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방정환의 동화론 「새로 開拓되는 童話에 關하야」에 대한 고찰 : 일본 타이쇼시대 동화이론과의 영향 관계

        이정현(Yi Jung-hyun)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08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3

        Bang Jung-hwan(1899-1931) is surely an indispensible writer when we look back on Korean Children’s Literature in 1920’s. Truly Bang Jung-hwan set up innumerous achievements. One of them was that he settled a genre called as a fairy tale in the modern age of Korea. In this sense this thesis will study on Bang Jung hwan’s theory of fairy tale, ‘About the Newly Developed Fairy Tale’. This thesis especially will contemplate on how Japanese writers, including theirfairy tale theory, their point of view on the fairy tale, and books about the theory of the fairy tale in Daishow Era, influenced on Bang Jung-hwan’s theory. Bang Jung-hwan went to Japan in 1920’s when children’s literatures in Japan blossomed most. In 1918 the magazine, ‘Akaitori’ was launched. From the year the fairy tale and children’s song movement as kind of Akaitori movement was in the period of the prosperity. It was the period all the magazines listing children’s song and fairy tales were sold well. Many works were written. And it proves studies on the children and fairy tales had become more active from Maysy. When Bang Jung-hwan wrote his theory, ‘About the Newly Developed Fairy Tale’, he was influenced by several Japanese writers and their works, which were Takagitosio’s Fairytale and Study(1916), Ogawa Mimei and Akita Wuzak’s theories about fairy tale in special July issue of Wasedabungaku in 1921, and Fairytale Study’s first edition 1922, 7) published in June of 1922.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se texts with Bang Jung-hwan’s writing style, it became obvious that Ewaya Sazanami’s Otogibanasi and Szki Miekichi’s fairy tale were fused in Bang Jung-hwan’s work. Also Bang Jung-hwan was influenced by Takaki Tosio’s text, Ogawa Mimei and Akita Wuzak’s theories about fairy tale, and the periodical, ‘Study on Fairytale’. Mimei said , “Fairytale is not for only children but for all the people who have innocent mind.” And Wuzak said, “adult and children in their whole life become one through only fairytale world and there difference between the soul of adult and that of children disappears. We should write about the childlike characters in mankind.” Bang Jung-hwan made these two Japanese writers’ point of view about fairytale fused in his writing and he created his own point of view. Bang Jung-hwan’s theory was most detail and it is important in that it shows Bang Jung-hwan’s thought and knowledge about fairytale. It is regrettable that it was necessary to be influenced by Japanese children’s literature. But it is more important that there exists Bang Jung-hwan’s own point of view. Moreover he created his own style with his affection on children and the influence of the Chundo religion insisting all the human are created equal.

      • KCI등재

        방정환의 번역동화 「호수의 여왕」에 대한 고찰

        이정현 ( Jung Hyun Yi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구 건국대학교 중원인문연구소) 2007 동화와 번역 Vol.13 No.-

        방정환은 1921년에 오스카 와일드의 동화 「행복한 왕자」를 번역, 발표한 이후 계속해서 동화를 번역하여 발표하게 된다. 1922년 7월에는 『사랑의 선물』을 간행함과 동시에 『개벽』 7월호와 9월호에 2회에 걸쳐 아나톨 프랑스의 작품 「호수의 여왕」을 번역하여 발표했다. 아나톨 프랑스의 작품 중에는 「호수의 여왕」이라는 제목의 작품이 존재하지 않지만, 이 제목과 동일한 제목의 작품이 아나톨 프랑스의 창작 동화로써 『세카이도우와호교쿠슈(世界童話寶玉集)』에 쿠스야마 마사오(楠山正雄)의 번역으로 실려 있다. 필자는 졸론 「방정환의 번역동화와 『모한가테이분코(模範家庭文庫)』에서 『사랑의 선물』의 다섯 번 째 동화 「한네레의 죽음」이 『세카이도우와호교쿠슈(世界童話寶玉集)』에 실려 있는 미즈타니 마사루(水谷勝)역 「한네레노 쇼우텐(ハンネレの昇天)」을 저본으로 해서 번역한 것에 대해 논했다. 방정환은 「호수의 여왕」에도 「한네레의 죽음」과 같이 일본어 저본에 실려 있는 3점의 삽화를 그대로 활용하고 있어, 「한네레의 죽음」의 번역에 연이어 「호수의 여왕」을 번역해 개벽에 실은 것으로 추측된다. 이 삽화는 모두 오카모토 키이치(岡本歸一)의 그림으로 졸론 「방정환의 번역동화와『킨노후네』」에서 논한 바 있으므로 본 논문에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본 논문은 쿠스야마역과 방정환역의 삽화의 비교 및 내용의 비교분석을 함으로써 쿠스야마역 「湖水の女王」을 방정환역의 저본임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이 작업을 통해서 근대 한국에의 아나톨 프랑스의 수용에 있어서의 근대 일본의 아동문학의 영향에 대해서 고찰함과 동시에 방정환의 번역의 특징에 대해서도 고찰하고자 했다. 이상의 목적으로 고찰한 결과, 방정환의 번역동화 「호수의 여왕」의 저본에 있어서 삽화의 일치, 그리고 내용 면에서도 완역에 가깝게 충실히 번역되어 있는 것 등의 근거로 쿠스야마 마사오역 「湖水の女王」가 그 저본으로 사용되었음을 확인했다. 그리고 필자는 쿠스야마가 사용한 저본이 아나톨 프랑스의 원작 "Abeille"가 아닌 앤드류 랑의 "The Story of Little King Loc"임도 확인했다. 방정환은 다만 쿠스야마가 제목까지 바꾸어 번역해 놓은 일본어역을 저본으로 번역을 했을 뿐이다. 내용면에서는 방정환이 1921년에 번역한 「왕자와 제비」를 결말 부분을 재화한 것과 1923년에 번역한 「성냥팔이 소녀」를 번역할 때 한국의 당시 상황을 고려해 번안한 것에 비해 등장 인물인 소인의 성격을 조금 바꾸어 묘사한 것을 제외하면 거의 완역에 가깝다. 그리고 문체의 면에서는 어린이를 생각하여 어린이들이 읽기 쉽게 전문을 한글로 표기하여 한자는 괄호 안에 넣어서 표기하는 등의 배려가 보인다. 이러한 특징은 이 작품 뿐 아니라 방정환의 동화에 전반적으로 보이는 특징으로 보이지만 이 작품에서도 그러한 특징이 눈에 띈다. 마지막으로 1920년대 초에 한국에 아나톨 프랑스의 이름과 그의 동화를 소개한 것에는 큰 의의가 있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After Bang Jung-hwan translated and announced Oscar Wilde`s fairy tale "The Happy Prince" in 1921, he started to translate more fairy tales frequently. Bang Jung-hwan published Gift of Love on July, 1922, translated and announced Anatole France`s work "Queen of the Lake" over two times in Gebyuk, July issue and September issue at once. Among Anatole France`s work, title that is "Queen of the Lake" does not exist. But this title has created by Kusuyama in Sekaidowahogyokusyu which is a translation of Anatole France`s original fairy tale. The writer discussed that Bang Jung-hwan`s translation of a fairy tale and the 5th story of "Gift of Love" in Mohankayeibunko` were the origin of Mizutani Masaru a part of "Hannere`s Ascension". It is conjectured that Bang Jung-hwan used the same three illustrations in "Queen of the Lake" as same as "Hannere`s death" which are from original Japanese work, After translation of "Hannere`s death" he translated "Queen of the Lake" then announced in Gebyuk. All these illustrations created by Okamoto Kiichi, and it have mentioned already in Bang Jung-hwan`s translation of a fairy tale and Kinnohune, so it`s not mention in main contents. Also, I wished to investigate about that investigate about Anatole France`s effect of modern age Japanese juvenile literature in accommodation to modern age Korea through this work and at the same time Bang Jung-hwan`s characteristic of translation. Results investigating by purpose of singularity, queen of Bang Jung-hwan`s translation of a fairy tale "Queen of the Lake" that was translated nearly faithfully into complete version, and contents of illustration by Kusuyama Masao "Queen of the Lake" is an origin of Bang Jung-hwan`s translation. And the writer confirmed Bang Jung-hwan used Andrew Lang`s "The Story of Little King Loc" as an origin not from Anatole France`s original work "Abeille". Bang Jung-hwan used original work for the translation, instead of using direct Japanese translation which Kusuyama translated. It is almost complete translation except the end part of "The Happy Prince" that Bang Jung-hwan translated in 1921 and "The Little Match Girl" that translated in 1923 which is considered the circumstance at that time of Korea and changed the personality of the part in that story. Also, used full text in Hangul readably and put all the Chinese characters inside of parenthesis for the children. Commonly these characteristics are seen by visible characteristics in Bang Jung-hwan`s animation as well as this work. Finally, we can evaluate that it was large sense to introduce Anatole France`s name and his fairy tales in Korea in early 1920s.

      • KCI등재

        김정은 시대 북한 지리교과서의 변화 방향과 내용구성 특징

        이상균 ( Saangkyun Yi ),권정화 ( Jung-hwa Kwon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7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5 No.3

        이 연구의 목적은 2013년에 개정된 북한 지리교육과정의 변화 방향과 내용구성 특징을 파악하는 것이다. 북한의 지리교육에 관한 연구는 90년대 초부터 꾸준하게 이루어졌는데, 최근에는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김정은 정권에 접어들어 북한에서는 학제개편, 교육과정 개정 등 대대적인 교육개혁이 이루어졌다. 2013년부터 2015년까지는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새로운 교과서가 개발·보급되었는데, 새로 개발된 교과서가 국내에 들어 온 것은 아주 최근의 일이다. 본 연구는 초급중학교 3년, 고급중학교 3년 등 총 6년간 배우는 교과서 중 고급중학교 2학년 교과서를 제외한 5개 교과서를 사례로 최근 북한 지리교육의 변화 양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교과서의 집필진이 대폭 보강되었으며, 머리말에는 지리학습의 방법과 절차에 관한 안내가 새롭게 포함되었다. 북한의 지리교과서는 대학교재 형식의 기존의 틀을 벗어나 천연색의 다양한 시각자료의 비중이 크게 증가하는 등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지향하고 있다. 학습내용은 전반적으로 계통지리의 형식으로 구성되었으며, 향토지리가 처음으로 도입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mprehend the direction of change and characteristic of content composition of geography curriculum in North Korea revised in 2013. Researches on geography education in North Korea were performed consistently since beginning of 1990s but it shows decreasing trend recently. After entering to the government of Jung-Eun Kim, broadscale education reform was made in North Korea including reorganization of school system, revision of school curriculum. From 2013 to 2015, new textbooks were developed and supplied according to revised school curriculum, and it is very latest work to bring newly developed textbook in the country. In this research, I would like to comprehend the change status of geography education in North Korea with the cases of 5 textbooks for total 6 years, junior middle school 3 years and high middle school 3 years, and except for textbook for the 2nd grade of high middle school. From the result of research, the writing staffs of textbook were drastically reinforced and, in the preface, guidance on the method and procedure of learning geography was newly included. Getting out of the frame of existing textbook in university textbook form, it aims the education focusing on learners such as increasing the ratio of natural color pictorial and various visual materials. Learning contents consist of Systematic geography overall, and Homeland geography was induced for the first time.

      • KCI등재

        조선화교의 중화요리점 연구 ― 1880년대~1920년대를 중심으로

        이정희 ( Yi Jung-hee ) 한국사회사학회 2017 사회와 역사 Vol.0 No.114

        본고는 조선화교 중화요리점의 역사와 실태에 관해 1880년대부터 1920년대까지의 시기를 중심으로 검토했다. 이 시기의 화교 중화요리점은 기존에 `중국인을 위한 중국음식`을 제공하는 단계로 규정하여 중화요리가 화교를 제외한 조선인 및 일본인 사이에 대중화되지 않았다는 것이 선행 연구의 주장이었다. 그러나 본고는 그것이 사실이 아니라는 것과 화교 중화요리점이 전국적으로 확산되어 크게 발전하고 있었다는 것을 분명히 밝혀냈다. 우선, 화교 중화요리점은 조선화교의 이주초기인 1880년대 이미 서울에 탄생했으며, 일제강점 이전의 개항기는 소규모의 중화요리음식점과 호떡집이 `중국인을 위한 중국음식`을 제공하는 것이 주를 이루었다. 하지만 1910년대와 1920년대 조선의 대일 쌀 수출의 증가로 인해 조선인의 소득이 증가하면서 인구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조선인과 통치자인 일본인의 중화요리에 대한 수요가 증가했다. 여기에 중화요리는 기본적으로 조선인의 입맛에 맞았을 뿐 아니라 하층민부터 상층민에 이르기까지 모두의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는 다양한 가격대의 음식을 갖추고 있었다. 화교 중화요리점은 서울과 인천을 비롯한 대도시뿐 아니라 화교 거주자가 거의 없는 각 군의 농촌지역까지 진출, 중화요리점 및 중화요리음식점이 1930년 10월 현재 1,635개소, 호떡집 1,139개소, 총 2,774개소에 달했다. 1920년대의 중화요리는 `중국인을 위한 중국 음식` 단계에서 `조선인·일본인과 중국인을 위한 중국 음식` 단계로 이행, 보다 대중화 되었다. 또한 각 중화요리점은 대체로 몇 명의 자본가와 노동력 제공자에 의한 합자조직으로 창업 되었으며, 노동력 제공자가 전문경영인으로서 독립경영활동을 함으로써 사업의 성공 확률을 높일 수 있었다. 1920년대 들어 서울을 비롯한 각 주요 도시에 화교 중화요리점의 동업조합이 결성되었다. 예를 들면, 서울에는 1921년 화교 중화요리점 및 중화요리음식점의 동업조합인 `중화민국요리점조합`이 결성되어 조합원의 친목 도모, 과당경쟁 방지, 업계의 질서 유지 등에 기여를 했다. 따라서 1910년대와 1920년대 화교 중화요리점의 급속한 발전은 중화요리의 대중화, 중화요리점의 독특한 합자조직, 그리고 화교 중화요리 동업조합의 결성에 의해 가능했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This paper analyzed the history and present situation of Chinese restaurant businesses based on the viewpoint of overseas Chinese in living modern Korea. With the Yi-Tai (怡泰) and Fu-Xing (福星) Chinese restaurants, which Cantonese owners have run since 1889 in Seoul, the opening of overseas Chinese restaurants date from the 1880s. The number of Chinese restaurants increased gradually in Seoul and Incheon after the 1880s. There were 50 places and 8 places of Chinese restaurant in Seoul and Incheon respectively. Chinese restaurants were largely categorized within three based distinctions based on their scale and food sell-type. A `Hottokjip` (호 떡집), was small-scale, often sold traditional Chinese bread and steamed buns, and typically run by one or two employers/ owners. The medium-scale restaurant sold Chinese wheat noodles, sweet and sour pork (탕수육), and stir-fried “glass noodles” (rice noodles), and vegetables (잡채). These were places where customers would often sit inside to dine as opposed to buying food for carry-out. The “Chinese food restaurant” (중화요리점) was a large-scale Chinese restaurant which sold high-class Cantonese and Beijing cuisine with 10 or 30 employee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Chinese restaurant in 1910s and 1920s, there were 2,774 such restaurants in various locations throughout Korea by 1930s. Chinese restaurants were largely concentrated in the Jong-Ro, Ulji-Ro, Taepyong-Ro, Manri-Tong, Chungmu-Ro, and Sogong-Tong districts. They gained popularity both with Koreans and Japanese diners. There were three main reasons for this rapid growth and development of Chinese restaurants. First, Chinese food restaurants had price flexibility that better reflected various food needs. Second, Chinese foods suited the Korean taste palette. And third, the overseas Chinese population increased, creating a higher demand for Chinese restaurants, while aiding in the growth of the modern Korean economy. Chinese restaurants were mostly organized through the General Partnership Companies, and their stockholders consisted of capital providers and managers. The restaurant`s management was exclusively entrusted in the manager, and each restaurant joined and organized the Association of Chinese Food Restaurant to deepen mutual friendship and maintain order in their business world.

      • SCOPUSKCI등재

        Insulin resistance mediates high-fat diet-induced pulmonary fibrosis and airway hyperresponsiveness through the TGF-β1 pathway

        Park, Yoon Hee,Oh, Eun Yi,Han, Heejae,Yang, Misuk,Park, Hye Jung,Park, Kyung Hee,Lee, Jae-Hyun,Park, Jung-Won Nature Publishing Group UK 2019 Experimental and molecular medicine Vol.51 No.5

        <▼1><P>Prior studies have reported the presence of lung fibrosis and enhanced airway hyperresponsiveness (AHR) in mice with high-fat-diet (HFD)-induced obesity. This study evaluated the role of TGF-β1 in HFD-induced AHR and lung fibrosis in a murine model. We generated HFD-induced obesity mice and performed glucose and insulin tolerance tests. HFD mice with or without ovalbumin sensitization and challenge were also treated with an anti-TGF-β1 neutralizing antibody. AHR to methacholine, inflammatory cells in the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BALF), and histological features were evaluated. Insulin was intranasally administered to normal diet (ND) mice, and in vitro insulin stimulation of BEAS-2b cells was performed. HFD-induced obesity mice had increased insulin resistance, enhanced AHR, peribronchial and perivascular fibrosis, and increased numbers of macrophages in the BALF. However, they did not have meaningful eosinophilic or neutrophilic inflammation in the lungs compared with ND mice. The HFD enhanced TGF-β1 expression in the bronchial epithelium, but we found no differences in the expression of interleukin (IL)−4 or IL-5 in lung homogenates. Administration of the anti-TGF-β1 antibody attenuated HFD-induced AHR and lung fibrosis. It also attenuated goblet cell hyperplasia, but did not affect the AHR and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induced by OVA challenge. The intranasal administration of insulin enhanced TGF-β1 expression in the bronchial epithelium and lung fibrosis. Stimulating BEAS-2b cells with insulin also increased TGF-β1 production by 24 h. We concluded that HFD-induced obesity-associated insulin resistance enhances TGF-β1 expression in the bronchial epithelium, which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lung fibrosis and AHR in obesity.</P></▼1><▼2><P><B>Obesity: A trigger for asthma onset</B></P><P>Insulin resistance may be an important causative factor underlying the increased risk of asthma and other respiratory issues in obese individuals. Obesity doubles the likelihood of developing asthma, with symptoms that are more difficult to control than in non-obese patients. The connection between these conditions is poorly understood, but researchers led by Jung-Won Park,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South Korea, have identified a potential mechanism. They demonstrated that a signaling molecule called TGF-β1 contributes to airway sensitivity and tissue scarring in a mouse model of diet-induced obesity. Subsequent experiments showed that treatment with insulin also gives rise to increased TGF-β1 production in the mouse lung. Since insulin resistance is a common feature of obesity, resulting in abnormally high levels of circulating insulin, this could also account for the increased risk of respiratory problems.</P></▼2>

      • KCI등재

        고려시기 동계 영역의 변동과 도호부의 이동

        이정기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3 한국민족문화 Vol.47 No.-

        This Study deals with the movement of Dohobu(都護府) on the changing of Donggye(東界) territory. We can check about the changing of Donggye territory during the Goryeo Dynasty. Also we can check about the movement of Dohobu, too. I think that these are direct correlation between the changing of Donggye territory and the movement of Dohobu. Donggye territory has been expanded with the local government system in 14th year of King Sungjong(成宗)'s reign and 9th year of King Heonjong(顯宗)'s reign. Also Donggye territory has been reduced owing to Yü․an. Because the Yü․an set up their office(Sangsungchongguanbu/雙城摠管府) in upper half of Donggye territory. But Donggye territory has been expanded in 5th year of King Gongmin (恭愍王)'s reign again. In short, Donggye territory was changed for four-steps. The Donggye's Dohobu moved along time with this four-steps, the moving path is Whaju(和州) →Dengju(登州) →Myungju(溟州) →Myungju+Jungju(定州). Each of Dohobu mean: Whaju means strategic point with military purpose, Dengju means an effective operation of expanded Donggye territory, Myungju means the best way for narrow Donggye territory, Myungju+Jungju means separated operation for Gangneungdo(江陵道) and sakbangdo(朔方道). The result implies that the Donggye was operated around Dohobu. The geographical features of Donggye is a range of territory running north and south, the feature is difficult to operate. So the Goryeo Dynasty tried to operation through the movement of Dohobu. As a result, this methods of operation offered a reasonable solution. 고려시기 東界는 北界와 함께 건국 후 영역을 확보하는 과정에서 영역의 변동이 확인되는 유일한 지역이다. 특히, 동계는 고려 초부터 영토를 확보해나가면서 성종 14년과 현종 9년의 지방제도 편제를 통해 영역이 설정되었으며, 이렇게 확정된 영역은 상당한 기간 동안 유지되었다. 이후 몽고의 침입과 원의 雙城摠管府 설치로 기존 동계 영역의 상부에 대한 관할권을 잃게 되었으며, 다시 공민왕이 雙城의 땅을 수복하고 새로운 땅을 개척하면서 기존 동계 영역뿐만 아니라 북쪽으로 꽤 넓은 영토를 확보하게 되었다. 이러한 영역의 변동과정과 함께 주목되는 것이 바로 都護府의 이동이다. 동계는 크게 4단계에 걸쳐 영역의 변동을 겪게 되는데, 이러한 변동 때마다 도호부의 이동과 설치가 이루어졌다. 성종 14년에 和州에 安邊都護府가 설치되었고, 현종 9년에 登州로 안변도호부가 이동하면서 이전 도호부의 치소였던 화주는 防禦使로 읍격이 조정되었다. 또한 쌍성총관부의 설치로 도호부가 있었던 두 곳이 모두 원의 관할 아래 들어가게 되자 그 하부를 중심으로 동계가 설정되고 원종 원년 溟州에 慶興都護府가 설치되었다. 경흥도호부는 공신 관향의 이유로 승격되었기 때문에 원종 9년 공신 취소와 함께 승격된 도호부도 취소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명주의 위상이나 이후 명주의 향방을 통해 봤을 때, 쌍성이 회복되기 이전까지 도호부로서의 위상을 유지했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쌍성을 회복하고 북쪽의 영토를 확보한 후 동계는 朔方道와 江陵道로 분리․운영되면서 강릉도에는 기존의 명주에, 삭방도에는 定州에 도호부가 설치되어 운영되었다. 이렇게 동계의 영역이 변동함에 따라 시기적으로 맞물려 도호부도 함께 이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동계의 중심부가 도호부였으며, 도호부를 중심으로 동계가 운영되었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암시하는 것이다. 또한 도호부의 이동을 통해 지형적인 결함을 가진 동계가 점차 합리적인 운영 형태를 갖게 되는 것을 보여준다. 구체적으로 각 도호부 설치의 목적을 통해 이러한 사실을 증명할 수 있다. 먼저 화주에 설치되었던 안변도호부는 초기 영토 확장의 결과물로, 군사적인 목적을 띠고 주요한 거점의 역할을 한 곳이다. 당시 화주는 영토 확장방향의 끝에 위치하여 국경의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두 번째 등주에 설치되었던 안변도호부는 이전보다 확대된 영토를 반영하면서 아래도 상당히 내려오게 된다. 이는 동계 하부인 바닷가를 따라 줄지어 있는 주진현에도 영향력이 미칠 수 있도록 한 조치인데, 효과적인 지방 지배를 위한 것이었다고 할 수 있다. 대신 지형적으로 도호부의 관할 범위가 일정한 거리를 둘 수 없었기 때문에 가장 합리적인 위치에 설정하면서, 동계 하부는 주․ 속현 체제로 이를 보완하였다. 세 번째 명주는 쌍성총관부를 제외한 동계에서 가장 합리적인 위치와 위상에 걸맞게 설치되었다. 기존에 비해 매우 좁아진 동계이지만, 가장 효과적인 지배 구조를 재구성하고자 하였고 이는 역시 도호부 중심의 운영 체계가 갖는 안정성을 담보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 정주는 삭방도와 강릉도로 분리․운영되는 상황에서 확대된 영역에 맞게 삭방도에 설치되고, 강릉도에는 명주가 도호부의 위상을 지속하게 되는 형태이다. 이는 동계의 지형적 단점과 넓어진 영역을 모두 고려하여 설정된 합리적인 조치로 생각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데이터 마이닝을 이용한 산업재해 예측모델에 관한 연구

        이관형,정호근,박정선 大韓産業醫學會 2000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2 No.4

        목적 : 우리나라 전체 산업재해의 발생패턴과 추이를 파악하구 미래시점에 발생할 수 있는 산업재해자수를 예측 개발하여 장단기 산업보건 예방정책을 수립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방법 : 예측모형에 사용된 자료는 1986년 1월부터 1999년 7월 까지 발생된 월별 누적 재해자수이며, 이 자료로부터 테이터 마이닝 기법을 사용하여 미래시점의 산업재해자 예측모델을 개발하였다. 결과 : 163개월 분의 산업재해 발생자료로부터 미래시점의 산업재해자수를 예측한 결과, Robust한 예측모형은 Winter∼method multiplicative in exponential smoothing로 예측력이 95%을 보였다. 산업재해 시도표를 탐색하면 전체적으로 산업재해자는 감소추세를 보이며, 순환주기를 1년으로 보면 2월과 9월이 가장 낮고, 6, 7, 10, 11월에 재해가 가장 많이 발생됨을 알 수 있었다. 월 평균 재해자 발생규모는 8,709명이다(95% CI;8277명, 9140명), 개발된 예측모형으로부터 1999년 8월 이후의 산업재해 발생자 규모를 보면, 1999년 12월과 2000년 1/4분기에 급격히 감소추세를 보이다가 2/4분기 시점을 정점으로 다시 재해자수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결론 : 개발된 윈터스 모형을 이용한 미래시점의 산업재해 월별 발생 예측치는 (Table 3)과 같다. 예측치를 보면 1999년 긴월에서 2000년 1월, 2월에 급격히 감소추세에서 2000년도 2/4분기에 다시 서서히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과거시점과 미래시점의 월별 산업재해 발생 실측치와 예측치 시도표는 Fig. 12와 같다. 또한 1998년에는 전반적인 발생추이 경향이 무너졌는데, 이는 한국 경제의 크나 큰 사건인 1997년 10월에 발표한 IMF에 의한 산업전반의 침체가 개입된 것으로 판단되며, 1999년에는 경기침체에서 벗어나 경제가 활성화 국면이 된다면 10월, 11월에는 이전보다 다소 재해자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추가적으로 발생된 월별 산업재해자수를 개발된 모델에 투입시키면서 검증과 평가를 통해모델을 정립할 계획이다. Objectives : This study is to see the transition and pattern of the industrial i울ureal worker, and to develop the prediction model. Methods : The data of the study are based on the samples from data-warehouse of Occupational Safety & Health Research Institute and are summed monthly from Jan 1986 to Dec 1999. This study data used data mart and Meta data from DW in KOSHA. The prediction model of the injured worker in Industry is designed by using a winters time series method after data preparing (i. e. sample, explore, modify) from DW. Results : Thls predicted model obtained Winters-method multiplicative in exponential smoothing among applied all models, after the tlme series (total 163 months). It showed that the prediction power was 95.5 %. Conclusions : In the process of exploring the data, totally the rate of industrial injureal workers reduced, and in the yearly circulation, in February and September the number is the lowest but in June, July, October and November the higher. The number of monthly average injureal workers is 8709 (95 % confidence interval 8277, 9140). From the developed prediction model, since Aug 1999 the industrial injureal worker reduced rapidly in Dec 1999 and first period of 2000. But In second period of 2000 the number of the injured workers is increasing. To conclude, as the total economic situation is becoming better in 2000 than In 1999, its is supposed that the injured workers will increase more than the predictive injured workers because of the increase of production rate and labor force.

      • 자기공명 현미영상용 Probe에 관한 연구

        이정한 건국대학교 의과학연구소 2001 건국의과학학술지 Vol.11 No.-

        A probe for MR (magnetic resonance) microscopy and MR microscopic imaging performed with the probe and 14.1 T commercial NMR spectroscopy system (Bruker DMX 600) are presented. A high sensitivity rf coil and strong gradient fields are essential for a micron resolution imaging. To obtain the high sensitivity and the strong gradient fields, a filling-factor-maximized rf coil of sub-mm diameter and a water-cooled small gradient coil are developed. The probe is formed using the rf coil and gradient coil set. By using the probe, microscopic MR images of a plant with 2 × 2 × 50 ㎛3 resolution, a wafer-filled phantom with 1.4 × 1.4 × 50 ㎛3 resolution, and a silicon micro structure with 1 × 1 × 50 ㎛3 resolution are obtained.

      • 피로를 유발하는 등속성 수축시와 회복기 혈중젖산 및 외측광근의 EMG Power Specturm 변화

        정정진,조현철,김기진,윤성원,오수일,홍관이,손태열 龍仁大學校 體育科學硏究所 1991 體育科學硏究論叢 Vol.1 No.1

        To examine the change of blood lactate concentration, EMG power spectrum, and Torque during fatiguing isokinetic contraction and recovery phrase, 6 sprinters performed maximal isokinetic knee extension at angular velocity of 3.14 rad.sec??(180°sec??) to 75% decreasing point (25%PT) using CybexⅡ system. In exercise phase,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decrement of peak EMG and median frequency and that of torque, and decrement of torque was greater than that of EMG . In recovery phase, EMG was restituded as normal value rapidly in a minute, but torque was restituded more slowly, and blood lactate concentration increased gradually from 50%PT to 3 minute after recovery.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muscle fatique due to decreasing of metabolic substrate and accumulation of metabolic products in peripheral site of muscle, and that inhibitory factors act neuromuscular junction in the end of exercise from rapid restitution of EMG in recovery phase.

      • 삼성 타워팰리스 구조시스템 평가

        이원호,현창국,강정호,노재천,조중현,송한범 대한건축학회 2003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23 No.1(구조계)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housing mobility behavior according to the income change and to predict the probability of upward and downward movements. A binary logit model was used with the data which were obtained by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in 1989. The sample size was 1620 households in Seou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upward movement probability in rental housing or in single housing was higher than that in owned housing or in apartment housing as household income increa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