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북한지역 지석묘 연구 검토

        황재훈(Hwang, Jaehoon) 중부고고학회 2015 고고학 Vol.14 No.3

        해방 이후~50년대 북한선사고고학은 국가 주도 아래 빠르게 정립되어 갔다. 그러나 60년대 후반 주체 사상 체계의 확립은 학문적 논의를 제한하며 장기간 정체 국면에 접어드는 결정적 계기가 된다. 80년대의 고조선 연구와 90년대 들어 대두된 대동강문화론은 정치적 이데올로기에 의해 학문 활동이 제약되는 북 한고고학계의 실상을 여과 없이 보여준다. 본고의 목적은 북한선사고고학의 패러다임과 접근 방법론 및 편년 논리를 고찰하는 데 있다. 이에 따라 북한의 사회정치적 상황이 선사고고학 연구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파악하기 위해 시기별 지석묘 연구시각과 방법론의 변화에 주안점을 두고 학사적 배경을 검토하였다. 학사의 검토와 함께 지석묘 조사・연구 자료를 종합하여 서북한지역 지석묘의 전개과정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묘역시설의 형태와 구조, 매장주체부 위치와 형식의 변화상이 관찰되는데 군집 내 분포, 형식, 출토유물 양상에 기초하여 크게 네 시기로 구분한다. Ⅰ기 지석묘는 넓고 두터운 묘역부가 시설되며 동일 묘역 내 복수의 매장주체부가 조성된다. 부장품은 단면 렌즈형의 유경식검과 유엽 형촉, 이단경촉과 같은 무기류가 주를 이룬다. Ⅱ기에 접어들면 집단 묘역에서 개별 묘역으로 변화하며, 묘역의 간략화가 진행된다. 기존 지하 개석식과 함께 지상의 탁자식이 본격적으로 조성되기 시작한다. 등 날이 형성된 혈구유공유경식검, 심부가 돌출된 유병식검, 성형석부가 출토되며 미송리형토기가 새로이 발견된다. Ⅲ기에는 이른바 묵방형과 토광식이 등장한다. 유경식검과 함께 혈구이단병식검이 부장되며 만입부가 완만한 삼각촉, 묵방형토기가 출토된다. Ⅳ기에는 묘역시설이 대부분 소멸되며 매장주체부 또한 매우 간략화된다. 일단병식검, 평면 능형촉, 외반구연호, 장경호, 옹 등이 출토된다. 또한 세형동검관련 유물이 발견되고 있어 하한을 가늠케 한다. After liberated, in the 1950s the prehistoric archaeology of North Korea grew up rapidly, but has reached a long-term plateau due to the establishment of the Self-reliance Ideology that restricts the academic discussion in the late 1960s. The study of Gojoseon in the 1980s and the theory of Daedong-river culture emerging in the early 1990s show the fact that academic activities of the North Korean archaeology have been restricted by the contemporary political ideology. This research attempts to review the paradigm, approaches, and the logic of chronology with an emphasis on temporal change in the perspective and method of research on dolmens in order to examine how the political paradigm has affected the prehistoric study in the North Korean archaeology. The analyses show that there is notable change in a type and structure of a burial boundary and a location and type of burial chambers. Based on the features of distribution in a group, associations among the various burial types, and artifacts unearthed, dolmens in the northwestern Korea can be divided into four phases. Dolmens in Phase Ⅰ are distinguished by the formation of thick and wide type-burial boundary and the emergence of multiple tombs within same burial boundary. The vertical type gets an absolute majority while the horizontal type and the mixed type are partly identified, mostly associated with weaponry goods such as stemmed stone daggers with a section lens, leaf shaped stone arrowheads, and double stemmed stone arrowheads. Phase Ⅱ is represented by a dramatic change in a burial boundary from a group to an individual type. During Phase Ⅱ, the Table-type dolmen along with the previous Capstone-type dolmen begins to construct, found together with the Top-shaped pottery and the Misongri-type pottery, as well as stemmed daggers with a flute cannel, hilted daggers, and modified stone axes. During Phase Ⅲ, the Stone-supported type and the Pit-type emerge along with the newly added burial goods such as double stemmed daggers with a flute cannel, triangular stone arrowheads, and the Mukbangri-type pottery (the Post-Misongri type). Phase Ⅳ can be explained from the fact that most of burial boundaries became disappeared, and a structure of burial chamber seems likely to be very simple as well. Artifacts during this phase such as single hilted daggers, rhomboid-shaped stone arrowheads, jars with outward mouths, and long-necked jars are categorized as those of the Slender Bronze-dagger Culture, which can assess the last trajectory of dolmens in the northwestern Korea.

      • KCI등재

        청동기시대 전기 편년 연구 검토 : 형식 편년과 유형론, 그리고 방사성탄소연대

        황재훈(Hwang Jae hoon) 중부고고학회 2015 고고학 Vol.14 No.1

        지난 20여 년 동안 한국 청동기시대 편년 연구는 빠른 속도로 활성화되었고, 많은 성장을 하였다. 방대한 자료에 시간성을 부여하고 문화내용을 판별하는 방법론으로 사용된 형식 편년과 유형론은 물질문화의 해상도를 높이는데 매우 지대한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과도하게 형식 편년에 의존하는 연구 경향성과 지나치게 본질론적으로 접근되는 유형론으로 말미암아 여러 문제점 또한 누적된 것이 사실이다. 본고에서는 현 청동기시대 전기 편년 연구 현상을 비판적 시각에서 검토한다. 편년 방법의 근간을 이루는 형식학적 방법의 논리와 방법론을 살펴보고, 이와 함께 편년 연구와 직 · 간접적으로 관련된 유형론의 문제점을 지적한다. 단일한 논리와 방법만으로 도출된 편년 안은 순환 논리의 오류에 쉽게 노출될 수 있기에 층서법이나 순서배열법, 14C연대와 같은 서로 다른 편년 방법이나 도구를 이용한 교차 검증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이와 함께 청동기시대 전기 사회의 문화변동 양상을 설명하기 위해 양식적 변이에 대한 다양한 연구 시각을 살펴보고, 시기별 취락 변천상, 지역 간 상호작용, 인구 이동 및 결집과 같은 문화상에 대한 접근 방법론을 모색한다. 아울러 14C연대의 적극적 활용이 편년 방법론의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지적하고, 인구 변동 양상과 같은 다양하고 고차원적 접근 또한 시도될 수 있음을 제안한다. Current chronology based on typological arrangement of pottery rim types and designs does not correspond with archaeological evidence indicated by overlapping features, artifact associations and radiocarbon dates. Different types of pottery designs so far considered time markers were in fact associated with each other and overlapping features does not coincide with current chronology. The supposed process of degeneration or gradual disappearance of pottery design is not supported by the stratigraphic excavations, while pottery remains of several different designs were unearthed associated. Evaluation and analysis of substantial amount of radiocarbon dates so far accumulated which do not support current chronology emphasizing sequential and lineal changes.

      • KCI등재

        혐기 혼합균주에서 황산염 농도변화에 따른 수소 발효 특성

        황재훈(Jae Hoon Hwang),최정아(Jeong A Choi),이종학(Jong Hak Lee),정태영(Tae Young Jeong),차기철(Gi Cheol Cha),송호철(Ho Cheol Song),용보영(Bo Young Yong),김동진(Dong Jin Kim),전병훈(Byong Hun Jeon) 大韓環境工學會 2009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1 No.6

        황산염의 농도변화에 따른 연속 혐기성 수소 발효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기 위해서 혼합균주를 사용한 완전 혼합형 반응조를 운전하였다. 기질은 글루코오스를 사용하였고, 수리학적 체류시간은 1, 0.5, 0.25 일로 각각 고정하였다. 황산염 농도는 0~20,000 mg/L로 단계별 증가시켰고 pH 5.5로 운전하였다. 실험 결과 높은 황산염 농도에 관계없이 수소가 발생하였고, HRT 0.25일로 짧아짐에 따라 수소 발생이 높게 나타났다. HRT 1, 0.5, 0.25일 각 조건별 수소 생성량과 수소 수율은 2.9, 4.6, 9.4 L/day, 2.0, 1.8, 1.6 mol H₂/mol glucose로 나타났으며, 잔존 황산염 96~98, 95~97, 94~97%로 나타나 황산염 환원이 발생하지 않았다. FISH 결과 모든 조건에서 수소생성균의 분포는 나타났지만 황산염환원균의 분포는 나타나지 않았다. The effect of varying sulfate concentration on continuous fermentative hydrogen production was studied using enriched mixed microflora in continuously fed reactor. Glucose was used as a model substrate for carbohydrates, and hydraulic retention time (HRT) was maintained at 1, 0.5, 0.25 day, respectively. Sulfate concentration was 0~20,000 mg/L and the operating pH was maintained at 5.5. The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 that hydrogen production is not affected by high sulfate concentration and shorter HRT of 0.25 day enhance hydrogen production. At HRT 1, 0.5, 0.25 day, the hydrogen production rate and hydrogen yield were 2.6, 4.6, 9.4 L/day, and 2.0, 1.8, 1.6 mol H₂/mol glucose, respectively. Residual sulfate content was 96~98, 95~97, and 94~97% at HRT 1, 0.5, 0.25 day which show that no sulfate reduction occurred in the reactor during the experiments. Results of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FISH) may indicate the presence of HPB (hydrogen producing bacteria) under all experimental conditions. However, SRB (sulfate reducing bacteria) were not found.

      • KCI등재

        섬진강유역 지석묘의 전개과정

        황재훈(Hwang, Jaehoon) 한국상고사학회 2012 한국상고사학보 Vol.75 No.-

        동복ㆍ주암댐 수몰지구, 호남고속도로 및 지방도 확포장구간내 문화유적에 대한 조사에서는 모두 44군집 520여기의 지석묘가 발굴되어 섬진강유역 지석묘문화의 시공간적 양상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제공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무덤 형식과 변이, 편년자료 확보의 취약성 등의 한계로 인해 지금까지 체계적인 분석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무덤의 입지와 배치, 형식, 부장유물과 양상 등의 종합적 분석을 통해 섬진강유역 지석묘의 전개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섬진강유역의 지석묘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묘역시설, 지석, 매장주체부 등의 세부 구조가 상호연동하면서 변화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무덤의 형식과 출토유물의 시간성에 기초하여 볼 때, 섬진강유역의 지석묘문화는 크게 3단계에 걸친 계기적인 전개과정을 갖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Ⅰ단계 지석묘는 대부분 보성강중류역에서 집중적으로 발견되는데 주로 하천가의 충적평지와 구릉대지상에 입지하며 강의 흐름에 따라 열상으로 배치된다. 무덤의 형식은 평면 장방형과 타원형의 묘역부가 시설된 지하 석곽형과 혼축형의 구조이며 유경식 석검과 심부 유단식 석검, 유경식 석촉 등의 무기류가 주로 부장된다. Ⅱ단계에 접어들면 지석묘군의 입지와 무덤의 공간 배치와 형식, 출토유물, 부장양상 전반에 걸친 급진적인 변화가 감지된다. 평지에서 열상 배치되는 Ⅰ단계 지석묘군과 달리 Ⅱ단계의 무덤은 주로 산기슭 사면이나 구릉상, 고갯마루에서 3~7기가 군집을 이루며 환상 배치된다. 매장주체부는 지하 석관형과 소형의 지석을 연접한 위석형이 주를 이루며 묘역시설은 점차 간략화 된다. 부장품은 퇴화 또는 의기화된 석검, 석촉과 함께 삼각형 석도, 유구석부, 석착 등의 송국리 단계 생활용 도구가 다수 발견된다. 섬진강유의 지석묘문화가 점차 소멸되어가는 Ⅲ단계의 무덤은 주로 구릉 사면이나 고개마루에서 소군집을 이루거나 단독으로 분포한다. 지석묘 형식은 대형 지석을 놓은 지상 매장주체부의 대형 기반식과 간략화된 위석형, 상석이나 묘역시설이 없는 석곽형, 석관형, 토광형 등이 공존한다. 부장품은 퇴화된 무기류와 도구류 파편이 소량 검출되어 시간의 지남에 따른 부장양상의 퇴화과정을 엿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dolmens developed in the Seomjin river basin through a comprehensive analysis of forms and arrangement of dolmens, remains, and burial types. As a result, we found that detail structures including grave facilities, memorial stones, and a chamber to bury a corpse in changed over time in a continued and instrumental manner. Time of the development of dolmen forms was investigated in terms of the location and arrangement of graves, burial types, and types of remains. At phase Ⅰ, Dolmens in the Seomjin river basin began to the middle Boseong river, arranged in a row along the stream at the alluvial flatland and hills of the riverside. When it comes to the forms of dolmens, they are of underground stone coffin type and mixed type with plane rectangular graves, where weapons like yugyeong style stone sword, simbu–youdan style stone sword, and stone arrowhead are buried together. In phase Ⅱ, rapid changes happened to the location and arrangements of graves, detail structure of dolmens, and burial type, but graves are made in groups of three to seven mainly on the slope of mountains or uphills, compared with phase two. Gravesites are simplified, and a chamber to bury a corpse in in general takes the form of underground stone coffin type and wiseok–type having small memorial stones nearby. Burial accessories such as obsolete stone swords and stone arrowheads and household tools like triangular stone knives, stone axes, and stone chisel have been found. At phase Ⅲ, when dolmens gradually disappeared, graves are gathered together or alone on hillside or uphills. In terms of grave types, a number of foundation and simplified wiseok–type with large memorial stones have been found, along with stone coffin type and ground shed type. Mostly, excavated burial accessories include fragments of obsolete weapons and tools, and a considerable number of Saehyeongdonggum culture related relics have been excavated from the phase Ⅲ dolmens in the Jeola province.

      • KCI등재

        고정식 담체 유무와 반송비에 따른 소규모 하수처리 시스템 내 영양염류 제거 특성

        황재훈(Jae Hoon Hwang),조동완(Dong Wan Cho),김충환(Chung Hwan Kim),전병훈(Byong Hun Jeon) 大韓環境工學會 2013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5 No.6

        소규모 하수처리시스템에 다양한 반송비와 고정식 담체를 적용하여 합성폐수에서 질소, 인의 제거를 검토하였다. 담체를 첨가 시 질소의 제거율은 40.1%에서 65.1%로 증가하였으나 COD와 인의 제거에는 영향이 없었다(<5%). 반송을 통해 유량을 2배(2Q)로 증가시킨 경우 질소의 제거율은 7% 정도가 증가하였으나, 인 제거율은 반송비가 증가됨에 따라 31.8에서 26.6%로 감소하였다. 무산소조에서 담체에 부착된 미생물은 약 73.4 mg/cm2로 존재하였으며, FISH분석 결과 탈질 미생물인 Pseudomonas aeruginosa 존재 (약 58%)를 확인하였다. The effect of recycling ratio and fixed media on nitrate and phosphate removal was investigated in a pilot-scale wastewater treatment unit using synthetic wastewater. Addition of fixed media increased nitrate removal from 45 to 58% while no noticeable change was observed for Chemical Oxygen Demand (COD) and phosphate removal (<5%). Nitrate removal efficiency also enhanced (Ca 7%) when the influent wastewater flow was doubled (2Q), however phosphate removal was decreased from 40.9 to 26.6% with the increasing recycling rate. The attached biomass analysis showed the presence of bacteria (73.4 mg/cm2) on the surface of added media in anoxic reactor. Pseudomonas aeruginosa a common denitrifying bacterium dominated the bacterial growth (58%) in the anoxic reactor which was determined using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FISH) analysis.

      • KCI등재

        원자력발전소의 계속운전에 관한 법적쟁점

        황재훈(Jaehun HWANG) 한국법학원 2020 저스티스 Vol.- No.179

        2017년 6월, 대한민국 첫 번째 상업용 원자력발전소 고리1호기의 영구정지가 선포됐다. 문재인 대통령은 원자력발전소의 안전을 우려하며 탈원전 정책을 발표했고, 이에 따르면, 향후 원자력발전소의 신규 건설이 배제될 뿐 아니라 계속운전도 허용되지 않는다. 반대로 야당은 원자력발전산업을 계속해서 지지한다. 이에 원자력발전의 미래, 특히 그 중에서도 계속운전 여부는 매우 불확실하고, 이는 산업계에 혼란을 불러오고 있으므로 다음의 쟁점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첫째, ‘계속운전’이 과연 정부의 결정만으로 포기될 수 있는가? 다른 국가의 사례를 살펴보면, 정책적인 이유로 ‘계속운전’이 중단될 수 있음에는 의문이 없다. 다만 이 정책은 적어도 ‘법률’의 형식으로 이뤄져야, 영업의 자유라는 사업자의 기본권을 제한할 수 있다. 둘째, 원자력안전법 시행령 제36조 제4항이 예정하는 계속운전을 위한 평가보고서 제출기간의 성격이다. 동항에 따르면, 설계수명 만료 후에 계속운전을 하고자 하는 원자력사업자는 설계수명기간 만료일이 되기 5년 전부터 2년 전까지 기간 내에 평가보고서를 제출해야 한다. 셋째, ‘계속운전’이 발전용원자로의 영구정지 이 후에도 가능한지 의문이 있다. 프랑스의 환경법전은 원자로의 영구정지 이후에는 운전으로의 복귀가 불가함을 법률이 규정하고 있다. 원자력안전법상 운영허가는 그 기간의 정함이 없음에도, 기간이 정해진 운영허가를 갱신하는 미국의 실무를 바탕으로 한다. 그러면서도 미국이 수용을 거부하고, 프랑스를 중심으로 사용되는 주기적 안전성평가라는 규제방식을 장기운전과 연계하고 있다. 이는 우리 입법자가 단순히 외국법의 규제를 계수하지 아니하고, 사회적 수용성 등을 고려하여 독자적인 제도를 구상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추가적인 규제연구의 미비로 인해, 원자력안전법은 불필요한 논란을 초래하고 있다. The permanent shutdown of Gori 1, Korea’s first commercial nuclear reactor, was approved by the Nuclear Safety and Security Commission in early June of 2017. Several days after, President Moon announced his plans for the phase-out policy due to its safety concerns. There would be no longer new nuclear power reactors and the operating periods of existing units would not be extended beyond its original design plant life. As the two political parties have different opinion on the future of NPPs including continuous operation, the industry players have similar anxieties. In regards to this, there are certain issues that need to be reviewed. First, it should be clarified that whether the phase-out policy can be decided by the government. The government has authority to plan energy policy for common goods, however, in order to restrict basic natural right such as freedom of occupation, there should be the enactment of legislation procedure in advance. Second, the meaning of ‘continuous operation application period’ scheduled by Article 36, Paragraph (4)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Nuclear Safety Act is uncertain. According to this decree, an applicant shall submit the continuous operation application at latest two years before the expiration date of design plant life, however, this is merely a technical schedule to guarantee a sufficient time to review application documents. Third, the question arises whether ‘continuous operation’ is possible even after the reactor is permanently shut-down. According to French environmental law, it is not permissible to return to operation state after the permanent shut-down. Under the Nuclear Safety Act, there is no fixed period for operating permits. However, the permits are based on U.S. practice which does have fixed period with renewal. In addition to this, the current legislation adopts Regulatory Method of Periodical Safety Assessment that links with long-term operation, which is based on French legislation. This means that the legislators did not simply introduce or combined the regulation of foreign law, but designed independent legislation in consideration of social acceptability. Nevertheless, as independent legislation has not been enacted on the basis of full consideration especially on limitation of permits, the Nuclear Safety Act causes unnecessary debates.

      • KCI등재

        확률ㆍ통계적 건설 프로젝트 파이낸싱 분석 시스템

        황재훈(Hwang Jae-Hoon),임태경(Lim Tae-Kyung),이동은(Lee Dong-Eun) 대한건축학회 2009 大韓建築學會論文集 : 構造系 Vol.25 No.11

        This paper presents an automated tool called Stochastic Project Financing Analysis(SPFA) system which integrates both cash-flow analysis and simulation-based scheduling methods. SPFA automatically integrates CPM schedule data exported from P3 into it, computes the best fit Probability Distribution Functions (PDFs) of historical activity duration data, defines activity durations using the PDFs identified, simulates the schedule network, and computes deterministic and stochastic project cash-flows, plots the corresponding cash-flow diagrams and estimates the best fit PDFs of maximum overdraft and net profit of a project. It improves the reliability of project cash-flow analysis by effectively dealing with the randomness and/or uncertainties of the activity durations and costs rather than existing deterministic systems do. It increases the usability of the schedule data obtained from commercial CPM softwares, facilitates user to incorporate the contract terms involved with payment options, and effectively handles the variability of the maximum overdrafts and net profits by finding the best fit PDF of them. It is implemented as an easy-to-use computerized tool programmed in MATLAB. SPFA can make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field of quantitative analysis relative to project financing, because (1) it analyzes the effect of different distributions of activity durations and cost on the distribution of the maximum overdrafts and net profits, (2) the reliability obtained by the system is higher than deterministic cash-flow analysis system, (3) it simplifies the tedious and burdensome process involved in finding the PDFs of the many activity durations and cost, and (4) it is a welcome replacement for the deterministic assumptions used by existing project financing researchers and generates more accurate results. SPFA allows project manager to estimate the extent of cash-flow unbalance in a specific period by using both deterministic and stochastic analysis modes. Case studies verifies the usability and validity of the system in prac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