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ausal Explanation in History of Political Thought

        Benjamin C. Thompson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7 사회과학연구 Vol.56 No.2

        본 논문은 정치사상사 연구의 해석적 방법론에서 심각하게 고려하지 못했던 문제를 검토하려는 목적을 가진다. 정치사상을 연구하는 역사학자들은 정치사상을 의도적인 행위로 이해하도록 자주 권고 받는다. 보통의 방법론은 정치사상과 관련된 진술의 언어적 맥락을 해석하고자 시도하며, 그것의 잠재적이고 실제적인 결과 혹은 의도를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하지만, 이러한 정치사상사는 정치적 이론화 과정에 대한 인과적 설명 역시 필요로 한다. 하지만, 이러한 문제를 제기하는 정치사상사 연구는 아직까지 만족스럽게 이루어지지 않았는데, 이는 이러한 문제제기가 정치 이론에 있어서의 의도를 해석적으로 맥락화하려 하기 때문이었다. 정치이론을 명백하게 밝히고자 인과적 현상을 설명함에 있어 인과적 메커니즘이 적절하고 필수적인 것이라고 인식함으로써 이러한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고 이 글에서 주장될 것이다. 인과적 메커니즘은 정치사상 연구를 훼손시키지 않는데, 그것이 일반적인 법칙을 따르는 정치 이론에 대한 결정론적 설명을 요구하지 않기 때문이다. 인과적 메커니즘이라는 용어는 이 분야에서 비록 낯설지만, 실제로는 기계론적 메커니즘에 상응하는 설명적 주장을 이미 포함하고 있다. This article considers an omission in several related interpretive methodologies in the history of political thought. Historians of political thought are often advised to understand political thought as intentional action. The normal methodology is to interpret the linguistic context of statements in political thought, with an aim to understand their potential and actual consequences or the intentions in these communications. Yet that history of political thought also calls for a causal explanation of political theorizing. Methodology in the history of political thought which addresses this concern remains unsatisfactory, for it reverts to the interpretive contextualization of the intentions in political theory. The paper argues that this problem can be rectified if causal mechanisms are recognized as appropriate, or necessary, for explaining causal phenomenon in thinking and articulating political theory. Causal mechanisms do not undermine practices in history of political thought because they do not do not require deterministic explanations of political theory under general covering laws. Although the terminology of causal mechanisms remains unfamiliar in this field, its actual practices, I show, already involve explanatory claims tantamount to mechanistic ones.

      • KCI우수등재

        Passions, Ideas, and Perfectibility in Rousseau’s Thought

        Benjamin Thompson 한국정치학회 2012 한국정치학회보 Vol.46 No.3

        본 논문은 루소의 사상에서의 아이디어(개념)와 열정에 대해 다룬다. 본 논문은 인간의 아이디어 (개념), 열정, 이성 사이의 상호작용에 근거해 인간 발달을 설명하고 있는 루소의『인간 불평등 기원론』에서 보여지는 루소의‘퍼펙티빌리티’이론에 대해 고찰하며, 이 이론은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인간의 아이디어 (개념)와 감정 사이에 대한 심오하고 직접적인 연관성은 설명해주지 않고 있음을 말하고자 한다. 이 연관성은 인간의 가장 중요한 열정의 많은 부분이 그 기초가 되며, 인간의 가장 중요한 아이디어와 관련한다. 본 논문은, 루소가 아이디어 와 감정을 근본적으로 동일하게 여김으로써‘퍼펙티빌리티’를 설명하게 됨을 증명하고자 한다. 루소의『에밀』에서 나타나는 이러한 설명은, 그의 철학적이고 윤리적인 연구 내용 몇몇에 그 논거를 두고 있다. 그가 연구 내용에서 주장하는 논거에는, 사보아 사제의 위험한 amour propre를 최소화하고, 도덕적 행위자가 되도록 하는 사보아 사제의 질서에 대한 사랑이 있다. 아이디어와 열정을 동일하게 여기는 것은『사회계약론』을 해석함에 있어 특히나 중요하다. 구체적으로, 아이디어와 열정을 동일하게 여기는 것이 루소의 정치적 논법의 기본 논리라는 것을 인지시켜주며, 이는, 또한, 질서 있는 사회에서 반드시 존재해야 할 사적 아이디어와 열정 뿐 아니라 공적인 아이디어와 열정에 대한 그의 이해도에 기초한다고 하겠다. This article concerns the role of ideas and passions in Rousseau’s thinking. It considers Rousseau’s theory of perfectibility as found in The Discourse on the Origins of Inequality, which is an explanation of human development on the basis of interaction between human ideas, passions, and reasoning, and finds that this relies upon but does not explain a deep and immediate connection between man’s ideas and his feelings. This connection lies behind many of man’s most important passions and concerns his most crucial ideas. This article finds that Rousseau came to explain perfectibility by virtue of a fundamental unity between ideas and affections. This explanation, found in Rousseau’s Emile, grounds several of his philosophical and moral projects. Among these is the Savoyard Vicar’s love of order, which delimits his harmful amour propre and allows him to be a moral actor. The unity of ideas and passions is particularly important for reading The Social Contract. This unity informs the basic logic of Rousseau’s political argumentation, and it lies behind his understanding of the personal and public passions and ideas that must obtain in a well-ordered society

      • KCI등재

        John Locke and the Politics of Semantic Virtue

        Benjamin C. Thompson 한국정치사상학회 2012 정치사상연구 Vol.18 No.1

        This article addresses the discursive nature of the polity in Locke’s thought. The article aims to show that Locke’s civil society is an association of free citizens, which depends on healthy discourse and what I term semantic virtues. This becomes clear as the important connections between the use and abuse of language and Locke’s political thought are elucidated, so I argue. This article is influenced by several recent studies, which have drawn attention to the semantic dimension of Locke’s social and political thought; the works of Hannah Dawson and Linda Zerilli are particularly relevant. Nonetheless, this article advances a unique reading of language in Locke’s politics that diverges from previous scholarship. Principally, I aim to uncover the nature and consequences of the semantic virtues and also the semantic vices ? the use and abuse of language, written and oral. As I show, healthy discourse in civil society is informed by the philosophical use of words and reform of language which he recommended in the Essay. These virtues enable a variety of social goods that are not possible with everyday use of language. Law, justice and public morality require the semantic virtues in Locke’s thought. By contrast, the abuse of language is tied to destructive and tyrannical social outcomes. Thus, Locke’s political and philosophical thought involve a shared discursive dimension. Ultimately, the semantic virtues allow public discourse to meet the standards needed for civil society. With these virtues, citizens may come to employ their rational capacities cooperatively as free men, establishing the concepts of political justice appropriate for their common life. Critically, these virtues include an emotional solution to the passionate nature of linguistic abuse. Collected together, the semantic virtues are taxing, but they remain possible, reasonably plausible, and foundational for important aspects of politics in Locke’s opin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American War Powers and the Lockean Federative Power

        Benjamin Thompson(벤자민 톰슨)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5 사회과학연구 Vol.54 No.2

        이 논문은 미국 헌법상 전쟁 선포 권한이 누구에게 있는 지에 대한 미국 헌법에 관한 논쟁을 담고 있다. 미국 의회가 전쟁을 선포하지 않고, 미국 대통령이 외국 국가(또는 단체) 와의 전쟁을 개시할 수 있는 지에 관한 논쟁을 살핀다. 이러한 사안(논쟁)은 미국 관할권을 넘어선 정치사상과 관련되는 주제로써, 효력/효과에 관한 규칙(norms of effectiveness)이나 민주적인 책무(채임)에 따라 평가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필자는 이러한 사안에 대하여 논쟁하는 방식에 의문을 제기하는 규범적 관점으로 논거를 발전시킨다. 로크의 Federative power (연방적 권한) 및 생명, 자유, 재산의 가치에 관한 글에 의존하면서, 본 논문은 복잡하면서도, 권리에 근거를 둔 Federative power(연방적 권한)을 해석하며, 이는(연방적 권한), 입법기관이나 민주적인 시민/인민의 관리, 감독에 속하는(달린) 것으로 여긴다. 이를 바탕으로, 필자는 현재 미국의 전쟁 선포 권한에 관한 논쟁에 사용되는 규범적 가치들은 부족하다고 주장한다. 로크의 관점이 완전히 설득력이 있을 수는 없다 하더라도, 시민의 이익에 대한 윤리적 무게를 중시하고, 권리와 의무에 기초한 외교 정책 권한에 대한 개념을 가치있게 여기는 관점은 진지하게 고려되어야 한다고 본다. This article considers a controversy in American constitutional law concerning who holds war powers under the US Constitution. The debate concerns whether the American President should be able to initiate hostilities with foreign states(or other entities) without a declaration of war from the US Congress. This issue can be evaluated according to norms of effectiveness and(or) democratic accountability, making it a concern of political thought relevant beyond American jurisprudence. In this article, I advance a normative perspective which challenges these ways of debating the issue. Relying on Locke’s writing concerning the Federative Power and values of life, liberty, and property, the article interprets a complex, rights based account of the Federative Power and finds it subject to the oversight of legislative institutions, or democratic peoples. From this basis, I argue that the current normative values employed in the American war powers debate are unserviceable. While a Lockean perspective may not be ultimately compelling, it foregrounds the moral weight of citizen interests and a rights and duties based conception of foreign policy powers, both of which should be taken seriously.

      • KCI우수등재

        Semantic politics and the “Way of ideas” in 17th century England

        Benjamin Thompson 한국정치학회 2015 한국정치학회보 Vol.49 No.6

        이 논문은 17세기 중반 영국에 존재한 사회적 정치적 언어와 그 철학에 대한 소고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의미론/세멘틱 [언어가 아이디어 (개념) 를 정의, 특정하는 방식, 그리고 그러한 아이디어 (개념)의 구성]에 관한 지적 발전이 그 시기에 이러한 표현/표기 (representation) 에 위기 (crisis)를 불러 일으켰다/혼란 (crisis)으로 이어졌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혼란은, 정책에 관한 것이 아니고, 언어 그 자체에 대하여 다루기 힘든 갈등 혹은, 윤리적이고 정치적인 담화를 이해할 수 있는 언어의 능력 (잠재력)을 서서히 풀어내게 하는 결과를 불러올 수 있다고 종종 들어왔다. 정치는 이성적/합리적인 언어없이도 이루어질 수 있어야 (가능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대략적으로는, 동시대에 활동하였던 사상가들 - 존 로크, 리차드 브루토게, 존 윌킨스, 존 세르장- 그리고 이들이 공통적으로 의존한 Port Royal Loguic 과 같은 프랑스 자료를 연구함으로써, 이러한 사상가들에게 존재하였던 지적 (문헌적) 자원을 고려하였을 때, 언어적 안정성, 언어적 개혁이 사실상 정통성있는/신뢰할 수 있는 믿음/신념 (tenents) 이었다고 제안한다. 이들은 실제 경험적 근원/소스 (material sources of experience) 로부터 오는 개념(idea)의 분리에 관한 그들의 비슷한 신념에도 불구하고, 공통적이고 안정적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관련있는 사상/개념의 에피스토몰로지를 제안하였다. 그들은 또한 공통적이고 투명한 지식/인식적 기초에 기반한, 논리적 의사소통의 내역/내용 (accounts, statements of reasons) 에 대해 (부연) 자세히 설명하였다. 사회적 사안에 있어서 언어적 오용의 근원은, 언어를 열정적으로 남용한 결과 또는 개혁되지 않은 국가에 존재하는 언어적 결과물로 여겨졌다. 더욱 논리적인 담화와 관련하여 전개된 올바른/옳은 가치 또는 counter passion을 통해, 이들 사상가들은 언어 (구술적 다툼)적 갈등을 그치게 하고, 공통적인 윤리적 규범을 독려/이끄는 실제적 진전/진척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상상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건의/제안으로, 시민의 의미론적 개혁에 대한 시도를 가능하게 하였다/접근을 생성하게 되었다. This article considers a discourse on the philosophy of language and its social and political characteristics extant in the latter half of the 17th Century in England. It has been suggested that intellectual developments concerning semantics, or the way words signified ideas and the makeup of those ideas, lead to a crisis of representation in the period. This crisis might yield, we are sometimes told, intractable agonism not only over policy but over language itself, or lead to the slow unravelling of the ability of language, as it was then understood, to comprehend moral and political discourse at all. Politics would have to do without rational language. By studying a range of roughly contemporaneous thinkers, John Locke, Richard Bruthogge, John Wilkins, and John Sergeant, and their common French source the Port Royal Logic, this paper suggests that actually linguistic stability and linguistic reform were credible tenets given the intellectual resources available for these thinkers. They advanced related epistemologies of ideas that would allow common and stable, meanings despite their similar belief in the disunion of ideas from material sources of experience. They likewise elaborated accounts of logical communication which, in turn, built on these common and transparent epistemic foundations. The sources of linguistic abuse in social affairs were thought of as either results of languages in their unreformed state or of the passionate abuse of language. With the right virtues, or counter-passions, deployed in conjunction with more logical discourse, these thinkers imagined real progress could be made in ending the verbal sources of strife and promoting common moral norms. These recommendations create a civil approach to semantic reform.

      • KCI등재

        Quentin Skinner’s Peculiar Positivism

        Benjamin C. Thompson 한국정치사상학회 2014 정치사상연구 Vol.20 No.2

        This paper appraises Quentin Skinner’s approach to political thought as a social science, arguing it is like the positivism of Karl Popper yet also like a research programme with a “hard core” and auxiliary hypothesis following Imre Lakatos. These contentions are made by considering Skinner’s theory of speech acts, his belief in the objectivity of contextual evidence, and his vulnerable theory of rational intentions and action. Speech act theory delimits but does not logically necessitate the further theories of Skinner’s contextualism. The detachability of his auxiliary hypotheses allows the research programme to survive powerful criticisms of methodology in intellectual history and allows scholars to adapt theory from other social sciences, deepening and broadening the programme’s explanatory power.

      • KCI등재

        규범적 정치이론과 보안화의 논리

        벤자민톰슨 ( Benjamin Thompson ) 대한정치학회 2021 大韓政治學會報 Vol.29 No.1

        본 논문은 이른바 코펜하겐 학파에 의해 개발된 안보 연구의 접근법과 그것의 도덕적 규범과의 호환성을 다루는 안보이론(securitization theory)의 방법론을 소개한다. 이 이론은 정상적인 정치적 이슈들을 긴급한 안보 관심사로 변환하는 ‘안보화’와, 안보 정치에서 정상적 이슈로 회귀/복귀하는 ‘탈 안보화’를 선도적으로 규명하는 기반을 제공한다. 이 분야의 학자들은 이 접근법을 기반으로 설명되는 과정들이 도덕적 관점들에서도 평가될 수 있다고 주장하였고, 규범적인 안보화의 이론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한 바 있다. 본 논문에서 저자는 이러한 주장은 현재 잘못 규명된 점이 있다고 이의를 제기한다 그 이유는, 코펜하겐 학파가 제시하는 안보화이론의 핵심은 ‘법칙론적(nomological)’ 또는 ‘포괄법칙(covering law)’을 설명하는 것인데, 이러한 접근 방식은 도덕적 원칙 및 ‘규범적인 안보화(normative securitization)’ 의 증거적 필요조건과 비교 불가하기 때문이다. 대신에 본 논문에서는, ‘규범적 연구(normative inquiry)’에는 방법론적 다원주의와 설명적 안보 연구의 해석주의가 보다 더 적절하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This paper seeks to address the methodology of “securitization theory”, the approach to security studies developed by the so-called Copenhagen School, and its compatibility with moral norms. This theory provides a leading explanatory framework for “securitization”, the transformation of normal political issues into urgent security concerns, and “desecuritization”, the return from security politics to normal. Scholars in the field have also asserted that the processes understood from this approach may be assessed from moral standpoints, and have elaborated theories of normative securitization. The article argues that this is currently misconceived. Because the core of securitization theory under the Copenhagen School has been a “nomological” or “covering-law” explanation, its approach is incommensurable with the moral principles and evidentiary requirements of normative securitization. The paper proposes, instead, that methodological pluralism and interpretivism in explanatory security studies are better matched to normative inqui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