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Study on Estimating Mean Lifetime After Modifying Censored Observations

        Kim, Jinh-eum,Kim, Jee-hoon The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1998 품질경영학회지 Vol.26 No.1

        Kim and Kim (1997) developed a method of estimating the mean lifetime based on the augmented data after imputing censored observations. Assuming the linear relationship between lifetime and covariates, and then introducing the procedure of Buckley and James (1979) to estimate the mean lifetimes of censored observations, they proposed a mean lifetime estimator and its consistency under the regularity conditions. In this article, the Kim and Kim's estimator is compared with the estimator introduced by Gill (1983) through simulations under the various configurations. Also, their estimator is illustrated with two real data sets.

      • KCI등재후보

        출퇴근 소요시간이 남자 근로자의 혈중 Gamma-glutamyltransferase에 미치는 영향

        김상훈,이지나,홍윤철 大韓産業醫學會 2002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4 No.4

        목적: 음주, 비만, 운동부족 등 체내에 산소성 손상(oxidative stress)을 유발하는 인장들은 산소성 손상(oxidative stress)의 기전을 통해 간세포내 단백질 손상을 주어 혈중 γ-GTP를 상승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출퇴근 소요시간의 증가는 운동량 감소를 초래하기 때문에, 출퇴근 소요시간의 증가가 혈중 γ-GTP 상승을 유발할 것으로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근무지가 김포공항에서 인천공항으로 옮겨지고, 직무 및 근무형태가 변하지 않은 5 개 회사남자 근로자 717명을 대상으로 하여 김포공항 근무 당시 시행한 체격검사, 혈액검사 결과 근무지 이전 전후의 출퇴근 소요시간, 수면시간, 음주량 설문 결과를 이용하여 출퇴근 소요시간이 혈중 γ-GTP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결과: 공항 이주전 평균 출퇴근 소요시간은 62.86분이었으며, 이주 후에는 139.30 분으로 유의한 출퇴근 소요시간 증가가 있었다. γ-GTP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변수들로는 출퇴근 소요시간(r=0.11), 체질량지수(r=0.27), 소축기혈압(r=0.18), 이완기혈압(r=0.24), 혈색소(r=0.12), 혈당(r=0.08), 총콜레스크롤(r=0.24), AST(r=0.49), ALT(r=0.49), 음주량(r=0.10)이 있었다. γ-GTP를 종족변수로 하여 다른 변수들과의 다변량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γ-GTP느 출퇴근 소요시간, 체질량지수, 이완기혈압, 총콜레스테롤, AST, ALT, 음주량과 유의한 연관성을 나타내었으며, 출퇴근 소요시간이 60분 이상일 경우 출퇴근 소요시간과 γ-GTP 간에 양-반응관계가 나타났다. 공항이주 전인 2000년당시 정상 γ-GTP값을 나타내었던 685명의 남자 근로자에 대하여 출퇴근 소요시간 변화량이 60분이하, 60 분초과로 구분한 후, 공항이주 후인 2002년 γ-GTP값이 정상/비정상 군으로 구분하여 비교위험도를 구한결과 출퇴근 소요시간이 60 분이하 증가기간 군보다 60 분 초과 증가한 군에서 γ-GTP값이 비정상으로 될 비교위험도는 2.20(95% CI : 1.14-4.23 )로 나타났으며, 기준을 90분, 120 분으로 구분하면 각각 2.43(95% CI : 1.34-4.38), 2.57(95% CI : 1.36-4.86)로 비교위험도가 증가하였다. 결론: 이 결과는 남자 근로자에서 출퇴근 소요시간의 증가가 운동부족을 초래하며, 헐중 γ-GTP 상승를 일으키는 인자임을 시사한다. Objectives: Alcohol drinking, obesity, and reduced physical activity are commonly related to oxidative stress, which induces plasma membrame-bound protein damage in hepatic cells and elevates serum γ-GTP. We have a hupothesis that a long commuting time may induce oxidative stress.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ting rime and serum γ-GTP level. Methods: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717 male workers who had worked at Kimpo airport until the year 2000, and had then moved to Incheon airport and were working there in 2002. The questionnaire included items concerning commuting time, sleeping time and alcohol consumption. Phusical examination and laboratoru data were also collected. Results: Serum γ-GTP level wa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commuting time, bodu mass index, systolic blood pressure,, diastolic blood pressure, hemoglobin, glucose, total cholesterol, AST, ALT and alcohol consumption.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demonstrated that serum γ-GTP level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ommuting time, after considering the other coviates. Conclusions: Commuting time is one of the factors that affects serum γ-GTP level in male workers.

      • KCI등재후보

        일개 대학병원 산업의학과 외래환자의 질병분포와 내원 경로에 관한 분석

        김상훈,이지나,임종한,홍윤철 大韓産業醫學會 2002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4 No.4

        목적 : 본연구는 산업의학과의 발전과 영역확장을 위한 중요한 요소인 산업의학과 외래진료를 시행하고 있는 일개 대학병원 산업의학과 내원 환자의 질병 분포와 내원 유형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방법 : 인천지역 일개 대학병원 산업의학과에서 외래 진료를 받은 1,682명에 대해 전산 및 수기 의무기록 자료를 통해 성, 연령, 질병의 분포 및 외래 방문경로를 조사하였다. 결과 : 1998년부터 2001년까지의 4년간 진료건수는 5,157건, 환자는 1,682명이며, 고엽제 클리닉 환자를 제외하면 839명의 혼자를 진료하였다. 839명의 환자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성별로는 남자 654명(77.9%), 여자 185명 (22.1%)이며, 연령분포는 40대가 가장 많았다(남자 중 31.7%, 여자 중 34.7%). 2. 연도별로는 1998년 146명, 1999년 174명, 2000년 247명, 2001년 272명으로 증가하고 있다. 방문경로는 '검진' 548명(65.3%), '대행' 132명(15.7%), '스스로방문' 125명(14.9%), '타원전원' 18명(2.2%), '타과전원' 16명(1.9%) 이며, '검진'이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낮아지고, '스스로방문', '대행'은 높아지고 있다. 3. 질환별로는 간장질환이 241명(28.7%), 호흡기질환 107명(12.8%), 위장관질한 86명(10.3%), 근골격계질환 73명(8.7%)이었으며, '검진'에서 많은 간장질환, 당뇨, 빈혈의 비중은 낮아지고, '스스로방문'과 '대행'에서 많은 근골격계 질환의 비중은 높아지고 있다. 결론 : 외래진료 운영 초기에는 '검진'을 통한 일차이료적인 외래진료가 많았지만 점차 '스스로방문' 및 '대행'을 통한 산업의학 고유영역에 해당되는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 외래 운영 초기 안정을 위해서는 '검진'등을 통한 일차진료를 위주로 하며, 안정된 후에는 기본적으로 일차진료를 수행하면서 산업의학과의 전문적 영역을 확보해 나간다면 지속적인 산업의학과 외래진료의 발전 및 성장이 가능할 것이다. Objectives: The occupational & environmental mecicine clinic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growth and advace of occupational & environmental medicine. This study analyzes the disease distribution and referral routes of patients in an occupational & environmental medicine clinic of a university hospital. Methods : 843 Agent Orange cases and 839 other cases weretreated in the clinic over a period of 4 years. The Agent Orange cases were excluded from this study. Distributions of age, sex, disease and referral route were examined according to the medical records of the hospital. Results: 654 of the patients inthe study population were male(77.9 %) and 185 were female(22.1 %). The most common age group consisted of patients in their forties. The numer of cases has been increasing anually(1998, 146cases: 1999, 174 cases: 2000, 247 cases: 2002, 272 cases). The source of the cases were as follows: health examination. 548(65.4%): health management service, 132(15.7%): self-referral, 125(14.9 %): physicians in other hospitals, clinics, 18(2.1 %): and physicians in other clinic in the hospital, 16(1.9 %). The most commonly occurring disease was liver disease(28.6 %), followed by respiratory disease(12.8 %), gastroenteric disease(10.3 %) and musculoskeletal disease(8.7 %). When the clinic was first opened, most cases came through 'health examination'. Subsequently the number of cases arsing from 'self-refferal' and 'health management services' were increased. The disease distribution has also changed as the referral route distribution evolved. Conclustions: In order to expand the work of the clinic, primary cares for patients who came from 'health examination' will be needed to settle down the clinic at the beginning. Thereafter, specialized services need to vbe developed for cases originating from 'self-referral' and from referral by other organizations. Increasing the number of xases needs to go hand in hand with the development of good management skills.

      • Graves 병과 혈청 면역글로불린-E의 연관성

        김현영,박기룡,김성훈,김지연,송수근,최영식,박요한 대한내분비학회 2002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17 No.5

        연구배경: Graves 병은 미만성 갑상선종, 갑상선기능한진, 안구침법 등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면역성 질환으로, 갑상선자극호르몬 수용체에 대한 자가항체(TRAb)가 갑상선을 자극하여 발생된다. TRAb는 Graves병 환자의 약 85%이상에서 검출되며 활성화된 TRAb는 대부분 IgE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최근 Graves병 환자의 갑상선조직과 안구조직에 IgE의 침착과 꽃가루 등에 의한 알레르기성 비염으로 인해 Graves병이 발생하거나 재발된 견우가 보고되어 Graves병의 병인에 IgE의 연관성이 제기 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이에 대한 연구가 드물다. 본 연구에서는 Graves병에서의 혈청 IgE농도와 Graves병의 병기와의 관계 및 TRAb와 IgE 농도와의 연관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00년 4월 1일부터 7월 1일까지 고신의료원 내분비내과를 방문한 환자 중 Graves병 46예, 만성갑상선염 6예 및 고신의료원 건강증진센터를 방문한 환자 중 갑상선질환의 병력이나 가족력 및 알레르기성 비염의 병력이 없는 35예의 정상대조군을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TRAb는 갑상선자극호르몬 결합 억제 면역글로불린(TBII)으로 측정하였으며, IgE는 효소면역분석법으로 측정하였다. 결과: IgG인 TBII는 Graves병에서 만성갑상선염과 대조군에 비해 높았으며, IgE 평균농도는 Graves병에서 598.1±1112.9U/mL로 만성갑상선염 환자의 98350±79.7U/mL, 대조군 161.72±194.4U/mL에 비해 높았다(p<0.05). Graves병에서 알레르기성 비염의 발병율은 10.9%(5/46)였으며, Graves 병에서의 혈청 IgE 농도는 알레르기성 비염의 병력이 있는 경우 903.1±1152.2U/mL로 없는 경우 560.8±1117.0U/mL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 Graves병의 병기에 따른 TBII와 IgE 농도의 변화를 항갑상선제로 치료하지 않은 군(비치료군)과 치료한 군(치료군) 및 재발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였을 때, TBII는 치료군(7.4±18.6%)에 비해 비치료군(49.9±23.9%)과 재발군(21.1±3.1%)에서 높았으며(p<0.05), 혈청 IgE치도 치료군(233.8±432.7U/mL)에 비해 비치료군(758.6±1250.0U/mL)과 재발군(1198.5±1952.1U/mL)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항갑상선제로 치료한 치료기간에 따른 TBII와 IgE 농도 변화에서, TBII는 비치료군(49.9±23.9%)과 1년 미만 치료군(24.8±3.8%)에서 1년 이상 치료군(2.22±1.97%)에 비해 높았으며(p<0.05), 혈청 IgE 농도는 비치료군(758.6±1250.2U/mL)에서 1년 미만 치료한 군(158.3±91.5U/mL)과 1년 이상 치료군(252.7±483.4U/mL)에 비해 높았으나 유의하지는 않았다. 결론: Graves 병에서 IgE 농도는 증가되어 있었으며, Graves 병의 각각 다른 병기에서의 혈청 IgE 농도의 변화는 Graves qudd의 경과에 영향을 미치는 IgG인 TBII치의 변화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혈청 IgE와 Graves 병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IgE와 더불어 CD23항원 등의 다른 검사도 병행하는 전향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It is widely believed that Graves' disease is and autoimmune disorder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the circulation TSH receptor antibody (TRAb). The majority of the activity of TRAb is of the immunoglobulin G(IgG) class. However, other immunoglobulin such as immunoglobulin E(IgE), may play a rloe in the activity. IgE accumulation has been reported to occur in the thyroid gland and ocular muscles of subjects with Graves' disease. Furthermore, it has been noted that recurrence of Graves' disease can be induced by and allergy to pollen. Because an allergy to pollen is commonly associated with IgE, IgE might play a role in the induction of Graves' disease. Therefore, investigated whether IgE was elevated in Graves' disease, and evaluated the poten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s of TRAb and IgE Graves' disease. Methods: Forty-six patients with Graves' disease, and 6 with chronic thyroiditis, diagnosed at the Kosin Medical Center between April, 2000 and July, 2000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irty-five persons without thyroid disease or a history of allergic rhinitis were used as normal controls. The level or TRAb was measured using thyrotropin binding inhibitory immunoglobulin (TBII). Serum total IgE was measured using as enzymeimmunoassay method. Test for thyroid function, TBII and total IgE were performed in all cases, and the results statistically analyzed. Results: TBII, as IgG, and the serum IgE level were higher in the patients with Graves' disease, and the levels of the latter were 598.1±1112.9U/mL, 98.5±79.7U/mL and controls 161.7±194.4U/mL in the Graves' patients, those with thyroiditis and the controls, respectively (p<0.05). The prevalence of allergic rhinitis in Graves' disease was 10.9%. The serum IgE level in Graves' disease with, and without, allergic rhinitis were 903.1±1152.2U/mL and 560.8±1117.0U/mL, respectively,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According to the clinical stage, the serum TBII level was higher in the untreated Graves', and relapsed patients 49.9±23.9% and 21.1±3.1%, respectively, than in the treated group, 7.4±18.6% (p<0.05). The serum IgE level was higher in the untreated Graves' and relapsed patients 758.6±1250.2U/mL and 1198.5±1952.1U/mL, respectively, than in the treated group 233.8±432.7U/mL, although this was not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treatment, the serum TBII levels were higher in the untreated Graves' patients, and those treated for less than 1 year, than in those treated for more than 1 year, with values of 49.9±23.9, 24.8±3.8 and 2.22±1.97%, respectively (p<.05). The serum IgE level was higher in the untreated Graves' disease (758.6±1250.2U/mL) than in the groups treated for less than 12 months (158.3±91.5U/mL) and more than 12 months (252.7±483.4U/mL), but the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 Conclusions: The concentration of IgE was high in Graves' patients, and although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serum igE level in Graves' patients with allergic rhinitis was higher than those without. With regard to the clinical stage of Grave's disease, the change in the IgE level tended to follow that of the TBII. Further study will be required to define the possible role of IgE in the pathogenesis in Graves' disease (J Kor Soc Endocrinol 17:640∼648, 2002).

      • KCI등재후보

        졸겔법에 의한 티탄산납 제조 및 유기산 흡착특성

        김주호,송지훈,신보철,한상오,송근호,이광래 江原大學校 産業技術硏究所 2001 産業技術硏究 Vol.21 No.B

        Generally PbTiO3 if manufactured in a form of thin films which is useful for the application infrared sensors and non-volatile memory devices. Moreover PbTiO3 has a characteristic of adsorption for organic acid as well as electronic property. Organic acid adsorption properties of PbTiO3 powder prepared by sol-gel method was compared with the powder purchased from Aldrich Co. Crystallization and particle size of PbTiO3 are influenced by process variable, such as dilution of sol solution, catalysis, calcination temperature, calcination time, etc. As the size of PbTiO3 power decreased until several nanometers, adsorption of acetic acid and formic acid was increased 1.5-fold and 1.2-fold respectively

      • KCI등재

        임플란트 주위 조직 보존을 위한 임플란트 경부의 디자인에 관한 고찰

        김홍준,김지환,김성태,이재훈,박영범 大韓齒科保存學會 2011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6 No.6

        연구 목적: 임플란트 식립 후 변연골 흡수에 따라 임플란트 주위 연조직이 재구성되며, 이에 따라 치료의 예후 및 심미성 등에 영향을 주게 된다. 그러므로 임플란트 경부 주위 골조직 보존을 위한 임플란트 경부에 다양한 디자인이 연구되고 있다. 본 고찰의 목적은 초기 변연골 흡수의 원인과 이에 따른 임플란트 주위의 연조직 변화에 대해 고찰하고, 어떠한 임플란트 경부 디자인이 임플란트 주위 조직의 보존에 유리한 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재료 및 방법: Pubmed database에서 임플란트 초기 변연골 흡수의 원인과 관련된 논문과 임플란트 경부의 여러 디자인에 관한 논문을 검색하여 분석하였다. 임플란트 경부 디자인은 one piece implant, two piece implant, internal hex abutment, external hex abutment, taper joint connection, butt joint connection, scalloped design abutment, platform switching concept에 관해 검토하였다. 결과: 초기의 임플란트 주위 조직 보존에 대하여 one piece implant가 two piece implant보다 유리한 것으로 여러 임상적, 실험적 연구가 있다. Two piece implant에서는 internal hex abutment가 external hex abutment보다, taper joint connection가 butt joint connection보다 유리할 것으로 보여진다. Scalloped design abutment에 대해서는 논쟁의 여지가 있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Platform switching concept은 그 원인이 명확히 밝혀지지는 않았으나 임상적, 실험적으로 초기 임플란트 주위 조직 보존에 대해 유리한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 임플란트 경부의 디자인마다 각각의 장단점이 있고 추가적인 연구가 더 필요한 제한이 있지만 현재까지의 선행 연구들을 분석 종합해 보면 초기 임플란트 주위 조직 보존을 고려한다면 가능한 경우 one piece implant가 유리할 것으로 판단되며, 보철적인 문제나 다른 이유로 인하여 two piece implant를 고려할 경우 platform switching concept, internal connection abutment, taper joint connection을 이용하는 것이 임플란트 주위 조직 보존에 좀더 유리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peri-implant soft tissue is remodeled by the initial marginal bone resorption affecting the prognosis and esthetic result of treatment. Thus various designs on implant neck design are studied to preserve peri-implant bon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on the causes of initial marginal bone resorption, the configuration of peri-implant soft tissue, and the implant crestal module favorable in preserving peri-implant tissue.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ies on the causes of initial marginal bone resorption and the implant crestal modules are researched and reviewed using Pubmed database. The implant crestal modules including one piece and two-piece implant, internal and external hex abutment, taper and butt joint connection, scalloped design abutment, and platform switching concept are reviewed. Results: A number of clinical and experimental studies preferred one piece implant to two-piece in preserving initial peri-implant tissue. For two piece implants, internal hex abutment and taper joint connection appear more favorable than external hex abutment and butt joint connection relatively. Controversial issues still exist on scalloped design requiring more studies on it. Although the rationale is not certain, the concept of platform switching seems favorable in preserving initial peri-implant tissue based on clinical and experimental studies. Conclusion: Each implant crestal module contains its own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with various controversial issues. In the aspect of preservation of initial peri-implant tissue, however, one-piece implant seems beneficial. In cases when two-piece implant is more appropriate due to prosthodontic concerns or any other problems, the application of platform switching concept, internal connection abutment, and taper joint connection may be favorable for the preservation of peri-implant tissues.

      • KCI등재후보

        아미노글리코사이드 사용제한에 따른 병원성 균혈증 유발 그람음성간균의 내성변화 및 임상적 의의

        오종택,김신우,손종원,도병훈,한승우,신병철,박지현,이종명,김능수 대한감염학회 2003 감염과 화학요법 Vol.35 No.4

        목적 : 항균제 오남용으로 인한 내성균의 출현, 약물부작용의 발생 및 약제 비용의 증가는 환자 개인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항생제의 오남용을 막기 위한 제도의 일환으로 시행한 아미노글리코사이드 사용 제한정책의 비용 효과적인 측면을 조사하고 그람음성간균에 의해 병원성 균혈증이 발생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이 정책이 항생제 내성률과 환자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방법 : 930병상 규모의 3차 병원인 일개 대학병원에서 아미노글리코사이드 사용제한정책이 시행된 직후인 2002년 3월에서 9월 사이에 그람음성간균(Acinetobacter baumannii, Pseudomonas aeruginosa, Klebsiella pneumoniae, Escherichia coli, Enterobacter cloacae, Enterobacter aerogenes, Serratia marcescens, Stenotrophomonas maltophilia, Burkholderia cepacia)에 의해 발생한 병원성 균혈증 환자 60명(실험군)과, 이 정책이 시행되기 전에 입원한 환자들 중 균주별로 같은 수만큼 선별한 병원성 균혈증 환자 60명(대조군)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 아미노글리코사이드 사용제한정책이 시행된 시기인 2002년 3월에서 9월 사이에 처방된 아미노글리코사이드 사용량 및 비용을 이 정책이 시행되기 전인 2001년 3월에서 9월 사이와 비교한 결과, 아미노글리코사이드의 사용량(antimicrobial utilization density)은 사용제한 후 225.2에서 130.3으로 42% 감소하였고 약제 비용은 44% 감소하였다. 아미노글리코사이드 사용제한 후 병원성 균혈증을 유발한 그람 음성간균의 이 항생제에 대한 내성률은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균혈증과 직접 연관된 사망률도 환자의 나이, 성별, 기저질환 및 원발병소 등을 보정할 경우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40.4% vs. 24.1%, P=0.11). 결론 : 아미노글리코사이드를 5일을 초과한 사용 시 감염전문가의 사전 승인을 필요로 하는 사용제한정책은 아미노글리코사이드의 사용량과 비용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또한 이 정책 시행 후 그람음성간균에 의한 균혈증 환자에서 균혈증으로 인한 사망률과 아미노글리코사이드에 대한 내성률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Objective : To evaluate the effects of an aminoglycoside restriction policy on expenditures for aminoglycosides, antimicrobial resistance rates and clinical outcome of nosocomial bacteremia caused by Gram-negative bacilli (GNB). Methods : Starting in February, 2002, a prior consultation with an infectious disease specialist for using aminoglycoside antibiotics over 5 days was required in a 930-bed university hospital. In retrospective analysis of medical records 7 months after initiation of the aminoglycoside restriction policy, sixty cases of clinically relevant nosocomial bacteremia caused by GNB were found. These bacteremic patients were compared with sixty, species-matched, control patients with nosocomial Gramnegative bacteremia before the policy for total expenditures for aminoglycosides, susceptibility to antibiotics and clinical outcomes of bacteremia. Results : During the same period of 7 months before and after the restriction policy, total expenditures for aminoglycosides decreased by 44% in cost (from 465,030,841 Won to 259,618,337 Won) and the antimicrobial utilization density of aminoglycosides decreased by 42% (from 225,2 to 130.3). On the other hand, the patterns of antibiotic susceptibility and bacteremia-related in-hospital mortality rates after the policy did not show a significant change, compared with those before the policy. Conclusion : Antibiotic restrictions are among the most popular methods to diminish the practice of antibiotic overuse in hospitals. In this study, requirement for prior approval of aminoglycoside use over 5 days led to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amount and cost of total aminoglycosides without a significant change in susceptibility patterns and bacteremia-related mortality rates.

      • 분사법에 의한 탄산칼슘 제조

        신보철,한상오,김주호,송지훈,송근호,이광래 강원대학교 석재복합신소재제품연구센터 2001 석재연 논문집 Vol.6 No.-

        본 연구는 탄산가스화법에 의한 탄산칼슘 입자 제조 공정에 있어서, 탄산가스로 채워진 반응기에 수산화칼슘 슬러리를 분사하는 방법으로 탄산칼슘 입자를 제조하였다. 수산화 칼슘의 농도(0.25~1.0wt%), 분사압력(0.5kgf /㎠~1.5kgf /㎠) 및 반응기 온도(20℃, 28℃)의 변화에 따른 생성된 탄산칼슘을 관찰하였다. 수산화 칼슘의 농도가 비교적 높으면(0.75wt%, 1.0wt%), 생성물의 pH와 전도도는 높게 나타났다. 분사압력에 의한 탄산칼슘 제조의 변화는 분사압력이 높아질수록(1.5kgf /㎠), pH와 전도도는 높게 측정되었다. 그러나, 수산화 칼슘의 농도와 분사압력의 변화가 탄산칼슘의 입자크기, 형태, 결정구조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반응기의 온도가 28℃에서 생성된 탄산칼슘은 1.0㎛이하의 칼사이트 상 입자가 제조되었으며, 20℃에서 생성된 탄산칼슘은 0.5㎛이하의 칼사이트 상 입자가 제조되었다. 반응기의 온도가 낮아질수록 탄산칼슘 입자의 크기가 작아짐을 알 수 있었다. For the preparation of calcium carbonate particles from aqueous Ca(OH)2 slurry, carbonation reaction of aqueous Ca(OH)2 slurry was carried out by spouting the aqueous slurry of Ca(OH)2 into reactor filled with CO2 gas. The concentration of Ca(OH)2 varies from 0.25wt% to 1.0wt%, nozzle pressure from 0.5kgf /㎠ to 1.5kgf /㎠, and reactor temperature were set at 20℃ and 28℃. With relatively high concentration of 0.75wt% and 1.0wt% of Ca(OH)2, pH and conductivity of product-stream were observed high value. High pH and conductivity were observed at high nozzle pressure of 1.5kgf /㎠. The concentration of Ca(OH)2 and nozzle pressure, however, did not change the particle size and shape of calcium carbonate synthesized by carbonation reaction. The reaction temperature affected particle size. At reactor temperatures of 28℃ and 20℃, the particle sizes were about 1.0㎛ and 0.5㎛, respectively. Crystal structure of calcium calcium carbonate was of calcite. When reactor temperature was lower, the size of calcium carbonate particle was smaller.

      • 2-연고계 레진접착제를 사용하였을 때 합금과 법랑질의 전단결합강도

        딕슨, 도나 엘,박지훈,김철위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치과생체재료학교실 1998 치과생체재료학 논문집 Vol.6 No.1

        문제 접착레진 접착젠느 고정성 보철물의 금속부분과 치아를 성공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panavia 21 접착제는 Panavia 접착레진 접착제의 신제품이다. 목적 본 연구는 Panavia 21을 사용하여 2종 합금시편 (Olympia, Rexillium Ⅲ)의 법랑질에 대한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방법 도재를 소환한 후 합금시편을 치아에 접착하고 2주간 보관한 후 전단시험을 하였는데 500 사이클의 열순환 시험 후 물에서 2주간 보관하였다. 시험결과는 2-way ANOVA (α=0.05)로 분석하였다. 결과 Rexillium Ⅲ와 주석도금한 Olympia 시편을 삭제한 후 산부식하지 않은 치아에 접착하였을 때 전단결합강도는 삭제 및 산부식한 후 Panavia 21 접착제로 접착한 경우보다 유의성 있게 낮았다.

      • KCI등재후보

        회분식 반응기에서의 공정변수 변화에 의한 침강성 탄산칼슘 제조

        신보철,한상오,김주호,송지훈,송근호,이광래 江原大學校 産業技術硏究所 2001 産業技術硏究 Vol.21 No.B

        For the preparation of calcium carbonate particles from aqueous Ca(OH)2 slurry, carbonation reaction of aqueous Ca(OH)2 slurry was carried out by batch method the CO2 into reactor filled with aqueous slurry of Ca(OH)2. The concentration of Ca(OH)2 varies from 1.00 to 7.00wt%, reactor temperature at 20 and 40℃, and reactor pressure from atmospheric pressure to 6.0kgf/cm2. Crystal structure of calcium carbonate was of calcite, the particle size were about 0.05 ∼2.0㎛, and the particle shape was cubic and spindle. When reactor temperature was higher, particle size of calcium carbonate was bigger and particle share was varied, but reaction rate was increased. When reactor pressure was higher, particle size of calcium carbonate was smaller, particle shape was cubic, and reaction ramie was increa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