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사용자 편의를 위한 북 마크 에이전트

        강상구(Sanggu Kang),정현섭(Hyunsup Jung),최중민(Joongmin Choi) 한국정보과학회 2001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Ⅱ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가 관심 있는 문서를 카테고리별로 직접 분류해서 추가하던 작업을 자동으로 분류하고 추가 할 수 있는 북 마크 에이전트를 제안한다. 북 마크 에이전트는 사용자가 브라우징 시 사용자 성향을 분석하여 관심 있는 문서를 얻을 수 있다. 문서 내에서 특징을 찾기 위해 TF-IDF를 사용하였으며 또한 단어의 가중치 부여와 유사도를 계산하기 위해 벡터 공간 모델을 사용 하였다. 이 작업을 통해 부정적인 문서의 URL이 추가될 수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피드백을 이용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하였다.

      • KCI등재

        An Argumentative Approach to Too in English

        강상구(Sanggu Kang) 한국영어학학회 2016 영어학연구 Vol.22 No.1

        Traditionally, too has been treated as a trigger of an existential presupposition. Hence, the particle in the sentence Jeff joined the race, too is responsible for the presupposition ‘There is a person other than Jeff who joined the race.’ This analysis, however, is inadequate for handling a wide variety of cases involving diverse types of focus the particle can be associated with. It is necessary for the lexicon of too to specify how the focus particle constrains the immediate context. Adopting the theory of argumentation, the present study proposes two conditions as part of the semantic contents of too: the Co-Support Condition and the Parity Condition. The former constrains the context by having the proposition expressed by the sentence or clause containing too and the proposition expressed by the preceding sentence or clause to support a contextually relevant conclusion in unison. The latter makes sure that the two propositions are on a par with each other. Enriching the lexical contents of too in this way helps capture the semantic contribution of the focus particle as a relational operator.

      • 시맨틱 웹에서 온토로지를 기반한 Annotation 시스템

        강상구(Sanggu Kang),양재영(Jaeyoung Yang),최중민(Joongmin Choi) 한국정보과학회 2002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2Ⅱ

        시맨틱 웹은 인간이 이해하는 것처럼 웹 문서의 의미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Annotation Editor를 사용하여 논문에 대한 RDF 메타데이타의 자동 생성 방법을 제안한다. 사용자가 논문을 주석 처리할 때, 문서에 대한 특징을 추출하고 온토로지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문서를 분류한다. 구현된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는 추출된 메타데이타를 메타데이타 뷰를 통해 수정하고 RDF Store로 저장할 수 있으며, 주석 뷰를 통하여 수동으로 RDF 메타데이타를 입력할 수 있다. 본 논문은 검색 엔진을 통하여 검색 시 전체 내용보다 RDF 메타데이타 정보만으로 효율적인 검색을 할 수 있는 방법에 초점을 둔다.

      • KCI등재

        The Impact of Public Transfer Income on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s for Households With Disabilities in Korea

        Eun Jee Chang,Sanggu Kang,Sungchan Kang,Su Jin Kang 대한예방의학회 2023 예방의학회지 Vol.56 No.1

        Objectives: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that people with disabilities are more likely to be impoverished and affected by excessive medical costs than people without disabilities. Public transfer income (PTI) reduces financial strain in low-income households.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PTI on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s (CHE), focusing on low-income households and households with Medical Aid beneficiaries that contained people with disabilities. Methods: We constructed a panel dataset by extracting data on registered households with disabilities from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2012-2019. We then used a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 model to estimate the impacts of PTI on CHE. A subgroup analysis was carried out to assess the moderating effects of family income levels and health insurance types. Results: As PTI increased, the odds ratio (OR) of CHE in households that contained people with disabilities decreased significantly (OR, 0.92; 95% confidence interval [CI], 0.89 to 0.94; p<0.001). In particular, PTI effectively reduced the likelihood of CHE for low-income households (OR, 0.85; 95% CI, 0.81 to 0.89; p<0.001) and those who received medical benefits (OR, 0.78; 95% CI, 0.68 to 0.89; p<0.001). Conclusions: This study highlights the positive effect of PTI on decreasing CHE. Household income and the health insurance type were significant effect modifiers, but economic barriers seemed to persist among low-income households with non-Medical Aid beneficiaries. Federal policies or programs should consider increasing the total amount of PTI targeting low-income households with disabilities that are not covered by the Medical Aid program.

      • SCOPUSKCI등재

        Utilization of the Unlinked Case Proportion to Control COVID-19: A Focus on the Non-pharmaceutical Interventional Policies of the Korea and Japan

        Yeri Jeong,Sanggu Kang,Boeun Kim,Yong Jin Gil,Seung-sik Hwang,Sung-il Cho The Korean Society for Preventive Medicine 2023 예방의학회지 Vol.56 No.4

        Objectives: Korea and Japan have managed the spread of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using markedly different policies, referred to as the "3T" and "3C" strategies, respectively. This study examined these differences to assess the roles of active testing and contact tracing as non-pharmaceutical interventions (NPIs). We compared the proportion of unlinked cases (UCs) and test positivity rate (TPR) as indicators of tracing and testing capacities. Methods: We outlined the evolution of NPI policies and investigated temporal trends in their correlations with UCs, confirmed cases, and TPR prior to the Omicron peak.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reported between the proportion of UCs, confirmed cases, and TPR. The Fisher r-to-z transformation was employed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differences between correlation coefficients. Results: The proportion of UC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onfirmed cases (r=0.995, p<0.001) and TPR (r=0.659, p<0.001) in Korea and with confirmed cases (r=0.437, p<0.001) and TPR (r=0.429, p<0.001) in Japan. The Fisher r-to-z test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proportion of UCs and confirmed cases (z=16.07, p<0.001) and between the proportion of UCs and TPR (z=2.12, p=0.034) in Korea and Japan. Conclusions: Higher UCs were associated with increases in confirmed cases and TPR, indicating the importance of combining testing and contact tracing in controlling COVID-19. The implementation of stricter policies led to stronger correlations between these indicators. The proportion of UCs and TPR effectively indicated the effectiveness of NPIs. If the proportion of UCs shows an upward trend, more testing and contact tracing may be required.

      • 대청호 상류유역의 데이터 분석(QUAL-MEV)을 활용한 수질개선방안 연구

        안태웅 ( Ahn Taeung ),강성주 ( Kang Seongju ),김동민 ( Kim Dongmin ),김병수 ( Kim Byeongsoo ),강지현 ( Kang Jihyeon ),장민식 ( Jang Minsik ),이흥수 ( Lee Heungsoo ),오정국 ( Oh Jungkuk ),조인호 ( Jo Inho ),정상구 ( Jeong Sanggue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하천의 수질 모델링은 해당 수계의 오염부하량, 유출량 등 환경요인의 변화에 따른 하천수질 목표지점의 수질변화를 모의함으로써 효과적인 수질관리가 가능하도록 만들어준다. QUAL계열 모델은 수질항목, 수역 특성, 기타 기초 자료의 제공여건 등을 고려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청호 상류유역의 지류지천 중에서 안남천과 안내천을 대상으로 수질 변화 요소와 기여 특성을 반영한 모의와 해석이 최적화된 QUAL-MEV 모델을 이용하여 대청호 상류유역의 오염원 그룹별로 수질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QUAL-MEV는 QUAL2E를 기반으로 수질오염총량제에 최적화하여 개발한 하천 수질모델이다. QUAL-MEV는 하천의 흐름선을 축으로 수심과 수평 방향으로 완전혼합을 가정하고 있으며, 수지형 하천의 수질변화 모의에 적합하게 개발되었다. 수리학적으로 QUAL-MEV는 하천 유역의 유량과 유입되는 오염 부하량 등에 대하여 정상상태 조건의 모의만 가능한 프로그램이고 용존산소에 대하여는 일주변화의 동적 모의에 활용이 가능하다. 모형은 정상상태(Steady State)에서 하천 수질을 결정하는 오염부하의 영향을 알아보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청호 상류유역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대청호의 수질개선방안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수질오염물질 및 오염원 등 각 인자간의 연관성 및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수질개선방안에 제시하고자 하였다. 유량 및 수질모니터링 지점별로 유역을 구분하여 모식도를 작성하기 위하여 대청호 상류유역의 지류지천 중에서 안남천과 안내천 유역의 지형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지형분석은 리치별 소유역을 구분하기 위하여 위성사진과 수치지도(DEM)자료를 바탕으로 QGIS의 지형분석 기능을 활용하였다. 모델의 보정·검증은 실측수질의 ±20%이내에 모의되도록 보정과 검증을 수행하였고 모델의 성능을 통계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안남천의 수질모델링(QUAL-MEV) 결과, 축산계와 토지계의 총인(T-P) 부하량 저감을 주요 대책으로 구성한 시나리오에서는 축사시설 개선지원(21.1%), 가축분뇨 수거 및 자원화 처리(20.0%), 홍수조절지 경작관리(11.8%) 순으로 저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안내천의 수질모델링(QUAL-MEV) 결과, 축산계와 토지계 총인(T-P) 부하량 저감을 주요 대책으로 한 시나리오에서는 가축분뇨 수거 및 자원화 처리(41.2%), 축사시설 개선지원(15.0%), 홍수조절지 경작관리(10.5%) 순으로 저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 KCI등재

        델파이기법을 활용한 국가 공공(公共)백신 연구개발 정책수립 기초조사

        이소민 ( Somin Lee1 ),여상구 ( Sanggu Yeo ),강신정 ( Shinjung Kang ),한순영 ( Soonyoung Han ),이상원 ( Sangwon Lee ) 한국보건행정학회 2015 보건행정학회지 Vol.25 No.2

        Background: Vaccination is the most powerful and useful preparation against infectious diseases. However, developing vaccines costs a lot and requires extensive long-term efforts. Therefore, the government should research and develop vaccines with a national-level policy. To greatly enhance the success rate of vaccine development, the policy should be set up considering priorities such as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research, the importance for public health, the urgency of research. Methods: The Delphi technique was utilized to draft this survey, through a brainstorming stage, then two inquiries, and finally the final panel meeting where unresolved items were discussed, to draw the conclusion. Results: Among the results, firstly, the highest ranked item on centralized fields for vaccine development by the Ministry of Health was ‘self-sufficiency of vaccines.’ Secondly, ‘emerging infectious disease’ was most highly ranked in prioritized fields of vaccine development and research. Thirdly, for the vaccine that needs to be improved and developed further by the government to improve its efficacy and safety, BCG (Bacille de Calmette) for tuberculosis was ranked the highest on both types (intradermal and subcutaneous injection) from National Immunization Programme (NIP) and non-NIP. As for the high risk pathogens, ‘anthrax’ and ‘smallpox’ were first and second, consecutively. Lastly, ‘development and control of vaccine candidates’ was ranked the highest for the area in need for technique development in order to improve domestic vaccine’s research level.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put to good use as basic data for the national vaccine research and development (R&D) policy of the country. This study was first step and more studies should be carried out for the final decision of the national vaccine R&D priority.

      • 대청호 상류유역의 오염원 현황과 수질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 안남천과 안내천을 중심으로

        안태웅 ( Ahn Taeung ),강성주 ( Kang Seongju ),김동민 ( Kim Dongmin ),김병수 ( Kim Byeongsoo ),강지현 ( Kang Jihyeon ),이흥수 ( Lee Heungsoo ),오정국 ( Oh Jungkuk ),조인호 ( Jo Inho ),정상구 ( Jeong Sanggue ),손대희 ( Son Daehee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대청호는 금강 중·상류에 건설된 다목적 인공호수로서 대청호 상류유역 연평균 총강수량의 인 약 28억 ㎥(68%)이 유입되고 있고 중부권의 주요 용수원으로 연간 약 16억 ㎥의 생활용수, 공업용수, 관계용수를 공급하고 있다. 이러한 수자원을 보호하기 위하여 대청호 주변에 오염물질 배출로 인한 환경오염을 예방하고 자연환경 및 생활환경을 적정하게 관리·보전하기 위하여 기존의 상수원보호구역 외에 상수원 수질보전 특별대책지역을 지정·고시가 되어 수질보전을 위한 노력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대청호 수질개선 및 녹조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청호로 직접 유입 하천에 대한 중장기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으며, 지류하천별 물환경 기초자료를 확보하고 오염원 정밀조사를 통한 지류별 오염발생 특성을 파악하여 수질개선 및 녹조저감을 위한 수질관리를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청호 상류유역의 지류지천 중에서 안남천과 안내천을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통해 오염원 그룹별로 오염원을 분석하고 하천유량 및 수질 모니터링을 수행한 결과를 종합하여 대청호의 안남천과 안내천의 수질관리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오염원 그룹별로 현장을 조사한 결과, 안남천 유역에는 축사 43개소(소 570두, 가금 13,000두), 방치축분 12개 지점 등 축산계 오염원과 인삼재배지 21개소(면적 29,026 ㎡), 비닐하우스 9개소(면적 24,747 ㎡), 홍수조절지 56개소(면적 62,226 ㎡) 등 토지계 오염원으로 확인되었다. 안남천 유역 전체 T-P 배출부하량 중 축산계가 93.8%, 생활계는 5.7%, 토지계가 0.5%의 비율로 확인되어 축산계에 대한 수질관리방안의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안남천과 안내천의 현장조사를 통한 오염원 분석 및 하천 모니터링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안남천·안내천 유역의 수질개선을 위한 축산계 구조적 및 비구조적인 관리방안을 마련하였다. 수계의 저영향 축산활동을 위해서는 구조적인 관리방안인 노후화된 시설지원, 축분 수거를 통한 자원화처리와 비구조적인 관리방안인 비가림막 도우미 제공, 주민들에 대한 환경교육이 활성화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토지계 관리 방안으로는 안남천·안내천 유역의 홍수조절지의 불법 경작에 대한 해결 및 경작지의 축소와 농업 비점오염원의 유출방지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대청호 상류유역의 데이터 분석(QUAL-MEV)을 활용한 수질개선방안 연구

        안태웅 ( Ahn Taeung ),강성주 ( Kang Seongju ),김동민 ( Kim Dongmin ),김병수 ( Kim Byeongsoo ),강지현 ( Kang Jihyeon ),장민식 ( Jang Minsik ),이흥수 ( Lee Heungsoo ),오정국 ( Oh Jungkuk ),조인호 ( Jo Inho ),정상구 ( Jeong Sanggue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하천의 수질 모델링은 해당 수계의 오염부하량, 유출량 등 환경요인의 변화에 따른 하천수질 목표지점의 수질변화를 모의함으로써 효과적인 수질관리가 가능하도록 만들어준다. QUAL계열 모델은 수질항목, 수역 특성, 기타 기초 자료의 제공여건 등을 고려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청호 상류유역의 지류지천 중에서 안남천과 안내천을 대상으로 수질 변화 요소와 기여 특성을 반영한 모의와 해석이 최적화된 QUAL-MEV 모델을 이용하여 대청호 상류유역의 오염원 그룹별로 수질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QUAL-MEV는 QUAL2E를 기반으로 수질오염총량제에 최적화하여 개발한 하천 수질모델이다. QUAL-MEV는 하천의 흐름선을 축으로 수심과 수평 방향으로 완전혼합을 가정하고 있으며, 수지형 하천의 수질변화 모의에 적합하게 개발되었다. 수리학적으로 QUAL-MEV는 하천 유역의 유량과 유입되는 오염 부하량 등에 대하여 정상상태 조건의 모의만 가능한 프로그램이고 용존산소에 대하여는 일주변화의 동적 모의에 활용이 가능하다. 모형은 정상상태(Steady State)에서 하천 수질을 결정하는 오염부하의 영향을 알아보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청호 상류유역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대청호의 수질개선방안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수질오염물질 및 오염원 등 각 인자간의 연관성 및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수질개선방안에 제시하고자 하였다. 유량 및 수질모니터링 지점별로 유역을 구분하여 모식도를 작성하기 위하여 대청호 상류유역의 지류지천 중에서 안남천과 안내천 유역의 지형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지형분석은 리치별 소유역을 구분하기 위하여 위성사진과 수치지도(DEM)자료를 바탕으로 QGIS의 지형분석 기능을 활용하였다. 모델의 보정·검증은 실측수질의 ±20%이내에 모의되도록 보정과 검증을 수행하였고 모델의 성능을 통계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안남천의 수질모델링(QUAL-MEV) 결과, 축산계와 토지계의 총인(T-P) 부하량 저감을 주요 대책으로 구성한 시나리오에서는 축사시설 개선지원(21.1%), 가축분뇨 수거 및 자원화 처리(20.0%), 홍수조절지 경작관리(11.8%) 순으로 저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안내천의 수질모델링(QUAL-MEV) 결과, 축산계와 토지계 총인(T-P) 부하량 저감을 주요 대책으로 한 시나리오에서는 가축분뇨 수거 및 자원화 처리(41.2%), 축사시설 개선지원(15.0%), 홍수조절지 경작관리(10.5%) 순으로 저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 대청호 상류유역의 비점오염물질 유출특성 및 부하량 산정

        안태웅 ( Ahn Taeung ),강성주 ( Kang Seongju ),김동민 ( Kim Dongmin ),김병수 ( Kim Byeongsoo ),강지현 ( Kang Jihyeon ),이흥수 ( Lee Heungsoo ),오정국 ( Oh Jungkuk ),조인호 ( Jo Inho ),정상구 ( Jeong Sanggue ),손대희 ( Son Daehee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하천의 수질관리를 위한 정책수립 시 생활하수 및 공장폐수 등 일정한 배출경로를 가지고 발생량이 예측가능한 점오염원 처리에 중점을 두고 왔기 때문에 산업도시 및 대도시를 중심으로 점오염원처리에 대한 기술수준이 향상되고 점오염원 처리도 효과적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하천 및 호소의 수질은 지속적으로 악화되고 있는 경향을 나타나는데, 이러한 이유는 비점오염원에 대한 정책수립 및 관리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비점오염원은 점오염원과 달리 발생량, 배출경로 및 발생원인에 대한 규명이 어려운 것으로 강우 시 토양, 도로 등 불투수층의 표면에 집적되어 있는 수질오염물질들이 강우유출수와 함께 하천 및 호소로 유입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청호 상류유역의 지류지천 중에서 안남천과 안내천을 대상으로 비점오염물질의 유출특성 및 부하량을 산정하여 비점오염원에 대한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안남천 6지점과 안내천 6지점을 대상으로 건기시 및 강우시 모니터링을 수행하였다. 조사대상지점별로 유량을 측정하였고 BOD, COD, TOC, SS, T-N, NH<sub>3</sub>-N, NO<sub>3</sub>-N, NO<sub>2</sub>-N, T-P, PO<sub>4</sub>-P, Chl.a를 분석하였다. 안남천 유역의 건기시 모니터링 결과를 토대로 수질항목간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유기물 지표인 TOC-COD의 상관계수가 각각 0.88로 나타났고 TOC-TP의 상관계수가 0.59로 조사되었다 안남천의 강우시 수질오염물질의 부하량경향을 분석한 결과, 건기시보다 강우시에 유량이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SS, T-N 및 T-P의 부하량이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는 조사대상지점 상류부근에 직접 하천으로 유입하는 농수로 및 인삼 재배지의 비점오염물질이 하천으로 유입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중류 및 하류 지점에서는 하천에 직유입하는 농업 비점오염원과 분류식관에서 유출되는 강우유출수 등의 비점오염물질이 하천으로 직접 유입되어 오염물질의 부하량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안내천은 안내하수처리시설의 방류수가 합류된 이후 중하류에서 유량이 0.08 m<sup>3</sup>/sec에서 0.015 m<sup>3</sup>/sec로 증가하였고 BOD는 1.1 mg/L에서 2.4 mg/L로 증가하였다. 강우시 조사 결과, 1차 조사보다 2차조사에서 강수량의 증가로 인해 유량이 3배 이상 증가하였고 COD, T-P 부하량이 증가하였는데 이는 강우로 인해 상류지역의 농업 비점오염물질의 유입으로 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