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금속 알콕시드를 이용한 투명 결정화유리의 저온 합성 (1) Li<sub>2</sub>O·1.7Al<sub>2</sub>O<sub>3</sub>·8.6SiO<sub>2</sub> 다공성 겔체의 합성

        전경수,탁중재,Chun, Kyung-Soo,Tak, Joong-Jae 한국공업화학회 2007 공업화학 Vol.18 No.6

        Crack-free dried gel monoliths of the composition $Li_2O1{\cdot}7Al_2O_3{\cdot}8.6SiO_2$ have been prepared as a precursor of transparent glass-ceramic by the hydrolysis and polycondensation of mixed metal alkoxides in solutions containing N,N-dimethylformamide as the drying control chemical additive, alcohols, and water. It was investigated that activation energy for gelation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water concentration ranged from 13 to 14 kcal/mol. Only when the amount of water for gelation was 3 times higher than the stoichiometric amount, monolithic dry gels were successfully prepared after drying at $70{\sim}75^{\circ}C$ and at a rate of 0.1~0.3%/h. The specific surface area, the pore volume, the average pore diameters of dried gel at $180^{\circ}C$ were about $239.40m^2/g$, 0.001~0.03 mL/g, and $145.62{\AA}$, respectively. It showed that the dried monolithic gel had a porous body. The DTA curve had the first exothermic peak around $800^{\circ}C$ and the 2nd peak around $980^{\circ}C$, which may correspond to crystallization of the gel. 투명결정화 유리의 전구체로서 균열이 없는 $Li_2O1{\cdot}7Al_2O_3{\cdot}8.6SiO_2$ 조성인 다공성 괴상 겔을 formamide를 첨가한 알콕시드 용액으로부터 sol-gel방법으로 합성하였다. 겔 합성에서 겔화 활성화 에너지, 비표면적, 습윤겔의 완전 탈수에 필요한 온도, 기공의 부피 및 기공크기와 분포를 측정하였고, 겔의 결정화온도를 검토하고자 시차열분석을 실시하였다. 겔화의 활성화에너지는 가수분해에 필요한 물의 첨가량에 따라 13~14 kcal/mol 범위를 나타내고, 물의 첨가량이 가수분해시 필요한 이론량의 3배 이상일 경우, $70{\sim}75^{\circ}C$, 건조속도 0.1~0.3 %/h에서는 겔의 균열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한 괴상 겔을 제조할 수 있었다. $180^{\circ}C$에서 건조한 겔체는 비표면적, 기공부피 및 기공크기분포는 $239.40m^2/g$, 0.001~0.03 mL/g 그리고 1~122 nm 반지름의 미세구조로 된 투명 겔체로서 다공질 물질임이 확인되었고, 건조겔의 시차열분석 결과 $800^{\circ}C$ 부근에서 1차 발열피크, $980^{\circ}C$ 부근에서가 2차 발열피크가 확인되어 결정화가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탐라복(耽羅鰒)과 “탐라해(耽羅海)” : 공공체(公共體)의 “해정학(海政學)”을 위하여

        전경수(Chun Kyung-soo) 제주학회 2018 濟州島硏究 Vol.50 No.-

        The word of Jejudo does literally and semantically mean an island belong to the Korean peninsula. It was coined by Koreans when the island was occupied at AD1105 by Koryo dynasty and lost her sovereignty and became a colony of Koryo. The word of Jejudo therefore means a colony. I dare to declare that the nature of this island should be viewed as an island surrounded by sea not as a part of colony belong to the peninsula. From the history around this island, Tamna which is a legacy of the old and independent state must be considered as a unique island in terms of identity. The uniqueness of this island can be captured by a part of historical document like Nihon-Shoki and remnant in Japan. One never forget the fact that a myth on this island tells us a mythical connection with Japan as three ladies sailed from Japan became wives of gentlemen in this island. Historical and mythological connection between Tamna and Japan . Now we have a very unique historical document called as Mokkan(wooden slip 木簡) inscribed “Tamna Abalone”(耽羅鰒) excavated in 1963 at Fujiwara palace in Nara city, Japan. The wooden tablet carries an interesting information of Tamna Abalone offered from Awanokuni(Chiba Prefecture at present) to the palace in AD745. How it comes to Japan? I am sure that there is no doubt to designate a trade between Tamna and Japan the trade route transported a bunch of abalone from Tamna. There wasn’t even a single case of this from Korean peninsula. Trade through sea tells somehow us the nature and identity of Tamna state and the sea transporting Tamna Abalone means something to the East Asian History. I like to call the sea as Tamna Sea because of Tamna Abalone in history. Lost history of Tamna state should be recovered with this matter of sea trade with Japan. Since the early 13thcentury, the word of Tamna Abalonein Japanese history disappeared. I like to challenge to explain this phenomenon by means of sudden environmental change of the island. The island was developed for the military ranch for raising horses by Koryo government as well as Mongol invasion to Koryo. The virgin forest of the island was cut down and transformed into the wide grassland. The next stage of ecological transformation was automatically occurred in the land of the island. The virgin forest would theoretically carry relatively quantity of water for the aggregate of the soil while the grass land should be functionally less active for incubating large amount of water. At presen ttime, there are several rivers and creeks with nearly no running water in this island. This must be the result of complete logging the virgin forest of the island. Mountain-river-sea route must be the channel for nurturing the sea because organic nutrients from the land and mountain following through the river to the sea. Disappearing the virgin forest in the island for the military ranch resulted into malnutrition of the sea. This causes ex termination of the Tamna Abalone in the island. Sea-centered perspective will save this island. I like to suggest another word for this perspective as Oceopolitics instead of Geopolitics from now on. 제주도. 이 단어는 제주라는 단어에 도(島) 즉 섬을 말하는 단어가 접목된 것이다. 제주라는 단어는 고려가 탐라를 정복한(서기 1105년) 시기 이후 13세기 중반에 고려에 의해서 만들어진 것이다. 그 단어의 뜻은 “물 건너 있는 땅”이다. 이 말을 할 수 있는 사람은 이 섬에 살고 있는 사람의 입장이 아니라 육지 즉 한반도에 있는 사람의 입장에서 부를 수 있는 단어다. “제주”란 단어의 의미론적 풀이를 제시하는 것이 허락한다면, 그것은 식민지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이 섬에 살고 있는 사람이 어떻게 그 단어를 일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가? 탐라의 정체성을 회복하지 않는 한, 이 섬의 삶의 기반은 제대로 확립될 수 없다. 탐라라는 단어가 문화독립의 기반임을 명심하고자 한다. 본고는 탐라인식을 발견하는 작업이다. 그 인식을 부정할 수 없는 물건이 일본의 나라에 있는 평성궁에서 출토되었다. 1963년, 발굴된 목간들 중에서 “耽羅鰒”이란 단어가 등장하였다. 이 섬에서 수입되었던 전복을 궁에 진상하는 물품의 목록으로 지정되었던 것이 탐라복이었다. 서기 745년의 연도가 적혀 있는 탐라복에 관한 기록이었다. 일본의 다른 고문서에도 탐라복의 단어는 등장한다. 목적은 동일한 것이었다. 일본의 황실에서 가장 중요한 진상품목으로서 자리를 잡았던 탐라복이었다. 그것이 13세기가 되면서는 전혀 등장하지 않는다. 결과가 있으면 원인이 있는 법. 본고는 그 원인을 밝혀보는 최초의 논문이다. 탐라가 고려에 정복당한 후, 그리고 몽골이 고려를 점령한 후, 이 섬은 군마를 양성하는 목장으로 전환 하였다. 국가라는 조직의 명령으로 이루어진 목장 조성으로 인하여 탐라의 원시림이 완벽하게 파괴되었던 것이 사실이다. 목장은 기본적으로 초지를 기반으로 한다. 따라서 탐라의 원시림은 제주의 초지로 전환되었다고 말할 수 있고, 현재 우리들은 그 현상을 목도하고 있다. 토양생태학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원시림의 토양과 초지의 토양이 기본적으로 다른 점이 있다. 삼림하의 토양과 초지하의 토양은 토양을 구성하는 토양의 기본적인 구성물인 토양입자에 있어서 차이가 난다. 초점은 부식된 나뭇잎에 있다. 부식된 나뭇잎으로 구성된 부식토는 粒團(떼알, aggregate)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비해서 초지의 토양은 대부분 單粒(홑알)으로 구성된 토양이다. 떼알의 토양은 토양의 알갱이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게 마련이고, 이 공간이 물과 영양분을 저장하는 창고의 역할을 한다. 초지하에서는 삼림하에서 가능한 부식토 형성이 미약할 수밖에 없다. 현재 이 섬의 모든 하천은 거의 건천의 모양이다. 상류가 전부 초지이기 때문에, 초지의 토양이 물을 저장할 수 있는 능력이 없는 결과로 일어난 것이 건천이다. 원시림으로 구성된 섬과 한라산의 산록은 풍부한 영양분과 물을 저장하는 능력을 갖고 있었다. 목장화의 과정에서 한라산 산록과 이 섬의 토양은 물과 영양분을 저장할 수 있는 창고를 강탈당한 셈이다. 그 결과 하천에는 물이 흐르지 않고, 바다로 흘러들어가야할 영양분이 사라진 것이다. 그 마지막이 결과로 나타난 현상이 탐라복의 멸종이라고 생각한다. 지금 지구는 지구온난화로 예상불가능의 환경변화를 경험하기 시작하였다. 이 섬의 원시림을 회복하는 것은 탐라복이 돌아올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는 계기가 될 뿐만 아니라 지구환경변화와 온난화에 대비할 수 있는 방안이 된다. 탐라복이 회복되어 탐라해를 거쳐서 교역의 장을 불러올 수 있는 길이 열릴 수 있는 방법이 있다. 탐라인식의 회복이 그 첫걸음이다. 탐라해의 이름도 지어놓고, 탐라복이 돌아올 수 있는 길을 여는 것이 지금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문화주권의 ‘제주해녀(濟州海女)’와 해군기지 : 사회과학의 관찰과 예측

        전경수(Kyung Soo Chun) 제주학회 2012 濟州島硏究 Vol.38 No.-

        나는 사상적 자유가 전제된 실증주의적 경험과학이 우리 세대가 천착해야할 과제라는 생각을 한다. 관찰과 예측의 대상이 된 사회 가 표현하고자 하는 것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한 것이 19세기 이래 근대화 과정 속에서 지배되고 속박되었던 상황이다. 학문이라는 이름하에 끊임없이 수입된 것들 □라□대 (카더라)의 수준으로 이식해온 점에 대해서 심각한 반성이 없으면, 이 땅에서 학문이 존재할 공간은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게 된다. 비판을 목적으로 설정한 관찰과 예측이 준동하고, 그러한 과정을 사회운동 이라는 이름으로 정당화하려는 시도들이 횡행하는 것은 학문도 삶도 모두 어지럽게 만들 수 있다. 地名과 고유명사의 헤게모니라는 문제를 제기함으로서 나는 제주 하는 단어의 포기를 주장하고, 그 대신에 문화주권과 정체성 복권에 관련된 용어로서의 耽羅 를 제안하였다. 동시에 물질에 관련된 키워드인 海女 가 내포하고 있는 植民知의 문제를 제기하여, 토속명에 바탕을 둔 □수 로 대체할 것도 제안하였다. 植民知의 정체성으로 똘똘 뭉쳐진 두 가지 단어들, 즉 濟州 와 海女 가 결합된 濟州海女 는 중층적 식민지의 극단적인 표현이라고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그래서 그 현상에 대해서는 탐라□수 하고 적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해군기지가 들어설 수밖에 없는 상황의 이 섬이 위기의 상황을 맞을 것인가, 아니면 기회의 상황을 맞을 것인가? 우리는 여러 가지의 관찰 과정과 사실인식을 통해서 위기인가 아니면 기회인가의 예측을 해야 하는 단계에 왔다. 인간사회의 문제는 궁극적으로 비가역적이다. 내가 여기서 위기의 상황을 거론하는 것은 오키나와의 선행경험에 대한 사실인식을 기초로 하기 때문이다. 오키나와의 상황 즉 양속지배의 오키나와 상황과 같은 위기의 현상이 이 섬에 엄습하게 될 것인가. 아니면, 군사기지의 상륙을 기회의 현상으로 만들어낼 수 있을 것인가의 기로에 선 이 섬의 운명에 대해서 어느 누구도 장담할 수는 없다. 그러나 예측은 가능하다. I like to believe that positivistic experimental science should be our target based on the freedom of thought in terms of doing social science. During the modernization process in its relatively long history under the endless domination and exploitation, the word society seemed not to be able to express its own reality through the necessary keen observation and careful our voice if we would not have a chance of the concerned reflexivity to review the phenomena of the perennially imported science in the name of academism. Doing social science seems not to be focusing on critics at its final purpose. If anyone tries to do that, it jeopardizes everything related with life including science because of the supposedly weak position of observation and expectation for the science as the first-hand step. I suggest that the word of Jeju in terms of the language hegemony to search for toponymy should be deleted and, instead, like to revive the word of Tamna by means of cultural sovereignty and identity of this island. I like also to ask for dropping the word of Haenyo (sea-divers) and revitalize the word of Jamsoo instead. The reason why I raise this issue is based on the colonial knowledge long and deeply rooted in the history of domination and hegemony around this island. I do especially point at the expression of JejuHaenyo as a sort of the nested colonialism. Tamna Jamsoo should be replaced for it for the shake of the islanders` cultural sovereignty and identity. There seems to be a mind-boggling and explosive feeling of unsafety and uncertainty based on ongoing debates of the construction of the naval base in this island. This situation could be either crisis or opportunity for the fate of this island. It is the time to use the keen observation and furthermore the careful expectation in terms of dong social science. Human issue seems to be naturally negentropic. The previous Okinawan case in the context of history can be employed for our lessons for examining the whole process of the crisis and opportunity for the future of this island. Is provides us for a role the mirror for experimentation for the necessary expectation.

      • KCI등재

        保存과 接神의 醱酵文化論

        전경수(Chun Kyung-Soo) 비교민속학회 2010 비교민속학 Vol.0 No.41

        음식은 문화의 문제이다. 레비-스트로스의 구조인류학은 이 부분에 착안하여 성공적으로 ‘날 것’과 ‘익힌 것’의 이항대립을 통하여 인간의 심성을 분석하고 있다. 그런데, 그는 ‘삭힌 것’의 존재를 전혀 언급하지 않았다. 이항대립의 구조분석이 설 자리가 없음을 확인하게 된다. 본고는 음식문화의 성공적 등장으로 자리잡은 틀에서 간과되었던 ‘삭힌 것’의 존재에 착안하여, 발효라는 과정을 통한 음식의 문제를 재고하려고 한다. 발효음식의 대표적인 두 가지 종류는 유산발효의 결과인 장류와 알코홀발효의 대표인 주류가 있다. 유산발효의 목적은 보존에 있고, 알코홀발효의 목적은 접신에 있다고 생각한다. 발효에 의한 음식의 보존은 장기간 저장이라는 방식을 통하여 부족한 음식을 보완하는 목적이고, 접신 즉 신을 만난다는 것은 축제나 의례를 통하여 신과 조우하기 위한 매개체의 역할을 한다. 전자를 신체적인 측면에서의 보완이라고 한다면, 후자는 정신적인 측면에서의 보완이라고 말할 수 있다. 발효음식의 존재는 궁극적으로 심신의 보완이라는 목적을 추구하는 것으로서 사람과 미생물 그리고 자연이 함께 어우러져서 만들어내는 조합이라고 생각한다. Food should be considered as a parr of culture. An eminent French anthropologist Claude Levi-Strauss has long been reaching us human mind in the form of binary opposition and he adapts this model to food as a contrast between 'the raw' and 'the cooked'. How about something fermented one ? Fermented foods are flooded in all over the world. There are two different ways of fermented foods: lactic acid fer mentation and alcoholic fermentation. The former aims ar preservation in everyday life, the latter does for spirit in the ritual context. Various ethnographies examine different kinds of fermented foods in various regions and different tastes of alcohols in every corner of the globe. Indonesian Tempe, Fish Fermentation Technology in Thailand, Sardinia's Ripe Pecorinos are good examples to consider the lactic acid fermentation. Fermentation process concerns microorganisms and bacteria in the context of culture through the anthropological perspective. This paper just opens an argument to raise the question of further researches in the field of anthropology of fermentation pervailed in the realm of the indigenous foods and knowledges. As we look ar the fermented foods, we never forger the reciprocal process between biology and culture of which I would like to call it as coevolut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