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Blue light effect on retinal pigment epithelial cells by display devices

        Moon, Jiyoung,Yun, Jieun,Yoon, Yeo Dae,Park, Sang-Il,Seo, Young-Jun,Park, Won-Sang,Chu, Hye Yong,Park, Keun Hong,Lee, Myung Yeol,Lee, Chang Woo,Oh, Soo Jin,Kwak, Young-Shin,Jang, Young Pyo,Kang, Jong Oxford University Press 2017 Integrative biology Vol.9 No.5

        <P>Blue light has high photochemical energy and induces cell apoptosis in retinal pigment epithelial cells. Due to its phototoxicity, retinal hazard by blue light stimulation has been well demonstrated using high intensity light sources. However, it has not been studied whether blue light in the displays, emitting low intensity light, such as those used in today's smartphones, monitors, and TVs, also causes apoptosis in retinal pigment epithelial cells. We attempted to examine the blue light effect on human adult retinal epithelial cells using display devices with different blue light wavelength ranges, the peaks of which specifically appear at 449 nm, 458 nm, and 470 nm. When blue light was illuminated on A2E-loaded ARPE-19 cells using these displays, the display with a blue light peak at a shorter wavelength resulted in an increased produc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Moreover, the reduction of cell viability and induction of caspase-3/7 activity were more evident in A2E-loaded ARPE-19 cells after illumination by the display with a blue light peak at a shorter wavelength, especially at 449 nm. Additionally, white light was tested to examine the effect of blue light in a mixed color illumination with red and green lights.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btained using only blue light, white light illuminated by display devices with a blue light peak at a shorter wavelength also triggered increased cell death and apoptosis compared to that illuminated by display devices with a blue light peak at longer wavelength. These results show that even at the low intensity utilized in the display devices, blue light can induce ROS production and apoptosis in retinal cells. Our results also suggest that the blue light hazard of display devices might be highly reduced if the display devices contain less short wavelength blue light.</P>

      • KCI등재후보

        한국의 민주화와 자유주의 - 자유주의적 민주화 전망의 의미와 한계

        문지영(Moon Jiyoung) 한국사회조사연구소 2006 사회연구 Vol.- No.11

          이 연구의 목적은 자유주의에 초점을 맞추어 한국의 민주화 과정을 재조명함으로써 민주화 이후 전개되고 있는 ‘자유’민주주의를 평가하고 그 바람직한 발전 전망을 모색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보고자 하는 데 있다. 민주화 이후 한국 사회가 경험하고 있는 민주주의는, 긍정적으로 여겨지든 부정적으로 여겨지든, 이승만 정권 이래의 지난한 민주화여정의 성과이자 그것이 도달한 목적지임에 분명하다. 그러므로 한국 민주주의에 대한 평가나 전망은 순전히 어떤 이론틀을 적용하거나 다른 나라의 경험들과 견주어서만 이루어질 수 없으며, 민주화 과정에 대한 성찰, 회고가 필수적으로 동반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이 연구는 자유주의적 민주화 전망의 의미와 한계를 짚어보고, 그로부터 민주화 이후 한국 민주주의의 위기에 대한 진단과 그 해법을 찾아보고자 한다. 역사적으로 조망해 볼 때, 한국의 민주화 과정에서 자유주의의 기여는 ‘헌정주의의 제도화’로 요약될 수 있다. 통념과 달리 그것은 친일ㆍ극우반공주의와 구별되며 오히려 민족주의적 색채를 강하게 띠었고, 민족의 실체를 민중으로 파악함으로써 자유주의적 민주화 전망은 민중지향성을 강하게 드러내기도 했다. 또한 노동권과 기층민중의 생존권, 궁극적으로 인권에 대한 관심과 옹호도 애초에 자유주의적 문제의식의 발로였으며, 그 점에서 역시 민주화 과정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물론 지난 민주화 과정에서 자유주의적 전망은 극우 반공주의와 타협하고, 제3세계적 상황이나 자본주의적 모순구조에 대한 총체적 인식을 결여한 채 정치적 해법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등의 한계를 드러내었다. 그러나 한국 사회의 진보를 위한 대안 이념을 한국의 역사적 맥락 속에서 찾는 것이 바람직하다면, 자유민주주의의 제도화를 위한 지난 여정 속에서 축적된 경험은 여전히 유효하다고 본다. 헌정주의의 확립 및 관철이라는 절차적ㆍ형식적 측면과 자유 및 권리 이념의 공평하고 실질적인 향유라는 내용적 측면이 적절하게 결합된 자유민주주의 모델이야말로 지난 역사적 경험으로부터 확보할 수 있고 확보해야 할 대안적 전망일 것이다.   This study purports to re-illuminate the process of democratization in Korea focusing on liberalism, and to search for some theoretical bases on which we can evaluate the development of the "liberal" democracy after democratization in 1987 and investigate its desirable model. Democracy after democratization is inevitably the product and the final phase of Koreans" long and difficult journey for establishing democracy. It being so, the evaluation and prospect on Korean democracy cannot be adequately and sufficiently made if we are content with just applying some theoretical frames concerning democratization to Koreans" experience and comparing it with that of other societies. That project should involve the retrospect and examination on the process of democratization with a new viewpoint.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contribution of liberalism to democratization can be summarized as "the institutionalization of constitutionalism". 2) Liberalism as an ideology of democratization in Korea was different from a pro-Japanese and ultra-rightist ideology, combined with nationalism, and had a close affinity with a claim for justice of distribution, welfare, the right to live of workers, and human rights. 3) The experience accumulated passing through the process of democratization gives us an affluent insights to overcome the current crisis of democracy and to develop a desirable model of it. From the experience we can find and present a model of liberal democracy, which is the establishment of constitutionalism as a procedural side of democracy and the general extension and enjoyment of individual right and liberty as a substantial side of democracy combined.

      • KCI등재

        한국의 민주화와 ‘정의’ 담론

        문지영(Moon Jiyoung) 한국정치사상학회 2007 정치사상연구 Vol.13 No.2

        이 연구는 민주화 이후 한국 민주주의의 ‘발전’을 가늠할 하나의 지표로서 정의의 문제를 제기하고 그에 관한 논의의 터를 닦기 위한 시도이다. 지금까지 한국의 민주화와 민주주의의 발전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문제 영역에서 폭넓게 진행되어왔다. 그러나 민주화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과정으로서의 한국 정치사가 정의의 이념에 비추어 볼 때 어떻게 평가될수 있는지, 나아가 한국 정치사에서 정의는 어떻게 이해되어왔으며 무엇으로 규정될 수 있는지를 천착한 연구는 극히 드물다. 플라톤 이래 서양에서 ‘정의’가 중요한 정치철학적 주제였고 또한 정치의 최고 목적으로 지정되었다는 점에서, 한국 정치사에서의 ‘정의’에 대한 학문적 관심과 논의의 빈곤은 주목을 요하는 현상이라 하겠다. 이 연구에서 필자는 민주화 과정에서 제기된 ‘정의’에 대한 인식과 ‘정의’를 위한 문제제기의 다양한 양상을 살펴보고, 그것이 민주주의와 어떤 관련을 맺어왔는지 탐색하는 데 일차적인 목적을 둔다. 이 연구에 따르면, 지배담론과 저항담론에서 정의는 당연한 정세와 정치적 목적에 따라 상이하게 규정되며, 역대 헌법의 정의 규정은 ‘균등’에 대한 전통적 가치와 함께 지배담론 대 저항담론의 역관계를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민주화 과정에서는 정의’가 대체로 ‘민주주의의 회복’과 동일시되는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민주화 이후 한국의 현실은 민주주의와 정의의 개념적, 실천적 차이 혹은 구별을 목격하게 하고 있으며, 정의와 불의의 전선 역시 좀 더 복잡하게 형성되고 있다. 이로써 필지는 이 연구를 통해 민주주의의 ‘발전’을 이끌 한국적 정의론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했다. This study tries to understand Korean democratization process in connection with the idea of justice. Up to now the studies of democratization and of the development of democracy thereafter have been widely performed in various areas. But we can hardly find the studies exploring the questions how Korean political history as a developmental process of democratization can be estimated in terms of the idea of justice, and how justice has been, and can be, understood in Korea. The poverty of academic discussions on justice in Korean society is very interesting and significant in comparison with the West in which since Plato justice has been one of the most important topics in political philosophy, being, at the same time, acknowledged as a primary political aim. In this article I consider various aspects of the conception of justice by concentrating upon discourses on justice, and further examine how justice has been related to democracy in Korean democratization process. This study reveals that the definition of justice in the dominant discourse was different from, and conflicting With, that in the resistant discourse, according as political situations. And the conceptions of justice embedded in successive Constitutions respect traditional value of 'equality', while reflecting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the dominant and resistant discourses. But we can observe that justice has been largely identified with (the recovery of) democracy in the democratization process. In Korean society after democratization, however, justice seems to be conceptually and practically different from democracy, and the border-line between justice and injustice is likely to be drawn in a more complicated way than before. Therefore through this article I suggest that Korean society needs develop its own discourse on justice which can guide the development of Korean democracy.

      • KCI우수등재

        한국의 근대국가 형성과 자유주의

        문지영(Jiyoung Moon) 한국정치학회 2005 한국정치학회보 Vol.39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해방 이후 근대국가 수립 과정을 민주화의 ‘기원’이라는 관점에서 조명하고, 그로부터 한국 민주주의의 성격과 전망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끌어내려는 데 있다. 한국에서 민주화를, 단순히 ‘권위주의 독재에서 민주주의로의 이행과정’이 아니라, 좀 더 포괄적으로 ‘민주주의가 형성되기까지의 과정’이라고 본다면, 1948년 대한민국 수립의 의미와 민주화이념으로서 자유주의에 대해 사뭇 다른 평가가 내려질 수 있다. 무엇보다 이 연구는 초기 자유주의 수용론 이래 전투적 민족주의와 결합하여 식민지시기를 거치고, 해방 공간에서 근대적 자유민주주의국가 수립을 우선 과제로 선택함으로써 단정에 참여했던 ‘자유주의적 민족주의’ 세력에 주목했다. 이들에 의해 근대국가 형성과정에서 지지, 지향된 자유주의는 서구의 경우에서처럼 부르주아 계급 이념의 성격을 띤 것으로 보기 어려우며, 친일ㆍ극우반공주의와도 구별되는 것이었다. 1948년 대한민국 정부수립은 19세기말 조선 근대화를 위한 자생적인 노력이 시도된 이후 일제 강점으로 인해 한동안 유보되었던 근대국가 형성의 과제가 불완전한 형태로나마 해결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그것은 근대적 자유민주주의국가 건설로서의 민주화가 도달한 최종 국면이었다. 그런 만큼 1948년 시점에서의 자유민주주의 제도화는 마침내 한국에 형성된 민주주의의 성격을 드러내는 것이며, 이후 반독재ㆍ반권위주의 투쟁으로서의 민주화 전개와도 깊은 관련을 맺는다는 점에서 중요하게 고려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lluminate the process of modern state building in Korea in terms of the origin of democratization and to give a new interpretation on the characteristics and the prospects of democracy in Korea. If we define democratization in Korea not merely as a transitional process from authoritarian dictatorship to democracy, but as a formational process of democracy, the significance of establishment Republic of Korea in 1948 and liberalism as an ideology of democratization can be understood from a different angle. This study focuses on the forces of 'liberal nationalism', which joined together the forces of militant nationalism throughout the colonial period and participated in the single government movement in 1948 with the belief that the establishment of a modern liberal democratic state was more urgent and important than that of a unified state.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forces, liberalism which they sought and supported in the process of modem state building was neither an ideology of bourgeoisie as it was in the Western societies, nor a pro-Japanese or an ultra-rightist ideology. Though imperfect, the establishment of Republic of Korea in 1948 was the final phase of a hard and long journey for modern liberal democratic state building. In other words, it implies a limited accomplishment in building a modern state, which had been impeded for a while by the rule of Japan that followed series of spontaneous efforts to modernize Chosun. This democratization as a process of modern state building has developed democracy as an idea against dictatorship and authoritarianism since Syngman Rhee's regim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making liberal characteristics of democracy in Korea clear and presenting a desirable model of it by examining the first institutionalization of liberal democracy, i.e., democratization as a process of modern state building.

      • KCI등재
      • KCI등재

        자유주의와 근대 민주주의 국가

        문지영(Jiyoung Moon) 한국정치학회 2011 한국정치학회보 Vol.45 No.1

        자유주의의 발전은 명예혁명의 역사적 맥락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명예혁명을 거친 후 영국은 전통적·절대주의적 국가에서 입헌주의와 의회민주주의를 주요 원리로 하는 근대 국민국가로 변화해가기 시작했고, 자유주의는 바로 그 과정에서 발전하여 혁명을 지지하고 정당화하며 나아가 그 성과의 확산에 기여했다. 오늘날 자유주의의 이념적 특징이 곧잘 국가를 필요악 정도로 간주하고 개인의 권리와 시장의 자율성을 절대 가치로 신봉함으로써 공동체의 약화를 가져오는 것으로 이야기되는 것과는 달리, 초기 발전 과정에서 자유주의는 영국의 근대 국민국가 형성을 뒷받침한 이념적 기반을 제공했다. 영국 이외에도 근대 민주주의를 앞서서 발전시킨 서구 국가들은, 그 정도나 범위의 차이는 있을지언정, 자유주의의 유산을 공유하고 있으며, 이 점에서 자유주의는 다른 어떤 이념보다도 근대 민주주의 국가와 긴밀한 관계를 맺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이 연구는 자유주의를 명예혁명의 역사적 맥락 속에서 들여다봄으로써 그 사상적 특성과 의의를 재조명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명예혁명에 관한 주요 해석들을 간략히 고찰하면서 혁명의 역사적 맥락을 이해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이를 통해 명예혁명을 추동한 쟁점들을 짚어보고, 애초에 자유주의적인 문제의식이 어떤 현실적 과제와 대면하는 가운데 발전해갔는지 밝혔다. 명예혁명의 맥락에서 부각된 과제들에 대한 자유주의적 대응의 특징은 로크의『통치론』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이 연구는 명예혁명의 정치사상이라는 견지에서 자유주의가 근대 민주주의 국가의 형성에 끼친 영향을 평가하고, 근대 국가 이념으로서 자유주의의 특성을 조명했다. 궁극적으로 이 연구는 민주주의의 좀 더 민주적인 발전이라는 과제를 마주한 현재의 한국 사회에서 자유주의가 그런 민주주의의 발전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을지 시사점을 찾고자 했다. The development of liberalism is closely related to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Glorious Revolution. With the success of the Revolution, England was gradually changed from a despotic and absolutist monarchy into a modern state based on constitutionalism and parliamentary democracy. Liberalism developed in the course of the Revolution, supporting and legitimating it, and played a role to popularize fruits of the Revolution. In its earlier developmental stage, liberalism served as an ideological basis for the modern state building of England, while these days it is often said to be a political idea which considers a state as just a necessary evil, and individual rights and the autonomy of market as an absolute principle, and thereby leads to the weakness of the state. Besides England, many other Western democratic states shared the legacy of liberalism, and in that respect we can say that liberalism was deeply involved in the development of modern states more than any other political ideas. With this in mind I examine the significance of liberalism by placing and seeing it in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Glorious Revolution. Through this study I search for some insights for the possible role of liberalism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democracy toward a more democratic one.

      • KCI등재

        한국에서의 자유주의와 자유주의 연구

        문지영(Jiyoung Moon) 한국정치학회 2004 한국정치학회보 Vol.38 No.2

        1980년대 말 이후 탈냉전의 세계 조류가 국내에 몰고 온 흥미로운 변화 중 하나는 ‘자유주의’에 대한 관심이라고 할 수 있다. 오늘날 자유주의는 다양한 측면에서 논의를 이끌어내는 주제로 자리잡고 있다. 그러나 문제는, 자유주의에 관한 논의들에서 그 기초가 되는 자유주의에 대한 이해가 대개의 경우 한국의 현실적 맥락과 무관하게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즉 한국에서 자유주의는 정치사회적 특성과 그 연구 연륜의 일천함을 반영하며 많은 경우 아직도 일정한 고정관념에 따라 무반성적으로, 또 때로는 서구중심적 기준에 치우쳐 정의되고 평가되는 경향이 있다. 그 결과 정작 ‘한국’에서 전개된 자유주의에 관해서는 적절한 설명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다시 말해 한국에서 자유주의가 어떤 특성을 드러내며 어떻게 전개되어왔고 또 어떤 기능을 수행했는지 등의 문제는 아직 체계적으로 제기되거나 탐구되지 못한 채 있다. 이 연구는 그간 한국 사회에서 자유주의에 대해 익숙하게 내려져온 평가들을 몇 가지로 요약하고 그러한 평가들이 갖는 문제점을 지적함으로써 자유주의를 보는 ‘새로운’ 시각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우선 이 연구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있는 한국 사회에서의 통념적인 자유주의 이해 및 자유주의 연구 경향은 다음 세 가지로 요약된다: “한국에서 자유(민주)주의는 미국에 의해 ‘이식’되었다”. “한국에서 자유주의는 민주주의에 적대적인 부르주아 계급 이념이다”, “한국에서 자유민주주의는 절차적ㆍ형식적 민주주의로 축소되어왔다.” 그리고 한국 자유주의의 역사적 성격을 적절히 파악하고 평가할 수 있는 대안적 시각의 가능성을 자유주의 ‘이념’과 ‘제도’, 자유주의의 전개 양상, 자유주의 연구의 텍스트라는 세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Since 1980s one of the interesting changes which Korea have experienc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global trend of post-cold war is an increasing interest on ‘liberalism’. These days liberalism is rising to the surface as a subject of controversy in the diverse areas. But in most cases the understanding and discussions on liberalism still seems to lack any connection with realistic contexts of Korea. In other words, liberalism in Korea tends to be defined and appraised by some theoretic presuppositions, e.g.a Euro-centric standard. In consequence we have some difficulties in finding proper explanations on liberalism which has developed in ‘Korea’. With this in mind, I think following questions should be raised seriously and investigated systematically: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liberalism in Korea? how has it developed? and what role has it played? In this paper I object against three theses which lack understanding on liberalism itself and fail to be historical and reflected study on liberalism in Korea: 1) “liberalism in Korea was ‘transplanted’ by USA”, 2) “liberalism in Korea is an ideology of the bourgeoisie opposing democracy”, 3) “liberalism in Korea has been shrunk as procedural or formal democracy.” And the possibility of a ‘new’ perspective which can produce a proper explanation and appraisal on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liberalism will be searched in three sides: 1) the ‘idea’ and ‘institution’ of liberalism, 2) developmental phases of liberalism, 3) the texts for study on liberalism.

      • KCI등재후보

        ‘자유’의 자유주의적 맥락

        문지영(Moon Jiyoung) 한국정치사상학회 2004 정치사상연구 Vol.10 No.1

        이 논문은 존 로크(John Locke)의 사상에 나타나는 자유 개념의 내용과 함축을 살펴봄으로써 자유주의적 자유를 적절히 이해하고 평가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로크의 자유 개념은 이성적 존재로서의 인간관 및 종교적 세계관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로크의 관점에서 진정으로 자유로운 인간이란 그 자신의 이성에 의해 인도되는 인간이며 그러한 이성의 능력은 영원한 구원을 찾고 얻을 수 있도록 신이 인간에게 부여한 존재 원리이자 본성이다. 이렇듯 이성이 인간의 본성으로 인식됨에 따라 그는 자유를 인간의 보편적 속성으로 규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로크는 자연적 자유도 사회상태의 자유도 모두 ‘법(률)’과 연관 지움으로써 이른바 ‘멋대로 자유’와 자신이 옹호하는 자유를 단호히 구분했다. 게다가 그에게서는 자유가 권리이자 동시에 의무로 인식되었다. 신의 피조물로서 신에 대해 의무를 지며 신의 뜻을 좇아 영원한 구원에 이르러야 하는 인간이 권리에만 탐닉하며 ‘멋대로 자유’를 누릴 수는 없는 것이 당연하다. 그리고 이러한 맥락에서 로크는 자유를 ‘좋음으로 향하는 능력 혹은 경향’으로 간주하였다. 이렇게 볼 때, 로크에서 출발하는 자유주의적 전통의 자유는 단순히 외부적 간섭의 부재를 의미하는 소극적 자유로 규정되거나 무차별적이고 다양한 선택지의 문제로 치부될 수 없으며 ‘인간이 자신의 일차적 욕망을 마음껏 추구할 수 있는 상태’는 더더욱 아니다. 그것은 올바른 것을 할 자유일 뿐만 아니라 그 올바름에 대한 판단이 각 개인 스스로에 의해 내려진 결론이어야 한다는 의미에서의 자유이다. 자유에 대한 로크의 인식은 부분적으로 불명료한 점이 있고, 이후 자유주의의 발전 과정에서 확대 강화되어 나타날 몇몇 문제점들을 다분히 노정한 것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로크적 자유의 핵심이 스스로 올바른 것을 판단, 선택하고 행하는 인간의 능력 또는 상태로 요약될 만한 것이라는 점은 인정되어야 한다, 로크와 자유주의 사상에 대한 공정하고 정확한 평가는 그러한 바탕 위에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ppreciate and evaluate the liberalist liberty by examining the contents and implications of John Locke's conception of liberty. In my opinion his conception of liberty is closely connected with his conception of man as rational being and his religious world-view. From his point of view a genuinely free man is a man who is guided by his own reason, and that power of reason is the principle of his being and the nature which God gives him in order for him to seek and find eternal salvation. This conception of reason enables him to define liberty as universal essence of man. By connecting both natural freedom and social freedom with ‘law’, Locke distinguishes his own concept of liberty from ‘liberty at one's convenience’. Moreover, for him liberty is taken to be obligation as well as right. It is natural that man, who as a creature of God has obligation to him and should follow his will and reach eternal salvation, cannot just indulge in right and enjoy 'liberty at his convenience'. In this context Locke considers liberty as ‘a power or disposition towards goodness’. This taken into account, liberty in liberalist tradition from Locke cannot be understood just as negative freedom (which means the absence of external intervention) or as the situation of choice from various indifferent alternatives, still less as ‘the condition in which man can pursuit his basic appetites to his satisfaction’. It is rather freedom to do right things, and the judgement about rightness here should be made by each individual independently. Of course, Locke's conception of liberty contains in part some unclear aspects and some problems which are to emerge enlarged later in developmental process of liberalism. But it should be acknowledged that the core essence of Locke's liberty is man's power or condition to judge, choose and do right things on his own. It is only on this basis that the fair and fitting evaluation of Locke's liberalist thought can be ma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