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어유의 효소적 에탄올화 반응 특성

        신상규,류홍석,박현덕,전병수,Shin, Sang-Kyu,Yoo, Hong-Suk,Pack, Hyun-Duk,Chun, Byung-Soo 한국해양바이오학회 2006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Vol.1 No.4

        Enzymatic ethanolysis of fish oil with immobilized lipase was investigated for reducing the free fatty acid contents and enhancing the function of fish oil. Ethanolysis reactions were carried out in erlenmeyer flask (25ml) containing a mixture of squid viscera oil and 99.9% ethanol using 1% (based on w/w squid viscera oil) immobilized lipase. The reaction mixtures were incubated at $50^{\circ}C$ and shaken at 100rpm. Ethanol was added into the mixture by stepwise addition method of Shinmada[9]. Measurement of free fatty acid molar amounts was studied by Acid Value. Tendency of oil variation during transesterification was studied by TLC method. Enzymatic ethanolysis composed diglyceride, monoglyceride and fatty acid ethyl ester with reducing free fatty acid contents. Also, selective ethanolysis by Lipozyme TL-IM and Lipozyme RM-IM mostly did not react at the sn-2 position of squid viscera oil. Lipozyme RM-IM was more suitable enzyme to reduce the free fatty acid contents by ethanolysis than Lipozyme TL-IM. Squid viscera oil was transformed into suitable properties (5 in Acid Value) for functional fish oil production.

      • KCI등재

        북심포지엄 : 인간 향상과 하버마스의 자율성 논증

        신상규 ( Sang Kyu Shin ) 한국과학철학회 2015 과학철학 Vol.18 No.3

        이 논문은 인간 향상의 문제와 관련하여 『인간이라는 자연의 미래』에서 하버마스가 제기한 자율성에 입각한 비판 논증을 검토한다. 하버마스는 아이를 선별하거나 개선시키려는 유전적 개입은 자율성과 평등이라는 자유주의의 원칙을 침해하게 되므로 금지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논문은 아이의 자율성을 침해하지 않는 향상적 개입이 있을 수 있다고 논증한다. 향상적 개입의 실시 여부에 대하여 아이가 2인칭 인격체의 자격으로 올바른 정보에 입각하여 충분히 동의할 것이라고 추정 가능한 일반 목적의 향상을 생각할 수 있기 때문이다. In this paper, I examine the argument from autonomy against human enhancement by Habermas in his book, The Future of Human Nature. He argues that genetic intervention to select or improve children would violate the liberal principles of autonomy and equality, hence it should be prohibited. I argue that there may be interventions such as general-purpose enhancements which would not violate the autonomy of the children concerned, where we may presume the informed consent of the children for the interventions as the second persons they will one day be.

      • KCI우수등재

        믿음 내용의 고정에 대한 진화론적 접근

        신상규(Sang Kyu Shin) 한국철학회 2004 철학 Vol.79 No.-

        크립키는 Wittgenstein on Rules and Private Language에서, 의미의 규범성에 주목하면서, 의미에 대한 일종의 회의론적 논변을 전개한다. 이 논문의 목적은, 크립키의 회의론적 논변에 답하기 위한 여러 자연주의적 시도 중에서 밀리칸의 목적론적 표상이론(teleological theory of representation)에 입각한 답변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일이다. 크립키의 요구는 의미의 기술적(descriptive) 문제와 규범적(normative problem) 문제 두 가지로 정리될 수 있다. 밀리칸의 이론이 강점을 보이는 것은 특히 의미가 가지고 있는 규범성을 자연화하는 규범적 측면에 관한 것이다. 본 논문의 기본 주장은, 규범적 문제에 대해 가지는 이러한 강점이 역으로 기술적 문제의 해결에 발목을 잡는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진화적 역사에 의해 결정되는 의미의 사실이 밀리칸이 주장하는 것처럼 규범적 성격을 지니는 한에 있어서, 바로 그 점 때문에 기술적 문제의 해결에 대한 효과적인 해결책을 제시하는 데 실패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밀리칸의 이론에 대한 포더의 비판을 주 발판으로 이용하고 있다.

      • KCI우수등재

        상상가능성, 우연성 그리고 동일성

        신상규(Sang-Kyu Shin) 한국철학회 2007 철학 Vol.93 No.-

        크립키는 고정지시어와 동일성 문장이 갖는 독특한 의미론적, 양상적 성격에 착안하여 동일성이론에 대한 흥미로운 반론을 제기한다. 양항이 고정지시어로 이루어진 “통증=C-섬유의 발화”와 같은 동일성 문장은 그것이 참일 경우, 필연적 참이어야 한다. 그런데, 우리는 통증이 동반하지 않는 C-섬유의 발화를 상상할 수 있다. 이러한 상상가능성이 형이상학적 기능성을 함축한다면, “통증=C-섬유의 발화”는 우연적 문장이어야 하고 따라서 심신동일론은 참일 수 없다는 것이 크립키의 주장이다. 이 논문은 이러한 크립키의 양상논변을 무력화시키는 한 가지 방안을 제안한다. 크리키의 논변에서 문제가 되는 부분은 두 지점이다. “통증=C-섬유의 발화”를 과연 정합적으로 상상할 수 있는지와, 어떤 것에 대한 상상가능성은 그것의 형이상학적 가능성을 함축하는가의 문제가 그것이다. 본 논문의 전략은 이들을 단 적으로 문제 삼기보다 “통증=C-섬유의 발화”와 “물=H₂O”가 갖는 구조적 대칭성에 주목하고, “물=H₂O"의 경우가 양상논변을 피해가는 한에 있어서 “통증=C-섬유의 발화” 경우도 양상논변을 피해간다는 것을 입증하는 것이다. 크립키는 “물=H₂O”의 경우에, 그것과 연관된 기술어구를 활용한 우연문장을 제공함으로써 그 표면적 우연성을 해명한다, 본 논문의 핵심과제는 현상적 속성과 연관된 우연문장에 의존하지 않으면서도 이들 문장이 갖는 우연성을 해명하는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폴져가 제안하는 ‘동일성 후보모형’이 그러한 방안을 제공한다고 제안한다. ‘후보 모형’은 동일성 주장에 깔려있는 본질주의적 가정을 들추어내고, 그 조건의 핵심 구성요소인 동일성 조건의 문제에 주목한다. 설령 “통증=C섬유의 발화”가 참이라 하더라도 우리가 그것의 거짓에 대한 직관을 갖게 되는 것은, 아직 우리가 통 증이나 C-섬유의 발화에 대하여 그 종적 통일성 조건을 구체적으로 모르고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입장에 의하면, 심신통일성과 결부된 표면적 우연성은 진정한 형이상학적 우연성이 아니며, 우리의 인지적 상황과 그 한계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일종의 착각일 뿐이다. Kripke made an interesting objection to the identity theory, based on the semantic and modal consideration of the identity statement. According to Kripke, the identity statement, "pain=C-fiber firing", which assert the identity between rigidly designated things or kinds, is necessarily true, if it is true. But, the identity relation between pain and C-fiber firing seems to be contingent. To maintain the identity, Kripke argues, we need a way to explain away the apparent contingency of the statement. Kripke provides a way which re-describes one of the rigid designators in the identity statement in terms of a descriptive non-rigid designator. After such re-description being made, it turns out that we are in an epistemic situation in which we mistakenly believe that the identity fails, even though such is not the case. To tell the truth, the imagined situation is really not conceivable and it is impossible to obtain. The appearance of contingency is only apparent and illusory. Hence, the identity claim can still be maintained. But, this tactic, Kripke argues, cannot be applied to 'pain=c-fiber firing' case, because the sensation words like 'pain' do not admit of re-description that allows us to explain away the apparent contingencies in other cases. This paper tries to meet Kripke's objection by providing a model on which our intuition about the contingency of 'pain=C-fiber firing' may tum out to be illusory. This model, "identity candidacy model", named by Thomas Polger, does not resort to Kripke's distinction between appearance and reality. According to this model, the apparent contingency arises only because we do lack the exact identity (individuation) conditions for pain or C-fiber firing.

      • KCI등재
      • KCI등재

        현상적 감각 지식의 본성: 메리는 무엇을 새롭게 알게 되었는가?

        신상규 ( Sang Kyu Shin ) 한국과학철학회 2010 과학철학 Vol.13 No.1

        This paper analyzes Jackson`s knowledge argument based on the thought experiment for Mary, and displays various points from which we may disagree with Jackson`s conclusion. The particular focus has been placed on the responses from Dennett and Lewis, and I provide reasons why I am not convinced by their responses. Finally, I argue for an old fact/new disguise strategy such that, even though Mary acquires new propositional knowledge through the acquisition of new phenomenal concepts, it does not threaten physicalism.

      • KCI등재
      • 포스트휴먼 담론과 SF의 포스트휴먼 서사

        신상규 ( Shin Sang-kyu ) 숙명여자대학교 교양교육연구소 2021 교양교육과 시민 Vol.4 No.-

        AI나 4차 산업혁명 등이 대중적 관심의 대상이 된 지는 오래지만, 이들 현상 모두를 총체적인 시각에서 이해하려는 포스트휴먼 담론의 논의는 아직 생소하다. 인공지능이나 생명기술을 중심으로 하는 신흥기술(emerging technologies)의 급속한 발전은 단순히 산업 성장이나 경제 발전의 차원이 아니라, 인간의 활동과 그 삶에 의미를 부여하는 근본 조건이나 구조를 새롭게 상상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대한 대응으로서, 포스트휴먼 담론은 휴머니즘(Humanism)으로 규정되는 사회발전의 시기가 끝났다고 주장하며, ‘인간(human being)’이란 존재와 그 삶의 의미를 재정의 혹은 재발명하는 새로운 언어문법이나 패러다임을 모색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포스트휴먼 담론의 과제를 로지 브라이도티로 대변되는 비판적 포스휴머니즘의 기획을 통해 해명하고, 포스트휴먼 서사의 일환으로서 SF 영화가 갖는 잠재력과 중요성을 분석한다. Although AI and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have long been the subjects of public interest, the posthuman discourse, which tries to understand all these phenomena from a holistic perspective, is still unfamiliar. The rapid development of emerging technologies, center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or biotechnology, requires us to reimagine the fundamental conditions or structures that give meaning to human activities and lives, not merely as a dimension of industrial growth or economic development. As a response to this demand, post-human discourse argues that the era of social development defined by Humanism is over, and seeks a new language or paradigm that redefines or reinvents the existence of ‘human being’ and the meaning of its life. In this paper, the task of posthuman discourse is elucidated through the critical posthumanism represented by Rosi Braidotti, and the potential and importance of sci-fi films as part of the post-human narrative are analyzed.

      • KCI등재

        SNS 시대의 자아 개념

        신상규 ( Sang Kyu Shin ) 한국기호학회 2011 기호학연구 Vol.30 No.-

        Our traditional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self`` has been based on the Cartesian dualism which views a self as res cogitans existing independent from a body, or on the neo-Cartesian brain-centrism which views the mental and cognitive processes as the same with, or as being realized by the brain processes. However, according to the extended Mind thesis, our human mind is not confined to intracranial brain processes. When we perform cognitive activities with the help of external tools such as computers, those extracranial processes involved with those tools may also be regarded as a part of our mind. The extended Mind thesis calls for the revision of our traditional conception of self as well as that of mind. This paper tries to track the implication of the extended Mind thesis on our conception of ``self``, and suggests that the theory of ``narrative self`` put forwarded by Daniel Dennett is congenial to it. According to Dennett`s theory, a self is rather like the center of narrative gravity to the stories which have been told both to ourselves and others, and told both by ourselves and others, consisting of a certain set of ongoing goals, projects, and commitments. This paper also discusses how we come to understand the new aspects of SNS or the virtual reality created by internet in the light of the theory of narrative self.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