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호관찰에 대한 범죄자 만족도 요인 연구

        조윤오(Cho, Younoh) 한국형사정책학회 2010 刑事政策 Vol.22 No.1

        The current study aims at exploring factors that predict perception of the probation, specifically offenders' satisfaction level of their probation. There is a paucity of study examined probationers' perception of their punishment in spite of the importance of various community-based correction programs. This study will demonstrate characteristics, types of probation order and bonding between offenders and probation officers associated with the probationers' perception. The total sample consist of 290 probationers selected from probation offices. Overall, the probationers' attitude and perceived satisfaction toward their experience of probation were positive. In additio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tal offenders' satisfaction of their probation were found among those probationers who were under simple probation supervision, those who had additional community service order(or attendance order), and those who were supervised by GPS Electronic Monitoring. Perception were the most positive among offenders who had both probation order and community service order(or attendance order). The result of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1) age, (2) types of probation, (3) bonding between offenders and probation officer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that predict the probationers' perception, when other variables were controlled. On average, one unit increase in age, the offenders' perception of their probation decrease by 0.086. Furthermore, offenders under simple probation order had about 2.339 higher satisfaction level than the offenders under GPS electronic monitoring. Besides probationers who completed extra community service order(or attendance order) had about 3.274 higher perception score than the offenders monitored by GPS electronic monitoring. Finally, for every on unit increase in bonding between offenders and probation officer, the perception of probation increases by 1.431 averagely.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re discussed.

      • KCI등재

        성범죄자의 연령별 특징 및 재범 요인 연구

        조윤오 ( Younoh Cho )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6 社會科學硏究 Vol.42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성범죄자의 특징을 연령별로 살펴보고, 연령대별로 성범죄자의 사후 재범 관련 요인을 비교·검토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3년과 2014년에 우리나라 법무부 신상정보 등록 시스템에 입력된 전체 성범죄자 16,190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성범죄자의 연령대별 특징을 다양한 차원에서 검토한다. 총 321명이 신상정보 등록 이후, 동종 성범죄 재범을 저질렀고, 그 연령별 비율은 30대(37.5%)>50대(21.2%)>40대(18.4%)>20대(18.1%)>60대 이상(5.0%)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성범죄자의 연령별로 과거 성범죄 전과와 교도소 수용이 공통적인 재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단, 연령별로 직업 유무나 죄명, 전자발찌 부착 등 일부 상이한 요인이 사후 재범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바, 성범죄자의 연령을 고려한 연령-특성 기반(age-specific)의 새로운 고위험군 평가 및 지역사회 교정 정책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The current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fundamental characteristics of 16,190 sex offenders focusing on the recidivism rates of various age groups of sex offenders in South Korea. In particular, this study emphasizes the crucial factors that are associated with recidivism across the different age groups of sex offenders who were officially registered by Korean Ministry of Justice from 2013 to 2014.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number of prior sexual offenses and incarceration experience are common factors that are linked with recidivism of sex offenders among all sex offenders of various age groups. Further policy implication will be discussed.

      • KCI등재

        외사 경찰의 국제공조수사 인식에 대한 탐색적 연구

        조윤오(YounOh Cho) 한국범죄심리학회 2022 한국범죄심리연구 Vol.18 No.2

        최근 인터폴을 기반으로 한 초국가범죄 대응 전략이 경찰의 중요한 법 집행 분야로 떠오르고 있다. 가상화폐, 보이스피싱 등 사이버 공간에서 벌어지는 국제 범죄가 증가하고 있어 국가 간 경계를 허무는 국제공조수사 업무가 온라인에서 급증해 가고 있는 것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외사 업무 일선 경찰관(N=317명)을 대상으로 국제공조수사와 관련하여 첫째, 국외도피 사범에 대한 인터폴 활용 인식과 둘째, 적색수배 활용 인지도, 셋째 국제공조수사 국가별 협력 정도를 탐색적으로 살펴보았다. 인터폴을 기반으로 한 국제공조수사 협력 필요성은 증대되었으나, 우리나라 실무 외사 경찰 담당자들이 느끼는 공조수사 필요성 인식 등을 실증적으로 조사한 연구는 많지 않다. 설문 조사에 참여한 외사 실무자들은 주로 지방청 국제범죄수사대 경찰관과 지방청 보안과 외사 업무 담당자, 지방청 경찰서 외사계 직원 등을 다양하게 포함하고 있다. 설문조사는 2020년 11월 29일~30일 동안의 예비조사 과정을 거쳐 2020년 12월 4일-7일 동안 온라인으로 이루어졌다. 이 연구에서는 193명의 경찰 실무자 데이터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분석 결과, 외사경찰 실무자들의 의견은 경찰청 본부 인터폴 관련 업무 효율화 과정과 직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외사경찰 인터폴 조직의 정비와 역량 강화가 절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제도 정비 차원에서 법적 근거 명확화와 외사경찰 인식개선 교육 필요, 원활한 행정처리 절차도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각 경찰서 내 외사 업무 조직 보강과 해외 공조수사 업무에 대한 한국 인터폴 조직의 위상 강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하 상세한 정책 제언을 본문에서 추가로 다루도록 한다.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law enforcement practitioners who work in the field of foreign affairs and INTERPOL. In particular, the present study focuses on examining the perception of Korean police officers regarding the necessities and the ways of building international cooperation with foreign police officers. The numbers of dangerous criminals who had fled overseas have been dramatically increased in South Korea. International Criminal Police Organization(INTERPOL) refers to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that supports worldwide partnerships of police in order to combat transnational crimes and arrest the offenders fleeing overseas. Numerous criminals who tried to flee overseas have committed various types of transnational crimes such as cyber crimes, trafficking in persons, and other organized crimes avoiding investigation of INTERPOL.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about the attitude and perception of policemen who work in the sectors of foreign affairs and INTERPOL in South Korea. The current study emphasized the significance of the perceptions of police officers about utility of INTERPOL for re-arresting criminals who fled overseas and subjective opinions of police officers about red notice for combating transnational crimes. Furthermore, this study concentrated on the comparative police cooperation strategies in terms of assigning the effectiveness of “KOREAN DESK Police Officers” regarded as Korean liaison officers who work in foreign countries. Data were drawn from the total number of 317 police who had participated in survey from 4, December to 7, December, 2020 with the support of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Result demonstrated that specific training and education for police officers are required in the field of foreign affairs due to the lack of perception about non-red notice issues of INTERPOL and insufficient international cooperation systems with foreign police departments. Further policy implications will be discussed.

      • KCI등재

        신체·정신질환과 재범 발생과의 관계: 전자감독대상자를 대상으로

        조윤오(Cho, Younoh)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0 사회과학연구 Vol.27 No.1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진주 방화, 살인 사건 및 강남역 살인사건 등으로 정신질환 범죄자에 대한 국민의 두려움이 증가하였고, 정부 주도로 정신질환자 범죄에 대처하는 부처 간 공동 대응체계가 만들어졌다. 그러나 범죄자의 신체․정신 건강 상태와 재범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관련 연구가 아직까지 부족한 편이다. 특히, 이미 강력범죄를 저질러 전자발찌를 부착하고 있는 범죄자에 대한 신체․정신질환 상태와 재범과의 관련성에 대한 논의는 실증적으로 많이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 연구는 2008년부터 2018년까지 우리나라에서 전자감독 교정프로그램을 경험했던 전체 흉악범죄자 7,922명의 자료를 검토하여 범죄자의 신체건강 상태와 정신질환 여부를 조사하고, 재범 발생과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분석 결과, 전체 전자감독 범죄자 중 약 24.5%가 신체 질병을 앓고 있고, 정신 질환 진단경력이 있는 범죄자는 전체의 11.7%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정신질환 상태가 전자감독 범죄자의 재범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른 변인들을 통제했을 때 범죄자의 신체 질병과 정신질환 모두 재범 발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신, 범죄자의 나이와 결혼상태, 범죄자 분류급, 경고장 발부횟수, 지도감독 총점이 전자감독대상자의 재범 가능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 질병 및 정신질환 문제를 갖고 있는 범죄자에 대한 막역한 두려움이 전자감독 교정프로그램에 불필요한 장애 요인으로 작동하지 말아야 할 것이고, 범죄자의 신체․정신 질환 과거 병력이 무조건적인 재범 유발 요인으로 간주되지 말아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association between physical disabilities or mental health concerns of offenders and recidivism. The present study highlight the fact that people with mental health or physical disabilities are more vulnerable to criminal behavior. The fundamental research hypothesis is that probationers under electronic monitoring are more likely to commit additional crimes when the probationers have physical or mental health issues by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Risk-Need-Responsivity principle. Data were drawn from Korean Ministry of Justice. The official data included the total number of probationers who had participated in the electronic monitoring program from 2008 to 2018. Total numbers of offenders were 7,922 who had committed serious offenses such as sexual crimes, homicide, and robberie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tilized in order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or mental health concerns and recidivism. Results demonstrated that about 24.5% of probationers under electronic monitoring suffered from physical health concerns. Approximately 11.7% of total probationers were mentally ill. Contrary to expectation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both physical disabilities and mental illness of offender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that were associated with the recidivism. Further policy implications will b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아세안 지역 인신매매 실태 및 피해자 신고 관련 요인 연구

        조윤오(Cho Younoh) 한국공안행정학회 2018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7 No.1

        인신매매는 마약밀매, 테러리즘 등의 다른 안보위협 상황과 결합되어 있고, 조직범죄 집단에게 마약밀매 및 무기밀매와 함께 큰 경제적 이익을 안겨줄 가능성이 높은 초국가적 범죄이다. 무엇보다도 피해자의 직접적인 신고가 인신매매 가해자 체포 및 범죄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기에 본 연구에서는 인신매매 피해자의 경찰 신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살피는데 궁극적인 연구 목적을 두고자 한다. 이를 위해 UNODC가 수집한 인신매매 자료를 활용하여 연구 분석을 실시하는데, 아세안 국가 내 전체 129개의 인신매매 판결 사례를 중심으로 빈도분석 및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다. 분석 결과, 피해자가 적극적으로 수사 기관에 피해 상황을 신고한 경우는 47건으로 전체의 62.7%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경찰 신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피해자 가족들이 과거 가해자 정보를 알고 있었는지가 피해자 신고 결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신매매 보호요인(protective factors)에 해당하는 “피해자 가족 인지여부”가 위험요인(risk factors)에 해당하는 여권위조 여부나 선불금 수령 여부보다 더 중요한 피해 신고 관련 요인이었다고 볼 수 있다. 이하 아세안 지역 인신매매 실태 및 근절과 관련된 정책 사항을 본문에서 다루도록 한다. Trafficking in persons is the most heinous crimes and exploitation toward the most vulnerable individuals. Given the significance of this issue, comprehensive approaches should be implemented, requiring the involvement of both public and private sectors. In this context, ASEAN member states have initiated numerous programmes against trafficking in persons and have recently signed the ASEAN Convention Against Trafficking in Persons, Especially Women and Children (ACTIP, 2015).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prevalence of trafficking in persons in ASEAN and investigating crucial factors which are associated with police report behavior of victims by analyzing UNODC data. The smuggling of migrants and trafficking in persons have increased throughout the world, specifically, in Southeast Asia. The current study utilized total of 129 trafficking in persons cases from UNODC. Among them, only 75 cases were analyzed due the fact that 54 cases did not include information regarding attitude of filing a report to law enforcement.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demonstrated that family recognition about offender of trafficking in persons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 that is likely to increase the odd of the police report. Further policy implication will be discussed.

      • KCI등재

        소년원 임시퇴원 기각결정과 재범발생 간의 관계

        조윤오(Cho, Younoh) 한국형사정책학회 2020 刑事政策 Vol.32 No.3

        최근 소년원 출원 이후, 전체 비행 청소년의 약 20%가 다시 3년 이내에 범죄를 저지르는 것으로 나타나 비행 청소년들의 소년원 회전문 효과(revolving door effect) 가 심각해지고 있다. 소년 보호관찰의 성패는 소년원 임시퇴원 대상자가 보호관찰등의 준수사항을 받게 되는 보호 관찰심사위원회의 결정(기각 혹은 인용)에서부터시작된다고 하겠다. 이 연구는 소년 보호관찰대상자의 재범 요인이 임시퇴원 기각요인과 서로 어떤 면에서 차이가 있는지 비교, 검토하는 데 연구 목적이 있다. 2018 년에 서울 보호 관찰심사위원회에서 약 4개월 동안 임시퇴원 적격 여부를 검토했던소년대상자(N=233명) 관련 자료를 살펴보고, 2020년 4월에 수집한 이들의 범죄경력 사항을 분석해 보았다. 검토 결과, 반복적으로 상신 된 대상자가 70명이고, 총163명 중 143명(87.7%)이 임시퇴원 인용 결정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이임시퇴원 후 약 1년 반 동안 재범을 저지른 비율은 전체의 약 54.6%(89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재범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요인은 다른 관련 변인들을 모두 통제했을 때, 성별(남자>여자)과 소년원 잔형기간(-), 범죄유형(재산범>성폭력사범) 세 가지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보호 관찰심사위원회의 기각결정은 성별(남자)과 소년원 잔형기간(+) 두 가지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소년원 수형 잔형기간 변인에 있어, 두 모델이 서로 반대의 방향을 보였고, 심사위원회의 우려와 달리, 소년원 수용 잔여 기간이 길게 남았던 조기 퇴원자들이 상대적으로 더 재범을 저지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소년원 수용 잔형 의무기간에 대한 가중치를 줄이고, 심사위원회 결정 단계에서부터 탄력적인 임시퇴원 허용결정이 광범위한 수준에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This study aims at identifying key factors that are associated with the recidivism of young probationers in South Korea. The revolving door effect of juvenile delinquents who had been released from detention center has dramatically been worsened. It is estimated that about 20% of young offenders upon release from detention center have committed additional crimes since they were released from the institutions. Applying the objective and systematic decisions mechanism from the parole board for the released detainee can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functions of correctional services for reducing the rearrests rates of juvenile delinquents. In this aspect, the present study focuses on investigating the official rearrest records and relevant documents of young probationers who had been incarcerated in juvenile detention center highlighting the static factors and dynamic factors that are related with following recidivism. The current study utilized the data of 233 young detainee from Seoul Juvenile Detention Center for applying early release in 2018. The recidivism records from Seoul Probation Parole Board were also collected and examined by conduct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 demonstrated that about 89 young offenders(54.6%) upon release has been arrested with new crimes after 18 months of early releas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gender(male), remaining prison terms(-), and types of crime(property crim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that may affect the odds to commit additional crimes upon release when other variables were controlled. Furthermore, gender(male) and remaining imprisonment service term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that are associated with the probability of rejecting the early release application. Further policy implications will be discussed.

      • KCI등재

        다문화가정 여성의 가정폭력 피해경험에 대한 연구

        조윤오(Cho, Younoh) 한국피해자학회 2010 被害者學硏究 Vol.18 No.1

        Domestic Violence against immigrant women has substantially increased since last past decade because of the increasing number of immigrant women in Korea. It is known that battered immigrant women have to deal with tremendous difficulties and obstacles to survive from the abusive relationship. The barriers that battered immigrant women should overcome are strongly related to the numerous legal, social, cultural, and economical issues in multi-cultural family.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the influential factors that affect the domestic violence against Asian immigrant women in Korea. The current study focuses on analyzing the survey data of 600 immigrant women that was collected in 2007 by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The data are drawn from the Korea Social Science Data Archive(KOSSDA). The sample of this study include Japanese(200), Chinese(200), Vietnamese(200) immigrant women who married Korean me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factors of domestic violence against immigrant wome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s conducted by including seven factors: nationality, age, marriage motivation, communication skill, support network, social commitment, batterers' employment. The result shows that the prediction model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model explains approximately 30.6% of the variance of domestic violence against immigrant women. Among seven predictors, nationality, age, communication skill, and batterer's job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ffecting the odds of violence against immigrant women.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on average, the likelihoods of being battered are 61.3% less higher in Chinese women than Japanese women after controlling other factors. In terms of age, the odds of being abused are 4.8% decreased as one unit of age increases. In addition, the result shows that on average, the odds of being battered are 17.6% decreased as one unit of communication skill increases. Furthermore, the batterer's fields of physical labor, agriculture, and fishery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s that affect the domestic violence against immigrant women. The result demonstrates that Asian immigrant women who married Korean men have diverse and complex domestic violence-related factors that are shaped by various personal, cultural, and structural environments.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improve the conditions of immigrant women and suggest more effective crime prevention policy for battered immigrant women in Korea.

      • KCI등재

        청소년 범죄자에 대한 외출제한명령 효과성 연구

        조윤오(Younoh Cho) 한국형사정책학회 2009 刑事政策 Vol.21 No.1

        The Korean Ministry of Justice have initiated an innovative pilot project - the Automated Voiceprint Recognition Curfew (AVRC) program - as a tool of intensive supervision probation for high risk juvenile probationers in 2003. The logic of the program is straightforward; random phone calls to juveniles' homes make juvenile probationers stay home at night, and it reduces the opportunities for youth to be involved in criminal activities. This study seeks to examine the curfew programs by using official data(N=508) from two probation offices(South Seoul office and Su-Won office). The specific amis of the study include (1)examining the effectiveness of the AVRC program, (2)investigating essential predictors of recidivism rates, and (3)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of program participants and the control group to determine the proper criteria for selection eligibility. Multiple aspects of outcome variables are included, such as revocation rate, number of warning tickets, and the number of rearrests during a one-year follow-up period. In addition, by using propensity scores and logistic regression(backward condition),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the AVRC program on recidivism. Results suggest that the AVRS program is not statistically successful in reducing recidivism rates once risk factors are controlled in a one-year follow-up period. Instead, the AVRC program increase the opportunities for the juvenile probationers to receive warning tickets and revocation during the program period.

      • KCI등재

        탈북 새터민의 범죄피해 실태 및 피해 유형 별 관련 요인 연구

        조윤오 ( Younoh Cho ) 대한범죄학회 2016 한국범죄학 Vol.10 No.3

        본 연구는 탈북이탈 주민의 범죄피해 실태를 살피고, 피해 유형 별로 관련 요인이 무엇인지 밝히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새터민들의 재산범죄, 특히 사기 범죄피해가 매우 높다는 연구결과가 꾸준히 제기되어 왔지만, 아쉽게도 그와 관련 요인이 무엇인지에 대한 논의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범죄학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자기통제이론(self-control theory)과 피해자학의 핵심이론인 일상활동이론(routine activity theory)을 바탕으로 탈북 새터민들의 범죄피해 경험 유발 요인이 무엇인지 실증적으로 조사하는데 초점을 두고자 한다. 완벽한 이론 검증 연구는 아니지만, 많은 새터민들이 처한 빈곤한 경제상황과 부적응이라는 요인을 하나의 독립변인으로 보고, 개인의 낮은 자기통제력과 범죄피해 가능성이 맺고 있는 관계를 검증하도록 한다. 본 연구에서는 2016년 11월 15일부터 30일까지 약 보름 동안 탈북 새터민 63명을 대상으로 범죄피해 경험과 관련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 등을 통해 범죄피해 실태와 관련된 요인을 실증적으로 검토하였다. 먼저, 단순빈도 분석 결과, 전체의 42.9%에 해당하는 27명의 새터민이 일반적인 범죄피해 경험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재산범죄 피해는 23명, 폭력범죄(강도 및 폭행) 피해는 9명, 성폭력 피해는 5명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부적응 모델에서 새터민 가구 소득과 부적응 총점이 범죄피해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첫 번째 모델에 해당하는 인구사회학적 모델의 R2 값이 11.6%이었으나, 부적응 모델에서는 그 값이 36.8%로 급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통제력 변인이 추가된 세 번째 모델에서는 모델 설명력 파워가 변화되지 않았고, 소득(+)과 부적응(+)이 새터민의 범죄피해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개인의 낮은 자기통제력은 유의미한 수준에서 범죄피해 가능성을 증가시키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범죄피해 유형을 “재산범죄 피해”로 한정했을 때도 동일한 결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새터민의 피해 유형을 “신체범죄 피해”로 구분했을 때는 다소 상이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첫 번째 모델(인구사회학적 모델)에서 R2 값이 21.6%였으나 두 번째 부적응 모델에서 36.3%로 증가하면서 성별 변수가 피해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다른 변수를 통제했을 때 신체범죄 피해 에서는 여자 새터민보다 남자 새터민이 더 취약하여 피해 가능성이 크다고 하겠다. 세 번째 모델은 낮은 자기통제력 변인이 모델에 추가된 경우로 여기에서는 오직 성별(남자) 변인만 피해 확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약하면, 새터민의 범죄피해 가능성은 재산범죄와 신체범죄사이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기와 같은 재산범죄는 새터민의 부적응 정도가 심각할수록 범죄피해 가능성이 크고, 폭력과 같은 신체범죄는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해당하는 성별(남성) 변수가 피해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남한사회에 적응하지 못해 어려움을 겪는 새터민들은 특히 사기범죄 피해에 취약하며, 개인의 자기통제력과 같은 성격 특성보다는 전반적인 사회 “부적응” 정도가 피해 가능성에 더욱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겠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rucial factors that are associated with victimiz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who moved into South Korea. The North Korean new settlers have tremendous difficulties in adjusting into South Korean society which has capitalistic economy. The North Korean new settlers are more likely to be victimized by criminals due to the fact that they do not have sufficient level of understanding regarding policy and law of South Korea. Furthermore, language barriers and cultural difference might influence them to be victimized in South Korea. The present study will employ routine activity approach and general theory of low self-control in order to investigate the key factors that might be associated with victimiz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New settlers with low self-control are greater risk of becoming victims of fraud or assault. Moreover, the new settlers who could not maintain desirable adjustment into South Korea are more likely to be a vulnerable target of crime. The present study conducted survey toward 63 North Korean new settlers in order to find the crucial factors that affect the crime victimization experience of the North Korean new settler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by using IBM SPSS Statistics 21 package program. Result demonstrated that the maladjustment score of defecto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 in accounting for the odds of being victimized when other variables were controlled. Moreover, gender(male) was significant factors that were associated with the odds of becoming fraud victims when other variables were constant. Further policy implications will b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