으로 분할하여 한 영역에 집중된 연산을 분산시킨다. 또한, 저널 영역별로 입출력 쓰레드를 두어 저장 장치에 데이터 쓰기 연산을 가속화한다. 제안된 기법을 JFS에 적용하여 고성능 저장장치를 탑재한 멀티코어 서버에서 이를 평가한다. 평가 결과는 제안된 기법이 기존의 NVM 기반 저널링 파일시스템의 기법보다 성능이 우수함을 보여준다. A single write operation in a file system can modify multiple data, but these changes in the file system are not atomically written to disk. Thus, for the consistency of the file system, conventional journaling guarantees crash consistency instead of sacrificing the system performance. It is known that using non-volatile memory as a journal space can alleviate performance degradation due to low latency and byte-level accessibility of non-volatile memory. However, none of the journaling techniques considering non-volatile memory provide scalability. In this paper, journal space on non-volatile memory is divided into multiple regions for scalable journaling, thus dispersing concentrated operations in one region. Second, the journal area-specific operator structure is used to accelerate data write operations to storage devices. We apply the proposed technique to JFS to evaluate it on multi-core servers equipped with high-performance storage devices. The evalu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technique performs better than the existing technique of the NVM-based journaling file system.

      • 선택 프로그램 슬라이싱을 이용한 소프트웨어 분석

        박수희(Suehee Pak) 한국정보과학회 2001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28 No.6

        시스템이 진화와 노화를 거듭하는 경우 프로그램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가장 정확한 문서는 기존의 시스템 자체에서 추출되어진 정보이다. 프로그램의 이해를 돕기 위한 분석기법중의 하나인 프로그램 슬라이싱은 1984년 Weiser에 의해서 소개되어진 이후 다양한 방향으로 연구가 진행되어져 왔다. 특히, 생성되어지는 프로그램 슬라이스가 사이즈가 크고 충분히 집약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과 슬라이스의 계산방법이 효율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방법들을 시도되어 왔다. 본 논문은 고전적인 슬라이싱 기준에 새로운 파라미터를 추가함으로써 제외개념을 이용하여 보다 함수적으로 응집력있고, 사이즈가 작은 슬라이스를 생성하는 선택 슬라이스를 제시하며 이 선택슬라이스를 계산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법을 기술한다. 데이타와 제어의 흐름을 이용하여 선택 슬라이싱을 정의하고, 선택 슬라이싱을 위한 종속그래프를 정의하고 이를 사용하여 선형적 시간 내에 선택 슬라이스를 생성하는 알고리즘을 기술한다. For the system that has evolved over years, the best document for program comprehension is the information to extract and to recover from the existing system. Program slicing, introduced by Weiser, has been studied since 1984, but most of works still have the problem that the resulted program slice is not manageable in size and in cohesiveness and the problem that the algorithm to calculate the slice is not efficient enough. Focusing on overcoming these problems, we extend the classical program slicing to an advanced slicing technique, Selection Slicing. The effective method to calculate the Selection Slice is also presented. Another parameter is added to the conventional slicing criterion so that the concept of exclusiveness makes the resulted slice smaller and functionally cohesive. This paper also proposes both the definition of the Selection slicing and the representation of a dependence graph, on which an effective algorithm to produce the correct Selection slice in linear time is described.

      • KCI등재

        주기적 실시간 작업들의 전력 소모 감소를 위한 병렬 수행을 활용한 다중코어 DVFS 스케줄링 기법

        박수희(Suehee Pak)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4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9 No.12

        본 논문에서는 다중코어 프로세서 상에서 주기적 실시간 작업들의 데드라인을 만족하면서 전력 소모량을 최소화하도록 DVFS 기법과 전원 소등 기법을 모두 사용하는 스케줄링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스케줄링 방법은 프로세싱 코어들이 단일 시점에 같은 속도로 동작하는 연관형 프로세서 모델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었고, 기존 연구에서 해결하지 못한 프로세싱 코어들의 부하불균등 현상을 병렬 수행을 작업들에 적용하여 해소함으로써 전력 소모량을 줄였다. 또한 작업들의 전체 계산량을 고려하여 일부 프로세싱 코어들만을 활성화하여 사용하고 나머지 코어들의 전원은 소등하여 전력 소모량을 줄였다. 전체 프로세싱 코어들 중에서 활성화될 프로세싱 코어들의 개수는 수학적 분석을 통하여 결정되었다. 성능 평가 실험에서 제안된 방법은 기존 방법보다 전력 소모량을 최대 77%까지 감소시킴을 보였다. This paper proposes a scheduling scheme that enhances power consumption efficiency of periodic real-time tasks using DVFS and power-shut-down mechanisms while meeting their deadlines on multicore processors. The proposed scheme is suitable for dependent multicore processors in which processing cores have an identical speed at an instant, and resolves the load unbalance of processing cores by exploiting parallel processing because the load unbalance causes inefficient power consumption in previous methods. Also the scheme activates a part of processing cores and turns off the power of unused cores. The number of activated processing cores is determined through mathematical analysis. Evaluation experiments show that the proposed scheme saves up to 77% power consumption of the previous method.

      • 모델 변환을 지향하는 MDA

        박수희,김성림 동덕여자대학교 2002 정보과학연구 Vol.6 No.-

        1990년대 초, 구조적 파라다임이 객체지향기술로 교체되었다. 객체지향기술은 객체와 클래스에 초점을 맞추고 다양한 모델링 기법을 통합하여 UML이라는 모델링 언어로 표준화되었다. 그러나 수많은 종류의 하드웨어 플랫폼, 오퍼레이팅 시스템, 네트워크 프로토콜, 프로그래밍 인어들이 존재하는 현재의 응용프로그램 개발, 유지보수에 어떤 컨센서스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 OMG가 제안한 것이 Model-Driven Architecture(MDA)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 MDA의 구조, 개념과 의미를 소개한다. In early 1990s, the procedural paradigm had been replaced with the object-oriented technology. The object-oriented technology has focused on objects and classes and has been standardized with the modeling language, UML. However there must be consensus on various hardware platforms, operating systems, network protocols, and programming languages. For this purpose, OMG has proposed another new revolutions, Model-Driven Architecture (MDA). Some of the main structures, concepts and meanings of the MDA is outlined in this paper.

      • 수요지향적 교과과정 개발을 위한 Win-win 나선형 모형

        박수희 同德女子大學校 情報科學硏究所 2004 정보과학연구 Vol.8 No.-

        수요지향적 대학 교육이란 산업계의 요구를 반영한 교과과정과 교과목을 내용으로 한 교육을 의미한다. 이 논문에서는 산업체로부터의 수요지향적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한다. 소프트웨어 시스템 개발을 위한 방법론인 Boehm의 나선형 모형의 개념과 원리를 응용하여 컴퓨터-소프트웨어 분야의 수요지향적 교과과정을 개발하기 위한 새로운 모형을 제안한다. 수요지향적 교육 내용 개발을 위한 반복적이고 점진적인 개발 프로세스와 산출물, 인프라를 기술한다. Demand-driven undergraduate education requires curriculum and educational contents demanded by IT industry. This paper suggests a methodology to develop demand-driven curriculum and educational contents. By applying the Spiral model suggested by Boehm for developing software systems, a new model is proposed for demand-driven curriculum development. Its repetitive and incremental process, infrastructure and artifacts are described.

      • UML 의미(Semantics)

        박수희 동덕여자대학교 2002 정보과학연구 Vol.6 No.-

        UML은 국제적으로 표준화된 모델링 언어이다. 계속 진화되고 있는 UML은 완성도가 비교적 높은 문법(syntax)에 비해 상대적으로 의미(semantics)는 정확성과 명백성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 논문에서는 현재의 UML 의미(semantics)의 취약점을 지적하고 이를 강화하고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한다. 1997년에 형성된 그룹인 precise-UML에서 현재 진행중인 작업과 예를 소개한다. UML is a modeling language that has been internationally recognized and standardized. The UML which is still being evolved has defined much of the syntax to some degree of completeness. However, semantics are mostly defined without preciseness and unambiguity. In this paper, the weakness of the current UML semantics is pointed out and the ways of strengthening and extending the weekness are outlined. The ongoing work and examples by precise-UML group are also described.

      • CMMI에 관한 연구

        박수희 동덕여자대학교 2001 정보과학연구 Vol.5 No.-

        소프트웨어 개발에 관한 많은 문제점의 원인이 기술이 아닌 관리에 있음이 지적되어 왔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조직이나 조직내의 프로세스를 개선시키고 적절한 평가를 하는데 사용되기 위한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모형이 개발되어 왔다. 현재 CMM과 SPICE가 국제적으로 인정 받고있는 표준 모형이다. 이 논문에서는 CMM의 후속 모형인 CMMI에 관하여 기술하고 그 구조나 의의를 다룬다. It has been noticed that the cause of the problems that have occurred in software development lies in management, not in technical issues. As a solution to overcome these problems, several software process models have been developed, in order to be used to improve and evaluate an organization or software processes in an organization. CMM and SPICE have been recognized as the internationally standardized software process model so far. In this paper, CMMI, as the succeeding model of CMM, is described and its structure and its meaning are investig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