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금제도가 고용조정에 미치는 영향

        박희준(Heejoon Park) 한국인사관리학회 2018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42 No.2

        최근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연공급에서 탈피하여 직무와 성과중심의 임금체계로 전환하여야 한 다는 주장이 공감대를 얻고 있다. 이러한 주장에 따르면 연공급은 과거 고도성장기에는 효율적인 제도이었지만, 고령화와 정년 60세 법제화, 저성장, 세계화로 인한 경쟁의 격화 등이 특징인 현재의 환경에서는 기업 경쟁력의 저하와 고용불안의 원인으로 작용한다고 한다. 본 논문은 근속년수에 따라 임금이 증가하는 연공급에서는 근속년수가 높은 근로자들이 자신의 생산성보다 높은 임금을 받음으로써 고용불안을 초래한다는 주장을 검증하기 위하여 임금제도가 고용조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인적자본기업패널」 3차-6차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임금의 연공성은 고용조정 여부와 규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직무급은 고용조정 여부 및 규모와 정(+)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과급과 고용조정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에 서 개인 성과급은 고용조정 여부와 부(-)의 관계를, 조직 성과급은 고용조정 규모와 부(-)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팀 성과급은 고용조정 여부와 정(+)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Seniority-based pay has been widely used in Korea. Recently, however, many scholars have argued that seniority-based pay may be ineffective in the current environment and increase the possibility of downsizing.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wage-tenure relationship, job-based and performance-based pay on the probability and size of downsizing. Here, it is argued that downsizing is affected not only by economic factors, such as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ivity and wage, but also by non-economic factors, such as the implicit contract of long-term employment and the relational psychological contract. The results show that while the wage-tenure relationship pay did not affect downsizing, job-based pay increased the probability and the size of downsizing. Individual level performance-based pay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probability of downsizing and organizational level performance-based pay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size of downsizing. By contrast, team level performance-based pay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probability and the size of downsizing.

      • KCI등재

        사무직군 연공급과 직무급 비교: 직무급은 연공급의 대안인가?

        박희준(Heejoon Park) 한국인사관리학회 2017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41 No.1

        2016년부터 60세 정년이 법제화됨에 따라 전통적인 연공급의 대안으로서 직무급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은 기존의 연공급과 직무급에 대한 논의들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우리나라에서 사무직군의 직무급 제도가 어떻게 운용되고 있는지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임금체계 개편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논문에서는 연공급과 직무급제 대해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기존의 논의와는 달리 연공급제에도 직무급적 요소가 존재하고, 직무급제에도 연공급적 요소가 존재함을 보여주고자 한다. 또한 우리나라에서 직무급을 가장 모범적으로 운용하고 있다고 평가받고 있는 두 기업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하여 우리 나라의 직무급 제도는 그 구조가 전통적인 연공급과 매우 유사하며, 연공급 제도를 활용하고 있는 기업들과의 실제적인 차이는 대부분 임금관리가 아니라 직무관리와 승진관리에서 나타난다는 것을 보여주고자 한다. Recently, many scholars have argued for a reform of the seniority-based pay system in Korea. Since the 1960s, many korean firms have attempted to replace the traditional seniority-based pay system with the job-based pay system. But the seniority-based pay system is still widely used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seniority-based and the job-based pay systems for white collar workers in Korea. Although many previous studies have examined the job-based pay system in Korea, they largely focused on the extent to which the job-based pay system was used among Korean firms. No previous study has examined the actual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the seniority-based and the job-based pay systems. Based on theoretical reviews and case studies, this study shows that the seniority-based and the job-based pay systems are similar in their structures. Such findings contradict the widely held belief that the two pay systems are fundamentally different and incompatible. The cases examined in this study also suggest that to reform the HRM system in Korea, not only a pay system reform, but also changes in job and promotion management are required.

      • KCI등재

        직무급이 임금의 연공성에 미치는 영향

        박희준(Heejoon Park)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18 産業關係硏究 Vol.28 No.1

        최근 전통적인 연공급의 대안으로 직무급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학자들은 직무급이 우리나라의 과도한 임금 연공성을 완화시킴으로써 기업들이 당면하고 있는 많은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직무급이 임금의 연공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인적자본기업패널」 3〜6차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에서는 근속연수가 10년 증가함에 따라 임금이 약 40% 증가하였다. 또한 t 년도의 직무급은 t+2 년도의 임금 연공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t+4 년도의 임금의 연공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직무급이 임금의 연공성을 완화한다는 주장은 지지되지 않았다. Many Korean scholars have suggested the job-based pay as an alternative to the traditional seniority-based pay. They are expecting that the job-based pay would be able to reduce the strong wage-tenure relationship existing in Korea and help resolve the many issues Korean firms are currently facing. This study used the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job-based pay on the wage-tenure relationship in Kore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turn to 10 years of tenure was about 40 percent increase in wage. While the job-based pay in year t did not affect the wage-tenure relationship of year t+2, i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wage-tenure relationship of year t+4. Thus, the job-based pay did not reduce the wage-tenure relationship.

      • KCI우수등재

        임금의 연공성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Heejoon Park(박희준),Heekyung Kim(김희경),Hyemin Han(한혜민) 한국경영학회 2022 經營學硏究 Vol.51 No.1

        Wages are an important factor that affects firm performance by influencing both the composition of the workforce and the behaviors of the employees. This study investigates how seniority-based pay affects firm performance. Using the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HCCP), we found that sales per employee, but not return on assets,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extent to which wages were increased by tenure. Limited support was found for the moderating effect of technological change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e importance of pay structures with regard to firm performance.

      • 고용차별의 요인과 과정에 대한 탐색적 연구

        김희경(Heekyung Kim),박희준(Heejoon Park) 한국인사조직학회 2018 한국인사ㆍ조직학회 발표논문집 Vol.2018 No.2

        성별, 인종, 연령 등 집단이 가지고 있는 속성을 기준으로 다른 집단과 다르게 대우하는 것을 의미하는 차별은 조직의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저해할 뿐 아니라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구조적/사회적인 차별의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사회의 통합과 기회의 평등을 해친다고 널리 알려져 왔다. 따라서 다수의 법과 사회적 인식 전환을 통해 차별 또는 차별적 처우를 금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다양한 유형의 차별은 존재하고 있다. 높은 사회적 관심을 반영하듯 차별은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연구되어 왔으나 개별 학문의 맥락에서 연구가 진행된 만큼 차별의 요인과 과정에 대한 이해는 분절적으로 이루어진 경향이 강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별적인 학문에서 이루어진 차별에 대한 논의를 통합적인 관점에서 정리하여 직장 내의 인사관리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차별의 요인과 그 과정에 대해 깊이 있게 고찰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한 제언을 제시한다. Discrimination, which means different treatment from other groups based on characteristics of groups such as gender, race, age, has been known not only to hinder rational decision-making but also to form a pattern of structural and social discrimination against the vulnerable. Thus, despite prohibiting discrimination or discriminatory treatment through multiple legal and social switching, there are still various types of discrimination. Reflecting high social interest, discrimination has been extensively studied in various academic fields, but understanding of the factors and processes of discrimination tends to be divided a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the context of individual studies. In this study, we summarize the discussion of discrimination from an interdisciplinary view and draw up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