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그래픽 영상에서 테두리 밝기에 따른 색채 인지 연구

        홍지영,Hong, Ji-Young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21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21 No.4

        Colour properties can be classified based on hue, brightness, and satur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colour perception vary by colour property. In terms of colour perception, surrounding colours are viewed together rather than independently,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al colour percep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colour characteristics of the surrounding. Thus far, research on colour perception and sensibility has focused on a monotonic environment, which is different from colour perception in real life. As such, a fundamental study on colour perception considering surrounding colours must be conducted. In this study, a psychophysical experiment was conducted, and the results were analysed to study the colour perception characteristics by edge brightness, Edge brightness was set as a variable based on the visual traits that are most sensitive to brightness, an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the Munsell colour system to specify the stimulus colour.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experimental outcomes, this study reveals the significance of fundamental research data on the visual and perceptual characteristics of colour perception with regard to edge brightness and provides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색채 속성으로는 색상, 명도, 채도로 구분 지을 수 있으며 색채 속성 각각에 따라 색채를 인지하는 특성이 달라진다. 색채를 인지하는 데 있어서 한 가지 색채를 독립적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주변 색채를 함께 보게 되며 주변의 색채 특성에 따라 원본 색채 인지 특성은 달라질 수 있다. 선행된 색채 인지 및 감성 연구는 단일 색채를 대상으로 한 것이 대부분이며 이는 실생활에서 색채를 인지하는 것과는 차이가 있으므로 주변 색채를 고려한 색채 인지 기초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그래픽 영상에서 자주 사용되는 테두리 밝기에 따른 색채 인지 특성을 알아보고자 정신물리학 실험을 진행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밝기에 가장 민감한 시각적 특성을 기반으로 테두리 밝기를 변수로 설정하고 실험 자극색상으로는 먼셀 색채를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진행된 실험 결과를 분석하여 테두리 밝기에 따라 색채를 인지하는 시지각적 특성에 대한 기초 연구 자료로써 유의미 여부를 정의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한다.

      • KCI등재후보

        Delayed Hemolytic Uremic Syndrome Presenting as Diffuse Alveolar Hemorrhage

        홍지영,정지예,강영애,배윤성,김영삼,김세규,장준,박무석 대한중환자의학회 2014 Acute and Critical Care Vol.29 No.1

        Hemolytic uremic syndrome (HUS) is defined by the triad of mechanical intravascular hemolytic anemia with schistocytosis, thrombocytopenia and acute renal failure. Pulmonary involvement in HUS is known to be rare. We present the case of a 25-year-old male with diffuse alveolar hemorrhage and myocarditis followed by atypical hemolytic uremic syndrome. In this case, successful treatments included steroid pulse therapy for the fatal alveolar hemorrhage and plasma exchange for the hemolytic uremic syndrome.

      • KCI등재

        디스플레이에서 조도와 대비비에 따른 가독성 비교 연구

        홍지영,민장근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17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17 No.4

        사물을 분석하고 인지하는 분야에 해당하는 시지각은 시각의 생리학적인 측면과 시각체계의 인지적 측면에 대 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설립된 시지각 이론이 각 분야별로 다양한 응용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 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뉴미디어 시대의 대표적 사례물 중 하나인 모바일 디스플레이가 강조되는 가운데, 시지각 연구 를 기반으로 하여 보다 효용성 있는 시각적 인지 기반의 비중을 늘려야 한다는 인식이 본 연구의 기본적인 이해이다. 본 연구는 모바일 디스플레이를 대상으로 하여 조도와 배경의 밝기에 따른 가독성 관련 실험을 진행하고 이를 분석하 였다. 이를 위해 두 가지 조건에 해당하는 조도의 환경 조건과 기존 모바일 디스플레이에서 가독성 향상 방안으로 제 안되는 두 가지 배경의 밝기 조건을 대상으로 하여 가독성 관련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진행된 실험결과를 분석하여 조도와 배경의 밝기에 따른 가독성에 대해 유의미 여부를 정의하고 가독성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Visual perception is part of a field of study that examines the analysis and recognition of objects. There have been numerous studies on this topic, including research on the physiological and cognitive aspects of the visual system. Visual perception theory was established through such research efforts and the potential for its application in each field is being investigated. Mobile displays are a representative example of media in the new age. Therefore, this study is based on the understanding that research on visual perception must stress the importance of useful visual cognition. This study used displays to conduct legibility tests based on illumination intensity and contrast ratio. Two conditions relevant to legibility were tested 1) illumination intensity environment and 2) two luminance conditions proposed as measures to improve readability in existing mobile display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nalysed to determine the degree of legibility based on illumination intensity and contrast ratio, and measures for improving legibility were proposed.

      • KCI등재

        수퍼바이저 스타일이 수퍼비전 작업동맹과 수퍼비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홍지영 한국상담학회 2008 상담학연구 Vol.9 No.4

        The goal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upervisory style on the supervisory working alliance and on the satisfaction with supervision each and to investigate whether the supervisory style is mediated to the satisfaction with supervision. 281 supervisees who had been engaged into their personal supervisions with one supervisor at least three times in the last 6 months answered to the questionnaires on supervisory style, supervisory working alliance, and satisfaction with supervision. For data analysis, the path analysis was performed.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below. First, the supervisory style is an important factor which explains the supervisory working alliance and the satisfaction with supervision; each of three dimensions of supervisory style-the dimension of attraction, interpersonal sensitivity, and task-orientation-significantly increased the supervisory working alliance and the satisfaction with supervision. This result shows that a supervisor needs to develop his/her effective supervisory style having a perception of his/her own style. Secondly, the supervisory working alliance is mediated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mensions of supervisory style and the satisfaction with supervision. These results explain that building a solid working alliance is needed for increasing of supervisee’s satisfaction with supervision and that supervisory style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that are effective on the working alliance. The dimension of attraction revealed in-direct effects on the satisfaction; the dimension of interpersonal sensitivity and of task-orientation revealed in-direct and direct effects on it. These results show that the in-direct effects are caused by the natural acceptance of supervisee regarding the dimension of attraction as the supervisor’s basic attitude or his/her common factor and that the direct effects are caused by the supervisees’ sensitive acceptance. 본 연구는 수퍼바이지가 지각하는 수퍼바이저 스타일이 수퍼비전 작업동맹 및 수퍼비전 만족도에 각각 어떤 영향을 주는지, 수퍼바이저 스타일이 수퍼비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수퍼비전 작업동맹에 의해 매개되는지를 살펴보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최근 6개월 이내에 한명의 수퍼바이저와 최소한 3회 이상의 개인면접상담 수퍼비전을 받았거나, 받고 있는 수퍼바이지 281명이었다. 이들 연구대상자들에게 수퍼바이저 스타일 질문지, 수퍼비전 작업동맹 질문지, 수퍼비전 만족도 질문지를 실시하여 자신의 수퍼비전 경험에 대해 응답하도록 하였다. 응답결과는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수퍼바이저 스타일의 세 가지(호의성, 대인 민감성, 과업 지향성) 차원을 높게 지각할수록 수퍼비전 작업동맹과 수퍼비전 만족도가 유의미하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수퍼바이저의 스타일이 수퍼비전 작업동맹과 수퍼비전 만족도를 설명하는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수퍼바이저들이 자신들의 수퍼비전 스타일을 확인하고 효과적인 스타일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준다. 둘째, 수퍼비전 작업동맹이 수퍼바이저 스타일의 세 가지 차원과 수퍼비전 만족도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매개변인으로 작용한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수퍼비전에서 수퍼바이지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건실한 작업동맹을 만드는 것이 필요함을 보여줌과 동시에 작업동맹에 영향을 주는 선행요인 중 수퍼바이저 스타일이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함을 나타내주고 있다. 이 과정에서 수퍼바이저의 호의성은 간접효과를 나타낸 반면 대인 민감성, 과업 지향성은 직‧간접효과를 나타내는 차이를 보였다.

      • KCI등재

        중심와 시각에서 색채 자극의 크기에 따른 컬러 어피어런스 연구

        홍지영,Hong, Ji-Young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18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18 No.3

        차세대 디스플레이는 기존의 TV를 대변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환경에서 모바일 환경으로 진화 하고 있는 추세이다. 개인용 디스플레이에 해당하는 모바일 디스플레이의 경우, 홈시어터의 개념과 동일하지만 보다 경량 화된 사이즈에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기에 디스플레이 산업에서는 디스플레이의 다양한 제품 응용 및 다양한 크기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보다 정확한 색채와 향상된 영상을 재현하기 위해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배경의 밝기와 색채 자극의 크기에 따라 인지될 수 있는 색채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가정아래, 배경의 밝기를 차등적으로 적용하여 중심와 시각에 해당하는 색채 자극의 크기를 비교하는 정신 물리학적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기존 선행 연구에서는 배경의 밝기가 고려되지 않은 상태에서 색채 자극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더욱 밝고 더욱 선명하게 인지한다는 결과와 달리, 배경의 밝기와 색채 자극의 크기에 따라 색채를 인지하는 특성이 다르다는 연구 결과가 도출되었다.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대형 화면의 크기에서 모바일 크기의 화면으로 입력 영상이 전환 될 때 발생할 수 있는 색채 변환 오류를 해결 하여 보다 정확한 색채 표현과 향상된 화질 영상 재현이 가능하다. Next generation displays show a trend of evolving from the display device environment (represented by existing televisions) to the mobile environment. The mobile display corresponding to the personal display is similar to a home theatre; however, they are advantageous because they are small and have a relatively lower weight. Therefore, the display industry has an interest in diverse product applications of displays, reproducing more accurate colours, and offering improved image quality from display devices of various sizes. To address these interests, a psychophysical experiment was conducted in this research. The experiment compared the size of the colour stimulation corresponding to foveal vision by gradually increasing the lightness of the background. This was based on the assumption of possible differences in colours being recognized by the lightness of the background and the size of the colour stimulation. Contrary to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where the colours are identified more clearly as the size of the colour stimulation increases (assuming that the lightness of the background is not considered) here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showed that the attributes of the identified colour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lightness of the background and the size of the colour stimulation.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it is possible to resolve errors in colour conversion that can occur when the input image is switched from a large screen size to a mobile size display, and to reproduce the colours more accurately and improve the image qu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