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SCIESCOPUSKCI등재

        Comparison of salty taste acuity and salty taste preference with sodium intake and blood pressure based on zinc nutritional status in two rural populations in Korea

        Jeong-Sook Choe,Eun-Kyung Kim,Eun-Kyung Kim 한국영양학회 2012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Vol.6 No.6

        This study examined salty taste acuity and salty taste preference and sodium intake in relation to zinc nutritional status in 2 rural populations in Korea. And we also examined the main food contributors of their sodium intakes. We enrolled 218 adults (66 men and 152 women) from the Kangneung and Samcheok regions in Korea’s Kangwon province in our study conducted from December 2011 to February 2012. Participants from each region were divided into 3 groups based on their serum zinc level (T1: lowest, T2: intermediate, T3: highest). We compared the salty taste acuity and preference, Na index (Dish Frequency Questionnaire for estimation of habitual sodium intake), blood pressure, and intakes of nutrients including sodium by 3 groups of serum zinc leve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 higher serum zinc level indicated a lower sodium intake and Na index (P < 0.05). The salty taste acuity was considerably higher for participants from the Kangneung region than those from the Samcheok region (P < 0.05). And the serum zinc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articipants from the Kangneung region than those from the Samcheok region (P < 0.05). We further divided the participants into 2 groups: those who consumed more zinc than the recommended intake (RI) and the others. We compared salty taste acuity and salty taste preference in the 2 groups. The salty taste threshold and palatable salty taste concentrations were lower for the group with a zinc intake above RI than for the group with zinc intake below the RI. However,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This study confirms that taste function differs depending on zinc nutritional status. In future, it is required to a large-scale, long-term, prospective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zinc intake, serum zinc levels, and taste perception function and blood pressure.

      • Effects of Enzyme-Assisted Extraction on Anthocyanins and Their Metabolites in Mulberry (Morus alba L.) Fruits

        Jeong-Sook Choe,Mina Kim,Ae-Jin Choi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1 한국식품영양과학회 학술대회발표집 Vol.2021 No.10

        Mulberry (Morus alba L.) fruit (MF) has a variety of useful compounds including anthocyanin. However, these compounds are not properly dispersed into the substrate during solvent extraction, resulting in partial extraction. Moreover, after harvesting, raw MF quickly ripens and deteriorates, mandating the use of innovative techniques. Here, an enzyme-assisted extraction method was optimized to enhance the water solubility index (WSI), total phenolic content (TP), and total anthocyanin content (TA) yields from MF extracts. The optimal conditions were predicted to be 1:5 w/v material/water ratio, 3.5% pectinase (v/w), and 1.5% citric acid (w/w) with a 113 min reaction time at 50°C. Under these conditions, WSI, TP, and TA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with the untreated control. Furthermore, metabolite analysis demonstrated that in enzyme-assisted MF extraction, the levels of cyanidin-3-O-glucoside, delphinidin hexoside, and quercetin were higher.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enzyme-assisted extraction with pectinase and citric acid could be a valuable approach to enhance the value of MF and its potential use in the food industry.

      • KCI등재

        중년 주부의 연중 음식 섭취 및 식단 패턴 조사

        최정숙(Jeong-Sook Cho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2 No.5

        본 연구는 주부(30~59세) 30명을 대상으로 하여 추정량기록법으로 연중 음식 및 식단 패턴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섭취 빈도를 기준으로 살펴본 상용 음식은 4계절 모두에서 쌀밥, 배추김치, 열무김치, 커피, 김구이, 된장찌개 등이었고, 음식군별 섭취빈도는 밥류, 김치류, 음료류, 과일 및 주스류, 국 및 탕류, 찌개류, 나물 및 무침류 순으로 섭취를 하고 있었다. 앞선 모든 연구에서와 마찬가지로 우리나라의 주요 식생활의 패턴인 밥을 주식으로 하는 전통 식생활을 보여주고 있다. 음식군별 섭취량을 보면국ㆍ탕류, 찌개류는 가을, 겨울에, 전ㆍ부침류는 원료가 되는 채소류 등 농산물이 많이 생산되는 여름에 가장 많이 섭취하였다. 나물 무침류는 겨울에 가장 많이 섭취하였고 김치류는 4계절 모두 많이 섭취하고 있었다. 가장 자주 섭취한 음식군은 밥류, 김치류, 음료류, 과일 및 주스류, 국 및 탕류 순이었다. 음식군별 다빈도음식을 살펴보면 밥류의 경우 모든 계절에서 쌀밥의 섭취 빈도가 다른 종류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면ㆍ만두류의 경우 모든 계절에서 라면을 가장 많이 섭취하고 있었다. 국ㆍ탕류의 경우 봄, 여름, 겨울에서는 미역국, 가을은 배추된장국이었다. 찌개류는 봄과 여름, 겨울에서 된장찌개, 가을의 경우 김치찌개 등의 결과를 보여주었다. 계란찜은 모든 계절에서 섭취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구이류의 경우 김구이가 4계절 모두 1위를 보여주어 가장 많이 먹는 구이류임을 보여 주었다. 전ㆍ부침류의 섭취 빈도는 사계절 모두 계란 후라이가 1순위를 차지하였고, 볶음류의 경우 멸치볶음이 4계절 모두 가장 섭취빈도가 높았고, 조림류는 봄의 경우 콩조림, 여름은 깻잎조림, 가을과 겨울은 고등어조림을 자주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물ㆍ무침류는 봄은 취나물, 여름은 콩나물, 가을은 무생채, 겨울은 시금치나물, 김치류는 4계절 모두 배추김치가 섭취 빈도가 높았고, 열무김치와 깍두기, 총각김치도 모든 계절에서 섭취 빈도가 높았다. 조사 대상자들이 가장 많이 섭취하는 상위 10위 권에 드는 대부분의 식단이 밥과 반찬으로 이루어진 식단이었다. 봄ㆍ여름ㆍ가을ㆍ겨울 모두 가장 많이 사용한 식단의 형태는 밥+국+김치로 각각 그 비율이 6.84%, 6.10%, 7.18%, 6.84%이었다. 2위는 봄이 밥+김치(5.56%)인 반면, 나머지 여름, 가을, 겨울은 면(만두)+김치형태였다. 본 연구는 조사 대상수가 다소 적다는 점이 있지만, 식사를 직접 준비하는 주부가 기록하였고 지금까지의 단기간 조사의 단점을 보완한 365일의 식품 및 음식섭취 자료라는 점에서 의미 있는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shes and menu patterns consumed frequently for 1 year, using estimated record method with 30 housew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dishes and menu pattern for the basis data of the nutrition education program and menu development project. The results were following: cooked rice and kimchi had the highest number of frequencies. The dish group (classified by the cooking method) consumed in largest quantities per capita per meal is the rice group (146.5 g). Most frequently consumed dish group were the rice (72.7%), kimchi (60.6%), beverages (33.6%), fruits and juice (26.2%), soup (25.1%), stew and casserole (25.1%) in the order. Some dishes in several dish groups had small number of frequencies. Thus they were not included in the frequently consumed dishes list although they are in the top list of their own dish group. The menu had traditional menu pattern based on cooked rice, Korean soup, and kimchi. Most frequently used menu patterns were rice+soup+kimchi, rice+noodle (or Mandu)+kimchi, rice+kimchi, rice+soup+kimchi+seasoned-vegetable in the order. These were very simple menu patterns with only 1~2 kinds of side dish.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middle-aged housewives to consume menu that the composition of main dish and side dish are adequate. This resul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in middle-aged housewiv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고령인구 비율이 높은 지역 성인 및 노인의 계절별 영양소 섭취실태

        최정숙(Jeong-Sook Choe),백희영(Hee-Young Pai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3 No.4

        고령인구 비율이 높은 지역에 거주하는 성인 469명을 대상으로 24시간 회상법을 통해 1년간 4계절의 식이섭취조사를 하여 영양 섭취 상태를 양ㆍ질의 평가와 함께 계절적인 차이를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았다. 조사 대상자의 연평균 1일 열량 섭취량(%RDA)은 1313.3±334.7 ㎉(72.0%)이며, 단백질은 47.3±17.0 g(82.2%)으로 남녀간에 권장량 대비 백분율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지방과 탄수화물, 식이 섬유소는 각각 20.2±12.8 g, 228.0±48.3 g, 12.8±4.5 g을 섭취하였으며, 남녀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비타민 및 무기질의 섭취량은 대부분 권장량 수준에 못 미쳤으며, 특히 칼슘, 비타민 B₂, 비타민 E, 비타민 D의 섭취는 권장량의 약 50%로 섭취율이 매우 낮았다. 성별에 따라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비타민 및 무기질의 섭취량이 낮았으며, 계절별로는 대부분의 비타민과 무기질의 섭취율이 봄에 높았는데 예외적으로 비타민 C는 가을과 겨울에 섭취율이 높았다. 콜레스테롤의 섭취량은 남녀 각각 151.7±162.0 ㎎, 124.3±147.7 ㎎이었으며 PUFA : MUFA : SFA의 비율은 1.0 : 1.3 : 1.2이었다.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구성비율(CPF)은 72.7 : 14.4 : 12.9로, 성별에 따라서 탄수화물 에너지 구성비는 여자가 높았으며, 단백질 에너지 구성비는 남자가 높았다. 계절에 따라서는 남녀 모두 봄에 탄수화물 에너지 구성비율이 낮은 반면 단백질 에너지의 구성비율은 높았다. 대부분의 영양소 적정도는 0.8~0.6의 범위였으나 칼슘, 비타민 A, 비타민 B₂, 비타민 E의 경우 0.5내외의 비율을 나타내었다. 성별에 따라서 단백질을 제외한 모든 영양소에서 여자보다 남자가 적정도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평균 적정도는 0.66으로 다른 계절에 비해 남자는 봄에 높았고, 여자는 봄과 여름에 유의적으로 높았다. 영양의 질적 지수(INQ)는 칼슘, 비타민 A, 비타민 B₂, 비타민 E에서 1을 하회하였으며, 단백질을 제외한 모든 영양소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질적 지수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계절에 따른 질적지수는 남녀 모두 비타민 A와 나이아신은 봄에 높은 반면 비타민 C는 가을과 겨울에 유의적으로 높았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로 볼 때 고령인구 비율이 높은 지역의 주민들은 전체적인 영양소 섭취 상태는 대부분의 영양소에서 권장량에 미달하여 양적으로 매우 부족한 실정이나, 질적인 영양 섭취 평가 즉 영양소 적정도 및 평균 적정도, 영양의 질적 지수는 칼슘, 비타민 A, 비타민 B₂, 비타민 E를 제외하고 적절한 상태를 보였다. 또한 남녀를 비교할 때 여성이 남성보다 양적 질적 영양소 섭취 평가에서 낮은 상태를 보였다. 계절적으로는 다른 계절에 비해 봄에 영양소 섭취 상태가 좋았고 겨울에 불량한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 지역 주민들은 계절에 따라 영양소 섭취에 대해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열량 및 영양소 섭취량의 증가와 함께 질적으로 부족한 영양소의 섭취량을 증가시키고, 농촌의 특성을 고려하여 계절 식품을 잘 활용할 수 있도록 적절한 식품의 선택과 조리방법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러한 영양교육은 상대적으로 영양상태가 취약한 여성에게 우선적으로 실시되어야 하겠다. 그리고 앞으로 미량영양소의 정확한 평가를 위해 더 많은 식품성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보완하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seasonal variation of nutritional intake and quality in adults in longevity areas. Dietary survey was given to 469 subjects over age 20 living in Bukjeju-gun, Yecheon-gun, and Sunchang-gun of Korea, using 24-hour recall method every 4 seasons over one-year period. The mean daily intakes (%RDA) of 4 seasons were 1313.3 ㎉ (72.0%) for energy, 47.3 g (82.2%) for protein, 20.2 g for fat, 228.0 g for carbohydrate, 12.8 g for dietary fiber. The differences were hardly significant among the seasons. Mean daily intakes of most of the vitamins and minerals were lower than RDA except vitamin C and folate, especially %RDAs of Ca, vitamin D, vitamin B₂, vitamin E were less than 60% of RDA. In general, nutrient intakes were high in spring compared to other seasons except vitamin C which was high in fall and winter. Mean daily intakes of cholesterol were 151.7 ㎎ and 124.3 ㎎ in males and females, respectively. The differences was significant between the two sexes but not among the seasons. PUFA : MUFA : SFA ratio of the subject was 1.0 : 1.3 : 1.2. Average CPF ratio of energy intake was 72.7 : 14.4 : 12.9, and energy intake ratio from carbohydrate was low in spring, in contrast energy intake ratios from protein was significantly high in spring. Mean adequacy ratio (MAR), an index of overall nutritional quality was 0.64 for female and 0.71 for male. The indices of nutritional quality (INQ) were over 1 for most of nutrients except 0.73 of Ca, 0.87 of vitamin A, 0.69 of vitamin B₂, and 0.65 of vitamin E. Both MAR and INQ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sex and seasons, values were higher in males than in females and were higher in spring with the exception of vitamin C. In conclusion, subjects in longevity areas did not consume enough nutrients quantitatively as well as qualitatively, especially Ca, vitamin A, vitamin B₂, and vitamin E. Also mean daily intakes of most of vitamins and minerals were insufficient in females, and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season. Therefore we must consider a counterplan to augment nutrition intake for them. In addition, it seems to be essential to add micro nutrients to the food composition database to estimate dietary intakes more accurat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