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조산원 분만을 선택한 여성의 특성, 선택동기 및 출산경험 조사

        이선희 ( Sun Hee Lee ),이미옥 ( Mi Ok Lee ) 부모자녀건강학회 2013 부모자녀건강학회지 Vol.16 No.1

        가족과 함께 출산의 경이로움을 경험하고자 조산원에서의 분만을 선택하는 여성들이 늘고 있다(Kim et al., 2006; Lee, 2012). 따라서 본 연구는 조산원 분만을 선택한 여성의 특성과 선택동기 및 출산경험에 관해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조산원 분만을 선택한 여성의 일반적 특성으로 나이는 31~39세가 71.3%였으며, 배우자의 나이는 31~39세가 83.3%였다. Kim, H. S.(2003)의 연구에서 선택분만(조산원+병원의 LDR)한 여성 및 배우자의 나이와 본 연구는 유사하였고, Lee (2012)의 연구에서는 조산원 분만 여성의 평균 나이가 34.6세이었다. 그러나 Kang 등(2005)의 연구에서 조산원 분만여성의 65%가 20대인 것과는 차이가 있다. 학력은 전문대학이나 대학졸업자이며 종교는 기독교, 직업은 가정주부가 가장 많았다. 이는 다른 연구(Kim, H. S., 2003; Lee, 2012)와 동일하나 Kang 등(2005)은 무교가 절반이었고, 직업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아 차이를 보였다. 경제적 상태는 월수입이 201만원~599만원인 중간층이 가장 많았으며 이는 Kang 등(2005)과 유사하였으나, Kim, H. S.(2003)은 200만원 이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KOSIS (2011)에 따르면 2010년 전체 출산 여성 중 31~39세가 63.6%로 본 연구대상자와 같이 최근 한국 출산연령이 30대가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우리나라 여성의 대학교 졸업자는 전체의 30.5%로 이중 30대가 56%이고, 한 지역의 주부이며 기독교인이 51.2%(KOSIS, 2010)인 것을 감안하면 조산원에서의 출산여성의 학력이나 종교도 이에 비례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경제상태는 전가구의 평균 소득이 3,369,673원으로 보고해 중간층의 비율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참여자의 산과 관련 특성으로 초산모보다는 경산모가 많았으며 다른 연구(Kang et al., 2005; Kim, H. S., 2003; Lee, 2012)에서도 동일하였다. 이는 병원에서의 분만을 경험한 여성들이 병원분만에 대한 회의로 다른 대안적인 분만 방법을 찾는 것으로 보여진다(Kim, J. H., 2003; Kim et al., 2006, Lee, 2012). 본 연구에서 유산 경험은 21.3%로 확인되었는데, KOSIS (2010)의 2009년 유배우자의 유산율은 25.5%로 자연 유산율 10.7%, 인공유산율 14.8%로 보고되어 본 연구에서의 자연유산율이 높은 것과는 비교된다. Lee, O. Y. (2003)은 병원분만에서 일반분만실 여성은 62.6%, 가족분만실 여성은 76.7%의 유산율을 보여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산원 분만 여성에 비해 병원분만 여성의 유산율은 높게 나타났는데, Lee, Y. O. (2003)의 연구에서는 무교와 불교가 70% 이상을 차지한 것이 본 연구와 차이를 보여 종교가 유산에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서는 추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조산원 분만을 선택하게 된 주 동기는 ‘병원분만이 싫어서’와 ‘편안함’이었다. 이는 다른 연구(Kim, J. H., 2003; Lee, 2012)에서 의료인 주도적 분만에 대한 회의와 조산원 분만 경험자들이 편안했다는 정보를 통해 조산원 분만을 선택하게 된 연구결과와 일치하였다. Lee (2012)는 여성이 조산원 분만을 선택하게 된 결정적인 계기는 조산사의 출산경력에 대한 믿음과 조산사의 인간중심적인 배려에 감동받았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여성이 획일화된 의료가 아닌 산모와 아기 중심의 편안한 출산을 희망하는 것으로 사료되므로 임상에서는 여성들이 원하는 편안한 출산을 위한 간호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조산원을 알게 된 동기로는 ‘친구, 친척의 소개’와 ‘인터넷’ 및 ‘신문, 잡지, TV 등 매체’를 통해서가 대부분이었다. 이는 다른 연구에서도 동일하게 확인되었다(Kim, J. H., 2003; Lee, K. S., 2003; Lee, 2012). 그러나 많은 여성들은 조산원에 대한 정보를 접할 기회조차 없어 병원분만을 선택하고 있다(Kim, J. H., 2003; Lee, 2012)고 보여지나, 여성들이 조산원 분만에 대한 정보를 얼마나 알고 있는지, 또는 조산원에서의 자연출산에 대한 정보를 알고도 병원분만을 선택하는지에 대해서는 추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조산원 분만을 선택한 여성의 임신시 합병증은 ‘감염’ 1명(0.9%)과 ‘조기양막파열’ 2명(1.9%)이 있었다. Lee, Y. O. (2003)은 병원분만에서 입원 이유가 조기파수인 경우 가족분만실에서 27.8%, 일반분만실에서 20.0%로 두 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본 연구의 참여자들의 조기파수보다는 높게 나타났다. 분만 시 합병증은 난산 1명(0.9%)과 출혈 2명(1.9%)이 있었으나 분만 후 합병증은 없었다.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1)에 따르면 2010년 난산으로 입원이나 외래 방문자수는 3,900명으로 정상분만 293,944의 비율로 보면 1.33%로 조산원에서의 난산율보다는 높다. 분만 후 출혈은 6,472명, 기타 임신 분만 합병증은 350,173으로 조사 되었다. 이는 분만 종류나 장소별에 따라 분류되지는 않았으나, 병원분만에서는 분만 및 산후 관련 합병증의 비율이 조산원보다 높은 것은 조산원은 건강한 여성을 대상으로 출산을 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여진다. 조산원에서 출생한 신생아의 성별은 남아와 여아의 비율이 비슷하였는데, 이는 Kim, H. S.(2003)의 연구결과와 유사하다. 신생아의 아프가 점수도 모두 ‘8점 이상’이었으며 신생아 6명이 황달 이외에는 특별한 합병증이 없었다. 건강한 여성에 있어 조산사에 의한 출산의 합병증이나 신생아 이환율이 병원분만에 비해 유의하게 낮으므로(Davis et al., 2011; Laws, Tracy, & Sullivan, 2010) 건강한 여성의 출산 관리는 조산사가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Kim, 2001)는 주장도 있다. 조산원 분만을 선택한 여성의 긍정적 분만 경험으로는 「편안하고 자연스런 분만」, 「조산사의 인격적 간호에 대한 만족과 신뢰」, 「아기와 가족중심 분만 경험」의 범주로 분석되었다. 이는 Lee (2012)의 연구에서 ‘집에서 낳은 듯이 편안함’, ‘자연스러움이 순리임’, ‘조산사의 세심한 돌봄과 배려로 안심이 됨’, ‘인위적인 처치를 받지 않음’, ‘조산사와 출산하기를 잘 했다고 생각함’, ‘조산사의 인간중심적인 배려에 감동받음’ 등이 도출되어 본 연구결과와 같은 결과임을 보여주었다. 다른 연구(Kim, J. H., 2003; Lee, K. S., 2003)에서도 편안함, 자연스러운 출산, 가족과 조산사의 지지 등이 동일하게 나타났다. 여성들은 조산원 분만에서의 편안함과 자연스러움, 인격적인 돌봄을 제공받음에 만족하였다. 여성들이 원하는 출산이 바로 이것이며 의료인들이 출산여성의 관리에서 고려할 부분이라고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조산원 분만을 선택한 대상자의 부정적 분만 경험으로는 「의료환경 개선」, 「불충분한 시설과 간호」, 「경제적 부담」의 범주로 분석되었다. 하부 범주인 환경개선에 대한 요구나 응급상황에 대한 불안은 Lee (2012)의 연구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병원과의 연계가 낮고 응급상황에 대한 불안을 해소시키기 위해서는 조산원과 병원간의 연계에 대한 정부차원에서의 체계화된 의료 전달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며, 조산원에서는 이러한 불안을 불식시키기 위해 의료시설 보충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조산원에 대한 홍보의 필요성이 제기되었고(Lee, 2012), 하부 범주로 나타난 고운맘 카드 사용 못함은 2012년 4월부터 조산원에서도 사용 가능한 것으로 법이 개정되었다(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2). 따라서 조산원에서도 고운맘카드 사용이 가능해져 경제적 부담이 감소하게 되므로 조산원에 대한 부정적 경험은 낮아질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is descriptive research to identify characteristics and childbirth experience of women who selected delivery with midwives. Methods: The research methods included structured questionnaires, open questions and charts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2009 to May 2010 at one midwifery clinic. The 108 data of primipara and multipar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grouping in same meaning. Result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were age of 31~35, housewife, college or university graduate, religion ‘yes’, and economic state ‘middle’. The obstetric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were abortion rate of 23.1%, none complication to pregnancy and delivery of 97.2%, and none postpartum complication. This study was analyzed using positive experiences of 3 categories, that is ‘comfortable and natural childbirth’, ‘satisfaction and trust to personal care of midwives’, and ‘experience of baby-and-family-centered childbirth’ and negative experiences of 3 categories, that is ‘improvement of healthcare environment’, ‘insufficient facilities and nursing care’, and ’burden of cost’. Conclus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since it investigates in the absence of domestic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women who delivered at midwifery clinic. Thus, this study provided basic data on the characteristics of women who delivered at midwifery clinic.

      • Inhibition of pluripotent stem cell-derived teratoma formation by small molecules

        Lee, Mi-Ok,Moon, Sung Hwan,Jeong, Ho-Chang,Yi, Ji-Yeon,Lee, Tae-Hee,Shim, Sung Han,Rhee, Yong-Hee,Lee, Sang-Hun,Oh, Seok-Jeong,Lee, Moo-Yeol,Han, Min-Joon,Cho, Yee Sook,Chung, Hyung-Min,Kim, Kwang-Soo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2013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Vol.110 No.35

        <P>The future of safe cell-based therapy rests on overcoming teratoma/tumor formation, in particular when using human pluripotent stem cells (hPSCs), such as human embryonic stem cells (hESCs) and human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hiPSCs). Because the presence of a few remaining undifferentiated hPSCs can cause undesirable teratomas after transplantation, complete removal of these cells with no/minimal damage to differentiated cells is a prerequisite for clinical application of hPSC-based therapy. Having identified a unique hESC signature of pro- and antiapoptotic gene expression profile, we hypothesized that targeting hPSC-specific antiapoptotic factor(s) (i.e., survivin or Bcl10) represents an efficient strategy to selectively eliminate pluripotent cells with teratoma potential. Here we report the successful identification of small molecules that can effectively inhibit these antiapoptotic factors, leading to selective and efficient removal of pluripotent stem cells through apoptotic cell death. In particular, a single treatment of hESC-derived mixed population with chemical inhibitors of survivin (e.g., quercetin or YM155) induced selective and complete cell death of undifferentiated hPSCs. In contrast, differentiated cell types (e.g., dopamine neurons and smooth-muscle cells) derived from hPSCs survived well and maintained their functionality. We found that quercetin-induced selective cell death is caused by mitochondrial accumulation of p53 and is sufficient to prevent teratoma formation after transplantation of hESC- or hiPSC-derived cell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provide the 'proof of concept' that small-molecule targeting of hPSC-specific antiapoptotic pathway(s) is a viable strategy to prevent tumor formation by selectively eliminating remaining undifferentiated pluripotent cells for safe hPSC-based therapy.</P>

      • SIRT1 is required for oncogenic transformation of neural stem cells and for the survival of “cancer cells with neural stemness” in a p53-dependent manner

        Lee, Ji-Seon,Park, Jeong-Rak,Kwon, Ok-Seon,Lee, Tae-Hee,Nakano, Ichiro,Miyoshi, Hiroyuki,Chun, Kwang-Hoon,Park, Myung-Jin,Lee, Hong Jun,Kim, Seung U.,Cha, Hyuk-Jin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Neuro-oncology Vol.17 No.1

        <P><B>Background</B></P><P>Cancer stemness, observed in several types of glioma stem cells (GSCs), has been demonstrated to be an important barrier for efficient cancer therapy. We have previously reported that cancerous neural stem cells (F3.Ras.CNSCs), derived from immortalized human neural stem cells by a single oncogenic stimulation, form glial tumors in vivo.</P><P><B>Method</B></P><P>We searched for a commonly expressed stress modulator in both F3.Ras.CNSCs and GSCs and identified silent mating type information regulation 2, homolog (SIRT1) as a key factor in maintaining cancer stemness.</P><P><B>Result</B></P><P>We demonstrate that the expression of SIRT1, expressed in “cancer cells with neural stemness,” is critical not only for the maintenance of stem cells, but also for oncogenic transformation. Interestingly, SIRT1 is essential for the survival and tumorigenicity of F3.Ras.CNSCs and GSCs but not for the U87 glioma cell line.</P><P><B>Conclusion</B></P><P>These results indicate that expression of SIRT1 in cancer cells with neural stemness plays an important role in suppressing p53-dependent tumor surveillance, the abrogation of which may be responsible not only for inducing oncogenic transformation but also for retaining the neural cancer stemness of the cells, suggesting that SIRT1 may be a putative therapeutic target in GSCs.</P>

      • KCI등재SCISCIE
      • KCI등재후보
      • SCIESCOPUSKCI등재

        Use of Gold Nanoparticle Fertilizer Enhances the Ginsenoside Contents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Red Ginseng

        ( Hee Kang ),( Yun-gu Hwang ),( Taek-guen Lee ),( Cheng-ri Jin ),( Chi Heung Cho ),( Hee-yeong Jeong ),( Dae-ok Kim ) 한국미생물 · 생명공학회 2016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Vol.26 No.10

        Red ginseng, a steamed and sun-dried ginseng, is a popular health-promoting food in Korea and other Asian countries. We introduced nanofertilizer technology using gold nanoparticles in an effort to develop red ginseng with an elevated level of ginsenosides, the main active compounds of ginseng. Shoots of 6-year-old ginseng plants were fertilized three times with colloidal gold nanoparticle sprays. Red ginseng extract was prepared from the main roots. The concentrations of gold and ginsenosides were measured following gold nanoparticle treatment. To evaluate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mouse peritoneal macrophages of male BALB/c mouse were stimulated with lipopolysaccharide plus interferon-γ in the presence of extracts from red ginseng with or without gold nanoparticle treatment. The content of ginsenosides, such as Rg1, Re, Rf, and Rb1, increased in ginseng treated with gold nanofertilizer whereas the steaming process increased only the levels of Rd and Rg3. The levels of nitric oxide,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and interleukin-6, but not tumor necrosis factor-α, were more suppressed in macrophages treated with extract from gold nanoparticle-treated red ginseng. Our results show that the use of a colloidal gold nanoparticle fertilizer improved the synthesis of ginsenosides in ginseng and enhanced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red ginseng.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elucidate the causal factors for the gold-induced change in ginsenoside synthesis and to determine the in vivo effect of gold nanoparticletreated ginse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