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저온처리가 케일(Brassica oleracea)잎 내 Carotenoid에 미치는 영향

        황소정 ( So-jung Hwang ),천진혁 ( Jin-hyuk Chun ),김선주 ( Sun-ju Kim ) 한국환경농학회 2017 한국환경농학회지 Vol.36 No.2

        BACKGROUND: Kale (Brassica oleracea) biosynthesizes various phytochemicals including glucosinolates, flavonoids, and carotenoids. Phytochemicals of plants are influenced by light, temperature, carbon dioxide, and growing conditions. Specifically, carotenoids are affected by temperature, light, and oxyge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ld stress (day/night: 25℃/20℃, 20℃/15℃, 15℃/10℃) on carotenoids in kale leaves. METHODS AND RESULTS:Kale was grown in pots for up to 50 days after sowing (DAS) in a greenhouse. For cold acclimation experiments, kale grown in growth chambers for 3 days andwas subjected to low temperature for 4 days. The conditionsmaintained in the growth chambers were as follows: photoperiod, 12/12 h (day/night); light, fluorescent; and relative humidity, 60%. Carotenoid (lutein,α-carotene, zeaxanthin, β-carotene) contents were analyzed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The total carotenoid content gradually increased during cold acclimation for 3 days. When kale was subjected to cold stress, the total carotenoid content was high at 25℃/20℃ treatment, but low at 15℃/10℃ treatment. The total carotenoid content of kale leaves continuously grown in greenhouse decreased from50 to 57DAS (1,418 and 1,160 mgkg-1 drywt., respectively). The lutein,α-carotene, andβ -carotene contents were very low and the zeaxanthin contentswere very high at 15℃/10℃treatment.When kale was subjected to cold stress, the ratio of individual to the total carotenoid contents of kale leaves was 4553% for -carotene and 210% for zeaxanthin. CONCLUSION: Theβ-carotene and zeaxanthin contents in kale leaves indicate their sensitiveness toward cold stress.

      • KCI등재

        진입 신약의 유형이 질환별 의약품 상한금액 및 의료이용에 미치는 영향

        황소정 ( So-jung Hwang ),이태진 ( Tae-jin Lee )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 2021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Vol.27 No.4

        신의료기술의 진입이 보건의료분야가 직면하는 중요한 현상 중 하나로 주목받고 신약의 진입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와 부정적인 평가가 모두 제기되는 현 시점에서 새롭게 보험급여 적용되는 신약의 유형에 따른 보건의료적 영향을 고찰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질환별로 신약 진입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2011년 이후 약제급여목록에 진입한 신약을 혁신성의 유형에 따라 임상적 유용성 개선된 계열최초성분, 임상적 유용성 개선 없는 계열최초성분, 임상적 유용성 개선된 계열후속성분, 임상적 유용성 개선 없는 계열후속성분으로 구분하고, 필수성의 유형에 따라 필수약제, 비필수약제로 구분하여 2011년 이후 신약이 진입한 질환 별로 혁신성 유형 및 필수성 여부에 따른 선발약제 상한금액 인하율, 1인당 요양급여비용, 1인당 내원일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혁신적 약제 중 임상적 유용성 개선된 계열최초 성분 진입 시 1인당 요양급여비용 13.2%의 증가와 임상적 유용성 개선된 계열후속성분 진입시 선발약제 상한금액 1.29%의 인하, 1인당 요양급여비용 20.3%의 감소 및 1인당 내원일수 6.94%의 감소를 보였다. 또한, 필수 약제 진입 시 선발약제 상한금액 3.04%의 인하, 1인당 요양급여비용 18.5%의 감소 및 1인당 내원일수 6.94%의 감소를 보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의약품의 혁신성 유형 및 필수성 여부에 따라 약품비, 요양급여비용 및 내원일수에 미치는 영향이 상이할 수 있음을 함의하며, 약품비를 증가시키지 않고 의료이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유형의 신약의 진입이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As the entry of new medical technology is noted as one of the important phenomena in the healthcare sector, the impact of new drugs on healthcare sector needs to be assessed according to their types. In this study, in order to analyze the impact of entry of new drugs by disease, new drugs that have entered the list of the reimbursed drugs since 2011 are classified by their types of innovation: first-in-class ingredient with improved clinical benefit, first-in-class ingredient without improved clinical benefit, later-in-class ingredient with improved clinical benefit and later-in-class ingredient without improved clinical benefit and by necessity; essential drugs and non-essential drugs. And we performed analysis to evaluate the effect of new drugs entry on the frontier drug's list price, per capita health expenditures and per capita days of outpatient visits or hospitalization. The result indicates that entry of the first-in-class ingredient with improved clinical benefit causes per capita health expenditures to increase by 13.2% while entry of the later-in-class ingredient with improved clinical benefit reduces the frontier drug's list price by 1.29%, per capita health expenditures by 20.3%, and per capita days of outpatient visits or hospitalizations by 6.94%. And the result also indicates that entry of the essential drug reduces the frontier drug's list price by 3.04%, per capita health expenditures by 18.5% and per capita days of outpatient visits or hospitalization by 6.94%. The finding of this study implies that the effect on the drug list price, health expenditures and number of days of outpatient visits or hospitalization could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new drug's type of innovation and necessity. This suggests that we could identify the types of new drugs that wouldn't increase pharmaceutical costs and have a positive effect on healthcare sector.

      • 수분 및 저온스트레스에 의한 케일 내 카로티노이드 변화

        이효준 ( Hyo-joon Lee ),황소정 ( So-jung Hwang ),천진혁 ( Jin-hyuk Chun ),김선주 ( Sun-ju Kim ) 한국환경농학회 2018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8 No.-

        식물체 내 식물화학물질은 광, 온도, CO<sub>2</sub>, 재배환경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는 데, 특히 카로티노이드는 온도, 빛, 산소 등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는 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수분 스트레스 및 저온스트레스에 의한 식물의 생리 반응을 이해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I) 수분 스트레스는 파종 후 57일 (days after sowing, DAS)부터 관수하지 않은 처리구와 매일 충분히 관수한 대조구로 나누어 58 DAS(1day)부터 67 DAS(10days)까지 총 10회 수확하였다. zeaxanthin은 3days부터 수분 스트레스가 지속될수록 처리구의 함량이 대조구보다 높았지만, β-carotene은 6days부터 10days까지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낮았으며, 스트레스가 심화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프롤린 함량은 3days부터 10days까지 대조구보다 높았으며, 8days에서 급격히 증가하여 10days에서 대조구보다 약 2배 높은 값을 나타내어 수분 스트레스 처리에 의해 케일 잎 내 프롤린 축적이 일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II) 저온처리(주/야 : 25℃/20℃, 20℃/15℃, 15℃/10℃)가 케일 내 카로티노이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유리온실에서 포트 재배한 50 DAS (day after sowing)된 케일을 식물생장기(12h/12h, 형광등, 60%)로 옮겨 저온순화(20℃/15℃, 53 DAS)를 3일간 하고 저온처리를 4일간 하여 57 DAS에 수확하였다. 총 카로티노이드 함량은 저온순화 3일 동안 조금씩 계속 증가하였다. 그 후 저온 처리하였을 때(57 DAS) 총 카로티노이드 함량은 25℃/20℃ 실험구에서 가장 높았고(1,570 mg/kg dry wt.), 주/야 온도가 낮아질수록 감소하였다. 온실 실험구(대조구)의 경우, 식물 생장 단계에 따라 총 카로티노이드 함량이 50 DAS (1,418) 잎보다 57 DAS (1,160mg/kg dry wt.) 잎에서 감소하였다. 저온 처리하였을 때 총 카로티노이드 함량 대비 제아크산틴과 β-카로틴의 비율이 각각 2~10%, 45~53%로 크게 변하였다. 따라서 저온스트레스는 β-카로틴을 감소시켰지만, 제아크산틴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