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측두부에 발생한 Cranial Fasciitis의 치험례

        정현권,변준희,이종원,이종건,임풍,박성찬 大韓成形外科學會 1999 Archives of Plastic Surgery Vol.26 No.3

        Cranial fasciitis is a rare morphological variant of nodular fasciitis. It is characterized by a rapid growing fibroblastic proliferative lesion that develops chiefly in childhood. It has varying size and involves the soft tissues of the scalp and the underlying skull. Accurate diagnosis and surgical excision is the key to management. Prognosis is good with rare recurrence. We report a case of cranial fasciitis in the temporal fossa of a 20-month-old girl and present a review of the literature.

      • KCI등재

        성염색체 연관 저인산혈증성 구루병 환자의 증례 보고

        이수진,김영재,장기택,이상훈,김종철,한세현,김정욱 大韓小兒齒科學會 2009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6 No.2

        X-linked hypophosphatemic rickets(이하 XLH로 기술)는 구루병의 일종으로 임상적으로는 비타민 D의 대량 투여로도 개선되지 않고 성염색체 우성 유전되는 유전성 질환이다. 저인산혈증성 구루병, 비타민 D 저항성 구루병이라고도 불린다. 본 증례는 서울대학교병원 소아과에서 XLH로 진단받은 6세 6개월의 여아로, 상악 좌측 중절치의 매복을 주소로 소아치과에 의뢰된 환자이다. 환아는 XLH 환자에서 전형적으로 보이는 보행 장애, 다리의 휨현상, 작은 키, 손목, 무릎, 발목 관절의 종창 등이 관찰되었다. 또 치과적 특징으로 임상적으로 건전한 치아에서 자발적인 치근단 농양과 농루가 발생하였고 치아의 맹출지연, 우상치 (taurodontism), 근단공의 폐쇄 지연, 확대된 치수강 등을 나타내었기에 이전 문헌 고찰을 통하여 XLH 환아의 특징을 살펴보고 본 환자의 의과적, 치과적 특성 및 매복된 치아의 치료에 대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XLH(X-linked hypophosphatemic rickets) is a form of rickets which is resistant to the usual dose of vitamin D and inherited in a X-linked dominant manner. It is also known as vitamin D-resistant rickets or familial hypophosphatemic rickets. Here we report a 6-year-and-6-month-old female patient of XLH who is diagnosed with in SNUH. She was referred from local clinic for impaction of maxillary left permanent incisor and its treatment. She presents bowing deformities of the legs, short stature, enlargement of wrist and ankles and spontaneous dental abscesses of clinically sound teeth, delayed eruption, taurodontism, delayed apical closure, enlarged pulp chambers, and absent or poorly defined lamina dura. The purpose of this case is to review the literatures of XLH and report the dental and medical characteristics of this patient.

      • KCI등재
      • 리기다소나무의 完滿度表 調製에 關한 硏究

        李鍾樂,鄭炫培 경희대학교 부설 식량자원개발연구소 1985 硏究論文集 Vol.6 No.-

        This study discribes about method of establishing stem taper table of pitch pine through the preparation of the stem with the sample trees of 389 felled pitch pine. Stem curves were first classified then induced by form quotient class, stem curve equation according to Behre's stem curve formular. Relied on each calculated stem curve equation tapering degree by form quotient class and established taper table therefore.

      • KCI등재

        Rieger syndrome : 증례보고 A CASE REPORT

        이홍모,김정욱,장기택,이상훈,한세현,김종철 大韓小兒齒科學會 2003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0 No.4

        Rieger syndrome은 눈의 전안방 기형과 치아결손을 특징으로 하는 희귀한 유전질환으로 두 개안면 이상과 체성기형을 동반하기도 한다. Rieger syndrome은 상염색체 우선유전(autosomal dominant inheritance)되며, 발생빈도는 약 200,000분의 1이고, Paired-like homeodomain transcription factor2(PITX2)의 변이가 이 질환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증례는 Rieger syndrome으로 진단 받은 4세 7개월 된 여아에 대한 것으로, 양안에 다동공증과 후태생환을 보이고, 측모두부계측에서 상악골 열성장이 나타났으며, 상악유측절치와 더불어 다수의 영구치 결손이 방사선 상에서 관찰되었다. 이 증례를 통하여 Rieger syndrome 환아의 구강 및 두 개안면의 소견을 관찰하고, 관련 문헌을 고찰하여 다소의 지견을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Rieger syndrome is a rare, autosomal dominant gentic disorder characterized by malformation of the anterior chamber of the eye(goniodysgenesis) coincident with hypodontia. It may also be accompanied by a spectrum of dental, craniofacial and somatic anomalies. Mutations in paired-like homeodomain transcription factor2(PITX2) are associated with the syndrome, and its frequency in the general population has been estimated to be 1 : 200.000. In the present case, the patient, 4 year 7 month-old female, had posterior embryotoxon and polycoria. The maxilla was retrusive in cephalometric radiography. She had congenital missing on #52, #62 and some tooth germs of permanent tooth were not detected in panoramic radiograph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port the dental and craniofacial findings and review the pertinent literature through this case.

      • 리기다소나무의 完滿度表 調製에 關한 硏究

        李鍾樂,鄭炫培 慶熙大學校 1985 論文集 Vol.14 No.-

        This study discribes about method of establishing stem taper table of pitch pine through the preparation of the stem with the sample trees of 389 felled pitch pine. Stem curves were first classified then induced by form quotient class, stem curve equation according to Behre's stem curve formular. Relied on each calculated stem curve equation tapering degree by form quotient class and established taper table therefore.

      • Fe/Si(100) 2×1의 초기 계면에 대한 연구

        이상균,장현덕,오진호,박종윤 성균관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1995 論文集 Vol.46 No.1

        Si(100) 2×1 표면 위에 SPE 법으로 성장된 철 실리사이드의 형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성장된 박막은 중착량과 열처리 온도에 따라 XPS와 RHEED를 사용하여 특징 지워졌다. 상온으로 유지되는 기판 위에 증착 직후의 Fe 층은 Stranski-Krastanov의 성장모드에 따라 성장하였다. low coverage(6분)로 증착한 후, 400℃로 열처리한 시료에서 spotty 2×2 RHEED 패턴이 관측되었다. 이는 매우 낮은 coverage에서도 실리사이드가 형성됨을 확인시켜 주는 결과이다. 또, medium coverage(45분)로 증착된 후, 400℃에서 열처리한 시료에서는 매우 streaky한 패턴이 관측되었다. 이 streaky 패턴은 적층 박막의 매끄러운 표면을 의미한다. 선호되는 박막의 적층 성향은 방위각 편향 β-FeSi_2[010]//Si<110>를 갖는 β-FeSi_2(100)/Si(100)이며, A-type으로 정의되어진다. high coverage에서는 여러 실리사이드가 형성되었으나 RHEED 패턴은 diffuse spot과 높은 background만이 관측되었다. 이는 형성된 실리사이드가 기판과 적층 성장을 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청정한 Si(100) 2×1으로의 회복은 1100℃ 이상의 온도에서 실현되었다. The formation of the iron silicide grown on Si(100) 2×1 by SPE have been studied accordingly to the changes of Fe deposition amount and annealing temperature using XPS and RHEED. The as-deposited Fe layer was grown with a Stranski-Krastanov growth mode. At the low coverage, the spotty 2×2 RHEED pattern was observed at 400℃. Thus we confirm the formation of the β-FeSi_2 even at the low coverage. At the medium coverage, the RHEED pattern at 400℃ was very streaky 2×2. This well-developed streaky are characteristic of a smooth surface of an epitaxial film. The preferred epitaxial relationship was found to be β-FeSi_2(100)/Si(100) with β-FeSi_2[010]//Si<110>, which is referred to the A-type orientation. At the high coverage, several silicides were observed, but the RHEED pattern of diffuse spot and high background were observed, which means that the silicides did not form the epitaxy with the substrate. Clean Si(100) 2×1 was recovered after annealing at 1100℃.

      • 국산 무기 섬유계 단열재에 관한 연구

        이종민,신현택,양중식 연세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1980 논문집 Vol.12 No.2

        Thermal characteristics and the related physical properties of various domestic fibrous inorganic products were investigat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Quality of the domestic fiber glass and the products meet the standards designated under KS, JIS and ASTM, and the products showed the fiber diameter of 4-15μ, the density of 0,004-0.07g/㎤ and the thermal conductivity of 0.027-0.049kcal/m hr℃. 2) Insulating characteristics of the glass fiber products are closely related with the diameter of the glass fiber and the density of the products, are increased with smaller fiber diameter and higher density of the products, and showed the thermal conductivity mostly lower than 0.035kcal/m hr℃ at 20℃ (Mean temp.) 3) Domestic mineral fiber showed its fiber diameter of 5-11μ and the thermal conductivity of 0.025-0.37kcal/m hr ℃ at 20℃ (Mean temp.)

      • KCI등재

        정중과잉치로 인해 회전된 상악 중절치의 치험례

        이범의,김영재,김정욱,장기택,이상훈,김종철,한세현 大韓小兒齒科學會 2004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1 No.4

        정중과잉치의 원인은 잘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dental lamina의 hyperactivity에 의해 발생한다는 가설이 가장 많이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러한 정중과잉치의 병발증으로는 주변 영구절치의 맹출 장애, 만곡 치근, 치근흡수, primordial 혹은 follicular cyst의 형성, 회전, 이환된 부위의 총생 및 비정상적인 정중이개를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영구전치의 회전이 야기되면 보통 공간의 부족은 적거나 없으며 재발이 흔하므로 과개선이 요구된다. 재발의 방지를 위해서는 조기치료, 과개선, 긴 보정기간, 적절한 접촉면의 형성, 짝힘의 사용, 그리고 수술적인 방법 등이 제안되어왔다. 이에 저자는 정중과잉치로 인하여 심하게 회전된 상악중절치를 주소로 내원한 환아에서 교정적, 외과적 술식을 이용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은 두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The etiology of mesiodens is unknown but the most widely accepted theory is the hyperactivity of the dental lamina. Complications of mesiodens are delayed or prevented eruption of maxillary central incisors, displacement or rotation of permanent teeth, crowding of affected region, abnormal diastema or permanent space closure, dilaceration or abnormal root development of permanent teeth, primordial or follicular cyst formation, root resorption of adjacent teeth, eruption into nasal cavity. If mesiodens rotate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space deficiency is not common and relapse is very common. So overcorrection is needed. To prevert the rotational relapse, early treatment, overcorrection, long retention period, properly formed proximal surface, use of coupled force, and surgical techniques have been suggested. The authors present two cases, whose chief complain were severely rotated maxillary incisors by mesiodens, treated by orthodontic and surgical technique and showed good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