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화방어기제검사 표준화연구

        김재은,김정규,박영숙,이근후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1 신경정신의학 Vol.30 No.3

        This study aimed at an evaluation of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Ewha Defense Mechanism Test(EDMT) for standardization during the period from June 25 to July 10 with nationalwide sample which was standardized by Rhee Kun Hoo. Kin Jae Un. Kim Jung Kyu. and Park Young Sook. The number of subjects were 1.323 who were sampled by the method of proportional stratification on age. sex. education. local area variables. This test is composed of 20 defense mechanism subscales and total items of the test are 20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range of means of each scales were from 2.70 to 3.34 and the range of items standard deviation was from .71 to 1.28. 2) The corrected item-total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than .10 for all items except two items which was the index of internal consistancy. 3) The spearman-Brown split-half reliability coefficients were more than .66 and the retest reliability coefficients were more than .72 for all scales. 4) By the evaluation of the cross validation with “16 Personality Factor Inventory”. it was found that 11 factors were consistent with expectation among 16 factors so that the result of cross validity was moderately sufficient. 5) By the factor analysis. four factors were extracted. Factor 1 was “unstable sensitization defense mechanisms”which were acting out, displacement, somatization. dissociation. projection. and passive-aggressive behavior. Factor 2 was “ego-expansive defense mechanisms” which were composed of controlling. distortion. altruism. humor. and sublimation. Factor 3 was “ego-denial defense mechanisms” which were reaction formation. bragging identification. and regressin. Factor 4 was “reality evasive defense mechanisms” which were denial rationalization. suppression. anticipation. and evasion.

      • KCI등재

        일반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특성화 방안 연구 : 예체능 과정 설치를 중심으로

        홍후조,강익수,백경선 한국교육방법학회 2009 교육방법연구 Vol.21 No.2

        This study deals with the problem of enlarging the kinds of courses of academic high schools by installing the ‘core’ school with particularized curriculum such as arts or physical education course tracks as well as academic tracks. For last 60 years Korean general high school have operated two track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track, and natural science track. Two traditional tracks did not meet the needs of students and society. Survey were administered to secondary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asking about the curricular needs of new tracks. Based on the results of questionnaires the simulation of allocating students and teachers, and installing facilities according to the curricular tracks was finished. About 30% of middle school graduates want to go to core high schools with particular track rather than traditional tracks.

      • 제6차 및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수학과 교과서 비교분석 연구 : 고등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with emphasis on the 1st grade highschool

        오후진,조덕형 공주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3 과학교육연구 Vol.34 No.-

        본 연구는 6차 교육과정과 7차 교육과정의 수학과 교과서를 고등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하여 어떻게 변화되고 어떤 공통점과 차이가 있는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교과서의 내적, 외적체제 및 학습내용과 영역별 비중의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수학교육의 발전 및 교과서의 개발, 수학 삭습 지도 방법의 개선에 기여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교과서 체제가 6차 교육과정에서는 고등학교 1학년 수학 책이 '공통수학' 한 권으로 이루어져 있었는데 7차 교육과정에서는 '10-가'와 '10-나'로 두 권으로 분리되어있다는 점이다. 둘째로, 6차에 비해 7차 교육과정에서는 화보가 더 많이 들어가 있고, 실생활 측면을 강조하여 생활 속에서 알아볼 수 있는 수학적인 측면에 근접하려고 노력한 점이다. 셋째로, 수학사적인 측면과 컴퓨터와 관련된 분야를 강조한 것이 나타난다. 넷째로, 7차 교육과정에서는 학생들의 수준에 맞게 수준별 단계형으로 조직되어 있는 점이 주목할 만 하다. This study a comparison of the mathematics textbooks which have been changed from the 6th curriculum to the 7th curriculum with emphasis on the 1st grade of high schoo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al education,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s textbook and the improvement of mathematical a cumulative guidance method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6th curriculum the textbook of the 1st grade high school is consisted of one book, "common mathematics", but on the other hand in the 7th curriculum the textbook is separated to two books, "10-Ga(가)“ and "10-Na(나)”. Second, in the 7th curriculum the textbook has much more pictorials and it is tried to lay great emphasis on the practical use in real life so that the textbook can be approached to mathematical side used in real life. Third, it is laid an emphasis on the aspects in the mathematical history and in the relation to computer. Fourth, in the 7th curriculum it is taken noticed that the system is organized with the student's level.

      • 직관적 방법의 활용을 통한 문제 해결 과정에 대한 연구

        오후진,윤여범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연구소 1997 과학교육연구 Vol.28 No.1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들이 수학 문제의 해결 과정에 있어서 직관적인 방법을 얼마나 활용하고 있는지 직접 조사해 보고 그 결과를 분석해 봄으로써 학생들의 직관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교수학적 방안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천안여자고등학교 3학년 자연계열 4개반 186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그 동안 실시되었던 4차례의 대학수학능력시험과 7차례의 실험평가 문항을 사용하여 조사하였고, 그 답안지의 분석을 통해 얻은 문제점을 요약하면 크게 다음의 세 가지이다. 1. 시간에 쫓겨 습관적으로 일찍 계산에만 몰두하려는 경향 때문에 문제를 제대로 읽어보지 않아 문제의 뜻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고 핵심적인 부분을 놓치고 있다. 2. 개념의 정의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정의를 문제 풀이에 적용하는 습관이 형성되지 않아 개념의 뜻에 의해 직관적으로 명백함에도 불구하고 계산을 통한 무조건적인 확인을 하거나 또는 직관적인 이해 없이 계산에 돌입하는 경향이 있다. 3. 그림과 함께 제시된 문제 또는 그림을 그려가면서 해결하는 문제에 상당히 취약하고 대수적인 계산에 의한 풀이와 기하학적인 직관에 의한 풀이가 모두 가능한 경우 대부분 전자의 경우를 택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after teaching method to improve high school students' intuitional thinking faculty by making investigation into how many times they apply intuition to mathematics problems and by analyzing the findings. For this investigation, with 186 students who are in 3rd grade, the science department consisting of four classes at Chonan Girls' high school as the subjects, both four times' "College Aptitude Examination" and seven times' "experimentally appraising problems" were used. To sum up, there are three questions which have been gained in the course of analyzing the examination papers. It is as follows: 1. Students, early absorbed in calculation for the pressure of time, fail to read a problem properly, grasp the meaning of it correctly and catch the kernel of it. 2. Students, lacking in the definition understanding of a conception and not habituated to the application of it to a problem solving, tend to solve and confirm even the problem with a conception clearness through their intuition, only by calculating or without any intuitional understanding. 3. Students are quite weak in solving the problem with pictures or in the one which should be solved by drawing a picture. So in the case a problem solving is possible both by an algebratical calculation and by a geometrical intuition, most of them choose the former with no thought of the latter.

      • KCI등재

        교육과정의 운영을 위한 교원의 합리적 배치 기준의 탐색

        홍후조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1 敎育問題硏究 Vol.15 No.-

        본 연구는 교육과정과 교원의 관계에 비추어 교원 배치 문제를 탐색하고 그 해결방안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교육과정의 성공적 운영을 위한 교원의 배치 기준과 운영 방안은 첫째, 현행 교원 배치 및 운용 방식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여 그것을 해결하는 측면에서 둘째, 교육과정의 편성 운영의 특성을 파악하여 그 본질을 구현하는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연구의 결과, 현행 교원 배치 기준이 학급 편제 기준에 따른 학급 수, 학교 규모를 기준으로 하여 운영되고 있어, (1) 지역간, 학교간, 교과간 교사의 수업 부담의 불균형이 심각하며, (2) 교사들의 교과 상치 수입이 많으며, (3) 학교간 교원의 수업 협조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으며, (4) 소규모 학교의 교과별 교원 부족 현상이 심각하며 이에 따라 학생의 학습권이 심각히 침해되고 있다고 파악하였다. 이에 따라 교육과정의 편성 운영 측면을 고려함으로써 학습자의 학습권을 적절히 보장하는 새로운 교사 배치 기준이 도출될 수 있다고 보았다. 교육과정 측면에서는 총 15가지의 원칙이 도출되었다. 결론적으로 학습 수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현행 교원 배치 기준이 낳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중심의 교원 배치와 운용의 기본 원칙을 세우고, 이를 적용하는 측면에서 새로운 교원 배치 기준이 세워져야 하며 그 정확성도 제고되어야 할 것이다.

      • 정신보건전문가를 위한 훈련집단

        이후경,김선재,윤성철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1 신경정신의학 Vol.40 No.5

        연구목적 : 집단정신치료 전문가 수련과정에는 교습적인 과정, 구성원(환자)으로서의 경험, 리더(치료자)로서의 경험이 포함된다. 이에 따라 크게 ① 이론과 실제에 대한 강의, 사례발표회와 초독회 및 세미나, ② 관찰, ③ 훈련집단(워크샵 포함). ④ 지도감독으로 나누는데, 이 중에서 훈련집단과 지도감독이 가장 효과적인 교육방법으로 인정되고 있다. 저자들은 ① 정신과 영역에서 집단정신치료의 활성화, ② 집단정신치료에서 정신과의사들의 주도적인 역할수행, ③ 자격 있는 집단정신치료자의 훈련 및 양성을 목적으로 전공의를 포함하는 정신보건전문가들을 위한 훈련집단 모텔을 개발하여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보건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훈련집단을 시행한 후 나타나는 방어기제, 자아기능의 변화를 살펴본다. 둘째, 참여자들이 도움 받은 것으로 보고한 치료요인을 알아본다. 셋째, 훈련집단 진행에서 나타나는 내용과 과정을 포함한 전체적인 특징을 분석한다. 넷째, 이를 통해 훈련집단을 정신보건전문가들의 개인적인 성장과 전문가로서의 자질을 키우는데 효과적인 교육방법으로 정착시키고, 나아가 집단정신치료 전문가 수련과정 및 자격요건을 확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삼는다. 방 법 : 본 연구는 1997년부터 2000년까지 5번에 걸쳐 실시되었다. 이 기간 중 참여자는 정신과전공의를 포함하여 정신보건분야에 종사하는 전문가들로서 총 37명이었고, 이 가운데 도중 탈락한 9명을 제외한 29명(남자 2명, 여자 27명)이 최종 대상군으로 선정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대상자들이 훈련집단을 참여한 후 성격변화를 평가하기 위한 사전-사후검사 실험설계를 수행하였다. 연구도구로서 객관적 질문지 형태의 이화방어기제검사와 이고그램검사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매번 훈련집단이 끝난 직후 13가지 치료요인척도와 간단한 주관적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고, 종결 시에 자기보고식 총평가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결 과 : 이화방어기제는 사전-사후검사 비교에서 성숙방어는 유의미한 증가를 보였고, 미성숙방어는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으며, 자기애적방어와 신경증방어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고그램은 사전-사후검사 비교에서 양육적부모(NP), 어른(A), 자유로운아이(FC) 자아에서 유의미한 증가를 보였다. 상위를 차지한 치료요인은 순서대로 대인관계학습, 실존적 인자, 리더와의 동일시, 정화, 사회화 기술의 발달이었다. 총평가 설문에서 참여자의 100%에서 도움 받은 것으로 보고하였고, 48.3%에서 생활사의 변화를 보고하였으며, 89.7%에서 훈련집단을 다른 사람에게 적극적으로 권유하겠다고 하였고, 58.6%에서 재참여 의사를 밝혔다. 결 론 : 본 연구를 통해 참여자들은 방어기제와 자아기능의 변화를 보였다. 훈련집단 경험은 참여자들에게 자신을 돌아보고 마음의 갈등을 파악하며 상대방을 이해하는 경험을 제공한다. 또한 정신보건전문가에게 필수적인 집단현상에 대한 안목과 치료요인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리더십 및 기법을 터득하게 하여 집단정신치료에 대한 자신감을 갖게 하며, 정신치료 전반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다. 그러므로 향후 정신보건분야에서 정신과전공의를 비롯한 정신보건전문가의 정신치료 및 집단정신치료의 교육 도구로서 훈련집단을 확대 적용할 필요가 있다. Objectives : Training group with mental health professionals includes didactic process, experience as a member(patient) and a leader(therapist). It is divided into four parts as like 1) lecture, case conference, book reading and seminar about theory and practice, 2) observation, 3) training group(including workshop), and 4) supervision. Among them, the training group and the supervision have been accepted as the most effective methods. Authors have developed and practiced the training group model for mental health professionals including psychiatric residents which aim for the activation of group psychotherapy in mental health area, psychiatrists' initiative in group psychotherapy area, and the training and nurturing of qualified mental health professional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ly, we examine the change of defense mechanism and ego function after performing group psychotherapy for mental health professionals ; secondly, we analyze the therapeutic factors reported that participants were helped ; thirdly, we analyze main features which include group content and process manifested in training group ; lastly, we have objectives that the training group is settled down as an effective educational method to foster the personal growth and qualification as a specialist, and also that this study provides a basic research data to set up the training program and the requirements for group psychotherapy. Mothods : This study was performed 5 times from 1997 to 2000. The participants were composed of 37 mental health professionals including psychiatric residents. Among them, 29 participants(male 2, female 27) were chosen as the final subjects 9 participants dropped out in the process of this study. At first, we take an application of pre-treatment/post-treatment experimental design to evaluate the personality change after performing the training group. EDMT(Ewha Defence Mechanism Test) and EC(Egogram Checklist), the objective questionnaires, were used as the evaluation scale. And 13-therapeutic factor scale and simple subjective questionnaires were performed just after each session and the self-report total assessment questionnaires were performed at the end of this study. Results : To compare mean scores between pre-treatment and post-treatment in EDMT, the mature defense was increased significantly, the immature defense was decreased significantly, and the narcissistic defense and neurotic defense were not changed significantly. To compare mean scores between pre-treatment and post-treatment in EC, Nurturing parent(NP), Adult(A) and free Child(FC)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Therapeutic factors ranked highly were in-terpersonal learning, existential factor, Identification with therapist, catharsis, and socializing technique in order. The total assessment questionnaires reported that the 100% of participants were helped, the 48.3% of participants were changed in their lives, the 89.7% of participants would propose training group to others positively, and the 58.6% of participants had minds to join this kind of program if given again for them. Conclusions : This result showed that the defense mechanism and ego function of parti-cipants were changed. The training group experience makes participants reflect themselves, examine their conflicts and understand others. That also gives them chances of improving insight about group phenomena and understanding about therapeutic factors essential to the mental health professionals, having confidence on the group therapy by learning leadership and techniques, and improving understanding about the psychotherapy on the whole. Therefore, it is needed in the future that the training group would be widely adapted as an educational tool of psychotherapy and group psychotherapy for the mental health professionals as well as psychiatric residents in mental health area.

      • Fr??bel의 놀이敎育에 관한 硏究

        高後順 慶星大學校 1993 論文集 Vol.14 No.3

        Since Er??bel was bronght up in the age of Romanticism it was believed that his educational thought was upon Romanticism. Fr??bel supported early childhood education through play and attempted mental eaucation and physical as well. Fr??bel developed the concept of symbol from the theory of play. Fr??bel didn't assert only that Nature is symbolic being in human life but also that human is the being that must understand and recognize that ideal in humanbeing spmbolized before nature. Fr??bel indicated that there is rule which is not changing forever in everything in his book "The Human Education". He believed that it is premonition that stimulates and guides humanbeing to express purely and perfectly inner rule, divinity. He thought that premonition is the covenant with God and that human being is consist of life, love and premonition. Fr??bel put stress on the intention in play and occupation. He was certain that children can grow with the nature through play. Fr??bel emphasized that children should be given desirable play meterial to develope creative activities. properly and that children need training to realize their creativity for themselves through play materials. Therefore these play materials may not be complicate or complete. They should have variate implication in simple and basic stgle. Fr??bel insist that there shoubl implicate logical and mathetical motivation in basic style to develope creativity. Fr??bel explaned the basic principle of "Gabe" First, Gobe is for children to know the principle of God by stimulating creativity. Second, the begining of next ply should be contained previous play so that children can develope their activities continuously without jumping. Third, Children's Capability is enforced in every chance. Beside these basic principles, Gabe can express the form of recognition the form of beauty and the form of life. Fr??ble dis not regard play as simple play but he regraded play as divine activity which has life and sprit and forms whole life.

      • KCI등재

        사이버 시대 학교 교과의 성격과 전망

        홍후조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00 교육과학연구 Vol.31 No.3

        이 연구는 소위 사이버 시대를 맞고 있는 학교 교과는 어떤 변화를 겪고 있는가를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강요에 의한 종합 졸업장제가 아니라 필요에 의한 교과 영역별 능력 인정제가 될 경우 학교 교육은 더욱 풀어질 것이며, 교육은 인간적 개입이 줄어드는 학습 상황으로 이전된다고 보았다. 교육 내용과 활동이 대규모로 사이버 세계 속에서 멀티미디어화함에 따라 학습할 거리가 풍성해지고 학습하기에 따라 무한한 잠재성을 실현을 약속하고 있으나, 오락성, 비순차성, 수동성, 나태성, 인지적 과부화에 의한 좌절감 등을 낳을 가능성도 높다고 지적하였다. 또한, 멀티미디어화한 교육적 내용과 활동은 학습 상황에서도 미디어 커뮤니케이션을 지향하게 되고, 교육 콘텐츠는 다른 상업적 콘텐츠들이 띤 특성을 흡수하게 될 것이다. 교사의 역할은 교육 콘텐츠에 대한 선정과 정보의 흐름에 대한 관리적 측면이 늘어날 것으로 보았다. 이 연구의 잠정적인 결론은 다름과 같다. 첫째, 교과 교육은 교육상황에서 점차 학습상황에 적합한 성격으로 옮겨가고 있으나, 그 속도와 범위는 학교급과 교과영역에 따라 다르다.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한 기초 공통 교육과정의 교과 영역은 여전히 교육 상황에 놓일 것이며, 증등 학교의 사회과와 같이 공동체의 공통된 지식과 가치, 태도와 행동 양식 관련 교과는 교육 상황에 두어야 할 필요가 많으며, 신체와 건강 교육 프로그램 역시 사이버 세계가 미치지 못하는 영역이므로 교육상황에서 적합하다. 둘째, ICT의 특성상 교육은 미디어를 통한 커뮤니케이션 성격을 더욱 띠게 되며, 매체 의존적인 음악과 미술 등의 예술 교과 영역에서 숙련과 훈련을 통해 표현하는 영역, 언어와 사회 등의 교과 영역은 심각한 지형 변화를 요구받고 있으며, 대신 숙고와 반추를 통해 이해하는 수학과 과학 등 기초 교육은 교육 소재와 전달 방식이 달라지는 것에 비해 본질적 특성 변화를 덜 겪게될 것이다. 셋째, 사이버 세계의 교과에 대한 영향력은 커지고 있으나 그 강도와 속도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조절될 것이다. 교과 지식의 습득을 핵심으로 하는 학습 목표 달성의 효율성을 우선할 것이냐 직접적인 체험과 인격적 교섭을 중심으로 한 교육 상황에 충분한 기간 동안 머물게 할 것이냐에 따라 달라진다. 교육은 본질적으로 세대간의 교섭을 긴밀히 하기 위하여 마련된 사회적 장치인데,세대간의 교섭을 끊고 스스로 학습과 모방으로 나아가도록 하는 있어 ICT는 촉발제가 되고 있다. ICT형 교육과정이 "교육"에서 멀어지면서 "학습"을 향해 나아가는 상황은 기초 학습 능력과 기초 생활 태도가 탄탄히 갖추어진 것을 전제로 할 때에만 진정으로 가능한 것이고 바람직한 것이라고 보았다. This paper examines growing influences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ICT) on school curriculum.It deals with newly emerging features of schooling, learner´s experiences, teacher´s status, and curriculum materials.Interviews and conferences with teachers and subjects areas affected by interactive multimedia.Sohphisticated and networked computers have increasingly changed the nature of learning and school subjects. In conclusion, Korean language, social studies, and arts which filled with flowing contents rathe than stock contents, required students to master expressive skills rather than to understand objective knowledge, meet the challenge of identity crisis.With the help of ICT, learners increasingly do not help enduring understanding of normal However, science and mathematics which traditionally regarded as hard science, featured to be cumulative contents and required learners to be reflective in mastering influence scope of ICT in school subjet contents will be dependent on our competin educational orientations, whether we will push up our next generation to engage in learning with minimum human touch or in education with maximum human interaction.

      • 열왕기상 6장 31, 33절 번역 제언

        강후구 서울장신대학교 출판부 2022 서울長神論壇 Vol.- No.30

        왕상 6장의 솔로몬 성전 건축 요소에 대한 기술은 때로 번역하기 어려울 때가 있다. 이는 쓰인 용어에 대한 이해가 어렵기 때문에 발생한다. 본고에서는 31절과 33절에서 쓰인 문과 관련된 용어(‘하미쉬트’와 ‘르비이트’)를 최근 고고학적 발견물을 바탕으로 새롭게 이해할 수 있다. ‘하미쉬트’는 ‘다섯 겹 계단식 문틀’로 ‘르비이트’는 ‘네 겹 계단식 문틀’로 번역할 것을 제안하였다. Technical terms in the verses of 1 Kings 6:31 and 6:33, ‘hamishit’ and ‘revi`it’ respectively, were translated into wrong words such as ‘a fifth’(or a five-sided) and ‘a fourth’(or a four-sided) in Korean versions as well as in English versions. Inappropriate translations were initiated by the misunderstanding of the Hebrew words. Sometimes, archaeological artifacts dated to the biblical period reflecting the contemporary period of the biblical descriptions give hints to extend our understanding of the culture including the religious one. Recent finding of a stone shrine model was discovered in the excavations at Khirbet Qeiyafa dated to the early of the 10th century BCE. It has a unique door- a recessed door which might be related to the entrance door of the Solomonic Temple in Jerusalem.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suggest a new translation of ‘hamishit’ and ‘revi`it’. They do not indicate the width or number of sides, rather they do the number of recesses. ‘Hamishit’ indiates the entrance door to the Holy of Holies having five recesses and ‘revi`it’ for four. Here I suggest them to be translated into “five-time recessed door-frame” and “four-time recessed door-frame”.

      • 能力別 小集團 協力學習을 通한 數學科 學力伸張에 관한 硏究

        吳厚鎭,李相球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연구소 1998 과학교육연구 Vol.29 No.1

        본 연구는 능력별 이동수업이 실시되고 있음에도 학급내의 학생들 사이에 수학과 학력에 많은 우열의 차이가 있어 학습에 애로가 발생하고 있어 이를 조금이나마 해소하고 학생들이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분위기를 유도하기 위하여 능력별로 소집단 협력학습을 실시하여 학생들의 수학과 학력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계획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1학년 2개 학급을 선정하여 기존의 학습방법과 소집단 협력학습을 각각 실시하여 두 학급간에 학력의 차이를 비교하여 보았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능력별 소집단 협력학습을 실시한 학급은 실시하지 않은 학급보다 수학과의 학력이 많이 향상되어 능력별 소집단협력학습이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둘째, 능력별 소집단 협력학습은 특히 상위권 학생들에게 효과적이며 중위권 학생이나 하위권 학생들도 장기적인 지도를 한다면 의미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셋째, 능력별 소집단협력학습은 학생들의 수학교과에 대한 인식, 흥미, 태도에 영향을 주지는 못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cooperative learning of small ability level groups influences the enhancement of their scholastic achievement in mathematics.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1. The students which participate in cooperative learning in small ability level groups demonstrate academic improvement over those that participate in non-cooperative learning groups. 2. In particular, this method is more effective for high-level classes, than for middle or low-level students. 3. The learners' perception, interest and attitude towards mathematics has not changed through their placement in small ability groups involved in cooperative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