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해수에 의한 부식속도 데이터 베이스의 구축과 이용에 관한 연구

        윤우생,한주철,박만호,송요승 한국항공대학교 1996 論文集 Vol.34 No.-

        해수분위기에서 부식속도에 관한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였다. 본 데이터 베이스 system 프로그램은 커다랗게 두가지의 기능을 가지고 있는데 한가지는 데이터를 입력하는 기능이며 다른 한가지는 검색기능이다. 각각의 기능들은 몇개의 필드로 구성 되어 있다. 데이터베이스의 주된 필드들은 record, key-no, material type, material common name, environmental condition, corrosion rate등이다. 이중 중요한 연결고리용 필드는 각 데이터 들의 key-no로 사용하였다. We construct the Data-Base about corrosion rate of metal material in the sea water. In Data-Base system program have mainly 2 functions, one is data-input mode, the other is search mode. Each mode enclose some fields. Main fields are compose of record, key-no, material type, material common name, environmental condition, corrosion rate. Relation field is key-no of each data.

      • KCI등재

        Improvement of Fire Resistance for Timber Framed Walls by Reinforcement of Heavy Timber Frame

        Park, Joo-Saeng,Hwang, Kweon-Hwan,Kim, Kwang-Mo Korea Furniture Society 2010 한국가구학회지 Vol.21 No.6

        본 연구에서는 두 개의 주요 구조부분으로 구성된 새로운 하이브리드 목조 벽체의 내화성능을 평가하였다. 수직하중을 전적으로 담당하는 기둥-보 형태의 기본 골조에 두 가지 형태의 벽체가 채워졌을 때 이 전체를 내력 벽체로 가정하고 그 내화성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하이브리드 벽체의 기본 개념은 뼈대를 갖는 전형적인 가구의 구조로부터 채용되었다. 기본이 되는 기둥-보 골조는 국산 낙엽송 소재로서, 기둥은 $180mm{\times}180mm$, 보는 $180mm{\times}240mm$ 단면의 부재가 사용되었다. 기둥-보 골조의 내부에 채워지는 벽체는 두 종류로서, 하나는 블러킹이 사용된 일반적인 경골목구조 벽체이고, 또 하나는 구조용 패널 사이에 스티로폼 단열재가 채워져 일체화된 구조를 이루는 구조용 단열 패널 벽체이다. 내화성능 시험에 사용된 모든 벽체는 2겹의 방화석고보드를 화염 노출면에 부착하였다. 모든 벽체는 우선 기둥-보 골조가 없는 상태에서 표준화염 조건에서 내화성능 시험을 수행하였고 다시 기둥-보 골조와 결합된 형태로 내화성능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에 적용된 화염조건은 KS F 2257의 조건을 적용하였고 시험 중 구조체 내부 각 부위의 온도변화도 측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기둥-보 골조의 보강이 목구조 벽체의 내화성능 향상에 상당히 기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Fire resistance of new hybrid timber framed wall systems was evaluated in this study. These wall systems are composed of two major structural parts. One part is a heavy timber frame part designed to take charge of whole vertical load using heavy timber post and beam, and the other is an infill wall structure, designed to take charge of whole horizontal load and to provide an established level of fire resistance. A basic concept of this hybrid wall is adopted from a typical furniture structure with frame. A timber post and beam frame is constructed with Japanese Larch solid timber post(180mm by 180mm) and beam(180mm by 240mm). As infill wall systems, two types of walls are applied. One is a typical light timber framed wall with solid blocking and another is a structural insulated panel wall, in which polystyrene insulation is filled between two structural panels to make single structure. For all tested walls, two layers of 12.5mm thick type-X gypsum boards are used on fire exposed side. Prior to tests for hybrid walls, only infill walls are tested without heavy timber frame. All fire resistance tests are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KS F 2257, and temperatures on several points within wall structure and unexposed wall surface are measured during fire tests. It is considered that the reinforcement of heavy timber frame is significantly efficient for improving the fire resistance of timber framed walls.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현장실험을 통한 목조바닥의 구성요소가 충격음 차단성능에 미치는 영향 평가

        박주생 ( Joo Saeng Park ),이상준 ( Sang Joon Lee ),김세종 ( Se Jong Kim ) 한국목재공학회 2012 목재공학 Vol.40 No.6

        바닥구조의 충격음 차단성능은 바닥의 구성요소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는데, 그중 목조 바닥구조의 경우 중량의 흡읍층과 바닥구조의 강성이 주요한 영향인자로 고려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시공된 목조 건축물에 대해서 현장 실험을 통해 바닥 구성요소가 충격음 차단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목조 바닥의 충격음 차단성능은 상대적으로 낮은 저주파수 대역에서의 음압레벨에 의해 전체적인 성능이 좌우되었으며, 흡읍층과 바닥구조의 강성 보강에 의해 저주파수 대역 음압레벨을 감소시켜 충격음 차단성능을 향상시킴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바닥난방을 위해 설치되는 시멘트 몰탈층과 같은 충격음 흡수층과 원래 경간의 중간 지점에 보를 설치하여 장선 경간을 줄여줌으로써 목조 바닥의 강성을 증가시킨 경우에 중량 충격음 차단성능이 크게 향상되었다. Constituents of timber framed floor affect the insulation performance against impact sound significantly. Among them, installation of massive sound absorbing layer and reinforcemeng of stiffeness of timber floor have been considered as major factors that improve the insulation performance against impact sound. Researches on evaluating the effect of floor constitutions have been carried out through the field measurements for timber framed buildings in Korea. It is concluded that the impact sound pressure level at the relatively lower frequency governs the overall insulation performance, and can be omproved by the installation of sound absorbing layer and reinforcement of floor stiffness. Especially, the insulation performance against heavy impact sound was improved significantly when the massive cement mortar layer for floor heating system was installed and the stiffness was reinforced by shortening the joist span using additional beam at the mid-position of original span.

      • 대형요소의 기계적 접합법을 이용한 공학목재 개발

        박주생(Joo-saeng Park),심국보(Kug-bo Shim),김광모(Kwang-mo Kim),박문재(Moon-jae Park),조성택(Sung-taig Cho),김외정(Wae-jung Kim) 한국산림바이오에너지학회 2006 산림바이오에너지 Vol.25 No.2

        본 연구에서는 국산 중소경재를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재 수율이 높은 대형요소를 이용하여 구조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공학목재를 개발하였다. 중소경 원목으로부터 생산된 상대적으로 큰 단면의 Flitch재를 이용하여 세 가지 기계적 접합방법을 적용한 구조용 대단면 공학목재를 개발하고 휨시험을 통해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개별 요소를 접합하기 위한 기계적 접합방법으로는 강철 볼트와 목재 다우얼, 철제 래그 볼트가 각각 검토되었다. 개발된 공학목재의 휨성능을 평가한 결과, 강철 볼트를 적용한 경우에 MOR은 평균 514㎏f/㎠, MOE는 129,000㎏f/㎠로 대표적인 구조용 공학목재인 집성재에 비해 조금 낮거나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목재 다우얼과 철제 래그 볼트를 적용한 경우에는 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층재가 분리되어 개별적으로 하중에 저항함으로써 MOR과 MOE 모두가 절반정도로 감소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대형요소의 기계적 접합으로 제조되는 공학목재의 휨성능은 개별 요소의 접합 성능에 의해 가장 크게 영향 받음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study, new engineered woods, which can be used as structural members, are developed using three different mechanical jointing methods with large elements produced from logs in a high yield. Flitches of relatively large cross-section are produced from small or medium diameter logs, and are joined with steel bolts, wood dowesl and steel lag bolts. Static bending tests are performed for these three types of built-up beams. Built-up beams joined with steel bolts show 514㎏f/㎠ for MOR and 129,000㎏f/㎠ for MOE, which are close to those of typical structural glulams. In case that wood dowels and steel lag bolts are used, elements are isolated as load increases and resists the applied load individually. Therefore, built-up beams joined with wood dowels or steel lag bolts show almost half of steel bolts for both MOE and MOR.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indicated that bending properties of engineered woods manufactured using mechanical jointing methods with large elements are influenced mainly by jointing performance between each elements.

      • KCI등재

        기둥-보 뼈대구조를 위한 각부 접합부의 모멘트저항성능

        박주생 ( Joo Saeng Park ),황권환 ( Kweon Hwan Hwang ) 한국목재공학회 2011 목재공학 Vol.39 No.1

        한국 전통 목구조양식에서 뼈대구조인 기둥-보 접합부를 이용하여 현대적인 기법을 적용한 목구조 접합을 개발하기 위하여 낙엽송 집성재를 구조부재로 사용하였다. 집성재를 이용한 전통 접합기술과 드리프트핀 접합으로 구성된 접합부의 부재는 공장에서 프리커트에 의해 가공하였다. 뼈대구조의 전체 성능을 파악하고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핀접합부의 인발내력 시험과 각 접합부의 모멘트저항 시험을 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기둥-보 부재는 본 연구에서 사용된 주각부 및 보단부 접합철물로 이루어진 접합부에서 우수한 모멘트저항 성능을 발휘하였다. 핀의 세장비에 따라 초기강성은 세장비가 클수록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모멘트저항성능인 휨모멘트와 최대모멘트는 세장비가 작을수록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Japanese larch glulam was used as structural members to develop a modern engineered wood jointing system using traditional post and beam structure. For the connections comprised of traditional joining and drift-pins, structural members are processed at a pre-cut factory. As a basic study to examine and increase the whole shear performance of portal frame, pin withdrawal test and moment resistance tests were conducted on each connection. The post and beam members with specified connectors showed good bearing performance in the wood members` joining system, column-base and beam-end. Moment rigidity was a bit better in a joint with higher slenderness ratio of drift-pin, but moment resistance performances, yield moment and maximum moment, were excellent in smaller o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