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글쓰기교육에서 ‘개요’ 작성 지도가 갖는 의미와 효과

        이부순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3 리터러시 연구 Vol.14 No.5

        개요작성은 글쓰기 과정의 탐구적 본질과 역동이 집약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글쓰기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적 훈련에 최적화된 활동이다.이러한 인식에 따라 이 연구는 개요작성 지도의 실천적이고 효과적인 전략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학습자들이 개요작성에서 범하는 주요 오류는 좋은 글의 요건,글쓰기의 핵심 역량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따라서 필자는 학습자의 글쓰기 능력 신장을 목표로 하는글쓰기 교육에서 개요작성 지도가 갖는 전략적 중요성에 부응하여 개요작성 강화 방안을 제안하고 실제 사례로써 그 효과를 입증했다. 개요작성 능력 강화 방안은 두 원칙에 따라 설계되었다.하나는 다단계 과정을 통한 개요작성과 수정이고,다른 하나는 단계별로 차별화된 피드백 제공이다.이는 글쓰기 초보자가 글쓰기 과정의 상호텍스트적 본질을 내재화하고 사고 구성의 역학을 체득할 뿐만 아니라,그 과정을 거치면서 발전적 변화를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데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Outlining is an educational training activity to strengthen writing capabilities that focuses on the exploratory nature and dynamics of the writing process. Based on this understanding, this study aims to explore practical and effective strategies for outlining teaching. The main errors learners make in outlining are closely related to the requirements of good writing and the core competencies of writing. Therefore, in response to the strategic importance of outlining guidance in writing education aimed at improving learners' writing ability, I proposed a method to strengthen outlining and confirmed its effectiveness. The strategy to strengthen outlining ability was designed according to two principles: creating and revising an outline through a multi-step process and providing differentiated feedback for each step. This strategy is effective in helping beginners in writing not only internalize the intertextual nature of the writing process and learn the dynamics of thought composition but also experience developmental changes through the process.

      • KCI등재

        대학 교양 글쓰기 교육의 효과적 제고 방안 - 글쓰기센터와의 협업을 중심으로

        이부순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9 리터러시 연구 Vol.10 No.4

        This study is an academic response to the problematic situation of general writing education which is the backbone of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and propose effective method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literacy education. The effective teaching method of the general writing education is collaboration with college resources, especially the writing center. By linking the general writing class with the tutoring service of the writing center, it is possible to overcome the fundamental limit of the general writing education which is run as a one-time independent class. This is because it is possible to carry out a customized individual instruction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of individual learners. This collaborative format brings a variety of effects to all participants. Therefore, the case of linkage and cooperation with the writing center can be used as a meaningful reference to redesign the teaching model for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the literacy education. 이 연구는 대학 글쓰기 교육의 주축인 교양 글쓰기 교육이 처한 문제적 상황에 대한 학문적 대응이다. 교양 글쓰기 교육이 학습자의 기초적 글쓰기 역량을 강화하고 전공 글쓰기로의 전이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때 교양 글쓰기 교육의 실제적 효과를 담보할 수 있다는 인식을 바탕으로 비판의 중심이 되고 있는 교양 글쓰기 교육의 실효성을 제고하는 효과적 방안을 모색․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논문에서 제안한 교양 글쓰기 교육의 효과적 방안은 대학 내 자원, 특히 글쓰기센터와의 협업이다. 교양 글쓰기 수업과 글쓰기센터의 튜터링 서비스를 연계하면 일회적인 독립강좌로 운영되는 교양 글쓰기 교육의 근본적인 한계를 일정 정도 극복할 수 있다. 이 협업으로 학습자 개개인의 수준 편차와 글쓰기 장애 요소 및 강도의 차이에 대응하는 맞춤형 개별 지도를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에 따라 글쓰기센터와의 협업 수업 사례를 제시하고 협업의 내용과 방식 및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협업 체재는 참여 주체 모두에게 다양한 효과를 불러온다. 따라서 글쓰기센터와의 연계․협업 수업 사례는 교양 글쓰기 교육의 실효성을 제고하는 교수법을 모색하는 데, 그리고 분산․고립되어 있는 대학 내 글쓰기 교육 시스템을 재설계하는 데 의미 있는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KCI등재

        협력적 글쓰기 교육의 효과 제고 방안 - ‘주제 선정’ 지도 사례를 중심으로

        이부순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2 리터러시 연구 Vol.13 No.1

        이 연구는 대학 교양 글쓰기의 실효성을 증대해야 하는 교육 현장의 요구에 대한학문적 대응이다. 이 논문에서는 협력적 글쓰기 교육의 필요성과 유의미성을 전제로, 그 효과를 구현할 실천적 교수법을 다각적으로 모색하는 데 기여하고자 글쓰기의 ‘주제 선정’ 과정을 협력학습의 방식으로 진행한 사례를 제시했다. 대학 신입생들은 특정 대상에 대한 자기 관점에 따른 해석으로서의 주제를 설정하는 데 미숙하다. 따라서 미숙한 필자를 능숙한 필자로 성장하도록 하는 효과적인 글쓰기 교수법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그 필요를 충족할 수 있는 교수법이 학습자들 간 상호작용을 최대화하는 협력학습에 있다고 보고, 주제 선정 절차를 진행하고결과를 피드백하는 데 적용한 구체적인 방식을 제시하고 그 효과를 검증했다. 이러한 교수법에 따른 주제 선정 지도가 산출한 가장 중요한 효과는 학습자들의 주도적 참여와 능동적인 발견을 통한 개인의 성장이다. 또한 지속적인 글쓰기 훈련에대한 학습자들의 자발적 의지를 추동하는 데도 효과적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 제시한 수업사례가 협력 글쓰기의 효과를 구현하는 교수법을 모색하는 데 의미 있는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 KCI등재

        온라인 비대면 글쓰기 교육의 가능성

        이부순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1 리터러시 연구 Vol.12 No.1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meaningful writing classes in a changed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The study was premised on the necessity of reflection on the problems faced in the transition to online non-face-to-face lectures in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Accordingly, we present the positive effect of using the chat window installed in the real-time remote lecture system as an example of content organization practice and feedback. The chat window contributes to alleviating the limitations in remote non-faceto-face lectures where the limitations of the dynamic interactivity of the teachinglearning subjects are clear.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effects of sharing practice material, focusing on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practice material with the chat window. The example presented in this paper can be used as a meaningful reference to explore another possibility using a chat window, and to discover an effective writing class case utilizing various technical resources provided by the real-time remote lecture system. 이 연구는 온라인 비대면 강의로의 전환에 직면한 대학 글쓰기교육의 문제적 상황에 대한 성찰의 필요성을 전제로,변화된 교수-학습 환경에서 의미 있는 글쓰기 수업의 가능성을 발견해 보려는 시도로 이루어졌다.그에 따라 이 논문에서는 실시간 원격강의 시스템에 탑재된 채팅창 활용의 긍정적 효과를 내용조직 실습과 피드백 사례로 제시했다. 채팅창은 교수-학습 주체들의 역동적 상호작용성 면에서 한계가 분명한 원격 비대면 강의에서 그 한계를 완화하는 데 기여할 뿐만 아니라 폭넓은 활용 가능성을 담보하고 있다.이 논문에서는 채팅창의 활용 가능한 방식들 가운데 실습물의 공유 가능성에 주목하여 실습물 공유가 수반하는 여러 효과들을 분석했다. 이 논문에서 제시한 사례는 채팅창을 활용한 또 다른 가능성을 탐색하고,나아가실시간 원격강의 시스템이 제공하는 다양한 기술적 자원들을 활용한 효과적 수업사례를 발굴하는 데 의미 있는 참고자료로 쓰일 수 있다.

      • KCI등재

        임부에 병발된 전이성 융모암 1 예

        이부순(BS Lee),박영주(YJ Park),주영철(YC Joo),유태숙(TS Yoo) 대한산부인과학회 197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17 No.10

        임신 32주에 병발된 전이성융모암 1예를 경험하였기에 간단한 문헌적 고찰과 아울러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The case to be reported is unusual intersting patient becauses of coexisting metastatic choriocarcinoma and pregnancy. A 32 year old multigravida had genital bleeding from vulvar metastatic lesion of choriocarcinoma at 32 gestational week. During the 1st admission cesarean section and tubal ligation were performed and a living female baby weighing 1,700 gm was delevered. Two courses of methotrexate(12.5mg/day, 72.5mg/course) treatment were cone without notable side effect and patient was discharged with complete remission of trophoblastic tumor. During the 2nd admission total abdominal hysterectomy, left salpingo-oophorectomy and right salpingectomy were performed and possible primary lesion of choriocarcinoma was found at the mid-posterior aspect of uterine cavity. After total 4 courses of methotrexate(72.5mg/day- 100mg/course) treatment without remarkable side effect, patient was discharged with partial remission of trophoblastic tumor. Chest lesions still remained but vulvar metastatic lesion disappeared completely. The patient was readmitted due to severe headache and limitation of extension of the right elbow and knee. Skull x-ray showed several small bean sized metastatic lesions in the skull vault. Left carotid angiography revealed possible brain metastasis from choriocarcinoma, which was disclosed by autopsy later on. In spite of additional 7th & 8th course of methotrexate (37.5mg-75mg/each course) and 6 mercaptopurine (40mg x 3 for 3 days) treatment the patient`s had getting worse and finally, the patient expired on Feb. 19, 1973. Literatures are briefly reviewed.

      • 子宮破烈에 對한 臨床的 觀察

        金聖心,李富順,李洙培 中央醫學社 1973 中央醫學 Vol.25 No.6

        Clinical and statistical analysis of 45 cases of uterine rupture in National Medical Center from Jan. 1, 1959 to Dec. 31, 1972 were. captured out with the brief review of literatur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incidence of uterine rupture was 1 in 354 deliveries. 2. According to etiological classification, in intact uterus there were 7 cases of spontaneous rupture it being 15. 6%, 20 cases of traumatic rupture, 44. 4% and 1 case of unknown cause, 2.2%, respectively. In scarred uterus there were 17 cases of uterine rupture all due to previous cesarean section, it being 37.8%. 3. There were 32 cases of uterine rupture in para 0-4 women group among 14, 539 deliveries, it being 0. 22%, and 13 cases of uterine rupture in para 5 or more women group among 1, 404 deliveries, it being 0. 93%. The incidence of uterine rupture in great multipara was about four times higher than that of para 0-4 women. 4. There were 30 cases of uterine rupture occurred in the 37th-40th week of pregnancy and 26 cases of fetus weighing 3, 000-3, 999gm. 5. There were 32 cases of fetal death, it being 71. 1% and 4 cases of maternal death, 8.9%.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