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업무상 질병으로 요양 승인된 의료기관 종사자 및 질병의 특성

        임현술,안연순 大韓産業醫學會 2003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5 No.2

        목적: 의료기관 종사자는 다양한 위험 요인에 노출되어 있지만 지금까지 의료기관 종사자에 대한 건강장해에 대한 관심은 적었다. 본 연구는 의료기관 종사자가 업무상질병으로 요양 승인된 질병 사례를 검토하여 의료기관 종사자의 업무상질병의 종류와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근로복지공단에서 1999년과 2000년 업무상질병자 또는 기타 재해자로 입력된 전산 자료를 한국산업안전공단 전산망에 연결하여 자료를 다운받아 업무상질병을 재분류한 후 2001년 6월 30일까지 요양 승인된 업무상질병자 5,460명을 파악하였다. 이들 중 의료기관 종사자인 근로자 142명을 대상으로 하여 성별, 연령, 진단명 및 직종을 파악하여 기술역학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업무상질병자 중에서 의료기관 종사자의 점유율은 1999년과 2000년 각각 2.6%이었다. 질병별 분포는 감염성 질환이 61명(43.0%), 뇌·심장혈관계 질환이 60명(42.3%), 근육골격계 질환이 18명(12.6%), 기타 3명(2.1%)이었다. 성별 분포는 남성 59명(41.5%), 여성 83명(58.5%)으로 여성이 많았다. 연령별 질병별 분포는 20대가 64명(45.1%)으로 가장 많았고, 30대 30명(21.1%), 40대 25명(17.6%), 50대 17명(12.0%), 60대 6명(4.2%)의 순으로 감소하였다. 직종별 질병별 분포는 간호사 및 간호조무사가 64명(45.1%)으로 가장 많았고, 의사 19명(13.4%), 사무직 18명(12.7%), 조리실 10명(7.0%), 영선부 5명(3.5%), 임상병리사 5명(3.5%), 환경미화원 4명(2.8%)의 순이었다. 질병별 분포는 1999년 감염성 질환은 결핵이 21명, 간염은 B형 간염 3명, C형 간염 2명, 수두 1명이었다. 뇌·심장혈관계 질환은 뇌출혈 14명, 뇌경색 7명, 심근경색증 7명이었다. 근육골격계 질환은 좌완관절전위 1명, 요추부 추간판탈출증 2명, 좌측견관절 상부관절 와순파열 및 감입증후군 1명이었다. 2000년 감염성 질환은 결핵이 23명, 간염 5명, 수두 3명, 홍역 3명이었다. 뇌·심장혈관계 질환은 뇌출혈 14명, 뇌경색 4명 심근경색증 12명 심실세동 1명, 중심망막동맥폐쇄 1명이었다. 근육골격계질환은 경추부 추간판탈출증 4명, 요추부 추간판탈출증 4명, 주관절 내상과염 1명, 견관절 극상근 건초염 1명, 수지 활액낭염 1명, 주관절 염좌 1명, 견괄절 충돌증후군 1명, 근막통증 증후군 1명이었다. 결론: 의료기관 종사자의 승인된 업무상질병은 감염성 질환, 뇌·심장혈관계 질환 및 근육골격계 질환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앞으로 의료기관 종사자의 유해 환경 노출 실태 및 업무상질병 여부를 파악하고 의료기관 종사자를 제도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산업보건 정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occupational diseases among health care workers in Korea. Methods: Using the database of the Korea Labor Welfare Corporation (KLWC), 5,460 approved occupational disease cases, between Jan 1, 1999 and Dec 31, 2000, and approved by the Jun 30, 2001, were collected. Of these, the 142 health care worker cases were investigated. Results: The proportion of health care workers among the total cases reported in 1999 and 2000 was 2.6%, respectively. The diseases were infectious in 61(43.0%), cerebro-cardiovascular in 60(42.3%)and musculoskeletal in 18 cases(12.6%). The distributions of the occupational diseases by sex were 59(41.5%)and 83 cases(58.5%), in males and females, respectively. The distributions of the occupational diseases by age were 64(45.1%), 30(21.1%), 25(17.6%) and 17 cases(12.0%), in their 20s, 30s, 40s and 50s, respectively. For the cases of infectious diseases by age there were 48(78.7%) in their 20s and 12(19.7%)in their 30s, for the cases of cerebro-cardiovascular diseases by age there were 17(28.3%)in their 40s, 16(26.7%)in their 50s and 12(20.0%)in their 20s, and for the cases of musculoskeletal diseases there were 7(38.9%)in their 30s and 4(22.2%)in their 20s. The distributions of the cases of occupational diseases by department were 64(45.1%), 19(13.4%), 18(12.7%), and 10(7.0%)in the nursing, doctors, officers, and food services departments,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major occupational diseases of health care workers, as approved by the KLWC, were the infectious, cerebro-cardiovascular and musculoskeletal diseases. A special management policy must be considered to prevent occupational diseases of health care workers in Korea.

      • Gullian Barre Syndrome 患者 1例에 대한 症例報告

        임승민,안정조,최영,조현경,김민상,유병찬,오병렬,김윤식,설인찬 대전대학교 한방병원 2002 惠和醫學 Vol.11 No.1

        Gullian Barre Syndrome is an acute symmetric polyradiculoneuropathy that typically presents as a progressive flaccid paralysis. The pathology is believed to be caused by both cellular and humoral immune processes The possibility of death is 3-5% and About 20% of patients require mechanical ventilaton. Recently We have experienced a patient who had suspected Gullian Barre Syndrome for 60days, his condition weakness and pain was impoved through the herb and acupucture Therefore I reported it for the treatment.

      • KCI등재

        업무상 질병으로 요양 승인된 농림어업에 종사하는 근로자의 질병 특성

        안연순,임현술 대한산업의학회 2007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9 No.1

        목적: 이 연구는 1998년부터 2005년까지 8년 동안 농림어업에 종사하는 근로자에서 업무상질병으로 요양 승인 된 사례를 분석하여 질병의 종류와 근로자의 특성을 밝힘으로써 이들의 직업병 예방이나 산재보험 정책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방법: 한국산업안전공단으로부터 근로복지공단에서 1998년 1월 1일부터 2005년 12월 31일까지 산업재해로 요양을 승인한(요양급여 또는 유족급여 수령자) 농림어업에 종사하는 근로자의 전산자료를 받아 자료를 검토하여 전체 재해자 중 업무상질병자 667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자에 대하여 성, 연령, 근속기간, 직종, 질병종류, 질병 발생원인, 업종, 사업장규모 등에 대한 기술분석을 시행하였고, 근속기간 및 직종 등 정보가 누락된 변수는 한국산업안전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조사 통계팀에서 산업재해 원인분석을 위하여 수집한 자료를 이용하였다. 결과: 업무상질병자 667명은 남성이 76.0%(507명), 여성이 24.0%(160명)이었다. 이 중 사망자가 10.3%(69명)이었다. 연령별로는 50대가 37.3%(249명)로 가장 많았고, 사업장 규모는 5인 이상 50인 미만 사업장이 47.5%(317명)로 가장 많았다. 질병별로는 뇌심혈관계질환 등 작업관련성질환이 45.9%(306명), 감염성질환 등 직업병이 54.1%(361명)이었다. 직업병을 세분류하면 피부질환이 40.7%(147명)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감염성질환 36.3%(131명), 독성질환 11.1%(40명)의 순이었다. 감염성질환의 93.9%(123명)가 쯔쯔가무시병이었다. 직업병의 원인을 분류하였을 때, 생물학적인자가 88.6%(320명)로 가장 많았고, 화학적인자 8.0%(29명), 물리적인자 3.0%(11명)이었다. 종사업종은 임업이 66.7%(445명)로 가장 많았고, 어업은 6.1%(41명)이었다. 직종별로는 단순노무 종사자가 177명으로 전체의 75.3%로 가장 많았고, 특히 임업은 단순노무종사자가 151명으로 89.3%이었다. 다음으로 농업, 임업 및 어업 숙련종사자가 24명, 장치, 기계 조작 및 조립 종사자 10명의 순이었다. 결론: 이 연구를 통하여 최근 8년 동안 우리나라에서 농림어업에 종사하는 근로자 중에서 업무상질병으로 인정한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기존 통계자료에서 알 수 없었던 내용을 전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농림어업에 종사하는 근로자의 업무상질병의 특성을 요약하면 근속기간이 6개월 미만인 고연령 단순노무자에서 쯔쯔가무시병 등 감염성질환과 생물학적인자에 의한 피부질환이나 전신 독성 질환이 매우 중요한 직업병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고연령, 짧은 근속기간, 단순노무직 등의 특성은 산업보건의 사각지대에 있는바 향후 이들 농림어업에 종사하는 근로자의 업무상질병 예방을 위한 정책수립이 필요하다. Objective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occupational diseases among agricultural, forestry and fishery workers compensated under the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that is operated by the Korea Labor Welfare Corporation (KLWC). Methods: Using the KLWC database, we collected667 cases of occupational disease compensated during the 8 years between 1 January 1998 and 31 December 2005.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occupational diseases using the KLWC electronic data and the data investigated by 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Results: KLWC approved 667 cases, including 69 deaths (10.3%). Men accounted for 76.0%of the approved cases. The most common age group was 50~59 years of age (37.3%). The most common size of enterprise was 5 to 49 workers (47.5%). The proportion of occupational diseases was 54.1%, of which 45.9% was work-related. Among occupational diseases, the most common was skin diseases (147 cases, 40.7%), followed by infectious diseases (131 cases, 36.3%), including scrub typhus (123 cases) and intoxication (40 cases, 11.1%). The causal hazardous agents were biological (320 cases, 88.6%), chemical (29 cases, 8.0%), and physical (11 cases, 3.0%). The major type of industry and occupation were forestry (445 cases, 66.7%) and elementary (151 among 235 cases, 89.3%), respectively. Conclusions: Major compensated occupational diseases were infectious diseases, including scrub-typhus, skin diseases and toxic disease, which occurred among workers who were older, and had short tenure and elementary occupation, and these workers were out of the occupational health policy. A management policy must be established to prevent occupational diseases occurring in such vulnerable workers.

      • 소뇌출혈후 신경인성방광으로 배뇨장애를 주소로 한 환자 치험 1例

        안정조,최영,조현경,임승민,김민상,오병렬,유병찬,설인찬 대전대학교 한방병원 2002 惠和醫學 Vol.11 No.1

        In patients with Cerebral vascular accident, Voiding Dysfunction is very usual, but if with no improvement for a long time, it can cause many complexed-problems as urinarytract injury, infection or inflamation and patients suffering from pain, inconvenience and anxiety. In this case 58-year-old female with Voiding Dysfunction with Neurogenic Bladder after Cerebellum Hemorrhage, for 6 monts there was no interval change on symptom, We prescribed appropeiate herbal medication, and perform acupuncture and moxa. 5 days later after admission in Taejeon Oriental Hospital, The patien was able to have self-voiding and gradually improved. So we report it for the better treatment.

      • 경피내시경하 위루술(PEG)을 시행한 중풍후유증 환자 1례에 대한 증례보고

        임승민,안정조,최영,조현경,오병렬,설인찬 대전대학교 한방병원 2002 惠和醫學 Vol.11 No.1

        According to the case study of patient with seguela of C.V.A who was treated by Percutaneous Endoscopic Gastrotomy(PEG), his chief complaint is the dysphagia. We treated him by a viewpoint of oriental medicine and got the good clinical symtom.

      • Al 7075 合金의 時效硬化處理가 疲勞龜裂傳播에 미치는 影響

        안창남,김현철,임병수 成均館大學校 科學技術硏究所 1993 論文集 Vol.44 No.2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has been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 of age hard-ening on the fatigue crack propagation behavior and mechanical properties using Al 7075 alloy hot extruded. Fatigue and mechanical property tests have been performed with the specimens prepared in various age hardening heat treatment conditions. Analysis of the experimental results was made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Δ K_th, yield strength, % elongation and ageing temperature and time.

      • 토란의 황화경으로부터 캘러스 형성 및 식물체 재생

        윤애화,이지영,임순희,김현정,안장순 全南大學校 農業科學技術硏究所 1998 農業科學技術硏究 Vol.33 No.-

        토란의 기지 shoot를 암배양하여 절간이 신장한 황하경을 얻고 이황하경의 절편을 계대배양하여 기내증식을 시도하였다. 황하경은 NAA 0.2mg/ℓ가 첨가된 배지에서 가장 길게 신장하였다. 황하경은 자구형성형이 모구배대형보다 길게 신장하였다. 호르몬이 첨가된 거의 모든 배지에서 protocorm이 형성되었으나 0.2mg/ℓ NAA + 0.2mg/ℓ BA를 첨가한 배지에서 특히 많이 형성되었고 이 protocorm을 MS기본 배지에 옮겼을 때 8.5%의 재분화율을 보였다. Etiolated stems with elongated internodes were obtained from the in vitro culture of shoots of Colocasia esculenta schout under dark condition and plant differntiation was achived by subculturing the ethiolated stem segments. The etiolated stems elongates better on the media containing 0.2mg/ℓNAA than of those lacking it. Subculture of the etiolated stem segments produced protocorm-like structures in all the media examined. The medium containing 0.2mg/ℓNAA and 0.2mg/ℓBA produced the higest number of protocorm-like structure, which regenerated into plantets at 85% when transferred to phytohormone-free MS medium.

      • KCI등재후보

        Propofol 정맥 주사 시 Metoclopramide의 통증 완화 효과

        김수진,박은지,안승원,김웅,김미운,임현술 대한마취과학회 2002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Vol.43 No.5

        Background: Propofol is a good induction agent. but it has a disadvantage of pain on intravenous injection. Pretreatment of metoclopramide or lidocaine have been reported to reduce pain on injection. thus, we have evaluated the quantity and quality of anagesic effect of metoclopramide and lidocaine. We observed differences in quality of pain according to venous cannula sizes and intravenous injection sites as well as nausea and vomiting in the postoperative state. Methods: Eighty patients scheduled for an elective operation by general anesthesia were chosen according to ASA (Ⅰ or Ⅱ) and divided into four groups randomly. Each group was injected through venous cannulas with normal saline (control group), metoclopramide 5 mg (group 1), netoclopramide 10 mg (group 2), or 2% lidocaine 40 mg (group 3) respectively. Then, propofol was injected of a 2 mg/kg dose with 0.5 ml/sex to all groups and we asked questions about injection pain after 10 seconds. Results: Pain relief was shown in all groups compared with the control. but metoclopramide 10 mg and lidocaine 40 mg pretreatment groups showed significant pain reief. Pain was relieved significantly when the drug was injected in the antecubital area.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were not observed. Conclusions: Metoclopramide 10 mg or lidocaine 40 mg pretreatment to induction by propofol revealed a good analgesic effect for propofol injection pain. (Korean J Anesthesiol 2002; 43: 558~565)

      • 쪽파의 callus 배양에 의한 변이체 유기

        고영은,고찬훈,임순희,김현정,안장순 全南大學校 農業科學技術硏究所 1998 農業科學技術硏究 Vol.33 No.-

        A. wakegi Araki의 배발생 캘러스 유도에는 2,4-D의 단독 첨가가 보다 효과적이었으나 2,4-D의 농도가 높을수록 기형배의 배발생율이 높았다. BA를 혼합첨가하였을 때는 기형배가 보다 많이 발생하였다. 외식편의 부위별로는 경정, 인편, 엽조직 중, 경정이 배형성을 위한 외식편으로 가장 좋았으며 그 다음 인편, 엽조직 순으로 정상적인 배도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Sucrose 7%에서 배발생 callus 유도가 가장 좋았지만 기형 배의 발생율도 가장 높았다. 재분화 식물체의 염색체 변이는 인편유래 callus에서보다 경정유래 callus에서 높았다. Explant source, growth regulators and sugar contents in the culture media suitable for in vitro plant regenerations through somatic embryogenesis in Allium wakegi Araki were examined. Adition of 2,4-D alone was more effective on embryogenic callus induction than its addition in combination with BA. The embryogenic calluses induced on the media containing 2,4-D at high concentration or 2,4-D in combination with BA produced abnormal embryos at high frequency. Stem apex was the best explant source for normal embryo production, followed in order by scale and in vitro leaf segments. sucrose at 7% resulted in the best embryogenic callus induction though the callus produced abnormal embryos at highest frequency. The highest level of chromosomal variation was shown in the regenerants from the shoot apex-derived embryogenic call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