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두록과 교잡돈(두록×재래돼지)의 도체 및 육질 특성과 지방산 조성 비교

        김두완(Doo-Wan Kim),김기현(Ki-Hyun Kim),홍준기(Joon-Ki Hong),조규호(Kyu-Ho Cho),사수진(Soo-Jin Sa),김용민(Young-Min Kim),박준철(Jun-Cheol Park),설국환(Kuk-Hwan Seol)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2014 농업과학연구 Vol.41 No.4

        본 연구는 우리나라 재래돼지의 고유 특성을 살린 우수한 품종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하였으며, 도체특성은 DK1이, 육질특성과 지방산조성은 DK2가 두록과 비교하여 차이가 없거나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재래돼지를 활용한 우수한 육질의 돼지 품종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new crossbred pig using Korean native pig and Duroc. Fifteen pigs of pure Duroc (D) and 26 crossbred gilts (15 of DK1 and 11 of DK2) were reared until 195 ± 5 days old, then slaughtered at local slaughterhouse. Pork loin was gathered and vacuum packed from left carcass after 24 h of slaughter to analyze meat quality traits, such as color, pH, water holding capacity (WHC), cooking loss and shear force (SF), and free fatty acid composition. Live weight and carcass weight of Duroc and DK1 were 119.1±8.7 / 82.91±6.1kg and 116.3±6.3 / 80.91±4.4 kg, respectively, and i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DK2 (104.7±8.4 / 71.36±5.7 kg) (p<0.05).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ximate composition between animal groups, however DK2 showed significantly lower shear force (SF) and higher water holding capacity (WHC) than other groups (p<0.05). The redness of DK2 also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han Duroc (p<0.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ightness and yellowness (p>0.05). DK1 showed the highest monounsaturated fatty acids (MUFAs) contents of 51.45±2.0% and DK2 showed the highest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s) contents of 8.98±1.4%,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ce in PUFA/SFA ratio between pig groups (p>0.05). Duroc and DK2 contain significantly higher amount of linoleic (7.99±1.2 and 8.11±1.3%, respectively) and linolenic acid (0.43±0.1 and 0.44±0.1%, respectively) than DK1, and DK1 contains significantly higher amount of oleic acid (47.32±1.8%) than others (p<0.05).

      • KCI등재
      • 하수처리장에서의 악취 배출특성 및 영향 평가

        전의찬,사재환,김천두,김조천 동신대학교 환경연구소 2002 환경연구 Vol.7 No.1

        본 연구에서는 하수처리장에서 발생되는 악취물질 중의 하나인 암모니아를 대상으로 플럭스와 발생량을 산정하였으며, 대기확산모델을 이용한 하수처리장의 악취 영향 평가를 예측하였다. 열린챔버를 이용한 새료채취에 있어서, 채취시간은 설치 후 60분에 실시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수처리장에서 발생되는 암모니아의 단위시간당 단위면적당 플럭스는 각각 531.7㎍/㎡ㆍsec, 4,925.7 ㎍/㎡ㆍsec로 평가되었으며, 단위시간당 발생량은 각각 평균 17.7 ㎍/sec, 6.3 ㎍/sec으로서 침사지에서 다소 높은 발생속도로 배출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배출계수는 평균 114.0 mg/activity-ton, 1,055.6 mg/activity-ton으로 평가되었다. 암모니아에 의한 주변의 영향 평가는 1시간 최대 영향 예측의 결과 부지경계선상에서 악취도 '1.0' 수준으로, 인근마을에는 악취도 '0'에 가까운 수준으로 예측되어 인근 주변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flux and the emission of ammonia, one of regulative odor emitted from the sewage treatment plant, and it is to assess impact of odor on the area near the plant using the atmospheric dispersion model. The flux of ammonia in a grit chamber and SBR reactor of the sewage treatment plant was measured as 17.7㎍/㎡ㆍsec and 6.3㎍/㎡ ㆍsec, respectively. The emission velocity of ammonia from a grit chamber and SBR reactor was investigated as 531.7㎍/sec and 187.9㎍/sec. The emission coefficient was also estimated as average 114.0mg/activity-ton for a grit chamber and 1,056.6 mg/activity-ton for SBR reactor. For the assessment of impact of ammonia on the vicinity of the plant, the odor strength was estimated to '1' or below on the boundary of the plant based on the one-hour maximum odor impact according to the result of simulation of odor dispersion model. As a result of modeling, it was reveled that the impact of odor from the sewage treatment plant was negligible.

      • 저전력 멀티미디어 응용을 위한 10b 100 MSample/s $1.4\;mm^2$ 56 mW 0.18 um CMOS A/D 변환기

        민병한,박희원,채희성,사두환,이승훈,Min Byoung-Han,Park Hee-Won,Chae Hee-Sung,Sa Doo-Hwan,Lee Seung-Hoon 대한전자공학회 2005 電子工學會論文誌-SD (Semiconductor and devices) Vol.42 No.12

        This work proposes a 10b 100 MS/s $1.4\;mm^2$ CMOS ADC for low-power multimedia applications. The proposed two-step pipeline ADC minimizes chip area and power dissipation at the target resolution and sampling rate. The wide-band SHA employs a gate-bootstrapping circuit to handle both single-ended and differential inputs with 1.2 Vp-p at 10b accuracy while the second-stage flash ADC employs open-loop offset sampling techniques to achieve 6b resolution. A 3-D fully symmetrical layout reduces the capacitor and device mismatch of the first-stage MDAC. The low-noise references are integrated on chip with optional off-chip voltage references. The prototype 10b ADC implemented in a 0.18 um CMOS shows the maximum measured DNL and INL of 0.59 LSB and 0.77 LSB, respectively. The ADC demonstrates the SNDR of 54 dB, the SFDR of 62 dB, and the power dissipation of 56 mW at 100 MS/s. 본 논문에서는 저 전력 멀티미디어 응용을 위한 10b 100 MS/s $1.4\;mm^2$ CMOS A/D 변환기(ADC)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ADC는 해상도 및 속도 사양을 만족시키면서, 면적 및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기존의 다단 구조가 아닌 2단 파이프라인 구조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10 비트 해상도에서 1.2 Vp-p의 단일 및 차동 입력 신호 처리 대역폭을 넓히기 위해 입력 샘플-앤-홀드 증폭기에는 게이트-부트스트래핑 회로를 적용하며, 6 비트 해상도를 필요로 하는 두 번째 단의 flash ADC에는 오픈-루프 오프셋 샘플링 기법을 적용하였다. 또한 커패시터 등 소자 부정합에 의해 해상도에 크게 영향을 줄 수 있는 MDAC의 커패시터에는 3차원 완전 대칭 구조를 갖는 레이아웃 기법을 제안하였다. 기준 전류/전압 발생기는 온-칩으로 집적하여 잡음 에너지를 줄였으며, 필요시 선택적으로 다른 크기의 기준 전압을 외부에서 인가하도록 설계하였다. 제안하는 10b 시제품 ADC는 0.18 um CMOS 공정으로 제작되었고, 측정된 DNL 및 INL은 각각 0.59 LSB, 0.77 LSB 수준을 보여준다. 또한 100 MS/s의 샘플링 속도에서 SNDR 및 SFDR이 각각 54 dB, 62 dB 수준을 보였으며, 전력 소모는 56 mW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