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후기의 신라정통론(新羅正統論)과 발해사(渤海史)의 인식

        김종복 ( Jong Bok Kim ) 수선사학회 2011 史林 Vol.0 No.39

        There have been two different ideas to understand the time when Silla and Balhae coexisted. One way has comprehended it as ``the period of North and South kingdom``, but the other has deemed it ``the period of unified Silla and Balhae``. The term of ``unified Silla`` means that Balhae is excluded from Korean history. However, the idea of ``unified Silla`` is being still supported to emphasize the opportunity to form Korean people. The concept of ``unified Silla`` has common ground with the theory of Silla`s legitimacy prevailing in Jpseon period and ``unification of Korean Peninsula`` in modern Manseonsahak(historical studies on Mancuria and Joseon) in the way that it discriminates itself from Silla kingdom during the Three-Kingdoms era. Also, it is the same that Balhae has been ruled out from the view of ``unified Silla`` which gave the meaning to Silla`s final victory as historical milestone. Therefore, this study exmaines the development in the theory of Silla`s legitimacy and recognition of Balhae`s history to understand the current problem of dual attitude toward Balhae`s history and search for alternative. Most representative history books in Joseon period from Dongguktonggam to Dongsagangmok, which were written in the historical view with the theory of legitimacy, treated Balhae`s hisotry as a maginal country. Goguryeo was rediscovered in the external crisis after the two struggles against Japanese and Manchus. Balhae succeeded to Goguryeo began to receive attention with it. Donsa written by Yi Jong-huee completely denied the theory of Silla`s legitimacy by means of the theory of Dangun and Gija`s legitimacy. Balhaego written by Yu Deuk-gong could raise the idea of North and South kingdom era where Silla and Bahae coexisted on the Donsa`s view. With Dongsa, Dongsaganmok, the history book wrtten in theory of legitimacy, was much helpful for Yu to write Balhaego.

      • KCI등재

        영어 Much of an N 구문에 대한 말뭉치 기반적 접근

        김옥기(Ok gi Kim),김종복(Jong Bok Kim) 현대문법학회 2015 현대문법연구 Vol.86 No.-

        Okgi Kim and Jong-Bok Kim. 2015. English much of an N Construction: A Corpus-based Approach. Studies in Modern Grammar 86, 47-70. English much of an N (henceforth, MOA) construction (e.g., It’s not much of a problem.) consists of quantifiers like much, more/less, enough, little and of-an-NP to intensify the indefinite singular degree NP. In this paper, we first review basic properties of the construction, focusing on the relation between the gradability of the NP and its predicativeness. In particular, after investigating authentic corpus data of the MOA, we provide a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which allows a constraint-based approach in accounting for various syntactic as well as semantic properties of the construct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국제우주정거장협정의 법제도에 관한 고찰

        김종복,Kim, Jong-Bok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 2007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Vol.2007 No.special

        본 논문은 1998.1.29. 체결된 국제우주정거장(ISS : International Space Station)에 관한 정부간 협정 (IGA : Inter-governmental Agreement on International Space Station 이하 '신IGA' )의 법제도에 관한 연구로써 1) 국제우주정거장의 개요 2) 국제우주정거장 협정의 주요 기본원칙, 3) 국제우주정거장 협정의 법제도의 순서로 크게 3부분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첫째, 국제우주정거장의 개요에서는 (1) 국제우주정거장의 정의, 특징 및 기능과 (2) 국제우주정거장의 구성에 관하여 다루었다. 둘째, 국제우주정거장 협정의 기본원칙으로써 (1) 파트너쉽(Partnership)원칙과 (2) 평화적 이용원칙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셋째, 본 논문의 주제인 국제우주정거장 협정의 법제도에 관해서는 (1) 등록제도, (2) 관할권 제도에서 일반적 관할권 및 통제권과 형사관할권에 대하여 연구하였고, (3) 소유권 제도 중 지적재산권과 지적재산권 이외의 소유권에 관한 제도, (4) 손해배상책임제도에서 손해배상청구권의 상호포기와 손해배상책임의 제요소, 제3자에 대한 책임, 마지막으로 (5) 분쟁해결제도를 살펴보았다. 국제우주정거장 협정은 종래의 우주법에서 볼 수 없었던 새로운 법제도의 내용과 적용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동 협정은 우주개발에 있어서 국가간 국제협력의 중요한 선례로서 하나의 Model Law가 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ISS상에서의 우주활동은 전체적으로는 신 IGA 법제도의 틀 안에서 규제를 받지만, 참가국과 이용자 간에는 당사자 간의 계약에 맡겨져 있기 때문에 철저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앞으로의 우주개발사업은 많은 중요사업에서 국제협력의 형태로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신 IGA의 의미는 더욱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을 기초로 하여, 앞으로 각 부분별로 더욱 깊이 있는 연구가 행해져 우리나라 우주개발사업의 법제도 수립에도 기여할 것을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about the legal system of the Inter-governmental Agreement on the International Space Station('IGA') which was signed on Jan 29,1998. This paper is divided into three main parts ; 1) a review of ISS, 2) the principal rules of IGA, 3) the legal system of IGA. First, the paper draws an outline of ISS by dealing with (1) the definition,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ISS, (2) the composition of ISS. Second, the paper explains the principal rules of IGA which include (1) the rule of 'Partnership' and (2) the rule of 'Peaceful Purpose'. Third, the legal system of IGA is studied by looking at five different aspects: (1) the registration system, (2) a general jurisdiction, criminal jurisdiction and a control of jurisdiction, (3)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nd other rights beside intellectual property, (4) cross-waiver of liability and several elements in compensation of damages, (5) the dispute resolution. IGA contains new contents and applications of legal system which was not included in the former space law. Therefore IGA will work as a model law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of space development. It is important for us to study the matter of ISS, because disputes on the ISS are left solely to contracting parties although IGA will regulate overall situations. The renewed IGA is even more important because all the space development is expected to take place on an international cooperation basis. On the basis of this paper, all the important parts of IGA is expected to be further studied so that the research can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the legal system of space development in Korea.

      • KCI등재후보

        상법 항공운송편 제정의 필요성과 방향에 관한 고찰

        김종복(Kim Jong Bok)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08 法學硏究 Vol.11 No.1

        법무부는 항공운송산업의 성장을 뒷받침하는 항공운송계약법제의 정비를 위해 「상법 항공운송편 제정 특별분과위원회」를 구성하고 상법 항공운송편의 제정을 추진하기로 하였다고 발표하였다. 법무부의 상법 항공운송편 제정 추진발표는 그 동안 국내항공운송에 있어서 계약당사자 간의 법률관계를 규율하는 사법규정이 존재하지 않아 항공운송에 따른 사고나 분쟁발생시 법 적용상 문제점이 발생되어 국민권익 보호차원에서 이를 해결해야 할 현실적인 이유와 국제항공운송에 있어서도 지난 70여 년간 국제항공 운송인의 책임을 규율해 온 바르샤바체제(Warsaw Regime or System)가 무너지고 바르샤바체제 상의 책임관련 조약들을 하나로 통합한 새로운 책임조약인 1999년의 몬트리올조약이 제정ㆍ발효된 국제적인 시대적 환경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항공운송에 관한 사법을 단독의 법률로서 제정하는 것이 아니라 상법전 속에 편제하여 기존의 육상운송과 해상운송의 관련규정과 함께 조화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육해공을 망라한 단일 운송법제로 체계화하려고 하는 바 이는 국제적으로도 그 유례가 없는 입법체계이긴 하나 국내학자들에 의해 가장 이상적인 입법형태의 하나로서 주장되어 왔던 것이기에 입법된다면 항공운송법제에 있어서 가장 선진화된 이상적인 입법형태의 하나가 될 것이다. 본고에서는 금번 법무부의 상법 항공운송법제정 추진과 관련 제정의 필요성과 방향에 대해 살펴보려고 한다. 제정의 필요성에 있어서는 국내항공운송에 있어서 상법규정이 존재하지 않음으로써 발생하였던 문제점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방향에 대해서는 현재 「상법 항공운송편 제정 특별분과위원회」에서 제정안을 입법작업 중에 있고 최종적으로 어떠한 입법안이 나올지 모르는 현 시점에서 구체적으로 언급하는 것은 사실상 어려움이 있으나 새로이 제정된 국제항공운송인의 통합책임조약인 몬트리올조약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In the recent rapidly changing international aviation transport world, the biggest change in the aviation liability regime will be the advent of the Montreal Convention 1999. The Montreal Convention markedly changed the rules governing international carriage by air. The Montreal Convention has modernized and consolidated the 70 year old Warsaw System of international instruments of private international air law into one legal instrument. One of the most significant features of the Montreal Convention is that it shifted its priority to the protection of the interest of the consumers from the protection of the carrier which originally the Warsaw Convention intended to protect the fledgling international air transportation business. The inclusion of this fundamental tenet in the Preamble means the Montreal Convention rejects the Warsaw Convention’s outdated notion that airlines require protection from potentially unlimited liability flowing from aviation disasters and replace it with a consumer protection model. In connection with the second proposal, I’d liked to suggest we or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take the following ac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