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황해도 진오기굿 <수왕제석거리>의 의미

        홍태한(Tea Han Hong) 목원대학교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2024 지식과 교양 Vol.- No.14

        이글에서는 황해도 진오기굿 <수왕제석거리>의 의미를 살폈다. 황해도 망자천도굿인 자리걷이와 진오기굿이 서로 다른 굿거리 구성을 가지고 있음을 밝혔고, 재수굿과 진오기굿의 연행 방식이 다름을 제시했다. 그리고 <수왕제석거리>의 연행 방식을 바탕으로 하여 <수왕제석거리>가 가지고 있는 의미를 살폈다. 특히 ‘수왕제석’이 가지고 있는 기능을 두 가지로 제시하였다. ‘칠성제석’이 산 사람의 복을 관장하듯이 수왕제석은 망자의 복인 왕생천도를 관장하는 기능이 있음을 제시하였고, 저승을 관장하는 존귀한 신령인 십대왕을 굿판에 나타나게 하는 역할을 한다고 보았다. 진오기굿의 핵심 굿거리가 <수왕제석거리>이다. 이글에서는 황해도 진오기굿기 가지고 있는 의미를 다시금 제시하면서 수왕제석의 기능을 명료하게 밝혔고, 칠성제석과 수왕제석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제시하였다. 서울 진오기굿의 신령 ‘중디’를 가져와서 황해도굿의 수왕제석과 상통하는 면이 있음을 제시한 것처럼 다른 지역의 망자천도굿의 여러 신령도 살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한국 망자천도굿의 보편 원리가 규명되어야 한다. 황해도 자리걷이와 진오기굿을 재차에 맞게 온전하게 연행하는 만신이 점차 줄고 있다. 재수굿은 굿에 대한 이해와 지식만으로도 충분히 연행이 가능한 반면 진오기굿은 실제로 망자를 모셔 한을 풀고 저승으로 천도시켜야 하는 굿이어서 만신의 남다른 능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지금은 자리걷이와 진오기굿을 온전하게 연행하는 만신의 역할이 매우 소중하다. 특히 황해도 진오기굿은 저승에 대한 인식, 망자에 대한 인식이 명확하게 드러난 굿이다. 앞으로 황해도 진오기굿의 의미를 여러 굿거리 내용 분석을 통해 제시하여야 할 것이고, 다른 지역의 굿과 비교하여 의미를 도출하여야 한다. In this article, an implication of <Suwangjeseok-geori> of Hwanghaedo Jinogi-gut has been sought. It revealed that Jarigeoti and Jinogi-gut have different Gut-geori (tune or dance performed during exorcism) composition, and presented that Jaesu-gut and Jinogi-gut have different performance method from each other. And, on the basis of the performance method of <Suwangjeseok-geori>, the implications retained in <Suwangjeseokgeori> is sought. In particular, the functions contained in Suwangjeoseok is presented in two folds. It has presented that, as Chilseongjeoseok oversees the blessings of living beings, Suwangjeoseok has the function to oversee the Wangsaengcheondo (born again after death to ascend to heaven), the blessing of the deceased, and it is deemed to undertake the role to bring out the sacred holy divine that oversees the other world, Sipdaewang (ten kings of underworld that adjudicate the trial for the deceased), onto the gut-pan (ground for Gut). In other words, the core Gut-geori of Jinogi-gut is <Suwangjeseokgeori>. Through this consideration, this article has accomplished in reiteration of implication held in Hwanghae-do Jinogi-gut, clarifying in succinct form of the functions of Suwangjeoseok, and present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Chilseongjeoseok and Suwangjeoseok. As it has presented that there is a common aspect with Suwangjeoseok of Hwanghae-do-gut by bringing in Jungdae of Seoul-gut, several other holy divines of Mangjacheondo-gut (exorcism performance to lead the deceased to ascend to heaven) in other regions have to be considered. Through these endeavors, the general principle of Mangjacheondo-gut in Korea has to be clarified. The performing shaman of Hwanghae-do Jarigeoti and Jinogi-gut has gradually been in decline. While Jaesu-gut can fully be administered only with the understanding and knowledge of this Gut, Jinogi-gut is the Gut that ascends the deceased into the other world by relieving their sorrow, and it requires the shaman with extraordinary capability. Therefore, the role of the shaman to completely perform Jarigeoti and Jinogi-gut is extremely valuable. In particular, Hwanghae-do Jinogi-gut is the Gut that is clearly displaying the awareness on the other world as well as the deceased. In the days to come, the implications of Hwanghae-do Jinogi-gut have to be presented through the content analysis of other Gut-geori and formulate its other implications by comparing with guts of other regions.

      • KCI등재후보

        민속문화재 지정 현황을 바탕으로 한 문제 제기

        홍태한(Hong, Teahan) 무형유산학회 2022 무형유산학 Vol.7 No.1

        이 글은 문화재의 한 영역인 민속문화재 지정 현황을 바탕으로 여러 문제점을 도출하고 민속문화재 운영 방향을 제시한 글이다. 민속문화재는 지정 범주가 8가지로 나뉘어져 있으며 현재 국가 민속문화재 305건, 시도 민속문화재 470건이 지정되어 있다. 국가 지정 민속문화재 지정 현황을 보면 의식주에 관한 것이 275건(90.1%)으로 민속문화재는 의식주 관련 유산이 중심이다. 다음으로 신앙에 관한 것이 19점이고, 교역에 관한 6점은 보부상유품 (30-1호~30-6호)으로 사실상 단일 지정이다. 나머지 범주는 지정 건수가 1,2점이거나 전혀 없다. 민속문화재 지정 범주를 8가지로 나누었지만 이는 명목상의 분류이지 실제 민속문화재에 포함될 모든 유산을 대상으로 한 것은 아님이 드러난다. 민속문화재 지정 건수를 세밀하게 살펴보면 민속문화재는 의식주 중심이고 특히 ‘주’의 일부인 고택 중심임이 드러난다. 지정 과정에서 유형문화재, 민속문화재, 사적의 지정 범위 및 관계도 구축되지 않아 민속문화재 만의 고유한 지정 기준이 없다. 시대로 보아 대략 18-19세기의 유물을 주로 지정한 것으로 보이지만 단정할 수는 없다. 따라서 민속문화재 지정 범주를 다시 정립할 필요가 있어 이 글에서 시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민속에는 유형과 무형 모두가 포함되는데 유형으로 지정 대상으로 한정한 민속문화재는, 용어 자체가 적합하지 않아 새로운 용어를 찾아야 할 것이다. 민속문화재는 지정과 관리보다 활용이 더 중요하여 앞으로 이에 대한 관심을 높여야 한다. 그동안 한 번도 살피지 않은 민속문화재 지정 현황을 살피면서 문제점을 지적한 것이 이 글의 성과이다. This study is aimed to find out problems related to the current status of designating folklore cultural heritages, one of the areas of cultural heritages, and suggest ways to operate folklore cultural heritages. Folklore cultural heritages have eight categories for designation, and currently, there are 305 nationally designated and 470 municipally and provincially designated folklore cultural heritag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amining nationally designated folklore cultural heritages, 275 cases (90.1%) are related to food, clothing, and shelter, so folklore cultural heritages are mostly about the necessities of life. Next, 19 items are about religion, and six items related with trade are the relics of Bobusang (No. 30-1 to 30-6) which are, in fact, singularly designated. The rest categories include only one or two items designated or none. Although folklore cultural heritages have eight categories for designation, it is just nominal division, and they do not deal with all the folklore cultural heritages to be actually included. Examining the cases of folklore cultural heritages designated in detail, we can find folklore cultural heritages are associated with food, clothing, and shelter, and particularly, old houses, a part of ‘shelter’. Concerning the process of designation, there are no ranges or relations established for designating tangible, folklore, and private cultural heritages, so we can see that there are no unique criteria to designate folklore cultural heritages. Regarding times, most of the relics designated seem to be from the 18th and 19th centuries or so, but it is not applied to all. It means that it is needed to reestablish the categories for designating folklore cultural heritages, so this study suggests here a draft proposal for it. Also, folklore cultural heritages are both tangible and intangible, and terms used for folklore cultural heritages restricted as tangible ones are not appropriate, so we should find new terms for them. Moreover, it is more important to utilize folklore cultural heritages than to designate or manage them, so we have to pay more attention to it afterwards. The fruition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designating folklore cultural heritages which has been hardly done before and point out problems in it.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황해도굿춤의 특성과 의미

        홍태한 ( Hong Teahan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21 공연문화연구 Vol.0 No.42

        이 글은 황해도굿춤의 특성과 의미를 살핀 글이다. 먼저 황해도굿춤의 특성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황해도굿춤의 모든 굿거리 등장하는 일반적인 춤은 '거상춤-도무-회전무'로 순차적으로 이어진다. 반주 장단은 거상장단, 춤장단, 연풍장단이다. 황해도굿춤 중 신령의 특성을 나타내는 무구를 손에 들고 추는 춤은 춤장단에 맞춘 도무와 연풍장단에 맞춘 회전무와 춤사위가 동일하다. 무구 이름이나 무복 이름 신령 이름을 사용해 굿춤 명칭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춤사위의 독자성은 없다. 황해도굿춤 중 벅구춤과 삼현춤은 독자적인 장단인 벅구장단, 삼현장단을 사용하고 있어 춤사위의 독자성이 인정된다. 황해도굿춤은 장단과 긴밀한 관련성을 가진다 황해도굿의 연행에서 장구재비와 만신의 조화는 절대적이다. 장구 연주가 만신의 굿 연행을 받쳐주지 않으면 굿의 연행이 순조롭지 않아 혼란이 발생하고, 만신의 굿 연행이 장구 연주를 따라가지 못하면 굿은 단순해진다. 황해도굿춤의 성패를 결정하는 가장 핵심적인 요소가 장구이다. 굿을 맡을 때 장구재비와 일정이 맞지 않으면 굿날을 다시 잡을 정도로 만신은 장구재비와의 호흡을 중요하게 여긴다. 그리고 황해도굿춤은 결례에 따라 차이가 있다. 하지만 결례에 따른 장단과 춤의 차이는 무형문화재로 인해 사라지게 된다. 결국 무형문화재 지정이 모든 황해도굿춤의 특성을 사라지게 한 것이다. 결례 구분이 모호해지고, 자신이 학습한 굿의 계보에 대해서도 관심을 갖지 않는다. 결례에 따른 춤의 구분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무형문화재 제도에 따른 춤의 구분이 중요해졌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the Hwanghae-do Gutchum, or shamanic ritual dance.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Hwanghae-do Gutchum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regular dances that appear in all pieces of Gutgeori or the tune of Gut of the Hwanghae-do Gutchum feature Geosangchum, followed by domu and heojeonmu in the sequential order. The accompaniment rhythms are Geosang rhythm, Chum rhythm, and Yeonpung rhythm. The dance featuring mugu, or shaman implements held on shaman’s hand as part of the Hwanghae-do Gutchum, which symbolizes the characteristics of deities, is the same as domu aligned with the dance rhythm and the whirling dance aligned with the Yeonpung rhythm. The name of mugu, mubok (shaman clothing) and/or deities may be used as the name of Gutchum but there is no originality of Gutchum. The Beokgu Chum and Samhyeon Chum as part of the Hwanghae-do Gutchum use Beockgu Jangdan and Samhyeon Jangdan, which deserves to have their originality acknowledged. Hwanghae-do Gutchum is closely related to the rhythm. The harmony of janggu player and a female shaman is essential in practicing the Hwanghae-do Gut. If a janggu player fails to perform to properly support the gut practice of a female shaman, the shaman is not able to proceed with a smooth practice and causes confusion. On the other hand, if the gut performance of a female shaman fails to catch up with the performance of janggu, the gut becomes plain and simple at best. Janggu is the single most important element that determines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Hwanghae-do Gutchum. A female shaman takes the harmony and collaboration with a janggu player so seriously that she is willing to reschedule the practice of gut if its schedule does not match that of the janggu player. The Hwanghae-do Gutchum is largely dependent on gyeolrye. Howev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chum and the rhythm caused by gyeolrye has disappeared due to the intangible cultural assets. That is, designating an intangible cultural asset has resulted in eliminating all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Hwanghae-do Gutchum. With the distinction of gyeolrye becoming vague, they have lost interest in the genealogy of gut they have learned. It is no longer gyeolrye but the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system that serves as an important factor to distinguish chums.

      • 서울의 민속문화 연구 및 활용 방안 모색

        홍태한(Hong, Teahan) 서울민속학회 2015 서울민속학 Vol.- No.2

        이 글은 서울의 민속문화 연구 및 활용 방안을 모색한 글이다. 이 글에서는 먼저 서울 민속의 범위를 살폈는데, 현재 서울의 시민들이 누리고 있는 삶을 바탕으로 하는 생활이라고 정의하였다. 그러면서 여러 민속학개론서에서 분류하고 있는 하위 유형을 가져와 서울 민속의 전승 양상을 살폈다. 다음으로 서울 민속의 몇 가지 특징을 제시했다. 첫째, 서울민속은 거대도시라는 외면만큼 서울이 내실 있는 도시임을 알려준다. 둘째 서울민속은 다양한 문물을 수용하여 재창조되었고, 도시문화로 존재한다. 셋째, 서울민속은 전국으로 지평을 확장하였고, 다층적 성격을 보여주고, 개방성과 융합성을 보여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서울민속의 활용 방안 몇 가지를 제시했다. ‘서울의 생활, 서울민속 축제’ 기획, ‘서울의 마을굿 대동잔치’ 기획, ‘서울을 누비자, 걷기 한마당’ 기획 등을 제시했다. 마지막으로 서울 민속 체험관의 확충을 제시하면서 각 자치구에서도 구 지정 무형문화재 지원제도를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이러한 서울민속의 활용을 통해 서울은 정체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종교문화가 어울린 도시가 될 수 있다. 아울러 역사와 뿌리가 살아있는 도시가 된다. 서울민속은 세대를 넘어선 문화가 숨 쉬는 도시로 서울을 부각시키는 핵심이 될 수 있다. This article is a study exploring the folk culture of Seoul and its utilization. I first investigate the range of Seoul in this article, and it was defined as the life of citizens in Seoul. At the same time, the aspects of Seoul Folk traditions are also studied with sub-types that classified in the aspects of folklore from various research of folklore introduction. Then some features of folklore of Seoul were presented. First, Seoul folklore tells that the city of Seoul has internal stability as well as its appearance as a metropolis. Second, Seoul has been recreated to accommodate a variety of folk civilizations, and it exists as an urban culture. Third, the folklore of Seoul was expanding its horizons across the country, showing the multi-layered nature, and it shows the openness and convergence in its property. Based on this, several plans of utilization of folklore of Seoul were proposed. ‘Life of Seoul, planning of Seoul Folk Festival’, ‘shamanism rituals of Dedong village’ and ‘Walk Festival of Seoul’ were proposed. Finally, the expansion of the Seoul Folk Experience museum was proposed to enable the designated intangible cultural asset support system in each borough. Through the utilization of folklore of Seoul, the identity of Seoul can be confirmed. It can also be a city of various religious cultures. In addition, Seoul can be a city of living history and root. Seoul folklore may be the key to highlight the culture beyond the generations.

      • KCI등재

        무당굿춤을 바라보는 시각의 전환 - 서울굿과 황해도굿을 중심으로 -

        홍태한 ( Hong Tea-han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8 공연문화연구 Vol.0 No.37

        이 글은 무당굿춤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무당굿의 연행 맥락 속에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함을 제시한 글이다. 서울 무당굿춤, 황해도 무당굿춤을 중심으로 그 의미를 살폈다. 서울굿과 황해도굿춤은 단순한 춤이나 동작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신령의 존재를 드러내는 기능을 하면서 연속성을 가지고 있어 신령이 굿판에 들어오는 과정을 보여주기도 한다. 이는 무당굿춤을 춤 자체로만 파악해서는 안 된다는 의미이다. 그 춤이 놓여있는 굿거리의 위상, 굿과 신령의 관련성, 서사성의 흐름에 주목해야 한다. 또한 무당굿춤은 장단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무당굿춤을 단순하게 춤사위 중심, 발동작이나 손동작 중심으로 바라보는 것은 무당굿춤의 본질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한다. 장단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더욱이 그 장단이 신령의 위계와 관련이 있어 춤은 음악과 함께 신령의 위상, 신령의 굿판에 들어와 행하는 다양한 연행 양상을 보여준다. 그런 점에서 무당굿춤을 바라보는 복합적인 시각이 필요하다. 이러한 양상은 세습무 무당굿에도 동일하게 나타난다. 한국의 무당굿춤은 강신무굿과 세습무굿에 따라 작은 차이는 있지만 동일한 양상이다. 굿춤이 굿거리의 흐름 속에서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장단과 연계하여 독자적인 의미를 전달한다. 춤추는 무당의 개별 동작에 초점을 맞추는 것도 의미가 있지만, 그러한 동작이 굿거리의 연행 속에 갖고 있는 의미망을 도출해야 한다. 이것은 무당굿춤 연구를 위해 현장에 대한 집중적인 조사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의미이다. 또한 무당굿춤은 연행 집단의 특성을 드러내기도 한다. 무당굿춤은 복합적으로 존재한다. 무당굿춤을 받는 신령의 위상과 관련되면서 연행 집단의 특성을 나타낸다. 장단과 긴밀하게 결합되어 있으면서 굿의 진행을 나타낸다. 따라서 무당굿춤을 기술하는 방식은 단순한 무보 정리에 그쳐서는 안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무당굿춤을 바라보면서 조사를 하고 기록해야 한다. This article is to present that the research on the Mudang Gut Chum should be within the context of the performance of Mudang Gut and examines its meanings and implications with focus on Seoul Mudang Gut Chum and Hwanghae-do Mudang Gut Chum. Seoul and Hwanghae-do Mudang Gut Chums do not exist in the form of simple dance or movement. They feature continuity while serving the function of revealing the existence of spirit and sometimes show the process of the spirit joining the Gut ritual, which means that the Mudang Gut Chum should not be understood as the dance itself only. Instead, ca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status of the tune of Gut where the dance is placed, relationship between the gut and the spirit, and the flow of narrativity. Also, the Mudang Gut Chum has a lot to do with the tune. Looking at the Mudang Gut Chum simply focusing on dancing steps, and the movement of feet and/or hands fails to gain an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fundamentals of the Mudang Gut Chum. Closely connected to the tune, which is also associated with the grade of the spirit, the dance shows a variety of performances conducted by entering the Gut ritual of the spirit. In that respect, complex views on the Mudang Gut Chum are required. The same applies to the hereditary shaman Mudang Gut as well. The Korean Mudang Gut Chum has a slight difference between the Gangshinmu gut and the hereditary gut but is in basically the same aspect. The Gut Chum holds its meaning in the flow of gutgeori (tune or dance performed during exorcism, a shaman song) and delivers its own meaning in connection with the tune. It is definitely meaningful to focus on the individual movements of a dancing shaman but one should be able to derive the network of meanings that such movements have within the performance of the gutgeori, which means that intensive studies on the field performance and circumstances should be completed before studying the Mudang Gut Chum. In addition, the Mudang Gut Chum disclos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formance group. The Mudang Gut Chum exists in a complex manner. With respects to the status of the spirit, it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formance group. It represents the progress of Gut while closely connected with the tune. Therefore, the way of describing the Mudang Gut Chum should be far more than just simply keeping the dance notations. With this in mind, one should investigate and record the Mudang Gut Chum.

      • KCI등재후보

        동해안 오구굿과 서울 진진오기굿의 비교

        홍태한(Hong Tea-ha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7 한국학연구 Vol.26 No.-

        이 글은 서울진오기굿과 동해안 오구굿의 구조를 비교한 글이다. 서로 다른 지역에 전승되는 굿이지만 그 구조가 매우 유사하다는 것을 밝혔다. 오구굿과 진오기굿의 구조를 가)굿의 시작, 나)망자 불러 모시기, 다)망자 이승 떠나기, 라)망자 저승 들어가기, 마)망자 축원하기, 바)굿의 마무리로 나누어 각각에 대응되는 굿거리의 성격을 살펴 구조가 동일함을 제시했다. 하지만 두 굿에 나타난 죽음관은 서로 다른 것으로 보았다. 진진오기굿에서는 죽음과 삶이 갑작스럽게 단절될 수 없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다. 죽음이 온다 해서 곧장 망자가 저승으로 갈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이승과의 단절을 위한 의식이 있어야 저승으로 갈 수 있다. 죽음이 삶의 끝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삶의 또 다른 모습이고 그것을 죽음으로 완전하게 바꾸어주는 것이 굿의 의미이다. 반면 오구굿에서는 죽음은 삶과 다른 차원이고 죽음이 오게 되면 삶은 곧장 단절된다고 믿는다. 그래서 망자의 혼령을 굿판에 모셔와야 한다. 삶이 갑작스럽게 단절되어 충격을 받은 망자의 혼령을 다시 모셔와 위로해주는 것이 오구굿의 의미이다. 진진오기굿이 산 자 중심이어서 이승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가 등장하는 반면 오구굿은 망자 중심이어서 망자를 모셔와 다시 저승으로 보내는 데에 중점을 둔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한국의 망자천도굿이 같고 다름을 밝힌 것이 이 글의 의의이다. This thesis shows the comparison of Seoul Jinjinoki gut and Okugut which are the representative mang-ja cheon-do gut (leading the dead man to the heaven) that has come down to us. Through this study, we can find out that the organization way of both guts is very different, but the structure has many similar respects. Both guts are made up of five step - starting, calling the dead man, departing from this life, entering the next world, ending. These guts have the same basic structure. However, the details have the difference. At the Jinjinoki gut, the dead man comes immediately in the gut pan, but at the Okugut, the dead man comes in the gut pan through the several rituals of calling him. The part of leaving this world is as like as two peas. Still, entering the next world is different each other. Jinjinoki gut shows the process of entering the next world after calling and worshiping many gods related to the death. The dead man follows god to the next world. However, Okugut shows the process through doing something various. Therefore, there is the young-sil geo-ri that tells the dead man actually goes to the next world. There is Balweongut at Okugut. Therefore, the dead man doesn't show up, the praying just goes on.

      • KCI등재

        『무당내력』과 서울굿의 양상 비교

        홍태한 ( Tae Han Hong ) 남도민속학회 2013 남도민속연구 Vol.26 No.-

        이 글은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는 < 무당내력 >의 굿의 양상과 현재 연행되는 서울굿의 양상을 비교 검토한 글이다. < 무당내력 >은 서울굿의 양상을 그림으로 그린 귀한자료이다. 규장각에 두 종류의 이본이 소장되어 있으며, 이밖에도 다양한 종류의 이본이있다. < 무당내력 >의 굿거리 그림과 현재 연행되는 서울굿의 양상을 나란히 놓고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은 변화상이 보인다. 첫째 < 제석거리 >는 존재하고 있으나 < 불사거리 >는 보이지 않는다. 둘째 < 별성거리 >와< 대거리 >의 위치가 달라졌다. 셋째 < 호구거리 >와 < 만신말명 >이 독립되어 있다. 넷째 < 신장거리 >와 < 대감거리 >가 보이지 않는다. 다섯째, < 창부거리 >의 성격이 변화했다. 여섯째, < 성조거리 >와 < 구릉거리 >가 구분되어 있다가 < 구릉거리 >는 사라지고 < 성주거리 >로 합해진다. 이러한 몇 가지 양상을 바탕으로 할 때 『무당내력』은 20세기에 그려진 그림이 아니라19세기 말에 그려진 그림이다. < 무당내력 >에 보이는 몇 개의 용어가 20세기에 제작되었을 가능성을 보여주고는 있지만, 그림의 내용은 분명 20세기의 무속이 아니다. 용어 문제와 그림의 내용을 구분하여 접근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몇 개의 용어를 바탕으로 『무당내력』이 19세기에 그려진 것이 아니라고 보기는 어렵다. 20세기에 제작이 되었다고 해도, 책에 기록된 것은 19세 서울 무속의 양상이기 때문이다. This study is to comparatively examine the aspects of 『Mudang Naeryeok』, which is kept at Gyujanggak,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currently performed Seoul-gut.『Mudang Naeryeok』is a valuable picture that describes the aspects of Seoul-gut. Two types of variants are kept at Gyujanggak, and there are many other variants at different places. In comparison of the picture of gut-geori in < Mudang Naeryeok > and the aspects of currently performed Seoul-gut, the differences are as follows: First, < Jaeseok-geori > exists while < Bulsa-geori > does not. Second, < Byeolseong- geori > and < Dae-geori > are in different locations. Third, < Hogu-geori > and < Mansinmalmyeong > are separate. Fourth, < Sinjang-geori > and < Daegam-geori > are not seen. Fifth, the characteristics of < Changbu-geori > have been changed. Sixth, < Seongju-geori > and < Gureung-geori > were originally separate, but < Gureunggeori > has disappeared and become part of < Seongju-geori >. The aspects above indicate that 『Mudang Naeryeok』is a picture drawn, not in the late 19th century, but in the 20th century. Some terms used in 『Mudang Naeryeok』 show possibilities that it might have been produced in the 20th century, but the shaman activity in the picture is not that of the 20th century.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the matter of terms from the matter of contents in the approach. Hence, it is difficult to conclude that 『Mudang Naeryeok』 was not a picture drawn in the 19th century only based on some terms. Even if it was produced in the 20th century, the contents of the book are about the aspects of Seoul shaman activity in the 19th centur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