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Ampicillin과 Furosemide의 相互作用에 관한 硏究

        李昇宰,鄭址昌,高啓昌,韓大燮 慶熙大學校 1986 論文集 Vol.15 No.-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urg-interaction between furosemide and ampicillin, the influences of ampicillin on the diuretic action of furosemide and the effects of furosemide on the urinary elimination rate and serum concentration of ampicillin were studied in the rabbits. In comparison of diuretic effects of furosemide alone group with those of furosemide-ampicillin combined group, the furosemide-ampicillin combined group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urine flow and urinary electrolytes amounts. Those findings seem to be resulted chiefly from marked inhibition of sodium and chloride reabsorption in the renal tubule without a little alteration of glomerular filtration rate. Throughout the combined administration of furosemide and ampicillin. the serum concentration of ampicillin were significantly elevated, but the urinary elimination rate of ampicillin were markedly decreased in the observed rabbits. It is concluded from the results that synergistic effect of ampicillin on diuretic action of furosemide might be due to the competitive inhibition of plasma protein binding with furosemide by ampicillin. It is also postulated that the competition between furosemide and ampicillin in renal tubular secretion.

      • 영상 정보를 이용한 기계학습 기반 나비 인식

        이승재,강승호 한국응용곤충학회 2017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7 No.04

        기계에 대한 새로운 학습 방법의 등장과 함께 기계학습을 이용한 영상 인식에 대한 관심이 높다.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영상 획득이 활발해지면서, 촬영한 영상 속 생물 개체의 이름을 자동으로 알려 주는 기계학습 기반의 영상인식 기술은 대중적인 호기심을 충족시킬 뿐 아니라 생물학 및 영상인식 연구자들에게도 매력적인 주제이다. 본 발표에서는 15종의 나비 영상으로부터 나비의 형태(shape) 및 색깔과 같은 영상정보를 개체 인식에 이용하는 기계학습 기반의 나비인식 방법을 소개 한다. 우선 나비의 형태나 색깔로부터 각 종을 대표해 기계의 학습 데이터로 사용될 특징(feature) 추출을 위한 몇 가지 방법들에 대해 알아본다. 그리고 추출된 특징들을 학습 데이터로 이용해 세 가지 대표적인 기계학습 방법(베이지안 분류기, 인공신경망, 서포트 벡터 머신)을 학습시키는 방법 및 테스트 데이터를 이용한 성능평가 방법을 소개한다.

      • KCI등재

        액상 직분사 시스템을 이용한 복합화력 황연제거 실증 연구

        이승재,김영희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10

        Combined cycle power plants (CCPP) that use natural gas as fuel are easier to start and stop, and have lower pollutant emissions, so their share of domestic power generation facilities is steadily increasing. However, CCPP have a high concentration of nitrogen dioxide (NO2) emission in the initial start-up and low-load operation region, which causes yellow plume and civil complaints. As a control technology, the yellow plume reduction system was developed and operated from the mid-2000s. However, this technology was unable to control the phenomenon due to insufficient preheating of the vaporization system for 10 to 20 minutes of the initial start-up. In this study, CFD analysis and demonstration tests were performed to derive a control technology by injecting a reducing agent directly into the gas turbine exhaust duct. CFD analysis was performed by classifying into 5 cases according to the exhaust gas condition. The RMS values of all cases were less than 15%, showing a good mixing. Based on this, the installation and testing of the demonstration facilities facilitated complete control of the yellow plume phenomenon in the initial start-up. 천연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복합화력발전소는 석탄화력 대비 기동 및 정지가 용이하고 오염물질의 배출에 대한 부하가 적어 국내 발전설비 중 차지하는 비중이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그러나 복합화력발전소는 가스터빈의 기동초기 및 저부하 운전 영역에서 황연현상을 일으키는 이산화질소(NO2)의 농도가 높은 특성을 가지고 있어 민원의 원인이 되며, 이의 제어 기술로서 황연제거설비가 2000년대 중반에 개발되어 운영되어 지고 있었다. 하지만 이 기술은 가스터빈 냉간기동 조건에서 기동초기 약 10~20분 동안은 기화시스템의 예열이 충분하게 이루어 지지 않아 황연현상을 제어할 수가 없는 실정이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환원제를 기화기를 사용하지 않고 액상의 상태로 가스터빈 Exhaust Duct에 직접 분사하여 황연현상을 제어하는 기술의 도출을 위해 CFD 해석 및 실증시험을 수행하였다. 가스터빈 Exhaust Duct에 위치에 있는 Diffuser에 의해 Duct의 외곽으로 형성된 배기가스에 액상의 환원제를 직분사하는 방안으로 배기가스 조건에 따라 5가지 Case로 분류하여 CFD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5가지 Case 모두에서 RMS가 15%이하로 양호한 혼합도를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실증설비를 설치 및 시험을 실시한 결과, 기존 기상주입방식에서 제어할 수 없었던 기동초기 약 10~20분 구간의 황연현상도 완벽하게 제어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새로운 반응 깊이 측정 방법을 적용한 감마선 검출기 설계

        이승재,백철하 한국물리학회 2019 새물리 Vol.69 No.10

        Using a Geant4 Application for Tomographic Emission(GATE) and a DETECT2000 simulation tool, we designed a detector to track the locations at which gamma-rays interacted with the scintillator. After the locations of the gamma ray interactions with the scintillator had better obtained through the GATE program, that information was used in the DETECT2000 simulation tool to generate light. The detector was composed of two layers of scintillators, and the photosensor used a silicon photomultiplier (SiPM). The upper scintillator was wrapped with a specular reflector and the bottom was wrapped with a diffuse reflector. Photoelectric peaks were positioned at different positions when energy spectra obtained by varying the signal size obtained from the photosensor by treating the layers with different reflectors. The layers in which the scintillators and the gamma rays interacted could be distinguished by using a positional analysis of photoelectric peaks. This method can be used to develop detectors to measure the depths of interaction in the future. Geant4 Application for Tomographic Emission (GATE)와 DETECT2000 시뮬레이션 툴을 사용하여 감마선이 섬광체와 상호작용한 층을 추적할 수 있는 검출기를 설계하였다. GATE를 통해 감마선과섬광체가 상호작용한 위치 정보를 획득한 후, DETECT2000 시뮬레이션 툴에 이 정보를 적용하여 빛을 발생시켰다. 두 층의 섬광체로 검출기를 구성하였으며, 광센서는 실리콘광전증배관(Silicon photomultiplier, SiPM)을 사용하였다. 검출기는 두 층의 섬광체로 구성하였고, 위층은 거울반사체로, 아래층은 난 반사체로처리하였다. 각 층별 서로 다른 반사체로 처리하여 광센서에서 획득되는 신호의 크기를 서로 다르게 하여에너지스펙트럼을 획득하였을 때 서로 다른 위치에 광전 피크가 위치하였다. 광전 피크의 위치 분석을통해 섬광체와 감마선이 반응한 층을 구별할 수 있었다. 본 검출기 설계를 통해 향후 검출기를 개발할 때적용함으로써 새로운 반응 깊이를 측정할 수 있는 검출기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