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학교급식의 식재료 공급체계 개선방안

        위태석,황대용,최정숙,정현영 한국식품유통학회 2004 食品流通硏究 Vol.21 No.2

        This study deals with school food service from the consumption extension of our agricultural products and the maximization of the educational effects point of view. By consuming regional agricultural products for school meals, the dietary life and agricultural education combined knowledge with behavior could be implemented. Therefore, to propel a "Movement of Jisanjiso", regional agricultural structure and marketing structure should be established and the effective support program of central government and autonomy also should be prepared.

      • SCIESCOPUSKCI등재

        Comparison of salty taste acuity and salty taste preference with sodium intake and blood pressure based on zinc nutritional status in two rural populations in Korea

        Jeong-Sook Choe,Eun-Kyung Kim,Eun-Kyung Kim 한국영양학회 2012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Vol.6 No.6

        This study examined salty taste acuity and salty taste preference and sodium intake in relation to zinc nutritional status in 2 rural populations in Korea. And we also examined the main food contributors of their sodium intakes. We enrolled 218 adults (66 men and 152 women) from the Kangneung and Samcheok regions in Korea’s Kangwon province in our study conducted from December 2011 to February 2012. Participants from each region were divided into 3 groups based on their serum zinc level (T1: lowest, T2: intermediate, T3: highest). We compared the salty taste acuity and preference, Na index (Dish Frequency Questionnaire for estimation of habitual sodium intake), blood pressure, and intakes of nutrients including sodium by 3 groups of serum zinc leve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 higher serum zinc level indicated a lower sodium intake and Na index (P < 0.05). The salty taste acuity was considerably higher for participants from the Kangneung region than those from the Samcheok region (P < 0.05). And the serum zinc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articipants from the Kangneung region than those from the Samcheok region (P < 0.05). We further divided the participants into 2 groups: those who consumed more zinc than the recommended intake (RI) and the others. We compared salty taste acuity and salty taste preference in the 2 groups. The salty taste threshold and palatable salty taste concentrations were lower for the group with a zinc intake above RI than for the group with zinc intake below the RI. However,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This study confirms that taste function differs depending on zinc nutritional status. In future, it is required to a large-scale, long-term, prospective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zinc intake, serum zinc levels, and taste perception function and blood pressure.

      • Effects of Enzyme-Assisted Extraction on Anthocyanins and Their Metabolites in Mulberry (Morus alba L.) Fruits

        Jeong-Sook Choe,Mina Kim,Ae-Jin Choi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1 한국식품영양과학회 학술대회발표집 Vol.2021 No.10

        Mulberry (Morus alba L.) fruit (MF) has a variety of useful compounds including anthocyanin. However, these compounds are not properly dispersed into the substrate during solvent extraction, resulting in partial extraction. Moreover, after harvesting, raw MF quickly ripens and deteriorates, mandating the use of innovative techniques. Here, an enzyme-assisted extraction method was optimized to enhance the water solubility index (WSI), total phenolic content (TP), and total anthocyanin content (TA) yields from MF extracts. The optimal conditions were predicted to be 1:5 w/v material/water ratio, 3.5% pectinase (v/w), and 1.5% citric acid (w/w) with a 113 min reaction time at 50°C. Under these conditions, WSI, TP, and TA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with the untreated control. Furthermore, metabolite analysis demonstrated that in enzyme-assisted MF extraction, the levels of cyanidin-3-O-glucoside, delphinidin hexoside, and quercetin were higher.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enzyme-assisted extraction with pectinase and citric acid could be a valuable approach to enhance the value of MF and its potential use in the food industry.

      • KCI등재

        고등학생의 식습관과 학업성취도, 주관적 건강상태 및 체격과의 관계 연구

        최정숙(Jeong-Sook Choe),전혜경(Hye-Kyung Chun),정금주(Gum-Ju Chung),남희정(Hee-Jung Na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2 No.4

        식습관과 주관적인 건강상태, 학업성취도(수학능력평가 성적), 체격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대학교 1년생을 대상으로 인터넷을 통하여 조사하였으며 조사 대상자수는 남자 1,030명, 여자 2,582명으로 전체 3,612명이었다. 1. 조사대상자의 가구 연평균 소득은 2000만원 미만 39.2%, 2000~3000만원 36.5%, 3000~4000만원 15.9%, 4000만원 이상 8.4%이었다. 평균신장은 남학생 173.3 ㎝, 여학생 161.6 ㎝이었고 평균체중은 남학생과 여학생이 각각 65.6 ㎏, 53.9 ㎏이었다. 2. 아침을 매일 먹었다고 응답한 사람이 33.2%이었으며 반면 1주일에 한두 번 이하로 먹었다고 응답한 사람은 37.9%이었다. 건강에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식사는 전체응답자의 80.6%가 아침식사라고 응답하였다. 반면 가장 맛있게 한 식사는 52.7%가 저녁이라고 응답하였다. 아침은 누구와 먹었나에 대한 질문에서 ‘혼자서 먹었다’가 전체 57.5%로 가장 높았다. 3. 아침을 먹은 장소는 87.5%가 ‘집에서’라고 응답하였으며 고등학교 아침급식의 필요성에 대하여 전체 60.8%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아침식사를 하지 못한 이유는 ‘시간이 없어서’가 전체 조사자의 62.8%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아침식사 형태에 있어서는 한식으로 매일 한 경우가 38.4%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4. 아침식사를 규칙적으로 하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하여 훨씬 건강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5. 아침식사를 매일 먹은 사람이 수학능력평가점수가 가장 높았던 반면 아침을 주 2일 이하로 거의 아침을 먹지 않았다고 응답한 사람이 수학 능력평가점수가 가장 좋지 않았다. 한편 아침식사는 비만정도(BMI)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6. 균형 잡힌 식사를 규칙적으로 하고 채소류와 과일, 콩류와 유제품 등을 매일 먹는 소위 식습관이 좋은 사람이 수학능력평가점수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로 볼 때 건강에 가장 중요한 식사라고 인식하고 있으나 결식률이 높은 아침식사를 청소년들이 맛있게 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아침식사의 결식이 학생의 학업성취도와 무관하지 않음이 밝혀졌으므로 청소년의 아침결식에 대한 세부적인 연구조사와 이를 개선할 수 있는 학교 아침급식 프로그램 도입등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또한 결식은 건강에 대한 자신감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규칙적인 식사와 1일 3식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시킬 수 있는 영양교육을 실시하여야 할 것이다. 균형 잡힌 식사를 규칙적으로 하고 채소류와 과일, 콩류와 유제품 등을 매일 먹는 소위 식습관이 좋은 사람이 수학능력평가점수가 좋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비만정도(BMI)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청소년 각자의 식습관 및 식품 섭취에 대한 관심을 고취시킬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between dietary habit and academic achievement, subjective health judgement, and physical status. The subjects consisted of freshmen in university and answered to questionnaires through the Internet. The questionnaire consists of the dietary habit, academic achievement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subjective health judgement, and physical status during their 3^(rd) grade in high school days. Data were collected from 3,612 people. Over 33% of respondents had their breakfast daily. Subjects who had breakfast below twice per week were 37.9%. The major reason of skipping breakfast was lack of time to eat breakfast (62.8%). The subjects who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breakfast were 80.6% (p<0.001). More than half (52.7%) thought that dinner was most tasty. People who ate breakfast regularly had a tendency to recognize their health state were in good health (p<0.0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BMI (body mass index)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breakfast per week. The subjects who had their breakfast regularly and well-balanced dietary habit reported higher marks i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In contrast, the subjects who rarely had breakfast showed poor marks of academic achievement and subjective health judgement. According to these results, a good dietary habit is considered to be important to academic achievement and confidence in health. Therefore we suggest the school breakfast program an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should be required for teenagers. In addition,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would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for nutrition education in Korean teenagers.

      • KCI등재

        쌀 품종별 백미와 현미의 영양성분 조성 비교

        최정숙(Jeong-Sook Choe),안훈희(Hoon-Hee Ahn),남희정(Hee-Jung Na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1 No.5

        표준재배법으로 육성한 주요재배장려품종 6종(화성, 추청, 오대, 일품, 일미, 동진)의 백미와 현미중의 영양성분(일반성분, 무기질, 지방산, 아미노산, 섬유소 등)을 분석한 결과 1. 도정에 따른 전체적인 무기질의 변화를 보면 인, 철, 나트륨, 칼륨, 아연, 마그네슘의 경우 도정률이 증가할수록 함량이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칼슘은 도정률이 증가할수록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쌀 품종별로 살펴보면 백미의 경우 추청 품종은 칼슘이, 오대는 인과 마그네슘이, 일품은 나트륨, 칼륨, 아연이, 동진은 철이 다른 품종에 비하여 함량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현미의 분석결과에서는 화성은 철이, 추청은 나트륨이, 오대는 인, 칼륨, 아연, 마그네슘이, 동진은 칼슘이 다른 품종에 비하여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2. 쌀 품종별 지방산 조성은 백미의 경우 전체적으로 볼 때 C18 : 1이 33~41%로 그 비율이 높았고 현미의 경우도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포화지방산은 백미의 경우 오대쌀을 제외하고 20~33%, 현미는 19~22%정도 함유되어 있었다. 단일불포화지방산은 백미가 34~44%, 현미가 39~45%이었으며 다중불포화지방산은 백미가 24~42%, 현미가 33~40%를 함유하여 백미와 현미의 지방산 조성에 차이를 보였다. 현미의 경우 쌀 품종별로 포화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 조성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도정한 후 백미의 경우 쌀 품종별 포화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의 조성에 있어서 차이가 많은 것으로 나타나 지방산 분포가 쌀 품종별로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3. 쌀 품종별 아미노산을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가장 많이 함유된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이었으며 백미는 11.54~16.93 mg/g, 현미는 13.29~20.24 mg/g로 분석되었다. 가장 적게 함유된 아미노산은 tryptophan이었으며 백미는 0.75~0.98 mg/g, 현미는 0.94~1.19 mg/g이었다. 대부분의 아미노산 함량은 백미와 현미 모두 일미 품종에 많이 들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4. 도정률의 증가에 따른 비타민의 감소가 뚜렷하게 나타났는데 niacin은 10~30%, 비타민 B1은 15~60%, 비타민 B2는 거의 모든 품종에서 50%이상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백미는 일품이, 현미는 화성이 가장 높은 niacin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비타민 B1은 백미의 경우 일품이, 현미는 일품과 일미가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비타민 B2는 쌀 품종별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5. 조섬유는 현미가 백미보다 2~4배정도 많이 함유하고 있었으며 식이섬유는 현미가 백미보다 2~3배 높게 함유하였다. 조섬유의 경우 백미는 오대 품종이, 현미는 화성과 일품품종이 가장 높은 함량비율을 나타내었고 반면 식이섬유는 백미의 경우 동진이, 현미의 경우 일미 품종이 가장 높은 함량비율을 나타내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prove the excellency of unpolished (brown) rice with respect to nutritional composition and to compare chemical composition among six varieties of rice. Some nutritional composition in the polished (well-milled) rice and unpolished (brown) rice of the six typical Korean varieties (Chucheong, Hwasung, Odae, Ilmi, Dongjin, Ilpum) were determined. Most of nutrients in the brown rice were much greater than those in the milled rice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rice varieties in some chemical compositions. The major minerals of milled rices were Ca, 6~15 mg%; P, 91~125 mg%; Fe, 0.3~1.2 mg%; Na, 10~14 mg%; K, 106~205 mg%; Zn, 1.0~1.8 mg% and Mg, 32~58 mg%. The mineral contents of brown rices were Ca, 4~11 mg%; P, 92~286 mg%; Fe, 1.3~1.9 mg%; Na, 12~15 mg%; K, 243~320 mg%; Zn, 1.5~2.3 mg%; Mg, 112~140 mg%. Major fatty acids in six rice varieties were linoleic acid, oleic acid and palmitic acid, which comprised of about 93% of total fatty acid. Amino acid analysis showed that aspartic acid, glutamic acid, arginine and leucine were major amino acids, whereas histidine, threonine and tryptophan were minor ones of rice. Most amino acid contents was higher in Ilmi than the other varieties. The contents of vitamin in brown rices were considerably higher than those in well-milled rice.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dietary fiber among rice varieties : 1.1~1.2% for milled rice, 3.2~3.5% for brown r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