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독신보」의 폐간 과정(1933~1937)

        황우선 한국기독교역사학회 2012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37 No.-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find out a desirable direction for the management of Christian Journalism through the study of the Christian Messenger's process of discontinuing its publication. With the cooperation of Presbyterian and Methodist churches, the Christian Messenger was first published in 1915, the early days of Japanese Colonial Era which was often described as the dark ages of Korean journalism. However, it had to cease its publications after the last publication in July 28th, 1937. During this time, The Christian Messenger was the one and only newspaper except for the official newspapers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Since it had been published in Korean language, it had played a huge role in delivering news to the overseas Koreans as well. The Christian Messenger found to be valuable as it was the only newspaper that had survived as a Korean Journalism until a Korean journal appeared in 1920 when the Japanese Government changed its policy toward cultural governance of colonialism on Korea. As a vehicle for the cooperation of Korean Churches, the Christian Messenger made a contribution to maintain journalism for Koreans. However, it became a victim of conflicts over the hegemony among the Korean churches. Discontinuation of the Christian Messenger, a big loss for the Korean society, left much for to be desired; however, it has a lot of significance since we can learn lessons in finding a way for desirable cooperation among the churches through the Christian Messenger's discontinuation process. More thorough examination on the discontinuation process of the Christian Messenger is needed to reflect lessons from the past as the advent and preparation of desirable Christian journalism required for the current Korean society and churches. A Christian journal publication by the cooperative Korean churches appears to be timely. The discontinuation process of the Christian Messenger shows the exactly same contradiction and dispute that today's Korean churches must solve. People had many expectations for the first Korean CEO Jeon Pil Soon; however, he took the Christian Messenger's traditional and democratic management system and changed it to a one man's do-it-all system where the CEO's opinion is most valued. Moreover, by claiming the ownership of the Christian Messenger, a conflict with the Christian Literature Society of Korea had increasingly grown so large in leading to an end of its publication. The tradition of the Christian Messenger management was for the missionaries and Koreans to divide the duties of the publisher, editor, editor in chief, CEO etc. and cooperate in a democratic way. After the appearance of the first Korean CEO however, the CEO himself held additional positions as publisher and editor. In a short time, he also became the chief editor. A democratic team management style had become one person's individual management. Due to one person having so much power, the Christian Messenger had to move out of the Christian Literature Society of Korea building. One Western missionary cannot claim ownership of the Christian Messenger just because he is the issuer. This applies to everyone including Jeon Pil Soon. Through the discontinuation process of the Christian Messenger, we can learn that the cooperative churches newspaper could not play its role when an individual or one group solely took the lead.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a success of a Korean Christian journal in the future may be dependent on democratic management style, where everyone can participate in. 이 논문의 목적은「기독신보」의 폐간과정 연구를 통해 한국교회연합 차원의 바람직한 기독교 저널리즘의 운영 방향을 찾기 위한 것이다.「기독신보」는 한국언론의 암흑기로 표현되는 일제강점 초기인 1915년 초창기 한국교회의 장․감 교파연합 신문으로 창간되었으나, 1937년 7월 28일 사령 1129호를 마지막으로 발간한 후 휴간을 거쳐 폐간되고 말았다.「기독신보」는 조선총독부의 기관지를 제외한 유일의 신문이었고, 특히 한글로 제작되어 국내는 물론 해외 동포들에게까지 뉴스를 전하는 언론의 역할을 해냈다. 1920년 일제의 식민지 정책이 기존의 무단정치에서 문화정치로 전환하면서 한글신문이 등장하기 이전에는 한국언론의 명맥을 유지한 유일의 신문으로서 가치가 크다. 이처럼 일제강점기에「기독신보」가 한국교회 연합의 매개체로서, 한국인을 위한 언론으로서 공헌을 해냈지만, 한국교회 내 헤게모니 싸움의 한복판에서 희생양이 되고 말았다.「기독신보」의 폐간은 한국교회는 물론 한국사회에 커다란 손실로 지적될 만큼 아쉬운 점이 많이 있지만, 바람직한 교회연합 사업의 방향을 찾기 위한 역사적 교훈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이 신문의 폐간 과정을 살펴보는 의의가 있다 하겠다. 특히 한국교회연합 신문의 필요성이 절실한 오늘날 한국사회와 한국교회를 위해 요구되는 바람직한 기독교 저널리즘의 출현과 준비를 위해서도「기독신보」의 폐간 과정의 역사적 교훈을 반추하는 연구와 작업이 필요한 것이다. 「기독신보」의 폐간 과정은 오늘날에도 동일하게 한국교회가 해결해야할 모순을 그대로 보여준 사건이었다. 최초의 한국인사장으로서 많은 기대를 한 몸에 받으며 사장에 취임한 전필순은「기독신보」가 이어온 민주적 경영방식의 전통을 사장 1인 중심체제로 전환하고,「기독신보」의 소유권을 주장 및 행사함으로써, 조선예수교서회와의 돌이킬 수 없는 갈등 상황이 전개되었고, 폐간의 파국으로 끝났던 것이다.「기독신보」의 전통은 한국인과 선교사가 발행인ㆍ편집인ㆍ사장ㆍ주필(주간) 등의 직책을 협력형태로 나누어 맡아 민주적으로 경영해온 것인데, 한국인사장이 등장하자마자 발행인, 편집인을 겸직한데다 곧이어 편집국장까지 겸무하는 CEO의 단독경영으로 돌아선 것이다. 경영권이 한 사람에게 집중됨으로써 조선예수교서회 건물에서「기독신보」짐을 꾸려 이사 가는 행위까지 벌어질 수 있었던 것이다.「기독신보」의 발행인이 서양선교사라고 해서 서양선교사 개인의 소유가 아니었던 것처럼, 전필순이 발행인이 되었다고 해서 그의 개인신문이 될 수는 없는 것이었다. 「기독신보」의 폐간 과정에서 볼 수 있듯이, 어느 개인이나 집단의 주장이나 주도로서는 교회연합 신문이 본연의 역할을 할 수 없으며, 한국교회가 민주적으로 함께 참여하여 운영하는 것만이 성공을 위한 최상의 방법이라 하겠다.

      • KCI등재

        미디어 리터러시의 본질과 방향성 탐구 미국 개신교의 한글 활동을 중심으로

        황우선 ( Wooseon Hwang ),김성해 ( Sunghae Kim )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0 社會科學論集 Vol.51 No.2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정부, 학계, 언론계, 문화계, 정보통신업계 등 참여자는 많고, 정보, 인터넷, 영화, 게임, 뉴스 등으로 주제도 다양하다. 디지털 혁명이 진행되는 가운데 가짜뉴스, 사이버명예훼손, 인공지능에 의한 허위정보 등의 부작용도 늘었다. 리터러시 관련 연구는 이런 상황에 맞춰 꾸준히 증가해 왔다. 그러나 미디어 리터러시의 본질과 방향성에 대한 논의는 충분하지 않다. 국내 리터러시의 기본이 되는 한글 대중화 과정을 리터러시 관점에서 접근한 연구도 드물다. 본 연구는 이에 1885년 처음 한반도에 온 미국 개신교 선교사들이 추진했던 한글의 확산 과정을 복원하고자 했다. 인류 최초로 민주공화국을 세운 미국은 왜 조선에 관심을 가졌을까? 복음을 위한 수단으로 그들이 한글에 주목한 이유는 무엇일까? 당시만 해도 천대받던 한글이 국어의 지위를 획득하는 과정에서 그들이 동원한 전략으로는 어떤 게 있을까? 그들의 한글 활동에 대한 조선 사대부의 평가는 어떠했을까? 기독교 중심의 한글 운동이 그 이후 민족해방운동으로 연결된 배경은 무엇인가? 연구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 주제다. 미디어 리터러시의 필연성이 사회적 공감대를 얻는 현 상황에서 한글 리터러시에 관한 연구는 좋은 역사적 참고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Media literacy is one of the top public agenda not only in government agencies, non-government organizations, but in academic communities. Such unprecedented factors as the evolution of media ecosystem, cyber harassment, dissemination of fake news, and awareness of human rights have all contributed to attracting public attention. Following research about media and news literacy has a lot to do with this kind of development. Nonetheless, there exists few studies which look into the movement of Hangul led by American Protestant missionaries who used Hangul for their missionary work by translating the Bible, studying Hangul linguistically, issuing Hangul newspapers and publishing Hangul books and dictionary. Those questions as why they had initiated it, for what purposes, how, and in which contexts remain unvisited territory as a matter of fact. This paper thus attempts to investigate their stories while identifying participants, activities, and effects. We hope that research outcomes will be helpful to clarify the principles and directions of media literacy crippled by relatively short time of presence.

      • KCI등재

        헐버트(H. B. Hulbert)의 한글 커뮤니케이션 활동 : 최초의 조선어 연구와 글로벌 퍼블리싱 New York Tribune 기고

        황우선 ( Wooseon Hwang )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0 社會科學論集 Vol.51 No.1

        세종대왕의 한글 창제 이후 최초로 한글을 언어학적으로 연구한 이도, 한글의 언어학적 우수성과 개념화된 가치를 국제사회에 처음으로 알려준 이도 헐버트이다. 헐버트는 1886년 7월 1차 내한 시 육영공원 교사로, 1893년 2차 내한 시 미국 감리회 선교사로 조선에 왔다. 그는 한글을 접한 지 4일 만에 한글을 읽고 썼으며, 1주일 만에 조선인들이 위대한 문자 한글을 무시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헐버트는 내한 3년 만인 1889년 최초로 한글을 언어학적으로 연구하여 “THE KOREAN LANGUAGE”라는 제목의 기고문을 당시 미국 유력 일간신문 「뉴욕트리뷴」에 기고하였다. 헐버트는 1889년 6월 9일 어머니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조선어에 관한 글을 기고하기 위해 편지에 동봉하여 보낼 것이라고 밝혔고, 그 무렵 「뉴욕트리뷴」에 고종 관련기사를 서울 특파원 자격으로 보도한 것을 통해 헐버트가 이 신문에 기고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뉴욕트리뷴」기고문에서 한글과 조선어의 우수성을 간결하고 명확하게 설명하였다. 첫째, 한글은 완벽한 문자이고, 영어와 비슷한 구조를 지녔으며 영어보다 우수한 문자라고 평가했다. 모든 소리를 표기할 수 있어 완벽하고, 영어의 알파벳과 비슷하다는 것이다. 둘째, 한글은 영어보다 쉬운 문자라고 평가했다. 영어는 모음이 5개로 턱없이 부족하지만, 한글은 모음이 자음만큼 많아서 한글을 제대로 사용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이 영어 배우는 시간보다 더 적게 들 것이라고 분석했다. 셋째, 조선어는 구조적 아름다움과 단순성이 있다며, 같은 의미의 문장을 쓸 때 조선어는 영어보다 훨씬 적은 수의 단어를 사용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넷째, 불규칙 동사가 많은 프랑스어, 독일어, 히브리어와 비교할 때 불규칙 동사가 없는 조선어는 찬양받을 만한 언어라며 영어가 라틴어보다 앞서 있는 만큼 한글이 영어를 앞서 있다고 평가했다. 다섯째, 화법에서도 조선어는 영어보다 훨씬 간단하고, 높임말 표현도 쉽다고 설명했다. 헐버트는 200개가 넘는 다른 나라의 문자와 비교하여 한글의 우수성을 확인하였으며, 언어학적으로 한글의 가치를 개념화 하였다. 헐버트가 일제를 비판하며 조선의 독립운동을 펼친 것은 ‘조선인은 한글을 소유할 만큼 우수하고 자랑스러운 문화민족’이므로 독립국가의 국민으로서 마땅히 존중받아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오늘날 세계 여러 나라에서 한글 배우기 열풍에서 알 수 있듯이 이미 한글은 글로벌 문자로 인기를 얻고 있는데, 한글이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환경에 데뷔한 것은 조선말기 헐버트의 공헌이었다. 그가 한글의 우수성을 발견한 후 불굴의 한글 운동을 펼침으로써 조선의 한글을 미래가치로 승화시켰던 것이다. Homer B. Hulbert, an American who landed in Korea in July 1886 to be a teacher of the first state-run modern school in Korea, was intrigued by Hangeul(Korean alphabet), which was invented by King Sejong of Joseon dynasty in 1446, as soon as he began learning Korean language. He digested Hangeul in 4 days after the start of learning and realized that Koreans are ignoring this great alphabet in a week. Hulbert naturally began to research Hangeul linguistically and discovered the linguistic superiority of Hangeul for the first time in history, which labelled him the first scholar of Hangeul in modern linguistic manner. After in-depth study of Hangeul Hulbert wrote many articles on linguistic characteristics and historic background of Hangeul. His first superb accomplishment came in 1889 by writing an article titled “THE KOREAN LANGUAGE” to New York Tribune. This is the first appearance of Korean language(both written and spoken) in global publishing and international communication ecosystem. In the article, Hulbert cited Hangeul as a perfect alphabet, saying that Hangeul can spell all the sounds which is unique in the world. He opined that Hangeul, in many senses, is better than English which has only 5 vowels vs. Korean alphabet which has as many vowels as consonants. Hulbert concluded that Hangeul is the finest alphabet in the world after the comparison of it with 200 plus other alphabets over the globe. He also insisted that Korean language is superior to English, especially in terms of the structure and simplicity of the language. To prove it he reasoned that Korean language requires much less words than English in making a sentence. In addition, he said that Korean language scarcely has irregular verbs versus European languages which has uncountable numbers of irregular verbs. His conclusion is that Korean language is as much advanced as English is advanced to Latin. While fighting against Japan’s colonial attempt over Korea, Hulbert was certain that Korea must be respected as an independent nation given their ability to invent Hangul. Today Hangul is so popular to the extent that many diverse ethnics over the globe try to learn. Of course Hulbert should take credit for this popularity as he took the first step for Hangeul’s debut in global communication ecosystem 130 years ago in 1889.

      • KCI등재

        프레임 분석을 통해서 본 언론의 규범적 가치와 실제: 아프간 선교단체 피랍사건 보도에 나타난 편향성을 중심으로

        황우선 ( Woo Seon Hwang ),김성해 ( Sung Hae Kim )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5 社會科學論集 Vol.46 No.1

        Is the religion free from media biases characterized by fairness, balance and objectivity? If biased representation occurs in reporting those issues like religion, nation, race, gender and class, what kinds of harmful impacts come into being? Until now, though, there existed few studies which focus on religious report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earth the bias of the media reporting on the christianity exposed with kidnapped Afghanistan missionary group. The kidnapped group was selected as the case study given the largest scale of Korean missionary history. Also did relatively hostile and less accurate news about the story make it of valuable research. While acknowledging that media``s unfairness can be identified with frames consisted of a pack of logical statements, it has analyzed total 215 articles from various newspapers. Such frames as price of ministry, good intention, pragmatism, aggressive mission work, religious hostility, religious faith, financial gain, deviant behaviors and justifiable responsibility were employed for this purpose. It turns out that the media applied different frames in accordance with not only public opinion but their own political stance. While most of Korean media showed strong antipathy against the case, there found strong sympathy on Taleban militants accused of violating human rights. Surprisingly, the Korean media failed to correct false information in way of satisfying public mood. The media have a strong influence on collective memory, collective identity, system of norms and faith in community. Distorted reappearance by the media intensifies specific prejudice and makes negative public opinion. This study will be a valuable starting point to examine the desirable relationship between journalistic norms and public mood in time of crisis.

      • KCI등재

        「기독신보」의 폐간 과정(1933~1937)

        황우선(Hwang, Woo-Seon)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2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37 No.-

        이 논문의 목적은「기독신보」의 폐간과정 연구를 통해 한국교회연합 차원의 바람직한 기독교 저널리즘의 운영 방향을 찾기 위한 것이다.「기독신보」는 한국언론의 암흑기로 표현되는 일제강점 초기인 1915년 초창기 한국 교회의 장?감 교파연합 신문으로 창간되었으나, 1937년 7월 28일 사령 1129호를 마지막으로 발간한 후 휴간을 거쳐 폐간되고 말았다.「기독신보」는 조선총독부의 기관지를 제외한 유일의 신문이었고, 특히 한글로 제작되어 국내는 물론 해외 동포들에게까지 뉴스를 전하는 언론의 역할을 해냈다. 1920년 일제의 식민지 정책이 기존의 무단정치에서 문화정치로 전환하면서 한글신문이 등장하기 이전에는 한국언론의 명맥을 유지한 유일의 신문으로서 가치가 크다. 이처럼 일제강점기에「기독신보」가 한국교회 연합의 매개체로서, 한국인을 위한 언론으로서 공헌을 해냈지만, 한국교회 내 헤게모니 싸움의 한복판에서 희생양이 되고 말았다.「기독신보」의 폐간은 한국교회는 물론 한국사회에 커다란 손실로 지적될 만큼 아쉬운 점이 많이 있지만, 바람직한 교회연합 사업의 방향을 찾기 위한 역사적 교훈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이 신문의 폐간 과정을 살펴보는 의의가 있다 하겠다. 특히 한국교회연합 신문의 필요성이 절실한 오늘날 한국사회와 한국교회를 위해 요구되는 바람직한 기독교 저널리즘의 출현과 준비를 위해서도「기독신보」의 폐간 과정의 역사적 교훈을 반추하는 연구와 작업이 필요한 것이다. 「기독신보」의 폐간 과정은 오늘날에도 동일하게 한국교회가 해결해야할 모순을 그대로 보여준 사건이었다. 최초의 한국인사장으로서 많은 기대를 한몸에 받으며 사장에 취임한 전필순은「기독신보」가 이어온 민주적 경영방식의 전통을 사장 1인 중심체제로 전환하고,「기독신보」의 소유권을 주장 및 행사함으로써, 조선예수교서회와의 돌이킬 수 없는 갈등 상황이 전개되었고, 폐간의 파국으로 끝났던 것이다.「기독신보」의 전통은 한국인과 선교사가 발행인ㆍ편집인ㆍ사장ㆍ주필(주간) 등의 직책을 협력형태로 나누어 맡아 민주적으로 경영해온 것인데, 한국인사장이 등장하자마자 발행인, 편집인을 겸직한데다 곧이어 편집국장까지 겸무하는 CEO의 단독경영으로 돌아선 것이다. 경영권이 한 사람에게 집중됨으로써 조선예수교서회 건물에서「기독신보」짐을 꾸려 이사 가는 행위까지 벌어질 수 있었던 것이다.「기독신보」의 발행인이 서양선교사라고 해서 서양선교사 개인의 소유가 아니었던 것처럼, 전필순이 발행인이 되었다고 해서 그의 개인신문이 될 수는 없는 것이었다. 「기독신보」의 폐간 과정에서 볼 수 있듯이, 어느 개인이나 집단의 주장이나 주도로서는 교회연합 신문이 본연의 역할을 할 수 없으며, 한국교회가 민주적으로 함께 참여하여 운영하는 것만이 성공을 위한 최상의 방법이라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