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推拿療法과 物理治療 중재가 腰痛患者의 痛症 自覺度 및 柔軟性에 미치는 影響

        감력,박인기,이용인 충남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2006 體育科學硏究誌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uina massage and physical therapy intervention on pain sense and lumbar flexibility of patients with low back pain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 female adults with low back pain and divided in two groups : Tuina massage group (10 patients) and physical therapy group (10 patients). The flexibility, pain sense were measured in pre experiment, after 8 weeks each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pre, after 8 weeks of Tuina massage and physical therapy intervention in the pain sense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pre, after 8 weeks of Tuina massage and physical therapy intervention in flexibility (bend to the front and flex to the back) In conclusion, Tuina massage intervention and physical therapy intervention had positive effects on pain sense and flexibility for patients with low back pain. I concluded that to reduce patient's pain sense and increase flexibility Tuina massage is better than physical therapy.

      • KCI등재
      • KCI등재

        방사선 치료 중 MOSFET 검출기를 이용한 체표면 선량측정법

        김원택,기용간,권수일,임상욱,허현도,이석,권병현,김동원,조삼주,Kim Won-Taek,Ki Yong-Gan,Kwon Soo-Il,Lim Sang-Wook,Huh Hyun-Do,Lee Suk,Kwon Byung-Hyun,Kim Dong-Won,Cho Sam-Ju 한국의학물리학회 2006 의학물리 Vol.17 No.1

        In Vivo dosimetry is a method to evaluate the radiotherapy; it is used to find the dosimetric and mechanical errors of radiotherapy unit. In this study, on-line In Vivo dosimetry was enabled by measuring the skin dose with MOSFET detectors attached to patient's skin during treatment. MOSFET dosimeters were found to be reproducible and independent on beam directions. MOSFET detectors were positioned on patient's skin underneath of the dose build-up material which was used to minimize dosimetric error. Delivered dose calculated by the plan verification function embedded in the radiotherapy treatment planning system (RTPs), was compared with measured data point by point. The dependency of MOSFET detector used in this study for energy and dose rate agrees with the specification provided by manufacturer within 2% error. Comparing the measured and the calculated point doses of each patient, discrepancy was within 5%. It was enabled to verify the IMRT by using MOSFET detector. However, skin dosimetry using conventional ion chamber and diode detector is limited to the simple radiotherapy. 생체내선량측정법(In vivo dosimetry)은 방사선치료 시 선량학적 오차 및 치료장비의 비정상적인 작동을 검출할 수 있는 환자 치료검증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생체내선량측정법 중 환자 체표면에 선량계를 부착하여 환자 치료와 동시에 치료 검증을 할 수 있는 체표면선량측정법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선량 재현성 및 방향성이 우수한 MOSFET 검출기를 이용하였다. 선량 검증의 유용성 평가를 위해 치료계획장비의 치료계획검증기능을 이용하여 선량측정지점의 전달선량을 획득하였으며, 이를 MOSFET 검출기의 측정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MOSFET 검출기의 교정값 및 재현성은 제작사가 제시한 기준값에 대해 ${\pm}2%$ 이내에서 일치하였고, 각 환자에서의 체표면선량측정값은 치료계획에서 얻은 값과 ${\pm}5%$이내에서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기존의 전리함과 다이오드 검출기를 사용한 체표면선량측정법은 단순한 치료기법에만 한정하여 사용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이용한 MOSFET 검출기는 복잡한 방사선치료기법(3 dimensional radiotherapy, intensity modulated radiotherapy)에서 치료계획상의 전달선량을 환자 체표면에서 직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어 임상적용의 유용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뇌ㆍ두경부 방사선치료 시 전자조사문영상장치를 이용한 세트업 오차 확인에서 제2경추 치상돌기 위치의 임상적 의의

        김동현(Dong Hyun Kim),김원택(Won Taek Kim),기용간(Yong Gan Ki),남지호(Ji Ho Nam),이미란(Mi Ran Lee),전호상(Ho Sang Jeon),박달(Dal Park),김동원(Dong Won K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11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9 No.2

        목적: 뇌ㆍ두경부 종양의 방사선치료에서 전자조사문영상장치(electronic portal imaging device)를 이용한 조사문 영상에서 제2경추 치상돌기(dens)의 좌우 위치변화를 측정하고 이것이 치료에 미치는 임상적 의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9년 1월 1일부터 2010년 6월 30일까지 뇌ㆍ두경부 종양으로 해당 부위에 3차원 입체조형방사선 치료 또는 세기조절방사선치료를 받았던 2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의치료 시 획득한 디지털재구성사진과 방사선치료 기간 중 정기적으로 촬영한 전면 조사문영상에서 코중격과 치상돌기의 X축 방향에서 위치오차를 측정하였다. 또한 방사선치료 계획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위치오차가 발생하였을 때, 주변 정상 장기 및 치료 표적의 선량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결과: 총 확인한 조사문 영상은 400개였다. 평균 위치오차는 절대값으로 측정하였을 때 코중격에서 0.16 ㎜, 치상돌기에서 0.33 ㎜였다. 3 ㎜ 이상 오차를 보인 경우가 코중격에서는 43번(10.7%), 치상돌기에서는 133번(33.1%)이었고, 5 ㎜ 이상 오차를 보인 경우는 코중격에서는 없었으나 치상돌기에서는 11번(2.7%) 확인되었다. 5㎜ 이상 dens의 위치오차가 발생한 경우를 방사선치료 계획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재현해 보았을 때, 임상표적체적의 선량조사 감소(V95: 100%→87.2%), 척수의 과도한 선량 조사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V45:<0.1%→12.6%). 결론: 뇌ㆍ두경부의 방사선조사 시에 전자조사문영상장치를 이용하여 일부 환자들에서 치상돌기 오차를 비교적 쉽게 발견할 수 있는데, 코(얼굴의 앞면) 부분이 잘 맞더라도 5 ㎜ 이상의 치상돌기 위치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겠다. Purpose: To assess the degree and clinical impact of location error of the dens on the X-axis during radiotherapy to brain and head and neck tumors. Materials and Methods: Twenty-one patients with brain tumors or head and neck tumors who received three-dimensional conformal radiation therapy or intensity-modulated radiation therapy from January 2009 to June 2010 were included in this study. In comparison two-dimensional verification portal images with initial simulation images, location error of the nasal septum and the dens on the X-axis was measured. The effect of set-up errors of the dens was simulated in the planning system and analyzed with physical dose parameters. Results: A total of 402 portal images were reviewed. The mean location error at the nasal septum was 0.16 ㎜ and at the dens was 0.33 ㎜ (absolute value). Location errors of more than 3 ㎜ were recorded in 43 cases (10.7%) at the nasal septum, compared to 133 cases (33.1%) at the dens. There was no case with a location error more than 5 ㎜ at the nasal septum, compared to 11 cases (2.7%) at the dens. In a dosimetric simulation, a location error more than 5 ㎜ at the dens could induce a reduction in the clinical target volume 1 coverage (V95: 100%→87.2%) and overdosing to a critical normal organ (Spinal cord V45: <0.1%→12.6%). Conclusion: In both brain and head and neck radiotherapy, a relatively larger set-up error was detected at the dens than the nasal septum when using an electronic portal imaging device. Consideration of the location error of the dens is necessary at the time of the precise radiation beam delivery in two-dimensional verification systems.

      • KCI등재

        위부분절제술 후 방사선치료에서 음식물 배출지연에 따른 영향

        김동현(Dong Hyun Kim),김원택(Won Taek Kim),이미란(Mi Ran Lee),기용간(Yong Gan Ki),남지호(Ji Ho Nam),박달(Dal Park),전호상(Ho Sang Jeon),전계록(Kye Rok Jeon),김동원(Dong Won K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9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7 No.4

        목 적: 위부분절제술 후 방사선치료를 받는 환자들 중에서 위 내 음식물의 배출지연으로 인한 위 용적 및 주변 장기 의 위치 변화와 이것의 임상적 의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3월 1일부터 2008년 12월 31일까지 위암으로 위부분절제술을 받은 후 보조적 동시항암화학 방사선치료를 받았던 총 32명의 환자들 중, 전산화단층촬영모의치료 영상에서 12시간 이상의 금식에도 불구하고 위 내 음식물이 50 ml 이상 남아 잔존 위의 팽대를 보였던 경우들이 이번 연구 대상이었다. 이 환자들에 대해 방사선치료 기간 동안 주기적으로 시행된 컴퓨터단층촬영 자료를 바탕으로 잔존 위 용적 및 주변 장기들의 위치 변화를 평가하였다. 또한 방사선치료 설계 자료를 바탕으로, 잔존 위 및 주변 장기들의 변화를 고려하지 않고 치료를 지속했을 경우의 치료 표적 및 정상조직의 방사선분포 변화를 알아보았다. 결 과: 총 5명의 전산화단층촬영모의치료 영상에서 배출장애에 의한 50 ml 이상의 위 내 음식물의 저류가 확인되었다. 대상 환자들에서 위 용적은 치료과정 중에 다양한 변화양상을 보였고, 각 환자에서 최대 64.2∼340.8 ml (평균,188.2 ml)의 변화를 보였다. 또한 위 용적에 따라 좌측 신장이 각 환자별 최대 0.7∼2.2 cm (평균, 1.2 cm)까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양상을 보였다. 모의치료 시의 설계를 위 용적의 변화에 따라 변경하지 않고 치료를 진행한 경우 유의하게 계획용표적체적(V43, 79.5±10.4%)에 조사선량이 부족하고 좌측 신장(V20, 34.1±12.1%; Mean dose, 23.5±8.3 Gy)에 과도한 선량이 조사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결 론: 위부분절제술 후 방사선치료를 받는 일부 환자에서 배출지연에 따른 위 용적의 변화와 좌측 신장의 위치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배출지연이 발생하는 환자를 선별하여 위 용적의 변화를 파악하고 이를 방사선치료 설계에 반영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is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changes in gastric volume and organ position as a result of delayed gastric emptying after a subtotal gastrectomy performed as part of the treatment of stomach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32 patients who underwent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after a subtotal gastrectomy from March 2005 to December 2008 were reviewed. Of these, 5 patients that had more than 50 cc of residual gastric food detected at computed tomography (CT) simulation, were retrospectively enrolled in this study. Gastric volume and organ location was measured from CT images obtained before radiotherapy, twice weekly. In addition, authors evaluated the change of radiation dose distribution to planning the target volume and normal organ in a constant radiation therapy plan regardless of gastric volume variation. Results: A variation in the gastric volume was observed during the radiotherapy period (64.2∼340.8 cc; mean, 188.2 cc). According to the change in gastric volume, the location of the left kidney was shifted up to 0.7 - 2.2 cm (mean, 1.2 cm) in the z-axis. Under-dose to planning target volume (V43, 79.5±10.4%) and over-dose to left kidney (V20, 34.1±12.1%; Mean dose, 23.5±8.3 Gy) was expected, given that gastric volume change due to delayed gastric emptying wasn’t taken into account. Conclusion: This study has shown that a great change in gastric volume and left kidney location may occur during the radiation therapy period following a subtotal gastrectomy, as a result of delayed gastric emptying. Detection of patients who experienced delayed gastric emptying and the application of gastric volume variation to radiation therapy planning will be very import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