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형광등과 자연광의 광도에 따른 실내조경식물의 생육반응과 도입 방안

        최경옥,이상우,Choi Kyoung-Ok,Lee Sang-Woo 한국조경학회 2005 韓國造景學會誌 Vol.33 No.4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tain fundamental information of growth response of interior landscape plants under a fluorescent lighting, a sunlight at indoor. Ficus elastica Roxb. vu. decora Hort, Spathiphyllum 'Clevelandii', Codiaeum variegatum Blume var. pictum Mvell. Arg. 'Exalant' and Cordyline terminalis Kunth var. red edge Hort were examined under 100lux, 500lux, 1,000lux and 2,000lux light intensity consisted of fluorescent lighting and sunlight at indoor condition. Result of experiments are as follows; 1. A Ficus elastica Roxb. var. decora Hort plant growth status was better showed under fluorescent lighting than sunlight. A plant growth status showed the best result under 2,000lux light intensity of fluorescent lighting in cases of all conditions. 2. A Spathiphyllum 'Clevelandii' showed the best effective adaptations under law intensity among experimental plants. A Spathiphyllum 'Clevelandii', plant growth status was better showed under fluorescent lighting than sunlight. A plant growth status showed the best result under 1,000lux light intensity of fluorescent lighting in cases of all conditions. 3. It need the best high establishment of fluorescent lighting among experimental plants for good plant growth. A Codiaeum variegatum Blume var. pictum Mvell. Arg. 'Exalant' plant growth status was better showed under fluorescent lighting than sunlight. A plant growth status was better showed under high light intensity in case of same light source. A plant growth status showed the best result under 2,000lux light intensity of fluorescent lighting. 4. A Cordyline terminalis Kunth var. red edge Hort plant growth status was better showed under fluorescent lighting than sunlight. but, A plant growth status was better showed under $500lux\sim1,000lux$ than 2,000lux in cases of all intensity of fluorescent lighting. while, A plant growth status was better showed under $1,000lux\sim2,000lux$ in cases of all intensity of sunlight.

      • KCI등재

        부모 수감 후 남겨진 자녀의 삶의 적응과정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최경옥 ( Choi Kyoung Ok ),이경림 ( Lee Kyung Rim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8 한국가족복지학 Vol.62 No.-

        이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수감사건을 자녀들이 어떻게 받아들이고 살고 있는지 그 적응과정의 경험을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6명의 청소년 참여자를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진행하였고 이를 통해 수집한 자료를 가지고 사례별 분석과 사례 간 분석을 실시하였다. 전체 사례에서 나타난 주제는 ‘예고 없는 이별과 충격’, ‘불행 중 다행’, ‘서러운 내 신세’, ‘멀고 먼 만남의 길’, ‘희망을 주는 사람’, ‘내 인생을 살아감’ 등이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수용자 자녀 지원과 권리 보장을 위한 정책과 실천지침을 논의하였고 연구의 한계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how children are receptive to their parents’ imprisonment, adaptation from their painful experience and crisi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six youth participants were selected. We carried out in-depth individual interviews and the collected data from the interviews and the case study were analyzed. The commons subjects are like ‘Sudden separation and shock’, ‘Glad to be unhappy’, ‘Wretched my life’, ‘The way of the far-away meeting’, ‘The one who gave me hope’, ‘Live my life’and so on.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policy and practical guideline were discussed and suggested to help children of the incarcerated in addition to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the recommendations for further study.

      • KCI우수등재

        수용자 가족의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최경옥(Choi, Kyoung Ok),이경림(Lee, Kyung Rim) 한국사회복지학회 2017 한국사회복지학 Vol.69 No.2

        본 연구는 자신의 잘못이 아닌 가족의 범죄와 수감으로 인해 고통을 받고 살아가는 수용자 가족을 이해하고 사회적 관심을 이끌어 내어 수용자 가족에 대한 지원의 근거자료를 삼기위한 목적으로 수행 하였다. 이 연구에는 남편, 자녀, 형제 등의 수용된 가족을 둔 7명의 성인이 참여했다. 연구방법으로 수용자 가족들의 경험의 본질을 살펴보고자 현상학적 질적 연구방법인 Giorigi의 분석틀을 원용하여 해석하였다. 분석결과, 수용자 가족들의 경험은 ‘굴레를 쓰고 살아가다’, ‘숨겨야 하는 고통’, ‘양가감 정’, ‘죄는 미워하되 사람은 미워하지 마라’, ‘다시 일어서다’라는 5개의 구성요소로 도출 되었고 본질 적 주제는「멍에를 짊어지고 삶과 맞서다」라고 해석되었다. 이 연구결과를 통해 수용자 가족의 심리, 정서, 사회적 회복을 돕고 수용자 자녀를 지원하기 위한 사회복지 실천 개입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evidence for supporting the families of people in prison, through understanding their families who have suffered for their imprisonment This research was conducted with seven family members with their spouse, son or daughter, or sibling in prison. The Giorigi's approach of analysis for the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was used to explore the essence of the experiences of prisoners' families. This qualitative research drew five components on the basis of the experiences of prisoners' families : 'Living with the bridle named as the family of a prisoner', 'The pain having to hide from the public', 'Having ambivalence', and ‘condemn the sin, but no the sinner’, 'Picking oneself up' . The essential subjection of their experiences was interpreted into 'Face life, , with being under a yoke'.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practical intervention of social welfare is needed to support the psychological, emotional, and social recovery of the prisoners' families.

      • KCI등재

        청소년의 대인관계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최경옥(Kyoung Ok Choi) 한국아동복지학회 2015 한국아동복지학 Vol.- No.51

        본 연구는 청소년의 대인관계 역량에 미치는 사회자본의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A구에 소재한 4개 중학교에 재학중인 학생으로 총 1,147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청소년의 가족, 학교, 지역사회에서 형성된 사회자본이 대인관계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분석결과 가족 내 사회자본에서는 부모·자녀 애착관계, 학교 내 사회자본에서는 학교생활만족, 지역사회 사회자본에서는 동네 참여활동과 동네에 대한 인식이 청소년의 대인관계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청소년의 대인관계 역량에 대한 사회자본의 영향력을 확인할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대인관계 역량을 높일 수 있는 가족, 학교, 지역사회 사회자본의 실천적, 정책적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on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of youths. A battery of questionnaires was distributed to 1,147 students attending four middle schools in the same district in Seoul.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in the family, at school, and in the community on youths’interpersonal competenc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ain forms of social capital that influence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of youths are as follows: in the family context, their bonds with their parents; in the school context, their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and in the community context, their participation in neighborhood activities and their perceptions of the neighborhood. Through the analysis, this study confirmed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on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of youths and discussed implications for practice and policy for enhancing social capital in the family, at school, and in the community in order to improve youths’interpersonal skills.

      • KCI등재

        지역사회 청소년활동 참여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최경옥 ( Choi Kyoung-ok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7 청소년복지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청소년의 지역사회 활동 참여가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10개구에 소재한 10개 중학교에 재학중인 남녀중학생 922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확보하였다. 자료분석은 다중회귀분석과 sobel test를 실시하여 이루어졌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 참여활동은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참여활동의 개별적인 영향을 살펴보았을 때 봉사활동과 지역사회 행사 참여는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응 모두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둘째, 자기효능감은 지역사회 청소년활동 중 봉사활동과 지역사회 행사참여 활동만이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주는데 있어서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청소년들의 학교생활적응을 돕기 위해서는 지역사회 활동의 역할과 기능을 확대하고 이를 통해 자기효능감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안들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adolescents` activity participation in the local community on school adjustment by using self-efficacy as a medium. 922 students of 10 middle schools in Seoul responded to the self-reported questionnair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were used. Results showed that local community activitie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Particularly, in terms of the individual effects of participation activities, it turned out that volunteer activities and activity participation in local community events had significant effects on both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Self-efficacy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school adjustment.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ways to increase self-efficacy by expanding the roles and functions of activity participation in the local community should be explored so as to help adolescents adjust to school life.

      • KCI등재
      • KCI등재

        자생 상록 굴거리나무의 실내조명 하에서 적정광도 분석 및 도입방안

        신현철,윤재길,최경옥,Shin, Hyeon-Cheol,Yun, Jae-Gill,Choi, Kyoung-Ok 한국조경학회 2012 韓國造景學會誌 Vol.40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자생종 굴거리나무에 대한 실내조명 하에서 광적응성을 조사해 보고 실내조경공간으로 도입할 때, 도입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수행되었다. 공시수종인 굴거리나무는 제주도 농가에서 1년생을 구입한 후,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종합농장 유리온실에서 40일간 순화시킨 후 2010년 2월 15일에서 2010년 11월 15일까지 실험하였다. 첫째, 형광등의 경우, 100lux에서 500lux까지 식물이 고사하거나 잎이 지는 현상을 보여 생육상태가 좋지 못하였으며, 1,000lux부터 원활한 생육 및 생장을 보였다. 엽수나 수형, 체내 광합성률, 관상가치 등을 토대로 살펴볼 때, 형광등 1,000lux에서 가장 양호한 생장을 하여 최적광도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LED등의 경우,100lux에서 1,000lux까지 고사현상을 보여 생육상태가 불량하였으며, 광도가 높을수록 원활한 생장을 보였다. 2,000lux에서 가장 원활한 생육 및 생장을 하였다. 셋째, 삼파장의 경우,1,000lux까지 고사현상이 심하여 도입한 4개의 광원 중 생육상태가 가장 좋지 않아 전반적으로 삼파장은 굴거리나무 생육에 부적합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2,000lux에서 가장 원활한 생육 및 생장을 하였다. 넷째, 광섬유의 경우 100lux하에서도 식물 전체가 고사하는 현상은 보이지 않아 생육이 가능하여 도입광원 중 생육 및 생장상태가 가장 양호하였다. 대체적으로 광도가 높을수록 생장률이 높았으나,2,000lux보다 1,000lux하에서 엽수의 출엽률 및 수형이 흐트러지지 않아 관상가치가 더 좋았으며, 체내 광합성률도 높아 1,000lux를 조명해 주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광적응성을 고려하여 굴거리나무를 실내조경공간으로 도입할 때, 광섬유, 형광등, LED등의 순으로 도입하는 것이 적합하며, 삼파장 등은 부적합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광원별 최적광도는 광섬유와 형광등을 도입할 경우 1,000lux, LED등을 도입할 경우 2,000lux를 조명해 주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생종 굴거리나무는 외래종인 대엽홍콩을 대체할 수 있는 수종으로 실내조경식물로 도입이 가능하며, 중심목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light-adaptability under indoor lighting for Korean wild Daphniphyllum macropodum, and to provide an introduction plan for indoor spaces of landscape architecture. The experimental plants, Daphniphyllum macropodum were purchased from a farmhouse in Jejudo as anannualplant, and it was acclimatized in the glass-green house of the general farm of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for40 days.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from February 15, 2010 to November 15, 2010. First, in the case of the fluorescent lamp, the growth and development condition was poor because the plants withered, or the leaves fell off under the 100lux to 500lux, but the condition under 1,000lux was good In the aspects of the number of leaves, form of the tree, photosynthesis rate in its body, and the value of sight, the best light intensity for the growth condition was under the 1,000lux. Second, in the case of the LED light, the growth and development condition was poor because the plants withered, or the leaves fell off under 100lux to 1,000lux, but the smooth growth and development was done under a more light intensity. The best intensity for the growth condition was under 2,000lux. Third, in the case of the three-wave light, the withering was serious by 1,000lux, and the growth and development was the worst amongst the four introduced lighting systems, therefore, growth under the three-wave light was incongruous. The best intensity for the growth condition was under 2,000lux. Fourth, in the case of the optical fiver, the withering did not existed under 100lux and growth was possible. The growth and development was the amongst in the four introduced lighting systems. Generally, in the more light intensity, more growth was observed, but the value of sight was higher under 1,000lux than under 2,000lux because the falling rate of leaves and the form of the tree was stable. The most effective light was under 1,000lux due to the high photosynthesis in its body. When Daphniphyllum macropodum is introduced into the indoor landscaping space considering the light, the optical fiber, fluorescent lamp, and LED light are suitable to introduce. The three-wave light is unfit. The most proper light intensity by the light source, in the case of the optical fiber, and fluorescent lamp, is 1,000lux, and, in the case of LED light, is 2,000lux. The wild Daphniphyllum macropodum is the species of tree to substitute the Schefflera actinophylla which is the introduced species, and it is expected to be use as the central tree in indoor spa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