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수종의 생약이 Bovine Adrenal Tyrosine Hydroxylase 및 Dopamine ${\beta}-Hydroxyl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 (II)

        황윤정,이승호,김학성,이경순,노재섭,이명구,Hwang, Yoon-Jeong,Lee, Seung-Ho,Kim, Hack-Seang,Lee, Kyong-Soon,Ro, Jai-Seup,Lee, Myung-Koo 한국생약학회 1994 생약학회지 Vol.25 No.2

        MeOH extracts of sixteen herbal drugs were tested for the effects on bovine adrenal tyrosine hydroxylase and dopamine ${\beta}-hydroxylase$. The MeOH extracts of Paeoniae Radix and Pinelliae Tuber showed 65% inhibition on the tyrosine hydroxylase activity at the concentration of 100 $\mu$g in the enzyme reaction mixture. Those of Paeoniae Radix, Pinelliae Tuber and Evodiae Fructus showed 87, 84 and 62%, respectively, on the dopamine ${\beta}-hydroxylase$ activity.

      • KCI등재

        악교정수술 및 교정치료를 위한 개별화된 이상적인 교합평면에 관한 연구

        황윤정,양상덕,최진영,Hwang, Yun-Jung,Yang, Sang-Duck,Choi, Jin-Young Korean Association of Maxillofacial Plastic and Re 2009 Maxillofacial Plastic Reconstructive Surgery Vol.31 No.2

        Introduction: To correct abnormal occlusal plane by orthognathic surgery, we need to have clear criteria for therapeutic occlusal plane. Authors introduced the concept of individualized ideal occlusal plane(Y-plane), which is determined by the size and form of the mandible, and the ideal incisor tip considering upper and lower lip. Authors studied the following to verify if the actual occlusal plane of the patients with optimal jaw relationship corresponds with the individualized ideal occlusal plane. Patients: We reviewed 44 patients who have normal occlusion visitied in the Dept. of orthodontics, Pundang CHA hospital. Methods: We evaluated if there are agreement between individualized ideal occlusal plane(Y plane) and occlusal plane of actual patients. And we confirmed if tested group has a normal face by measuring FABA, FMA, AB-LOP.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FABA, FMA, AB-LOP, Mo-Y plane between male and female. FABA, FMA and AB-LOP were included in the normal value. Average distance of Mo-Y plane was $0.75{\pm}0.78mm$. Conclusion: Individualized ideal occlusal plane may be applied to orthognathic surgery.

      • KCI등재

        설화를 통한 장소 경험의 융합교육적 의의 -청주 지역 전승의 <지네 장터> 설화를 중심으로

        황윤정 ( Hwang Yun-jeong ),서명희 ( Seo Myug-hee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7 고전문학과 교육 Vol.34 No.-

        융합교육은 이질적인 영역의 교과들이 각자의 시각과 내용을 바탕으로 공통의 교육 내용을 마련하고 협력적으로 다룸으로써 교육적 효율성을 획득하고 세계를 총체적으로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을 획득하게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목적의 실현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공통의 교육 내용 마련이 시급한 과제임을 지적하고 문학과 지리학의 공통 교육 내용으로서 ‘장소 경험’을 제안하였다. 공통 교육 내용으로서의 ‘장소 경험’은 ‘구체적인 공간’ 제시나, ‘인간의 세계와의 첨예한 대결’, ‘지명 유래’의 전승이라는 지역 전설 특유의 장르적 속성이 매개가 되어 한 장소에 대한 입체적인 경험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장소를 구성하는 ‘물리적 조건’, ‘인간의 활동’, ‘부여된 의미’가 매개가 되어 설화에 대한 경험적 이해를 가능하게 한다. ‘장소경험’이라는 공통의 영역은 기존의 지리 교과에서 정보의 단순한 제공으로 흐를 수 있는 학습 내용에 문학적 맥락을 부여함으로써 학습자의 장소에 대한 입체적인 이해를 기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기존의 문학 교과에서 추상적으로 흐를 수 있는 학습 내용에 실재적이고 구체적인 대상을 제공 함으로써 학습자의 경험적 이해를 신장시킬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논의를 통해 융합교육은 공통 교육 내용을 통해 교육적 효율을 달성하고 새로운 사고의 형성을 가능하게 한다는 교육적 의의를 확인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fusion education is to acquire educational contents efficiently and gain a new worldview. To realize this purpose, I point out that it is urgent to provide common educational content and suggest “place experience” as common content for literature and geography. Local legends present a concrete space and a sharp confrontation with the human world, while shaping the tradition of a place’s name. Place experience as common educational content enables a three-dimensional experience of a place that utili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local legends. The physical condition, human activity, and implied meaning of a place mediate the student’s empirical understanding of folktales. The common area of “place experience” allows us to expect a stereotypical understanding of a learner’s place by providing a literary context to learning contents that can flow from the existing geography subject to the simple provision of information. In addition, it facilitates learners’ empirical understanding by providing actual and specific objects to learning contents, which can flow abstractly in the existing literature subject. Through this discussion, convergence education demonstrates educational significance by achieving educational efficiency through common educational content and enabling the formation of new thinking.

      • KCI등재

        건강보험의 치석제거 급여 범위 확대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황윤정 ( Youn Jung Hwang ),조영식 ( Young Sik Cho ),이수영 ( Su Young Lee ) 한국치위생과학회 2015 치위생과학회지 Vol.15 No.5

        본 연구에서는 건강보험의 치석제거 급여범위 확대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에 대해 알아보고자 2014년 4월 1일부터 30일까지 한 달간 일부지역 만 20세 이상 성인 608명을 설문조사하여,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연구대상자는 건강보험 급여범위 확대 후 치석제거 인지여부 비교에서는 ‘알고 있다’라는 집단이 76.9%로 높게 나타났으며, 학력과 월수입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치석제거 시술에 대한 만족도, 재이용, 권유의사에서는 학력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석제거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대졸 미만과 치과위생사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방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타인에게 권유나 검색으로 내원하였을 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권유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대졸 미만과 타인에게 권유를 받았거나 검색으로 내원하였을 때, 그리고 치과위생사가 치석제거를 시행하였을 때와 치석제거 전 구강보건교육을 시행하였을 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치과위생사가 치석제거 전에 구강보건교육을 실시함으로써 환자의 만족도와 권유의사가 높았던 것으로 보아 치과위생사는 술식 전에 미리 환자와의 유대관계 형성을 통해 심리적 안정감을 줄 수 있도록 해야할 것이며, 또한 치과위생사의 고유 업무인 치석제거의 질적 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고, 추후 치석제거 만족도 향상을 위한 요구도를 파악하고 관련 요인을 검증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associated with medical care utilization, the level of recognition, satisfaction, revisit and recommendation after implementing the expanded health insurance coverage of dental scaling.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nd analyzed among 608 adult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do April 1st to 30th, 2014.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76.9% of the respondents know the expanded health insurance coverage, which is influenced by educational background and monthly income. The level of satisfaction, revisit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is affected meaningfully by educational background. Two factors, high school graduate or less and dental hygienist, meaningfully affect patients’ satisfaction with scaling, and recommendation from others and Internet searching contribute to revisit. High school graduate or less is also one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of recommendation, along with recommendation from others, Internet searching, scaling by a dental hygienist, and oral hygiene education before scaling. Summing up the results, patient’s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commend are high when dental hygienists provide oral hygiene instruction prior to scaling. This study suggests that dental hygienists help patients feel comfortable before treatment by building rapport with them. In addition, it is required that consistent efforts for quality improvement in scaling be sustained, that the patient’s needs be identified to increase their satisfaction with scaling, and that studies to verify relevant factors be conducted.

      • 지역사회노인의 인지기능수준 비교

        황윤정(Yun Jung Hwang),김선희(Sun Hee Kim),신은영(Eunyoung Shin),김선희(Sun Hee Kim),정원미(Won Mee Jeong) 한국인지운동치료협회 2013 한국신경인지재활치료학회지 Vol.5 No.1

        본 연구는 용인시 지역사회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성별, 연령, 교육수준)에 따른MMSE-DS의 점수를 알아보고, 지역사회노인의 치매예방을 위한 ‘인지기능향상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2011년 7윌 25일부터 8윌 9일까지 경기도 용인시 K구 거주하는 노인들 중 조사에 참여한 12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MMSE-DS는 MMSE의 한계점을 개선하고 한국노인의 인구학적 특성이 반영되어 있으면서 동시에 치매진단 정확도가 우수한 인지기능 평가 도구이다. 결과: 본 연구의 전체대상자 126명 중 남자가 26.99%(34명), 여자가 73.01 %(92명)으로 여자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비교에서는 대체적으로 남자보다는 여자의 점수가 낮았으며, 연령이 높을수록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점수가 낮았다. 성별의 경우 전반적으로 여자가 남자보다 낮은 점수를 보였지만, 교육수준에 따른 남자와 여자 사이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령의 경우 연령이 증가할수록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인지기능검사성적이 낮아졌다. 결론: 인구사회학적 특성(성별, 연령, 교육수준)은 지역사회 노인들의 인지기능수준(MMSE-DS)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인지기능 저하에 따른 치매 예방이 중요하며, 시공간 구성능력과 같은 인지과제들이 포함된 ‘인지기능 향상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aimed at identifying MMSE-DS scores in line with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age, education) of senior citizens residing in Yongin City`s local community. This study is also intended to explain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 ``Cognitive Function enhance--ment Program`` to prevent the dementia of local senior citizens. Methods: The study subjects are 126 senior citizens residing in K-gu, Yongin City in Gyeonggi-do. The research was conducted from July 25 to August 9 in 2011. MMSE-DS is a cognitive function assessment tool that solves the limitations of MMSE, reflects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Korean senior citizens, and has a high accuracy of diagnosing dementia. Results: Among the 126 participants, the ratio of women was much higher at 73.01 % (92 people) than that of men at 26.99% (34). In a comparison in line with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scores of women were generally lower than those of men. The scores were lower among older and less-educated individuals. However, there was no big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depending on their education, despite the difference depending on gender. In terms of age, the cognitive function assessment scores were significantly lower among older individuals. Conclusio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x, age, and education) have proved to exercis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level of cognitive function with the elderly in the local community.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prevent dementia caused by lowered cognitive function,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cognitive function development`` that includes cognitive tasks like visuoconstruc-tional function. (J Korean Society of Neurocognitive Rehabilitation 2013;5:9-17)

      • 에너지 하베스팅 인공 광합성

        황윤정 ( Yun Jeong Hwang ),민병권 ( Byoung Koun Min ),정광덕 ( Kwang Deog Jung ) 한국공업화학회 2013 공업화학전망 Vol.16 No.4

        인공광합성은 에너지 및 화학자원을 물과 이산화탄소로부터 생산하는 순환형 에너지?화학자원 생산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아직은 기초수준단계의 기술이나 선진국에서는 막대한 연구비를 투자하는 미래의 신성장동력원이될 수 있는 기술로 기대되고 있다. 이 분야는 유기화학, 무기화학, 물리화학, 전기화학, 생화학, 바이오공학, 재료공학, 화학공학등 다양한 분야를 포괄하는 기술이다. 여기서는 전지시스템 및 입자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인공광합성기술의 최근 동향을 소개하였다.

      • KCI등재후보

        정보 활용 능력 함양을 위한 소프트 지식 기반 사회과 교재의 개발과 적용

        황윤정(Hwang Yoon Jeong),박기범(Park Kee Burm) 한국사회과수업학회 2020 사회과수업연구 Vol.8 No.2

        디지털 시대에 지식의 생성, 유통, 소멸의 주기는 단축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를 살아가는 학습자들에게 필요한 능력은 지식을 기억하는 능력이 아니라 지식․정보를 연결하는 능력이다. 소프트 지식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학습은 끊임없이 정보를 연결하여 지식을 조직․확장․활용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소프트 지식 관련 학습이론을 탐구하여 소프트 지식 기반 사회과 교재를 개발․적용함으로써 학습자의 정보 활용 능력을 함양시키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소프트 지식 관련 학습이론인 커넥티비즘(connectivism)과 인지적 융통성 이론(cognitive flexibility theory)을 탐색하여 교재 구성 전략을 수립하고 교재를 개발하였다. 교재 적용 결과, 다음과 같이 유의미한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소프트 지식 기반 사회과 교재의 적용을 통해 학습자의 정보 생산 능력의 하위 요소 중 ‘대안 탐색하기’ 능력이 향상되었다. 공유와 연결의 확장을 통해 학습자는 다양한 대안을 탐색하는 모습을 보였다. 둘째, 연구 대상자 중 학업 성취도가 높은 일부 학생들에게서 정보를 면밀히 정리․해석하고, 연결하여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과업을 완수하기 위한 실행력에 효과적으로 작용했다. 동일한 과제에 대해 비교반은 중단한 경우가 비교적 많았으나 연구반은 모두 과제를 완성하였다. 본 연구는 소프트 지식의 관점에서 사회과 교재를 개발하고 실제 수업에 적용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the learning theory of Soft Knowledge and apply the findings in creating a Social Studies textbook, that will nurture information literacy to learners To do so, the researcher has conducted thorough studies on the ‘connectivism’ and ‘cognitive flexibility theory’, both of which are deeply related to ‘soft knowledge’. Afterwards, the researcher created a structure plan to create a Social Studies textbook based on the findings, and conclusively developed a textbook. The research was concluded as significant through the findings from the classes conducted to increase information literacy. Firstly, through classes taught with the Social Studies textbook based on ‘Soft knowledge’, learner abilities to ‘search for solutions’ (a subelement of information literacy) increased. Secondly, among the studied learners, it was observed that those with high levels of education were able to organize and interpret information in great detail, and make connections to create specific plans. Thirdly, it has increased abilities to make efficient executions to finish classwork. Through a comparative experiment done with another class assigned with the same classwork, it has been observed that while many learners in the comparative class gave up midway, all learners in the studied class finished the assignment. The thesis shows significance in that a textbook based on the theory was developed, and was used as material in an actual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 KCI등재

        예술의 창의적 사고에 기반 한 그래픽 디자인의 창작과정 연구

        황윤정(Hwang, Youn-jung)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8 조형디자인연구 Vol.21 No.4

        20세기 후반에 이르러 디자인은 예술분야와 융합하며 새로운 디자인 담론을 형성하기 시작했다. 디자이너는 작가주의를 표방하며 제품을 넘어서 디자인과 순수미술 사이에 있던 구분을 통합시켰으며 효율적인 제품을 만드는 역할에서 벗어나 개념과 과정까지도 디자인에 포함시키며 디자이너의 새로운 역할을 제안했다. 그리고 20세기 후반 포스트모더니즘이 그래픽디자인에 영향을 끼치며 그래픽디자인 역시 예술과 결합하기 시작했다. 그래픽 디자이너는 ‘저자성’ 개념을 기반으로 상업적 기능에서 벗어나 스스로의 자의식을 표현하였고 예술과 디자인을 구분 지으려는 시도를 거부하며 기존의 전통적인 디자인 개념에 의문을 제기했다. 이러한 표현주의적 경향은 디자이너의 영역을 확장시키고 디자인 담론을 형성한다는 점에서 유의미하다. 그러나 현재 그래픽디자인의 예술적 표현에 대한 연구는 디자이너 개별연구와 해석에 대한 연구만 진행되어 있을 뿐, 예술적 표현의 구체적 과정이나 체계적 방법에 대한 연구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현대 디자이너들이 디자인의 예술적 표현을 시도하는데 있어 한계를 지닌다. 이에 연구자는 예술분야에서 연구한 창작과정이론을 통해 표현적 디자인의 창작과정을 구체적으로 수립하고 향후 디자인작업을 행할 때 중요한 이론적 전거로 활용하고자 한다. By the end of the 20th century, designs began to converge with art and form new design discourse. Designers under the pretext of writerism combined distinctions between design and pure art, and suggested the role of a new designer by incorporating concepts, systems, and processes into the design, away from creating efficient products. And postmodernism influenced graphic design in the late 20th century and graphic design began to combine with art. Graphic designers expressed their self-consciousness away from commercial functions based on the concept of autonomy , and questioned the traditional design concept, refusing to attempt to distinguish art from design. This tendency toward expressionism in graphic design is very significant in that it expands the domain of designers and forms new design discourse. Currently, however, there is no study on specific processes or systematic methods of artistic expression, with only designer individual studies and analytical possibilities being conducted. Therefore, modern designers have limitations in trying to express the art of design. Therefore, researchers want to establish a concrete process for creating expressive designs through creative process theory that has been studied in the art field and use it as an important theoretical precursor for conducting design tasks in the future.

      • KCI등재

        유아교육관련 질적연구 동향분석:

        황윤정(Hwang Yun-jung),김정희(Kim Jeong-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국내 유아교육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질적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유아교육분야의 질적연구에서 보다 심도 있고 깊이 있는 연구의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 2012년도부터 2016년도까지 유아교 육관련분야에서 KCI등재지 43개의 학술지에 게재된 질적연구 논문 289편의 논문을 연도별, 학술지별, 연구주제 및 세부주제, 자료수집방법, 연구대상, 연구기간별 동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국내 유아교육관련분야 연구는 학술지별로의 경향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2012년 이후 꾸준한 증가추이를 나타냈다. 둘째, 연구 주제는 ‘교사’,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에 치중된 경향을 보인다. 셋째, 자료수집방법에 따른 분석결과는 상호작용적인 방법이 비상호적인 방법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넷째, 연구대상은 최근 5년간 꾸준하게 ‘유아’, ‘교사’가 많았으며 해마다 연구대상의 양상이 다르게 나타났다. 다섯째, 연구기간별 분석결과는 6개월 이하의 질적연구 논문이 88.4% 로 많은 연구가 이 기간 동안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이러한결과를 토대로 유아교육관련 분야에서 질적 연구의 다양한 연구방법과 연구의 향후 과제와 방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in presenting basic materials to improve in-depth qualitative research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analyzing its current trend in Korea. For this, the trend of 289 qualitative theses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which were registered in 43 KCI academic journals from 2012 to 2016, were analyzed by year, academic journal, research topic and detailed themes, data collection method, research subject and research perio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conducted in Korea showed no difference by academic journal, and has continuously increased since 2012. Second, most research was focused on ‘teachers’ and ‘curricula and programs.’ Third, the analysis according to data collection methods revealed that interactive methods were relatively more than non-interactive methods. Fourth, research topics for the recent 5 years were consistent: ‘children’ and ‘teachers.’ The pattern of research topics was different every year. Fifth, the analysis according to research period showed that qualitative research papers less than 6 months accounted for 88.4%; most research had conducted for the period. Based on the results, this research discussed various research methods and future subjects and directions of qualitative studies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 KCI등재

        <구운몽도(九雲夢圖)>와 융합 교육의 지향

        황윤정 ( Hwang Yun-jeong ),김종철 ( Kim Jong-cheol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5 고전문학과 교육 Vol.29 No.-

        현재 논의되는 융합 교육의 지향에 섬세한 시각을 더하여야 할 필요성을 말하고, 이를 위해 이질적 영역이 융합된 고전의 사례에서 융합 교육의 올바른 지향점을 얻고자 하였다. 살펴본 결과, <구운몽도>는 소설의 내용과 민화의 쓰임을 접목하여, 소설의 삶에 대한 성찰, 시간과 공간, 관념적인 형상들을 민화의 표현 문법에 맞추어 좀 더 보기 좋게, 좀 더 한 눈에, 좀 더 개성 있게 표현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융합은 소설과 민화 각각의 내용과 특성을 침해하지 않으면서, 각 장르의 고유성을 오히려 부각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하나의 예술을 항상적으로 즐기기 위해 새로운 향유 방식을 만들었다는 것에서 영역 개척의 창의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융합 교육의 지향이 시간 단축의 효율이 아닌, 각 영역의 고유성에 대한 깊이 있는 학습이라는 교육적 효율로 이어져야 함을, 또한 문제해결적 창의력의 신장에 국한되기보다는 융합의 가장 적절한 영역들을 능동적으로 발견하고 새로운 융합의 결과를 만들어내는 개척의 창의성으로 이어져야 한다는 시사를 얻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necessity to add more elaborated perspective to the pursuit of convergent education presently being discussed and also find out its legitimate directing point grounded on classic cases in which heterogeneous areas were combined. According to the findings, < Guunmongdo > combined the contents of the novel and the use of the folk painting so as to show the deliberation on life in the novel, time and space, and ideational imaginations more easily, readily, and personality according to the expressive grammar of the folk painting. This kind of convergence does not interfere with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either the novel or the folk painting but rather highlights each of the genres’ uniqueness further. Moreover, in the point that it has created a new way of enjoyment to enjoy an art constantly, it has been possible to see the creativity of its exploitation of areas. This implies that it is needed that the pursuit of convergent education should be not the efficiency of time saving but the educational efficiency of profound learning on the uniqueness of each area and also it should not be limited to increasing problem-solving creativity merely but lead to the creativity of exploitation to discover the most appropriate areas of convergence actively and produce the new outcome of converg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