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기초교과목의 분반 방식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식 분석

        홍성연(Seong-youn Hong)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5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3 No.4

        대부분의 대학에서 교육과정을 수강하는데 필요한 기초지식이 되는 수학, 과학, 영어, 글쓰기 등을 신입생 때 필수 이수해야 하는 기초교과목으로 지정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초교과목의 교육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 분반 방식에 주목하고, 전공별 분반(이하 전공반)과 전공통합 분반(이하 통합반)이 기초교과목 교육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대한 교육주체의 인식을 검토하였다. 수학, 과학, 영어, 글쓰기 등 기초교과목을 담당하는 교수자 31명을 대상으로 분반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교수자들은 통합반이 전공반에 비해 상호작용 면에서는 부정적이었지만, 수업분위기를 주도하거나 학업동기를 이끈데 긍정적이라고 지적하였다. 과학교과 교수자는 상대적으로 전공반을 선호하였으며, 글쓰기와 영어교과 교수자는 상대적으로 통합반을 선호하였다. 통합반으로 기초교과목을 수강하는 학습자 418명에게 분반에 대한 설문을 진행한 결과 다양한 전공의 학생들과의 교류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전공반보다 통합반을 선호한다는 응답이 많았다. 이 연구는 대학의 기초교과목의 교육환경으로서 분반방식에 대해서 생각해보도록 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instructors’ and students’ preference for classroom composition in basic skills courses. The participants were 31 instructors who had taught in both the single-major students’ classroom and multi-major students’ classroom in A university. In the study, 418 freshmen belonged to basic skills courses including math, science, English, and writing.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teraction in the single-major classroom was better than in the multi-major classroom; however, class atmosphere and instructors’ preference was better in the multi-major classroom than in the single-major classroom. Science instructors seemed to like the classes composed of the single major students; however, English instructors and writing instructors preferred the classes composed of several major students. Students had a strong preference for the classes composed of the several majors’ students because they expected to expand their human network and had a chance to interact with the different major students. The paper proposed further studies and offered some limitations.

      • KCI등재

        교직과정 예비교사양성을 위한 학습자지원체제

        홍성연(Hong Seong-youn)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2 敎育問題硏究 Vol.0 No.45

        일반대학 교직과정은 사범대학에 비해 상대적으로 교육여건과 대학 내 지원이 취약한 경우가 많다. 본 연구는 일반대학 교직과정에서 유능한 예비교사를 양성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효과적인 학습자지원체제를 구축할 것을 제안하였다. 학습자지원은 학습자들이 원활한 대학생활을 유지하고 의도한 학습 성과를 이루도록 지원하는 학술적, 정서적, 행정적 지원을 의미한다. 최근 대학의 산업화와 공동체 문화의 쇠퇴 속에서 체계적인 학습자지원은 대학 경쟁력을 높이고 고등교육의 질을 제고하는 효과적인 방안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지원체제의 개념과 등장배경을 소개하고, 교직이수자가 교직이수 여부를 선택할 시점부터 교원자격증 취득 후 임용고사를 준비하는 과정에 이르기까지 유기적인 학습자지원체제를 구축하는 방안으로써 교직과정 차원, 전공 차원, 단과대학 차원, 대학 전체 차원의 학습자지원이 이완결합의 형태로 연결된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framework of the student support system for pre-service teacher of teacher training course at university. Based on the industrialization of universities and the decline of community culture among students, students support system appears to have developed from a university policy that aims to improve the existing quality of teaching and learning. Student supports belongs to the academic support and non academic support such as emotional and administrative dimension. Recently, some universities try to provide the systematic student support by combining student support programs and services to the system. The pre-service teacher course of non-teachers' college requires the construction of student support system for those who are considering to enroll in this course. The support system will continues until the time they graduate and prepare to take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According to the need of students and course requirements, the division of pre-services teacher course will design a loosely coupled system for student support which combines the programs, services, policies, people, and organizations in universities and communities.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education quality in the pre-service teacher course of non-teachers' college.

      • KCI등재

        대학생 핵심역량진단평가(K-CESA) 중복응시자의 인식과 교육경험

        홍성연(Seong youn Hong)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15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0 No.4

        역량은 대학의 교육성과를 확인할 수 있는 지표 중 하나이다. 대학에서 성실하게 생활한 학생들은 학년이 높아지면서 역량도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라 예상되지만,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개발한 대학생핵심역량진단평가(이하 K-CESA)에 두 차례 이상 응시한 학생들의 역량점수를 살펴보면 중복응시자의 역량이 일관되지 않게 변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K-CESA 전 영역에 두 차례이상 응시한 학생 여섯 명을 대상으로 K-CESA 응시이유, 진단과정, 결과인식, 대학에서의 교과 및 비교과 교육경험 등을 인터뷰하여 중복응시자의 점수가 일관되게 변화하지 않는 이유에 접근해보고자 하였다. 학생들이 K-CESA에 중복 응시한 가장 큰 이유는 역량변화 정도를 점검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과제 등 더 급한 일이 생기거나, 문제가 지난번과 동일한 것을 알았을 때 진단에 불성실하게 참여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학생들은 진단결과를 어떻게 활용해야 하며, 부족한 역량을 보완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 잘 알지 못하였다. 상대적으로 역량이 높은 우수집단은 교내외 활동에 적극적이고 학년이 높으며 회사나 군대 등 조직경험이 있는 편이었으며, 역량이 낮은 미흡집단은 신입생 때 대학적응에 어려움을 겪었거나 시간 관리에 미숙하고 대인관계나 비교과 활동에 소극적인 경향을 보였다. 논의부분에서 효과적인 역량진단과 결과활용방안, 후속연구 등을 제언하였다. The Korea Collegiate Essential Skills Assessment (K-CESA), funded by KRIVET, is the eminent tool to assess the collegiate competencies. This research is concerned with the process of how examinees take the K-CESA and particularly focuses on the examinees` perspectives of the K-CESA. In this stud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six `A` university students among forty-seven examinees who repeatedly took the K-CESA. Interview questions were about collegiate experience and the K-CESA such as motivation for, time, and place of taking the K-CESA, the perception and application of the results, and the relevance between college life and the K-CESA. The responses were coded with Nvivo 10.0. This study found that the students were concerned about their competencies, and those actively participating in collegiate experiences got higher scores on the K-CESA. The examinees` experience, such as working in a company and serving in the arm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test scores. Finally, this paper discusses several suggestions on how to motivate students to engage proactively in college life, how to provide elaborate feedback based on sub-competencies, and how universities collaborate with the K-CESA provider to develop a support program.

      • KCI등재

        혁신저항이론에 근거한 대학교수의 e-티칭포트폴리오 이용 활성화 방안 탐색

        홍성연 ( Seong Youn Hong ),신종호 ( Jong Ho Shin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3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9 No.3

        최근 대학에서 교육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도입을 시도하고 있는 e-티칭포트폴리오의 이용을 확산시키기 위해서는 초기 수용자들의 저항이유를 분석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실천전략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혁신저항이론을 바탕으로 e-티칭포트폴리오 확산의 초기단계에서 활용주체들이 느끼는 저항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지원방안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약 3개월간 e-티칭포트폴리오 시범운영에 참여한 교수들을 대상으로 초점집단 인터뷰, 혁신저항이론에 근거한 개방형 문항의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시범운영과정에서 도출된 계획서, 사용의견보고서, e-티칭포트폴리오 개발자료 등 산출물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수들은 대체로 e-티칭포트폴리오 활용의 목적과 취지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지만 실제적인 활용도는 높지 않았으며 향후 이용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태도를 나타냈다. 또한, e-티칭포트폴리오의 혁신특성에 대해 교수들은 상대적 이점, 호환성, 시도가능성, 관찰가능성 등을 낮게 지각하고 있었으며, 복잡성과 위험성에 대해서는 높게 지각하고 있었다. 저항원인을 극복하고 e-티칭포트폴리오의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학습관리시스템 등 기존 학교포털시스템과 연동을 통한 유사미디어와의 차별화 전략, 내용의 공유권한기능 정교화 및 보안 강화, 수업에서의 활용 방안 보급, 모바일 네트워크와의 연동을 통한 접근성 및 상호작용성 증진, 활용목적에 맞는 정확한 가이드라인과 교육훈련 제공, e-티칭포트폴리오 작성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적극적 홍보 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faculty resistance of application e-teaching portfolio as a cutting-edge educational technology.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understand faculty members` acceptance of e-teaching portfolio based on innovation resistance theory, and suggest the support and design strategies to reduce and overcome their resistance. Thirteen voluntary faculty members participated in developing their own e-teaching portfolio during three months using the newly introduced e-teaching portfolio system in A university. However they were inactive to write their reflection, upload the data and interact students and colleague with e-teaching portfolio. Focus group interview and survey were conducted based on innovative resistance theory, and the faculty members` products of the developing process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reason for the behavior. As the results, the faculty members agreed to the necessity of e-teaching portfolio, while they were negative to use it in the future. Also, they perceived that relative advantage, compatability, triability and observability of e-teaching portfolio were low, and that complexity and perceived risk were high. To overcome their negative perception, this paper suggested several strategies: differentiation strategies from LMS or blog, strength of the functions about sharing data and protecting personal information, supplement of the teaching strategies with it, enhancement of accessibility linking it with mobile technology, provision of guidance and training, and promotion of educational effectiveness.

      • KCI등재

        토픽 모델링 분석 기법을 활용한 대학의 학생 지원 연구 동향 분석

        홍성연(Seong youn Hong),최재원(Jae won Cho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8

        최근 대학생의 적응과 학습을 어떻게 지원해야 하는가가 대학가의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고등교육이 일찍부터 발전한 서구에서는 학생 지원이 대학의 주요 업무이자 연구영역으로 고려되어 왔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최근에 들어서야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와 서구에서 대학의 학생 지원에 대한 연구가 어떻게 이루어져왔는지 비교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2015년까지 출간된 학생 지원과 학생 서비스 분야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국내 논문으로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의 교육학 분야 등재(후보) 논문158편과 국외 논문으로 SCOPUS의 대학 관련 저널의 논문 294편의 제목, 초록, 키워드를 분석 하였다.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기반 토핑모델링 기법에 의해 한글은 11개 토픽으로, 영어는 10개 토픽으로 분류되었다. 한글논문에서 가장 많은 논문이 발표된 주제는 ‘장애 지원’, ‘서비스 만족’이었으며, 영어 논문은 ‘교육기회 확대’, ‘테크놀로지 지원’이었다. 한글논문과 영어논문 모두 2011년 이후 출간된 논문이 약 50%에 이르는 등 이 주제에 대한 관심이 급격하게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 particularly in student support in higher education and to compare the research topics between Korean and English articles using topic modeling. Recently, universities try to provide support programs to help students adjust to the university and to succeed in their studies. These programs are called student support programs, student services, or student affairs. Using RISS and SCOPUS databases, titles, keywords, and abstracts of 158 Korean articles and 294 English articles were collected. In each of these Korean and English articles, were extracted 1,685 and 2,630 index terms and 11 topics and 10 topics by topic modeling technique, LDA (Latent Dirichlet Allocation). The topics related to ‘disabilities service’ and ‘service quality’ were the large portion in Korean, however, ‘education opportunity’ and ‘technology support’ were the most focused topics in English articles. At the latter part, the characteristics between Korean and English student support topics were compared. This research is meant to improve how to handle and how to systematically approach student affairs in Korea.

      • KCI등재

        원격고등교육기관별 우수 학습자 특성에 대한 학생들의 수행 및 인식 비교

        홍성연 ( Seong Youn Hong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09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5 No.4

        본 연구는 우수한 원격학습자의 특성에 대한 학생들의 실제 수행 및 인식이 원격고등교육기관별로 어떤 차이가 있는가를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9명의 우수한 원격학습자와 7명의 원격교육 전문가에 대한 심층인터뷰를 통해 원격학습자의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34개 특성들을 규명하였다. 다음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각 특성에 대한 기관별 원격학습자들의 수행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사이버대학 학생들은 학업비전이나 학습관리 관련 특성들이, 방송대 학생들은 협력 관련 특성들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Q 방법론에 기초하여 각 특성들에 대한 우수 원격학습자들의 인식 차이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사이버대학과 원격대학원의 우수학습자들은 학업비전이나 학습관리 등을, 방송대 우수학습자들은 적절한 매체와 학습전략의 선택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차이가 각 원격고등교육기관의 교수학습체제에서 기인했음을 논하고, 이에 맞는 학습자 지원체제를 구축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As increasing the demand on specialization of the distance education, the distance universities need to organize the learner support systems appropriate to their distance learners` characterist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performance and perception on the successful distance learners` characteristics in three different distance universities such as open university, cyber universities and distance graduate schools. First, 34 successful distance learners` characteristics were verified by qualitative research based on interviews of 9 successful online learners and 7 distance education experts. Second, the survey of 171 distance learners was conducted in order to compare the performance of the 34 characteristics among three different universities.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that cyber universities` students had been excellent in the characteristics in related to the vision and management of studies and open universities` students had outstanding collaborative and cooperative characteristics. Third, as the result of comparing the perception of 9 excellent distance learners who had been participated in the interviews, on the basis of Q method, the 6 successful learners of cyber universities and distance graduate schools considered that the characteristics in related to the visions and managements of studies were important. The 3 outstanding students of open universities thought that the characteristics to select appropriate learning strategies and media to study were essential of successful studies. Finally, there were discussed the relations between the learners` characteristics and teaching and learning system of distance universities.

      • KCI등재

        이러닝 설계에서 "IMS Learning Design"의 의의와 가능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임철일 ( Cheol Il Lim ),홍성연 ( Seong Youn Hong ),김선영 ( Sun Young K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09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5 No.4

        본 연구는 `활동 중심`으로 이러닝을 설계하기 위해 교수설계 맥락에서 IMS Learning Design(IMS LD)을 검토하고 이것이 이러닝 설계에 주는 교육적 의의와 가능성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MS GLC에서 개발한 학습활동의 표준인 IMS LD는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자가 특정한 학습목표를 성취할 수 있도록 `학습활동`, `학습자원`, `학습지원` 등을 설계·개발하는 것을 도와주는 구체화된 언어이자 구조틀이다. IMS LD는 다양한 학습자의 역할을 설정하고 역할에 따라 서로 다른 학습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속성`, `조건`, `공지` 등의 기능을 활용하여 학습활동의 진행 과정에서 요구되는 교수자의 개입을 일정 부분 설계에 포함함으로써 이러닝 설계 영역을 수업 운영까지 확대하고, 적응적·협력적 이러닝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는 IMS LD에 기반한 이러닝 설계를 위하여 순서도, 청사진, 스토리보드 플랫폼과 같은 절차적 방안을 제안함으로써 학습활동 중심의 이러닝 설계가 어떻게 가능한가를 탐색적으로 보여주려고 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investigate the main points of `IMS Learning Design (IMS LD)` and to suggest specific directions and procedures for e-learning design by the IMS LD specifications. IMS LD is an alternative standard for e-learning design with the focus of learning activity developed by IMS Global Learning Consortium and a structural framework or a meta-language that supports to design and develop the learning activities, learning resources and learning supports. According to IMS LD, learners participate in the multi-rol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of the collaborative learning activities based on different pedagogical approaches. The functions of properties, conditions and notifications support the description of individualized learning design and lessen the engagement of instructors in process of learning activities. The implications of IMS LD in e-learning design are to expand the boundary of e-learning design from contents-oriented design to activity-oriented design and to suggest the possibilities of adaptive and collaborative e-learning. In order to specify and guide the design and development procedure and to help the communication between e-learning instructional designers and developers such as computer programmers, this study suggested the flowchart, blueprint, and storyboard platform for IMS LD in e-learning.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양측 난관 절제술 후 체외수정술에 의한 병합임신

        김주 ( Joo Yeon Kim ),박아미 ( A Mi Park ),박신영 ( Shin Young Park ),홍성연 ( Seong Yeon Hong ),한치동 ( Chi Dong Han ),최윤석 ( Youn Seok Choi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2 No.8

        Although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is associated with higher rates of interstitial pregnancy and heterotopic pregnancy, heterotopic pregnancy after bilateral salpingectomy is still extremely rare. We report a case of heterotopic pregnancy after bilateral salpingectomy in an in vitro fertilization/embryo transfer patient, who underwent cornual resection by laparotomy due to ruptured cornual pregnancy. However, 3 days after surgery, the remaining intrauterine pregnancy miscarried, and a dilatation and curettage was performed.

      • KCI등재

        "IMS Learning Design" 기반 이러닝 설계원리에 관한 연구

        임철일 ( Cheol Il Lim ),김선영 ( Sun Young Kim ),홍성연 ( Seong Youn Hong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0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6 No.4

        Instructional Management Systems Learning Design(IMS LD)은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자의 학습활동을 중심으로 이러닝을 설계, 개발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구조틀이자 언어이다. 학습활동 중심의 이러닝 개발이 보편화되기 위해서는 IMS LD 기반의 구체적인 이러닝 설계원리를 규명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IMS LD 기반의 이러닝 설계원리를 개발하고,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개발연구의 방법 및 절차에 따라 관련 문헌 분석을 통하여 설계원리와 이론적 구성 요소를 도출하고, 해당 설계원리를 적용한 이러닝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프로그램에 적용된 설계원리에 대한 연구 참가자의 의견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총 여덟 개의 설계원리가 도출되었으며, 각각의 설계원리는 "학습내용 및 학습활동 구성 전략", "학습설계 개발 전략", 그리고 "학습관리 전략"이라는 세 개의 이론적 구성 요소에 포함되었다. 참가자의 의견을 분석한 결과, 본 설계원리의 주요 강점으로 "학습내용과 학습활동의 통합적 설계에 따른 학습의 편이", "역할에 따른 학습내용 및 학습활동 설계에 따른 역할 인지 및 적극적인 활동 참여", 그리고 "설계 단계에서의 공지 설계에 따른 이러닝 프로그램의 운영 및 관리의 용이"가 도출되었다. 또한, 약점을 고려한 주요 개선점으로는 "학습활동 설계에 대한 가이드라인 제공", "사전지식을 포함한 다양한 학습자의 특성에 대한 고려", 그리고 "이메일 이외의 다양한 방식을 활용한 공지 설계"가 제안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design principles for IMS Learning Design (IMS LD). IMS LD is a framework and language to design and develop e-learning program based on learners` learning activities for achieving learning objectives in e-learning environments. The study was conducted by development research methodology: devising design principles and three theoretical components from the relevant literature review; developing e-learning program bv applying these design principles; and finally, gathering and analyzing the participants` responses about the design principles by workshop, survey, and interviews. Eight design principles were developed, and these principes were categorized by three theoretical components: strategy for constructing learning contents and learning activities; strategy for developing learning design; and strategy for learning management. The participants` responses in the survey and interviews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the strengths, weaknesses, and improvements of the design principles. The strengths included "designing learning contents and learning activities together", "designing learning contents and learning activities which are appropriated to roles", and "designing the expected notification included". The weaknesses and improvements included "providing the guideline for designing learning activities", "considering learners" characteristics including prerequisites", and "designing notification media variously". These findings can be reflected on the new design principles and the optimal principles can be developed by design-based research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