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간성을 메타언어로 한 신화텍스트 연구 - <삼공본풀이>, <세경본풀이>, <삼승할망본풀이>를 대상으로

        김신정 ( Kim Sinjeong ) 한국기호학회 2017 기호학연구 Vol.50 No.-

        공간성을 메타언어로 하여 신화텍스트를 분석하고 공간적 모델링을 통해 텍스트 기저에 있는 신화적 사유를 탐색하였다. 제주도 무속신화 텍스트인 <삼공본풀이>, <세경본풀이>, <삼승할망본풀이>를 대상으로 하였고, 분석을 위해 유리로트만의 공간적 모델링 개념을 원용하였다. 신화텍스트는 내부 영역, 외부 영역, 사이공간으로 구성된다. 텍스트의 공간적 분할을 위해 우선 신화 속 주체들에 발화·행위·장소·이동 양상을 결합하여 공간성을 부여하였다. <삼공본풀이>의 가믄장 아기는 내부 영역과 외부 영역을 엄격히 분리하는 경계로서 기능하며, 외부 영역과 결합된 존재로서 외부 영역의 가치로 내부 영역을 포섭한다. <세경본풀이>의 자청비는 내부 영역과 외부 영역 사이에서 이동을 반복하며 사이공간을 만드는 데, `반복`은 곧 내부 영역의 질서에 의한 주변화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변화의 거듭을 통해 결국 외부 영역으로 도달하며 외부 영역과 결합된 존재로서 외부 영역의 가치로 내부 영역을 포섭한다. <삼승할망본풀이>의 두 주체인 동해용왕 할머님과 멩진국 따님아기는 원래 외부영역에 속한 자 이지만, 내부영역과 결합하여 내부영역의 가치체계로 외부영역을 포섭한다. <삼공본풀이>와 세경본풀이는 평범한 인물이 자신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신으로 좌정되는 과정을 통해 인간 문화의 기원과 원리를 풀어내며 초월적 신의 가치체계와 자연의 섭리를 드러냈다. 반면, <삼승할망본풀이>의 두 주체는 모두 `불완전한 신`의 모습으로 등장, `꽃 피우기`를 하며 싸우고 타협하는 모습을 통해 인간 문화의 기원과 원리를 풀어낸다는 점에서 인간 세계의 질서와 가치체계 안에서 신의 모습을 구성해 냈다는 차이가 있다. 무속신화텍스트를 구성하는 내부 영역과 외부 영역의 관계는 `문화와 반문화` 관계에 놓이는 경우도 있고, `문화와 비문화`관계에 놓이는 경우도 있다. 신화는 하나의 기원으로서가 아니라 변이형들과의 관계망에서 의미를 갖게 되는 것이므로 신에 대한 인간적 상상력은 이렇게 서로 다른 텍스트를 만들어낼 수 있다. In this paper, I attempt to read myths with a spatial modeling theory and to offer a mythological world view. There are spatial models which are composed of interior area, external area, in-between area in myths. This study regards a main figure as an area by adding a figures` discourse, her action, her place which had stayed, while moving direction. Samgong-bonpuri`s heroin, Gamunjang is decided to an in-between area where cut two areas and finally she wins human`s world(interior area) over to god`s world(external area) by combining external area. Segeong-bonpuri`s heroin, Jacheongbi is decided to an in-between area. This character makes several trips between an interior area and an in-between area. As the coming and going action makes an in-between area for an external area, she also wins human`s world(interior area) over to god`s world(external area) by combining an external area. Samsunghalmang-bonpuri`s two main characters, Donghaehalmuni and Mengjnguk, are beings under an external area. They extend an interior`s view to external world by combining an interior area. Both interior area and external area are under different level in Samgong-bonpuri, Segeong-bonpuri and same level each other in Samsunghalmang-bonpuri. It means that the fomer two myths are textured by mythological world view of great respect about god`s power. The latter is textured by mythological world view of feeling affinity. The contrast is drawn in two types of thinking about god`s world and both types of texts are able to make Myth. Myth is not an origin but lots of text themselves.

      • KCI등재

        Strategies for Self-initiated Draft Revision in Writing Class

        김신정(Kim, Sinjeong)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0 인문사회과학연구 Vol.63 No.1

        이 글에서는 글쓰기에 대한 단계적인 접근이 학생의 주체적인 수정을 유도하여 글의 완성에 기여하고 있음을 밝히고자 했다. 주체적인 수정은 글쓴이가 ‘자신의 글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능력’과 ‘독자에 대한 인식 능력’을 기반으로 외부의 피드백을 반영하여 스스로 수정계획을 세우고 글을 완성하는 활동이다. 수업시간에 학생들은 초고를 작성한 후 <자기첨삭>을 하기 전 <동료첨삭>을 하고 <교수자첨삭>을 받았다. 이를 통해 <자기첨삭>의 단점인 객관적 평가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독자의 존재를 인식하는 경험을 하였다. 이어지는 <자기첨삭>단계에서는 <문제해결보고서>작성을 병행하였다. 보고서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초고 작성 과정을 돌아보며 수정계획을 세우고, 완성된 글에 대한 재고(再考)를 통해 글쓰기 경험에서 얻은 바를 다음 글쓰기를 위한 지식으로 확립하였다.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학생 글의 ‘수정 전’과 ‘수정 후’ 및 문제해결보고서 내용을 살폈는데, 글의 주제가 명확히 드러나고 단락 간의 내용이 긴밀하게 연결되는 변화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This research explores three types of feedback for a large writing course. Draft revision is an essential step for students who need inspiring experiences to overcome the intimidation of writing. Through an ongoing process of revision, students realize that “seeing again” does improve their essays. In the writing class, I organized three steps for active revision: peer-review, instructor’s review, and self-revision. All three steps were conducted in sequence: students wrote the first draft and had a peer-review session. Through the peer-review process, students gained a critical viewpoint and better evaluated their own essays. The peer-review activity reminded students of the reader’s presence in writing. Students revised their essays based on the comments from the peers and the instructor. Finally, they were asked to revise their first draft and wrote a Writing Process Report at the same time. As meta-writing, the Writing Process Report sets for a plan and a goal of a final draft. Such revision processes promote students’ involvement-active and interactive self-revision. That is, well-designed peer review and self-revision activities ensure students’ self-initiated and spontaneous engagement in writing.

      • KCI등재

        On the meaning of the slaves’ shapes in Yadam of the Joseon Dynasty

        김신정(Sinjeong Kim)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3 인문사회과학연구 Vol.66 No.1

        이 글에서는 조선시대 문헌설화에 나타난 노비의 형상들을 살펴보는 가운데 시간의 흐름 속에 노비의 형상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고 노비의 문학적 형상화와 변이양상의 의미에 대해 고찰하였다. 야담에서 노비는 주인과의 관계에서 충성스러운 존재로 그려지거나 주인에게서 도망쳤어도 끝내 옛 주인에 대한 은혜를 잊지않고 인간의 본분을 다하려는 모습으로 그려진다. 조선시대 야담을 시기적으로 보면 이야기의 유형에 차이가 있다. 조선 전기 잡록류에서는 노비가 양반을 대리하는 화자로 등장하는데, 이는 개별화된 존재라기보다는 수사적 장치로 판단된다. 이후 등장하는 초기 야담집인 <어우야담>에서는 양반과 노비의 불가분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고, 후기 야담집인 <계서야담>과 <청구야담>에 등장하는 노비는 양반과 분리된 개인으로 묘사된다. 이밖에 야담 속 여성노비와 남성노비의 이미지에도 차이가 나타나는데, 이는 여성 노비의 재산적 가치가 더 높았던 현실을 반영한 것으로 해석된다. This paper examined the shapes of slaves in Yadam of the Joseon Dynasty, confirms the differences in the shapes of slaves in the flow of time, and considers the meaning of the literary imagery dealing with slaves and its variation. The slaves in Yadam are portrayed as beings who have internalized the value of the ideology of ‘loyalty’, a neo-Confucian ideology, in their relationship with their master. Also In Yadam of the Joseon Dynasty, stories about runaway slaves are also handed down. The slaves found in the Yadam collection of the Joseon Dynasty are depicted as human types deeply internalized in their loyalty to their master, and even if they were runaway slaves, they appear as trying to fulfill their human duty without forgetting the grace they had for their master in the past. At the same time, they make the choice to cheat on their master and leave for a new life. Looking at Yadam of the Joseon Dynasty in consideration of the period,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type of story found in each Yadam collection. Slaves, who appear very briefly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leave a deep impression of their presence through a word of speech, can be said to be talkers in place of noblemen, and speech as ‘slaves’ seems to be a rhetorical device. In ‘Eou Yadam’, an early Yadam collection, we can see the inseparable relationship between noblemen and slaves, who depended on slaves for everything in their daily lives, through loyal slaves who risked or threw their lives only for the master without a single glance and in the later Yadam collections ‘Gyeseo Yadam’ and ‘Cheonggu Yadam’, slaves are portrayed as individuals separated from the yangban through their pursuit of individual freedom and rebellion against their social status. In addition, There are also differences in the imagery of male and female slaves in Yadam, and the method of portraying each individual’s extraordinaryness is different. This seems to reflect the real situation where the value of female slaves as property is higher.

      • KCI등재

        우리나라 가계의 주택자산 보유와 위험자산의 선택

        김신정(Sinjeong Kim),송헌재(Heonjae Song),형남원(Namwon Hyung) 한국경제통상학회 2015 경제연구 Vol.33 No.2

        본 논문은 우리나라 가계의 자산배분 과정에서 주택의 보유가 금융자산 중 위험자산 투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Flavin and Yamashita(2002)와 Yamashita(2003)에 따르면 주택 보유는 투자목적과 거주목적의 이중적 동기에 의해 결정되므로, 전자만을 고려하는 포트 폴리오의 관점에서 주택자산에 과잉 투자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가계의 레버 리지가 상승하면, 가계는 자산 포트폴리오를 재조정하기 위해 금융자산 중 위험자산을 줄이는 방식으로 대응한다고 주장하였다. 우리나라의 “2011년 가계금융조사”를 이용한 실증분석의 결과, 순자산 대비 주택자산의 비율과 금융자산 대비 위험자산 보유비중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 한 (-)음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위의 주장이 지지되는 결과를 얻었다. 우리나라 가계에서 위험자산의 보유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은 주요한 원인이 주택자산의 보유로부터 기인하는데, 주택제약이 클수록 위험자산의 보유비중을 줄이는 방식으로 금융자산의 배분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s of housing investment to the household risky asset holdings, following the empirical study of Yamashita(2003). In 2011, Korean households possessed, on average, 23% in financial assets and 77% in real assets among total assets, but the proportion of risky assets among financial assets is very low and most of the real assets consist of housing assets. We conjecture that the main reasons for low risky asset ownership is due to the particular aspect of housing assets. Since the decision regarding housing ownership is largely determined by consumption demand for housing rather than pure investment demand, the household sometimes overinvests to housing asset holdings from the viewpoint of portfolio investments. The high-leveraged characteristic of housing investment affects risky financial asset holding, for example stock. Our estimation results using Korean data show that there is a strong relationship between housing investment and stock holding. Moreover, households with a high house-to-net-worth ratio hold a lower stock-to-financial-assets ratio. These results support the implication of the model of Flavin and Yamashita(2002). That is, Korean households behave rationally and the households which have ex-ante identical preference toward risk might nevertheless hold quite different portfolios of financial assets according to the level of housing constraint.

      • KCI등재

        영화 ≪신과 함께-죄와 벌≫속 공간의 구현양상과 그 의미

        이향애 ( Yi Hyang-ae ),김신정 ( Kim Sinjeong ) 한국기호학회 2018 기호학연구 Vol.54 No.-

        영화 ≪신과 함께-죄와 벌≫을 대상으로 관객이 영화의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 받을 수 있는 일종의 구성 원리가 있음을 밝히고자 했다. 논의를 위해 ‘공간’을 메타언어로 하여 서사구조를 분석했다. 구체적으로, 시간을 중심으로 구성되는 서사를 해체하여 공간의 구성으로 전환해 살폈고, 공간에서 벌어지는 사건 양상과 인물의 공간 이동 양상에 주목했다. 사건들은 등장인물들이 일곱 개의 지옥을 이동하는 가운데 벌어지며, 이 일곱 개의 지옥은 서로 연속되기보다는 독립적으로 존재하고 있다. 개별적인 지옥에서 벌어지는 개별적인 사건들은 반복되는 양상을 드러냈다. 이러한 반복적인 형식과 반복적인 내용은 하나의 패턴이 되어 수용자에게 ‘외부 자극’으로 작용하고 수용자 내부에서 ‘자기커뮤니케이션’을 발생시키게 된다. 예술텍스트로 인한 감동은 텍스트가 전달하는 맥락과 메시지를 수용자가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는 상황에서 발생한다. 즉, 감동의 원리는 수용자가 적극적으로 메시지를 받아들이게 하는 ‘설득’을 기반으로 한다. 반복되는 정보는 수용자의 심상에서 자기커뮤니케이션을 일으켜 ‘또 다른 정보’가 된다. 달리 말해, 영화가 직접적으로 전달하는 메시지뿐 아니라 ‘반복성’ 그 자체도 수용자에게 자극이 되어 영화 속 장면을 통해 스스로의 삶을 성찰하게 만든다. 요컨대, 텍스트적 세계가 구현해내는 공간의 분할과 인물의 이동, 이로 인한 반복성은 반복적인 자극이 되어 관객에게 개인적 성찰의 시간을 만들어내고, 바로 이것이 이 영화로부터 메시지가 전달되는 원리라고 할 수 있다. On this study, we analyzed the movie With gods’s narrative structure. This movie makes most people who has seen it feel deeply moved. We think that people can get deep feeling from a film at last after people who has seen the movie accept a context, story, and a message of the movie gladly. We focused on a special system in this movie With gods that can make give an ordinary message and big touch to people. Also we focused on every episodes of every space in a movie, and someone who moved freely between the spaces. A repetitive form and repetitive contents in a narrative become a special code itself -repetitiveness- for people and make them do auto-communication. Specifically, an information, the movie’s repetitiveness, out of people become a special code for them, and then that make people bring memory and new information by themselves. Watching movie, people can look back up on life with every trial in the movie. In short, a repetitiveness and an auto-communication are a special system in the movie, that can make deeply touched.

      • 새로운 naphthoquinone 유도체 연구

        이기선,손현주,이혜규,김신정,민미홍 梨花女子大學校 藥學硏究所 1988 梨花藥學硏究 Vol.- No.27

        2,3-Dichloronaphthoquinone reacts with toluidine, p-aminobenzoic acid, m-nitroaniline, 3-amino-5-methylisoxazole, sulfanilamide and sulfathiazole to afford 2-chloro-3-(toluidino)naphthoquinone (Ⅰ), 2-chloro-3-(p-carboxy anilino)naphthoquinone (Ⅱ), 2-chloro-3-(m-nitroanilino)naphthoquinone (Ⅲ), 2-chloro-3-(5-methylisoxazole-3-amino)naphthoquinone (Ⅳ), 2-chloro-3-(4-aminosulfonylanilino)naphthoquinone (Ⅴ) and 2-chloro-3-(sulfathiazolino)naphthoquinone (Ⅵ) in high yield. The new compounds(Ⅰ∼Ⅵ) have been synthesized and characterized by I.R and H-NMR. The probable mechanism for the formation of the derivatives is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