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례 분석을 통한 캐릭터의 법적 보호 방법에 관한 고찰 -카카오와 라인을 중심으로-

        서지원 ( Seo¸ Jiwon ),김이진 ( Kim¸ Lee Ji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4

        캐릭터 디자이너에게 창작물에 대한 법적 보호는 중요하다. 캐릭터의 보호에 관한 기존 연구들은 실무적인 질문에 대하여 답을 얻기에는 다소 추상적이다. 본고에서는 캐릭터 디자이너에게 실무상 효율적으로 자신의 캐릭터에 대한 보호를 추구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캐릭터를 보호하기 위한 법률을 살펴보았다. 이어서 현재 상업적으로 성공한 캐릭터의 대표적 사례로 볼 수 있는 카카오와 라인의 캐릭터를 연구 대상 사례로 선정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캐릭터를 보호하기 위한 법률에는 크게 저작권법과 산업재산권 관련법인 상표법, 디자인보호법이 있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저작권법과 상표법, 디자인보호법이 캐릭터의 어느 면을 보호하는지를 간략히 소개하였다. 그리고 저작권법, 상표법, 디자인보호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카카오와 라인의 캐릭터에 대한 저작권, 상표권, 디자인권 세부 사항을 분석하고 그 내용을 소개하였다. 1)저작권의 경우, 카카오는 모든 캐릭터에 대해 저작권을 등록하였고, 라인은 두 번째 공개한 BT21은 저작권 등록을 했지만, 첫 번째 공개 캐릭터인 라인 프렌즈에서는 저작권 등록에 소극적이었다. 2)상표권은 상표 형태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는데, 본고에서는 캐릭터와 관련된 상표로 문자상표, 도형상표, 도형복합상표를 다루었다. 카카오는 첫 번째 캐릭터인 카카오 프렌즈에서는 상표 획득에 시행착오를 겪은 것으로 보이지만, 두 번째 캐릭터인 니니즈에서는 모든 캐릭터에 대해 문자상표와 도형상표를 획득하였다. 라인은 저작권 뿐 아니라 문자상표, 도형상표 출원에도 소극적인 모습을 보였지만, 모든 캐릭터에 대해 도형복합상표를 등록하였다. 3)디자인권의 경우, 카카오는 모든 캐릭터를 3차원으로 입체화시킨 인형(완구)과 화상디자인을 출원하였다. 반면 라인은 모든 캐릭터를 출원하기보다는 등록이 필요할 상품을 출원하는 전략을 택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권리 획득 전략을 제안하였다. It is important for a character designer to get legal protection of its character. Existing studies regarding protection of character are somewhat abstract to practical questions on how to obtain such legal protection and which route should be taken. This study suggested an effective method for protection of characters to designers. For this, the relevant laws for protection of charaters are first discussed. Subsequently, Kakao and Line characters, which can be seen as representative examples of commercially successful characters, were selected as the subject of study and analyzed. Specifically, laws for protection of character include the Copyright law, and the Intellectual Property laws such as the Trademark law and the Design right law. Therefore, first what aspect of characters is protected by the relevant laws are summarized here, and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laws, the details of copyrights, trademarks, and designs of Kakao and Line’s characters are analyzed and the results are provided. 1)As for copyright, Kakao obtained registration of all its characters, and Line obtained registration of BT21 as its second published character group but took a passive attitude toward Line Friends as its first character group. 2)As for Trademark, several types exist, and this article addressed word mark, figurative mark, and composite trademark. Kakao seems to have undergone trial and error about its first character group, Kakao Friends, but obtained word mark and figurative mark of all characters of Niniz as its second character group. Line showed a passive attitude toward word mark and figurative mark as well as copyright, but obtained composite trademark for all its characters. 3)As for design right, Kakao filed applications of all characters by making them 3-dimentional structures while designating toy and graphic design on display panel as the products using the character. On the contrary, Line seems to have taken strategy to file applications of only the products that need registration of right, rather than obtaining of rights for all its characters. Effective strategy for obtaining rights was suggested in this articl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bove.

      • KCI등재

        정인보의 실심(實心)에 대한 교육철학적 해석

        김지원 ( Kim¸ Jiwon ) 한국교육철학학회 2021 교육철학연구 Vol.43 No.3

        본 연구는 정인보의 실심 사상을 교육철학적 관점에서 해석하고자 하였다. 정인보는 성실하고 진실된 인간의 마음을 의미하는 실심(實心)을 각자의 존재 본체로 회복해야 한다는 ‘실심 환성(喚醒)’을 강조하였다. 실심 환성은 감통(感通)의 실천과 주체성의 확보로 이어지며 정인보는 이를 통해 국망의 위기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정인보의 실학(實學) 개념은 ‘실심의 학문적 구현’을 의미하는 것으로 학문의 목적과 태도가 실심에 근원할 때 참된 학문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정인보는 동양 전통의 심학(心學)을 계승하여 실심 사상을 전개하였으며, ‘실심 환성’은 민족의 자강과 독립을 위한 시대적 과제이자 인간 본연의 보편적 과제로서의 의미를 지닌다. 실심 환성은 삶의 주재자로서 위상을 회복하고, 더불어 살아가는 이들에 대한 감통을 실천하며, 개방적이고 유연한 삶의 태도를 형성하고, 지적 배움과 성장의 동력을 확보하는 것으로 이어진다. 이는 실심을 존재 주체로 회복함으로써 나타나는 삶의 태도와 방식으로 인간의 바람직한 성장을 이끌어간다는 점에서 교육철학적 함의를 지닌다. 이러한 정인보의 실심 사상은 마음을 존재 본질로 이해하고, 마음의 본래적 발현을 교육의 근간으로 삼는 마음교육 담론에서 해석 될 수 있으며, 근대 시기의 중요한 마음교육의 사례로 주목될 수 있다.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Jeong In-bo’s Silsim (實心) within the context of educational philosophy. In the history of Confucianism, Silsim refers to the “genuine and sincere Xin (心) of a human being.” Jeong In-bo emphasized the “recovery of Silsim,” stating that Silsim needs to be recovered as its true essence. He attempted to overcome the crisis of his era through social empathy and the establishment of identity via the recovery and manifestation of Silsim. His idea of Silhak (實學), an academic manifestation of Silsim, shows that academia can realize its essence only when its purpose is derived from Silsim. His Silsim theory, inheriting the Oriental tradition of School of mind (心學), is meaningful in that the recovery of Silsim represents not only national independence as a contemporary task of the era but also a natural duty as a human being. The “recovery of Silsim” leads an individual to restore independence and subjectivity, practice empathy toward others, form an open and flexible attitude in life, and secure a powerful source of motivation for intellectual learning and growth. The recovery of Silsim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in educational philosophy, as it leads to the desired growth in individual and social aspects. This philosophy of Silsim can be interpreted in the “maum-education” discourse that construes the mind as the essence of existence and recovery and manifestation as the basis of education; moreover, it can be marked as a paragon of maum-education in modern Korean history.

      • 논증적 글쓰기에서 반론 통합 교수학습 방안 설계 및 효과 분석

        임지원 ( Lim¸ Jiwon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2021 先淸語文 Vol.4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effect of counterargument integration teaching and learning in argumentative writing education. Even though previous studies have addressed the issue that students can not effectively deal with the counterargument in argumentative writing, there has been lack of discussion about how to promote the use of counterargument that contributes to promoting acceptability of the author’s position in argumentative writing. In this regard, this study focuses on counterargument integration and examines the educational effect of counterargument integration teaching and learning for argumentative writing. In chapter Ⅱ, this study tried to construct the theoretical basis for the counterargument integration teaching and learning for argumentative writing. Based on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examined the concept of counterargument integration and various factors of it. Counterargument integration is defined as “the use of counterargument and response on that counterargument which contributes to promoting the acceptability of the author's position in the argumentative writing that copes with the pros and cons of the argument”. In addition, various factors of counterargument integration are discussed based on the level of recognizing actual counterargument, constructing expected counterargument, and using counterargument on the text. In chapter Ⅲ, this study focused on designing the counterargument integration teaching and learning for argumentative writing. Based on literature review, curriculum and textbook analysis,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based on the students’ argumentative writing patterns, the counterargument integration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were designed. Firstly, as for the educational activities for recognizing actual counterargument, exploring argumentative texts for understanding the controversial essence of argumentation and filling in a self-checklist for recognizing argumentative writing metacognitively were suggested. Secondly, as for the educational activities for constructing expected counterargument, conducting a small group discussion to understand pros and cons of arguments and making a list of pros and cons of arguments were suggested. Thirdly, as for the educational activities for using counterargument on the text, using a direct teaching model for learning counterargument responding strategies and using scaffolds for constructing arguments which respond to the counterargument were suggested. In Chapter Ⅳ, this study tried to demonstrate the effect of the counterargument integration teaching and learning for argumentative writing which is designed in chapter Ⅲ. For this purpose, a quasi-experimental study was designed, which consists of an experimental group, a comparative group, and a control group (25 students for each group). As a result of one-way ANOVA on thestudents’ prior argumentative writing level, it was confirmed that each group had the same level. As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 counterargument integration education was conducted. As for the comparative group, the argumentative writing education using the pre-existing ‘Speaking and Writing’ textbooks. As for the control group, there was no educational instruction given. In order to demonstrate the effect of education, mixed research method was used to confirm argumentative writing level after the education. As a result of quantitative analysis,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on the level of argumentative writing. Based on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counterargument integration teaching and learning for argumentative writing education was effective.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by selecting the average level of students’ argumentative writing in each group in order to point out thequalitative aspects of argumentative writing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 The qualitative aspects of the argumentative writing at the average and superior level of argumentative writing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also examined.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further research on the counterargument integration teaching and learning in argumentative writing education is needed.

      • KCI등재

        체제 전환기 동독지역 청소년의 사회적 통합을 위한 산업문화 유산의 재활용-라이프치히 사회문화센터 《바베 협회》를 중심으로-

        사지원 ( Sa¸ Jiwon )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인문과학연구 Vol.- No.33

        본고에서 고찰한 라이프치히의 《바베 협회》는 1990년 설립된 《작센주 가족연합회》가 동독의 체제 전환기에 일자리를 구하지 못하고 방황하는 청소년들의 사회적 통합을 위해서 세운 청소년클럽 <도미 칠>로 출발했다. 당시 방향을 잃고 혼란스러워하던 청소년들은 소위 ‘산업문화 유산’이라고 일컬어진 산업체 건물을 개조하는 일에 참여함으로써 노동의 기쁨과 사회적 소속감을 느끼게 되었다. 또한 청소년들은 이곳에서 단순히 노동만 하는 것이 아니라 함께 스포츠 및 음악 활동을 하고 여행을 하는 등 여가 활동을 하면서 결속을 다지고 삶의 활력을 얻게 되었다. 따라서 라이프치히의 청소년클럽 <도미 칠>은 거리를 방황하던 청소년들의 일터이자 놀이터가 되었다. 1990년대 중반 이후 《바베 협회》는 청소년을 넘어서 라이프치히의 산업단지였던 지역의 어린이와 가정을 돌보는 일을 하고 있다. 즉 《바베 협회》는 라이프치히시의 <추가비용보상제도>를 활용하여 지역의 실업 주민들을 위한 일자리를 창출하고 지역의 어린이들, 특히 망명 가족의 어린이들을 지원함으로써 이들이 낯선 곳에서 무난히 적응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이처럼 체제 전환기의 라이프치히 청소년들의 사회적 통합을 위해서 설립되었던 《바베 협회》는 30여 년 동안 유지되면서 라이프치히 산업단지였던 지역의 청소년과 어린이와 가정을 위한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함으로써 주민들의 사회적 통합에 기여했다. Leipzig’s Sociocultural Center 《Wabe》, founded in 1990, began as a youth club called 《Domi Ziel》 founded by the ‘Saxony Family Association’ for the social integration of youth who were unable to find work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in East Germany. The youth, who were lost and confused at the time, felt the joy of work and a sense of belonging to society by participating in the remodeling of industrial buildings, the so-called ‘industrial heritage’. In addition, the youth did not simply work here, but also engaged in leisure activities such as sports, music, and travel together, strengthening solidarity and gaining vitality in life. Therefore, Leipzig’s youth club 《Domi Ziel》 became a workplace and playground for young people wandering the streets. Since the mid-1990s, the Sociocultural Center 《Wabe》 has been taking care of children and families in the area that used to be an industrial complex in Leipzig beyond youth. In other words, the 《Wabe》 utilized Leipzig’s “Additional Cost Compensation” to create jobs for unemployed local residents, and supports local children, especially children of asylum families, to help them adapt to unfamiliar places. Founded for the social integration of the youth of Leipzig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the 《Wabe》 contributed to the social integration of the residents by carrying out various projects for youth, children and families in the Leipzig industrial complex.

      • KCI등재

        산업문화에서 지속가능한 문화로의 전환 - 독일 헤르네 시의 플로트만-할렌 문화센터를 중심으로

        사지원 ( Sa¸ Jiwon ) 한국독일어문학회 2020 독일어문학 Vol.91 No.-

        본고에서 고찰한 플로트만-할렌 문화센터는 광산업을 위해서 천공기를 생산했던 하인리히 플로트만 공장 건축물을 1980년대 중반에 문화센터로 전환시킨 사례이다. 이는 헤르네시가 폐쇄된 공장을 해체시키려다가 도시의 사회적·역사적·문화적 전통을 고스란히 지니고 있는 건축물을 재활용하자는 시민들의 강력한 요구를 따른 것이었다. 이 전환으로 인해 천공기를 생산하면서 헤르네 시의 경제와 복지를 책임졌던 하인리히 플로트만 공장은 이제 문화예술을 생산하는 플로트만-할렌 문화센터로 전환되어 노동만을 알던 헤르네 시 주민들의 정신적인 풍요와 헤르네 시의 경제에 기여하고 있다. 동시에 플로트만-할렌 문화센터 지대 내외에는 녹지가 조성되어 석탄채취로 인해 숨쉬기조차 힘들었던 지대를 청정지대로 완전히 탈바꿈시켰고, 이후 이곳은 주민들의 휴식공간이 되고 있다. 요컨대 하인리히 플로트만 건축물을 중심으로 한 이러한 변화는 유한한 자연자원을 고갈시키고 오염을 야기하는 산업문화에서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문화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지속가능한 발전이란 생태적으로 유지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사회적·경제적으로 발전해가는 것을 뜻하기 때문이다. Seit 1983 stand die ehemalige Bohrhämmerfabrik Heinrich Flottmann, die über Generationen hinweg zahlreichen Einwohnern Arbeit bot und zum Wohlstand der Stadt Herne beitrug, leer und sollte abgerissen werden. Dagegen demonstrierten Bürger und Jugendliche, die die traditionsreichen Jugendstilbauten für attraktiv hielten. 1984 stellte das Landesdenkmalamt den Gebäudekomplex unter Denkmalschutz. Im Oktober 1986 wurden die Jugendstilbauten als Kulturzentrum wiederhergestellt. Seither präsentieren dort regionale, nationale und internationale Künstler und Künstlergruppen monatlich ihr Können im Bereich Schauspiel, Tanz, bildende Kunst, Puppen- und Figurentheater, Kabarett, Comedy, Jazz, Weltmusik etc. Jetzt hat das Kulturzentrum Flottmann-Hallen auf der “Route der Industriekultur” seinen festen Platz als industriekulturelles Erbe der Region. Zurzeit liegt der Schwerpunkt der Flottmann-Hallen auf der Kultur für und mit Jugendlichen, da sie die Flottmann-Hallen in der Zukunft leiten werden. Zusammengefaßt bedeutet die Umwandlung von der Bohrhämmerfabrik zum Kulturzentrum Flottmann-Hallen eine Umwandlung von Industriekultur zu nachhaltiger Kultur.

      • KCI등재

        서구의 자본주의와 이분법적 사유에 대한 하인리히 뵐의 풍자

        사지원 ( Sa¸ Jiwon ) 한국독일어문학회 2021 독일어문학 Vol.92 No.-

        뵐은 이성과 감성을 이분화 하는 초기 중세 가톨릭교의 전통이 근대의 계몽주의를 거쳐 결국 서구문화의 보편정신이 되었고, 이 정신이 자본주의의 힘에 의해 세계로 확장되어 갔으며 세계문화를 획일화하고 있다고 간주했다. 따라서 그는 풍자소설로 자신의 능력을 십분 발휘하던 1950년대에 지나친 이성과 지나친 감성을 보여주는 작품들을 발표했다. 그 작품이 최고 수준의 소수 문화 전공자가 지나치게 합리적으로 사유하고 현실에 대해 자각함으로써 그 문화 보존을 위해 일생을 바치고자 했던 꿈을 무화시켜 버리는 『루우크들의 땅에서』이다. 또 이웃에 대한 넘치는 사랑의 감성으로 인해 자본주의 사회에서 끊임없이 악용과 착취를 당하는 가정을 그린 『예기치 못한 손님들』이다. 말하자면 이 작품들은 이성과 감성의 조화를 이루어내지 못하는 극단의 사례를 보여주며 이의 조화를 강조한 작품들이라고 할 수 있다. 요컨대 뵐은 두 작품을 통해 우리가 만약 어떤 문제에 부딪히면 이성과 감성을 총동원하여 깊이 사유하고 난 다음, 그것이 올바르고 도덕적인 태도인지에 대하여서는 최종적으로 양심이 판단해야 함을 보여주기 위해서 서양 전통의 이분화 문제를 전후 독일의 왜곡된 자본주의 사회에 투영하여 압축적으로 그려냈다고 할 수 있다. Böll kritisierte den Katholizismus, in dem die Vernunft hochgeschätzt und Emotion und Körper als primitiven Instinkten folgend verachtet wurden. Er war der Meinung, dass der Aufklärer Kant diese Dichotomie in der katholischen Tradition verstärkt hatte. Deswegen schrieb er, es habe nie einen größeren Verächter der Seele gegeben als Kant. Zugleich behauptete er, dass “die Vernunft als Polizeichef im Menschen, Gott als Polizeichef im All” betrachtet wird, “das ist westliche Weisheit”. Für Böll hieß jedoch Emotionalität, bewegt und bewegbar zu sein. Er verstand sie als Voraussetzung der Rationalität, und sie erschien ihm als unverzichtbar für das Erkennen der Wirklichkeit. Dabei blieb für ihn die Beurteilung richtigen ethischen Verhaltens neben dem thetischen Bezug immer auch gebunden an die jeweilige konkrete Situation, denn “das Gewissen ist keine unveränderlich feststehende Größe, die wie eine Präzisionsuhr funktioniert”. Für Böll war das Gewissen die Instanz, die den Menschen befähigt, sein Verhalten zu beurteilen und das “Maß der Schuld bei jedem Einzelnen zu bestimmen”. DasGewissen war für Böll zum einen auf Akte rationaler, zum anderen auf Akte emotionaler Intuition zurückzuführen, zumal eine Anti-Emotionalitäts-Philosophie für ihn einer Todesanzeige gleichkam, und “die Vernunft, auf die wir gebaut und vertraut haben, die Welt nicht vertrauter gemacht hat.” Das Problem dieser Dichotomie und des Kapitalismus in der westlichen Welt stellte er in seinen Satiren Im Lande der Rujuks und Unberechenbare Gäste dar. Die beiden Werke wurden hinsichtlich der obengenannten Gesinnung Bölls in dieser Arbeit analysiert.

      • KCI등재

        연꽃문양 서피스 디자인 개발 사례 연구 -지속가능한 활용을 중심으로

        황지원 ( Hwang¸ Ji Won ),박현주 ( Park¸ Hyun Joo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4

        연꽃문양은 고대 이집트 벽화에서 처음 등장한 이후 동서양 문화권의 다양한 예술 분야에 활용되어졌으며, 현재까지도 장식요소로 꾸준히 이용되며 나타났다. 본 연구는 문화나 시대, 지역을 벗어난 연꽃문양의 지속가능한 활용을 위해 문양의 심층적,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서피스 디자인 개발을 하고, 소규모 프로덕트 디자인부터 보다 확장된 공간까지 함께 적용 가능한 연꽃문양 디자인으로 제안하고자 했다. 연구내용은 첫째, 최근 20년간의 문헌자료를 바탕으로 연꽃문양의 고찰 및 관련 디자인 현황 분석 후 연꽃문양이 문화권과 시대를 초월한 디자인 요소임을 확인한다. 둘째, 앞선 고찰을 바탕으로 연꽃문양을 주제로 연구비율이 높은 디자인 분야의 선행연구 사례를 살펴본다. 셋째, 연꽃디자인의 활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서피스 디자인 개발에 있어 다양한 소재, 크기의 표면 면적 공간에 활용하고자 한다. 넷째, 오방색 등 전통적 요소의 결합을 통해 친숙하고 트렌디한 현대적 조형미를 갖춘 디자인으로 표현하고자 한다. 이론적 고찰 결과, 동서양을 막론하고 그 상징적 의미와 함께 오랜 기간 연꽃문양은 곳곳에 이용되었으며, 연꽃잎의 회전축 각도와 연꽃의 정면형과 측면형에 따라 시각적 형태도 세분화됨을 발견하였다. 연꽃문양에 나타난 색채는 동양권에서는 텍스타일과 건축에 금박 및 오방색 등 화려한 색상들을 주로 적용하였지만, 서양권은 텍스타일에만 상대적으로 차분한 색상들을 적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결과 디자인을 패션, 인테리어, 건축외피 등 다양한 서피스 이미지에 가상 적용하여 연꽃문양 활용의 다양성을 제안함으로써, 2D, 3D 프린팅이나 레이저 커팅 등 현대의 테크놀로지와 연계한 연꽃디자인의 적용범위는 무한히 확장 가능함을 유추했다. 이는 연꽃문양이 시대, 지역, 문화를 초월한 테마와 상징성, 조형성을 지녔기에 이를 활용한 서피스 디자인 개발이 가능하다고 생각하며, 더 나아가 지속가능한 활용을 추구하는 디자인으로서의 의미를 찾고자 한다. Since the first appearance of lotus patterns in ancient Egyptian murals, they have been used in various art fields in Eastern and Western cultures as decorative elements up until these days. In order to continuously utilize the sustainability of the patterns beyond the culture, era, and region,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surface design based on in-depth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the patterns and propose the design can be applied from small products to more expanded surface spaces. First, based on literature data from the past 20 years, the research confirms that lotus patterns are cultural, timeless design elements reviewing them and analyzing related design status. Second, we look at prior study cases in areas with high rates of the design research. Third, in developing the design to maximize the utilization of lotus patterns, we are trying to use it for surface area spaces of various materials and sizes. Fourth, though the combination of traditional elements such as five-sided colors, we would like to design a familiar and trendy modern beauty. According to the research, lotus patterns have been used for a long time, with their symbolic meanings and visual shapes are subdivided according to the rotation axis angle of the petals as Rosette and Palmette shapes of the flowers. While the colors shown in lotus patterns were mostly applied to textiles and architecture in the East, Western countries applied relatively calm colors only to textiles. While the colors shown in lotus patterns were mostly applied to textiles and architecture in the East, Western countries applied relatively calm colors to textiles. By applying the completed design to various surface images such as fashion, interior, and architectural surface, the range of applications of lotus designs linked to 2D, 3D printing or laser cutting was infinite. This is because lotus patterns have themes, symbolism, and formative qualities beyond the times, regions, and cultures, so they can be developed with surface designs that we want to find meanings as a sustainable utilization.

      • KCI등재

        위당 정인보의 한글 인식과 한글 글쓰기

        이지원 ( Lee¸ Ji Won ) 연세사학연구회 2021 學林 Vol.48 No.-

        위당 정인보는 20세기 전반기 당대 최고의 한학자이면서 민족주의를 발휘하는 민족의 문화정체성 만들기에 앞장섰던 인물이다. 그는 일제 식민지하에서 일본어가 ‘국어·국문’으로 통용되던 시기에 일본어로 글을 짓지 않고, 근대의 주체적인 민족의식·문화의식을 지키기 위해 많은 글을 썼다. 근대 문명전환기에 지식장이 바뀌면서 한문과 국문의 글쓰기는 문자의 사회적 위상변화를 반영하였다. 민족의 근대 문화정체성을 확립하고자 하는 ‘조선학’의 학문관에서 국문인 한글에 대한 인식과 한글 글쓰기는 피할 수 없었다. 근대적 독서문화를 염두에 두고 교육과 언론의 자장에서 활동했던 정인보는 옛 글의 글쓰기 경험을 토대로 근대적인 한글 글쓰기를 시도했다. 정인보는 근대적 민족의식에서 한문으로 된 옛글을 참고하고 당 시대의 정신이 담긴 ‘조선의 글’을 쓰는 것을 중심에 두었다. 그는 성음이 겨레를 만드는 중요 요소임을 강조하고 28자 소리의 한글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또한 옛 것의 정신과 정취를 근대에 재현하고자 다양한 시도를 하였다. 그리하여 한문의 고서들에 대한 한글 글쓰기를 통해 새롭게 해설하였으며, 현대적인 감성에 전통적인 취의를 넣는 시조 짓기를 시도하였다. 그의 한글 글쓰기는 광복 후 국경일 기념의 노랫말 등으로 유려하게 발휘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그의 한글 글쓰기는 한글 고어의 양식을 답습하는 경향도 남아있었다. 그의 한글 글쓰기는 통일적인 한글맞춤법이 정착하기 이전 한글 글쓰기의 과도기적 탐색과 연습 과정을 보여주기도 한다. 또한 해방 후 민족 분단의 현실에서 분단의 정체성 보다는, 민족·국민이나 단체 등 집단적 정체성의 감성을 고조하고, 근대 국가의 당위성과 감격을 강조하는 것이 중심이었다. 그의 한글 글쓰기는 20세기 전반기 식민지 상황에서 근대 민족의 문화정체성 만들기가 중요한 시대 과제였던 과도기에 근대 한국학을 개척했던 학문관이 투영된 한글 인식과 한글 글쓰기로서 의미를 갖는다. Jeong In-Bo was the best scholar of Chinese studies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and he took the lead in creating a national cultural identity that demonstrated nationalism. He did not write in Japanese at a time when Japanese was commonly used as the ‘Korean language’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he wrote a lot to protect the modern subjective national and cultural consciousness. As the knowledge field changed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of modern civilization, writing in Chinese and Korean reflected the change in the social status of characters. In the academic view of ‘Chosun Studies’, which seeks to establish the nation’s modern cultural identity, recognition of Hangeul, the Korean language, and writing in Hangeul were unavoidable. Jeong In-Bo, who was active in education and journalism based on the modern reading culture at the time, attempted to write in modern Hangeul based on his writing experience of old writings. Jeong In-Bo focused on writing ‘Korean writings’ that contained the spirit of the era by referring to the old Chinese texts in the modern national consciousness. He emphasized that the voice is an important factor in making the Korean people, an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28-character Hangeul. He also made various attempts to reproduce the spirit and flavor of the old in the modern era. Thus, he gave a new interpretation of the ancient books in Chinese characters through writing in Hangeul, and attempted to compose a SIJO that puts traditional flavor into modern emotions. His writing in Hangeul was also fluently displayed in lyrics to commemorate the National Day after Liberation. However, his writing in Hangeul also had a tendency to follow the style of the ancient Korean language. In addition, the lyrics after Liberation were centered on heightening the sense of collective identity, such as a nation, nation, or group, rather than the agony of the reality of national division, and emphasizing the justification and emotion of a modern nation. His writing in Hangeul has meaning as a recognition of Hangeul and writing in Hangeul, reflecting the academic view that pioneered modern Korean studies in the transitional period, when the creation of a modern nation’s cultural identity was an important task in the colonial situation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 KCI등재

        제주도 ‘곶자왈’ 지역에 대한 판결인 대법원 2020. 08. 13. 선고 2020두37994 판결·대법원 2020. 08. 13. 선고 2020두38003 판결에 대한 평석 - 개발행위허가의 재량행사를 중심으로 -

        이지원 ( Lee¸ Ji-won )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원 2020 국제법무 Vol.12 No.2

        이 논문은 곶자왈에서의 건축허가에 대한 대법원 2020. 08. 13. 선고 2020두 37994 판결·개발행위 허가에 대한 대법원 2020. 08. 13. 선고 2020두38003 판결에 대한 평석으로 이들 사건에서는 크게 두 가지가 논의되었다. 먼저 제주도 “곶자왈”과 관련하여 그 보호의 필요성을 규정한 법적 근거가 존재하지만 곶자왈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는 기준에 관하여는 별다른 규정을 두고 있지 않음에 따라 행정청이 곶자왈로 판단한 것이 유효한 것인지 문제되었다. 이에 대하여 대상판결은 곶자왈 지대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함에는 「제주특별자치도 설치 및 국제자유도시 조성을 위한 특별법」 및 「제주특별자치도 곶자왈 보전 및 관리조례」에 의하여 그 보전에 대한 의무를 부담하는 행정청에 일정한 재량이 있다고 인정하였다. 다음으로 대상판결들은 곶자왈 지역임을 이유로 건축허가 및 개발행위허가를 거부하여도 되는 것인지 문제되었다. 이에 대하여 대상판결들은 개발행위허가제도의 법적성질을 재량행위로 본 다음, 개발행위허가는 계획의 적정성, 기반시설의 확보여부, 주변 환경과의 조화 등을 고려하여 허가여부를 결정함으로써 난개발을 방지하고 국토의 계획적 관리를 도모하는 제도인데 개발행위허가의 신청내용이 개발행위허가 기준에 적합한 것인지와 관련하여 법령의 기준은 불확정개념으로 규정된 부분이 많아 그 요건과 기준에 부합하는지의 판단에 있어 행정청에 재량권이 부여되어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 사안의 경우 행정청의 거부처분이 그 재량을 일탈하거나 남용하지 않았다고 판시하였다. 최근 대법원은 특히 환경과 관련한 개발행위허가에 있어 행정청의 재량을 넓게 인정하고 있다. 제주도는 ‘곶자왈’이라는 특수한 토지형질을 갖고 있는데 이러한 곶자왈 지역에 대하여 건축허가신청, 개발행위허가신청이 있게 되는 경우 그 허가여부를 결정하는 것과 관련하여 행정청의 재량행사에 대한 정당성을 인정한 점에서 대상판결은 큰 의미가 있다 할 것이다. This paper is a case study on the Review of the Supreme Court 2020DU37994 sentenced on 2020.08.13.·Supreme Court 2020DU38003 sentenced on 2020.08.13. which are regarding Building permission and development activity permission in Jejudo “Gotjawal” zone and there are two major issues. First, Jejudo has a legal basis about the “need to preserve the Gotjawal” but there are no other legal basis or any other notice about where and what is the “Gotjawal zone”. So the effect of administrative disposition is discussed when administrative office refused building permit application or development activity permit application disposition on the grounds of “Gotjawal zone”. Concerning this issue Supreme Court said that administrative office can make Jejudo “Gotjawal zone’s” location without clear legal basis. Because administrative office has an authority to make “Gotjawal zone” according to 「SPECIAL ACT ON THE ESTABLISHMENT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ND THE DEVELOPMENT OF FREE INTERNATIONAL CITY」§354 and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GOTJAWAL PRESERVE AND CONSERVANCY ORDINANCE」 §2 ~ § 3. In the second place, refusal disposition which is caused “Gotjawal zone” is discussed. In this issue Supreme Court said that 「NATIONAL LAND PLANNING AND UTILIZATION ACT」§ 56 ‘development permission’ is indefinite concept(amorphous and broad concept) so administrative office has an authority for discretion so in this authority administrative office judge the application for development activity permission whether compliance or not. And in thess cases administrative office’s refusal dispositions are not illegal because they comply with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principle of equality and rule of law. In these days Supreme Court grants a discretion especially about development activity permission which is related with environmental issue. Jejudo is the only place where has “Gotjawal zone” in Korea. So these Supreme Court Cases are represent much meaning for administrative office’s discretion about development activity permission and building permi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