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의 다중시민성 수준에 따른 잠재계층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현재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22 사회과교육 Vol.61 No.4

        This study analyzed latent classes according to the level of multidimensional citizenship of adolescents and identified factors affecting them. More specifically, focusing on criticism of existing homomorphic citizenship education based on the world culture persp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factors of heterogeneously classified potential classes in the population to find ways for individualized citizenship education for teenagers. To this end, Latent Profile Analysis (LPA)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the 9th year of the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 (GEPS) (2020, third year of high school).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ultidimensional citizenship composed of personal citizenship, social citizenship, spatial citizenship, and temporal citizenship was classified into a high individual-high social citizenship group (upper group, 40.2%), a high sociallow spatial citizenship group (middle group, 49.7%), and a low individual-low spatial citizenship group (lower group, 10.1%). Second, the level of multidimensional citizenship of adolescents was classified into three classes. In common, spatial citizenship and temporal citizenship had very low levels. Third, in terms of individual factors, the value of student participation was positively significant in the upper group, whereas it was negatively significant in the lower group, indicating that the higher the recognition of the value aspect of student participation,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upper group. Fourth, the higher the self-understanding of career paths, the more positively it worked on the formation of multidimensional citizenship of the upper group.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 relationship with the community recognized by the teacher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upper group and that how the teacher was recognized in the community with a relationship was a significant factor. Through these results, individualized and practical student participation-centered multidimensional citizenship education according to the multidimensional citizenship level of youth is required and awareness of multidimensional citizenship to understand others and the environment in a different time and place is necessary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addition,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citizenship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career education is needed. Moreover, teachers should establish an organic educational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the local community. 본 연구는 청소년의 다중시민성(multidimensional citizenship) 수준에 따른 잠재계층을 분석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세계 문화 관점(world culture perspective)에 바탕을 둔 기존의 동형화된 시민교육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모집단 내 이질적으로 분류된 잠재계층의 요인을 분석하여청소년들의 개별화된 시민교육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경기교육종단연구(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 GEPS) 2020년 9차년도(고등학교 3학년) 자료를 활용하여 잠재프로파일분석(Latent Profile Analysis: LPA)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적 시민성·사회적 시민성·공간적 시민성·현재적 시민성으로 구성된 다중시민성은 ‘높은 개인-높은 사회적 시민성 집단(상위 집단, 40.2%)’, ‘높은 사회-낮은 공간적 시민성 집단(중위 집단, 49.7%)’, ‘낮은 개인-낮은 공간적 시민성 집단(하위 집단, 10.1%)’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청소년들의 다중시민성 수준은 3가지 계층으로 분류되었으나 공통적으로 공간적 시민성과 현재적 시민성이 매우 낮았다. 셋째, 개인 요인에 있어 학생 참여에 대한 가치는 상위 집단에서 정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지만, 하위 집단에는 부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 학생 참여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상위 집단에 소속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진로에 대한 자기 이해가 높을수록상위 집단의 다중시민성 형성에 긍정적으로 작용하였다. 다섯째, 교사가 인식하는 지역사회와의 관계가 상위집단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교사가 어떻게 지역사회를 인식하고 어떠한 관계를 맺고 있는가가 유의미한 요소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청소년의 다중시민성 수준에 따른 개별화되고 실질적인학생 참여 중심의 다중시민성 교육이 요구되며, 다른 시공간에 존재하는 타인과 환경을 이해하는 다중시민성에 대한 자각이 세계시민교육의 필요조건임을 명시하였다. 또한, 진로교육과 연계한 시민성교육의 학제적 접근과 교사들이 지역사회와 유기적인 교육 협력의 관계를 맺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대서양사’ 연구의 현황과 전망

        현재열(Hyun, Jae-Youl)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2018 해항도시문화교섭학 Vol.0 No.18

        ‘대서양사(Atlantic history)’는 1990년대부터 초기 미국 역사나 아메리카 식민지의 역사를 연구하는 미국의 역사가들을 중심으로 제기된 역사학의 한 분야이다. 이 글은 대서양에 대한 수많은 역사연구에 기초하여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는 장기간에 걸친 대서양의 역사를 기록한 폴 뷔텔의 『대서양』을 중심으로 대서양사의 연구성과와 현 상태를 점검하고, 아울러 지금까지 주기적으로 나온 대서양사에 대한 방법론적 논의들에 기초하여 대서양사 분야 설정의 타당성을 검토해 보았다. 뷔텔의 『대서양』은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짐에도 유럽중심주의로 평가할 수 있는 한계를 지니고 있고, 이는 사실 현재 대서양사가 가진 한계이기도 하다. 이에 기초해 판단할 때 현재의 대서양사는 큰 틀에서 ① 해양권역 설정의 경직성, ② 유럽인의 팽창과 아메리카 식민 개척사에 대한 과도한 집중, ③ 노예제 및 노예무역의 역사의 포섭이 가진 부적절함이라는 세 가지 문제를 지니고 있다. This paper is to examine whether the arguments on the originality and the uniqueness of the ‘Atlantic history’ as a field in history proposed since 1990s are relevant from the standpoint of the ‘Sea(Ocean)-based history’. For this purpose, I will look at its definition and object ranges relying on the review essays involved in it, and advance a critical perspective on it on the basis of Paul Butel"s The Atlantic. His The Atlantic has a time range that spans from the Antiquity to the twentieth century beyond the Atlantic history"s time range(the sixteenth to the eighteenth centuries), and has its own characteristic that it appreciates the exchange axis of the Atlantic since the early modern age to be evolved from East-West axis to North-South axis. Even if Butel"s book has these merits, nonetheless it takes the evolution of European explorations and their perceptions of the Atlantic as the basic framework, thus exposing awfully the Eurocentric perspective. This is not only the limitation of Butel"s book but also the reflection of the Atlantic history"s defect, since he wrote his book relying on the contemporary works of Atlantic history.

      • 과학기술단지의 조성 동향과 향후 정책추진 방향

        현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997 연구보고 Vol.- No.-

        본 연구는 기존의 문헌 연구를 토대로 과학기술단지의 개념을 총괄적으로 정리하여 과학기술단지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였으며, 국내외 과학기술단지의 조성 동향을 분석하고, 과학기술단지의 유형 및 유형별 특정올 정리하였다.또한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진 과학기술단지 조성의 대표적인 성공사례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과학기술단지 조성의 성공요인에 대하여 정성적인 분석을 수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의 과학기술단지의 조성 역사 및 최근의 동향을 정리하였고, 당면과제 및 향후 방향을 제시하였다.본 연구는 과학기술단지 조성과 관련하여 기존에 단편적으로 제시된 내용들을 종합적으로 정리하려고 노력하였으나 논리적 구성 측면에서 한계를 가지고 있다. 즉, 기본 문헌고찰을 중심으로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이 분야의 기초연구로 볼 수 있고, 향후 심도있는 연구가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향후의 연구방향으로는 다음과 같은 점을 들 수 있다.첫째, 현재 과학기술처, 통상산업부, 건설교통부, 보건사회부, 국방부, 지방자치단체 퉁 여러부처에서 첨단산업기술단지를 조성하는 정책에 관여하고 있는 반면에 그 효율성에 많은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여러부처에서 산별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첨단산업기술단지 조성에 관한 정책 효율성올 추구하기 위한 정책조정 메카니즘에 대한 연구가 추진되어야 한다. 특히 지역별로 과학기술기반의 축적 정도 및 산업기반 구축의 정보가 다름으로 해서 지역별로 과학기술단지를 조성하는데 있어서 차별적인 접근방법이 제시되어야 하고, 지역의 정책의지를 차별화시킬 수 있는 정책대안들이 제시되어야 한다. 또한 현재 실질적으로 진척되지 못하고 있는 첨단산업연구단지의 조성 지역에 있어서 세부적인 검토를 통하여 계획에 대한 전면적인 재검토도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둘째, 지역에서의 산학협동의 장올 조성하기 위한 프로그램개발이 필요하다. 일본의 리서치코아(research core) 프로그램과 같이 중앙과 지방의 협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정책 메카니즘 개발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최근 통상산업부가 산업기술기반 조성을 위한 투자를 확대하려고 하고 있으나,효과적인 정책메카니즘의 개발없이는 국가예산의 낭비를 초래 할 가능성이 크다. 또한 과학기술처가 추진하고 있는 우수연구센터 (SRC!ERC) 그리고 지역협력센터 (RRC)를 확대발전시켜 협동연구단지화 시키는 방안 퉁이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셋째, 선진외국의 과학기술단지 조성에 대한 피상적인 고찰연구를 보다 심도있게 진행시키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선진국의 경험을 깊이 있게 분석하여 우리나라의 실정에 적합한 과학기술단지 개발모형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는 선진국과는 달리 토지비용이 비싸고, 국민 성향이 수도권 집중적인 특성올 지니고 있다. 또한 지역 산업부문도 선진국과는 달리 기술력이 취약하여 지역산업계의 기술수요가 첨단과학기술이라기 보다는 현장기술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다.또한 대학의 연구개발능력도 선진국들에 비하여 취약하고 특히 현장기술능력이 취약하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상황적 인식하에 우리나라의 지역기술혁신체계를 발전시킬 수 있는 연구단지모형개발이 필요하다.넷째, 현재 대학올 중심으로 붐을 이루고 있는 산학협동연구단지의 조성 이후 협동연구단지의 운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 지기 위한 방안 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아직 우리나라는 대학중심 산학협동연구단지가 건설단계에 있고, 향후 2~3년뒤에는 본격적인 운영체제가 구축될 것으로 기대된다.이에 대비한 사전적인 연구로 선진대학의 산학협동연구단지의 운영실태에 대한 조사분석하고 우리나라의 실정에 적합한 운영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다섯째, 최근 활성화되기 시작하고 있는 창업보육센터의 성공적 운영 조건의 탐색을 위한 연구를 통하여 창업보육기업이 성공적으로 성장독립할 수 있는 환경조성을 도모하여야 할 것이다. 이제 씨앗이 뿌려지고 있는 중소기업 창업 촉진시책이 조기에 정착되기 위해서는 시범적인 성공사례 발굴 뿐만 아니라 성공적인 창업보육센터 운영모델을 육성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

        ‘바다에서 보는 역사’와 8∼13세기 ‘해양권역’의 형성

        현재 부산경남사학회 2015 역사와 경계 Vol.96 No.-

        This article attempts to outline the ‘history seen from the sea’, a trend of the World history, and depict its meaning of historical methodology. In addition to that, it sumts the ‘Sea-Areas’ as an historical analytic frame on which the history have to rely, interrogating some problems posed on the ‘history seen from the sea’ now. And then, it determines tentatively when these sea-areas had constituted on a worldwide scale and what their extents were respectively: Seven sea-areas which had constituted over a long time span between the eighth to the thirteenth centuries. The ‘hsitroy seen from the sea’ has made a effort to break out of the history which focus on the borderness and the hierarchy of human communities, the historical perspective of the nation involved by the continent-centered history, by the exploration of human activities on the sea that is a space with fluidity, multifacedness, and superposition. Thus, it has showd the possibilities that it would escape from the frame of the national history which has dominated the modern historical scholarship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modern history in the nineteenth century, and free the historical writings of non-european regions from the eurocentrism that has defined them under the ‘project of enlightenment’. Nonetheless, it can't be said yet that the ‘history seen from the sea’ liberates successfully from these perspectives of the national history and the eurocentrism. Among others, we can often see that this ‘history’ rather dismiss intentionally the dark side of the modernity, that is, the coloniality by bringing the surmounting of the ecurocentrism into the front as well. Here, we are forced to ask this question: How should the new historical writings of true ‘world history’ charge the class, hierarchy, and exploitation of the modern capitalism? 이 논문은 인간의 역사를 장기적 전망 하에서 전 지구적 시야 속에서 접근하는 세계사 연구 경향 중 하나인 ‘바다에서 보는 역사’를 대략적으로 살펴보고 그 역사방법론적 의미를 그려본다. 나아가 ‘바다에서 보는 역사’가 현재 가지고 있는 몇 가지 문제점을 살펴보면서, 역사라면 당연히 가져야 할 연구 및 분석 단위로서 ‘해양권역’을 상정한다. 그리고 현재까지의 여러 실증적 연구성과에 기초하여 ‘해양권역’의 전 세계적 범위의 형성 시기와 그 범위들의 설정을 시론적으로 시도하여, 8세기에서 13세기에 걸치는 장기적인 국면 속에서 이루어진 7개 정도의 ‘해양권역’들을 제시한다. ‘바다에서 보는 역사’는 지금까지의 대륙 중심의 역사가 가지는 국가사적 전망, 인간 집단의 경계성에 초점을 두는 역사에서 벗어나 유동적이면서 중첩적인 열린 공간인 바다를 중심으로 인간 활동의 역사적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러하기에 ‘바다에서 보는 역사’는 분명 19세기 근대 역사학의 성립 이후 역사를 독점해 온 국가사의 틀을 벗어나면서, 동시에 ‘계몽의 기획’ 속에서 비유럽 세계의 역사서술을 규정해온 유럽중심적 역사서술을 탈피할 가능성을 충분히 보여주었다. 그럼에도 아직까지 ‘바다에서 보는 역사’가 완전히 이런 국가사적 전망과 유럽중심적 역사서술을 벗어난 것은 아님을 확인하였다. 무엇보다 ‘바다에서 보는 역사’가 내세우는 유럽중심적 역사서술의 탈피가 오히려 근대성의 전개가 내포하는 ‘어두운 면’, 즉 식민성에 대한 의도적인 외면으로 귀결되고 있는 모습 또한 보여주고 있다. 여기서 진정한 ‘세계사’의 새로운 서술이 과연 근대 자본주의가 가졌던 계급성과 위계성, 착취성을 어떻게 담보하며 전개될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거리를 안게 된다.

      • KCI등재

        [일반논문] 민주화 이후 정당 간 연합에 관한 연구 -DJP연합을 중심으로

        현재호(Hyun Jae-Ho)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04 亞細亞硏究 Vol.4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features and nature of Korean party system by focusing on the DJP coalition that can be considered as a representative form of party coalition after democratization.<br/> The key finding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JP coalition shows that the political parties and political elite compromised their policy in order to obtain their office. However, this point does not imply that the nature of the DJP coalition was merely opportunistic and that it could be considered as an extreme example of office-seeking. Rather, the DJP coalition was based on a political exchange between the two parties in two salient policy issues, economic issues and unification foreign issues. For making this point clear, this study applies the recent multi-dimensional coalition theory to the analysis of the DJP coalition, focusing on the understanding of various contexts to have influenced the DJP coalition.<br/> Second, despite its rational characteristics, the DJP coalition reflected the conservative nature of party competition in general. In other words, the DJP coalition reflects a conservative pattern of party competition deeply rooted in the structure of Korean party politics. In this regard" the DJP coalition can be considered as a<br/> representative case to reflect both the change and continuity in the Korean party politics after democratization.

      • KCI등재
      • KCI등재

        한 여성의 삶을 통해 본 여성과 혁명: 러시아인 `여성 코뮈나르` 엘리자베트 드미트리에프(Elisabeth Dmitrieff)

        현재열 ( Hyun Jae-youl ) 한국여성사학회 2010 여성과 역사 Vol.- No.13

        1871년 파리 코뮌의 여성 활동에서 가장 두드러진 존재는 `파리의 방어와 부상자 간호를 위한 여성 동맹`이었다. 이 `여성 동맹`의 지도자 중 한 사람으로 파리 코뮌의 역사에서 가장 자주 거론 되는 사람에 속하는 이가 엘리자베트 드미트리에프(Elisabeth Dmitrieff)이다. 드미트리에프는 리시아 여성으로 인터내셔널에서 파견한 이로 주목 받았지만, 코뮌이 끝난 후에는 역사에서 사라졌다. 이 진기한 여성의 행적을 살펴보는 것은 19세기 격동하는 유럽 사회에서 지식인 여성이 살아가는 모습에 대해 중요한 시사를 줄 수 있다. 귀족의 자제이고 여성이면서 서출이라는 사회적으로 주변적인 지위로 태어났고, 그리하여 일찌감치 사회적 의식에 눈을 뜬 그녀는 젊은 시기를 스위스의 러시아 망명자 집단 속에서 사회주의 혁명가로서 성장하며 보내었다. 그 뒤 인터내셔널의 본 고장인 런던으로 옮겨 마르크스와 인터내셔널의 주요 인물들과 함께 활동하던 그녀는 1871년 3월 파리에서 봉기가 일어나자 인터내셔널 대표로서 파리로 들어왔다. 파리에서 `여성 동맹`을 조직하고 핵심적인 활동가로 자신의 사회주의적이며 페미니즘적인 생각을 실천에 옮기던 드미트리에프는 코뮌 시기에, 여느 다른 남성 코뮈나르들과 마찬가지로, 자신에게 부과되는 과중한 일들에 피곤함을 드러내었다. 그리고 코뮌이 무너진 후 스위스로 탈출해서는 드미트리에프라는 가명을 버리고 국제적인 코뮈나르 색출 작업을 회피하는데 성공하였다. 그 뒤 러시아로 돌아간 드미트리에프는 얼마 후 다비도프스키라는 의심스런 인물과 사랑에 빠졌다. 이때 드미트리에프는 이미 자신의 본명으로 활동하고 있었고, 다비도프스키를 돕기 위해 자기를 노출하지만 주변 사람들은 그녀가 드미트리에프인지를 알지 못했다. 중범죄를 저질러 시베리아 유형에 처해진 남편을 따라 시베리아로 간 드미트리에프는 혁명세력과는 완전히 동떨어진 삶을 살았고, 나중에는 아주 평범한 주부의 모습으로 돌아갔다. 이런 한 여성의 변화과정은 수많은 정체성을 내포하고 교직하며 전개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것은 실제로 있었던 과정이며 이런 여성 개인의 삶은 실제로 존재하는 여성들의 (집단으로서가 아닌) 삶의 모습을 투영하고 있다고 할 것이다. Elisabeth Dmitrieff was a minority as `illegitimate`, a revolutionary heroine, and a lover who loved a man. She was born of German mother and a Russian aristocrat father. Thus, she was excluded from Russian local aristocratic circle, thereby realizing the social injustice and inequality. She thirsted for knowledges and information which would resolve these questions with age. She left for Geneva by means of `mariage blanc` with an aged aristocrat at the age of Sixteen. There, she attended the Russian section of First International, and took an active part in socialist and labour movement in Geneva. After a time, Dmitrieff had been sent to London as a correspondent of Russian section. She met with Marx and was attracted by his ideas in London. Meanwhile, the Paris Commune began at Paris in March 1871. The General Council of First International had decided to send Dmitrieff to Paris. In Paris, Dmitrieff had exposed herself freely as a revolutionary. She organized `Union des femmes pour la defense de Paris et les soins aux blesses` together with other socialist and feminist women in Paris. `Union des femmes` was the most systematic and influential of popular organizations in the Paris Commune. Furthermore, She fought with arms against Versailles together the `Communardes` in the `Bloody Week.` After the demise of Commune, she escaped from Paris and went to Geneva in secret. In Geneva, she restored energy to the tired body. And then she left for Russia. At that time, she discouraged and demoralized with the socialist movement. After some inactiveness, she run around with a Russian aristocrat, Davidovsky, who presumably had incurred suspicion as a swindler. In spite of advices from her friends, she was fall in love with him. After all, she legally married Davidovsky and accompanied with him into exile. In Siberia, she lost her identities as a revolutionary and socialist coping with many difficulties.

      • KCI등재

        마커스 레디커의 ‘아래로부터의 해양사’: 대항해시대 대서양 선상세계와 자본주의 경제의 형성

        현재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0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1 No.2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historical viewpoint of Marcus Rediker, an American historian typical of the field of Atlantic History, and his historical methods, to expand and diversify the scope and the practices of 'History viewed from sea'. Indeed, he is a preeminent historian practising "the history form below of the early modern Atlantic" and has published many histories receiving many Academic awards. He stands high in estimation that "few historians at work today know the age of sail better" than him. I, therefore, look at his methods on the basis of 'history form below' drawing upon Eric Hobsbawm and his spatial notion of ocean and ship drawing upon Michel Foucault. And then, I review his writ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hipboard world of the early modern Atlantic and the rise of capitalism. To do this, I take the focus on four of his many books: Between the Devil and the Deep Blue(1987) Sea, The Slave Ship(2007), The Amistad Rebellion (2012), The Outlaws of the Atlantic(2014). In my eyes, these are most outstanding books illuminating his perspectives and methodology in general. Marcus Rediker is instructive to our historians in way that he has practiced consistently the 'history from below' which has been often disregarded to be out of fashion in Korea since 2000. He illustrates that it is still valid for the historical practices. Also, he demonstrates that a spatial approaches to sea and ship would reveal many things about the maritime life of human being central to our understanding of the early modern Atlantic and the first globalization. All of these are accomplished through the surprisingly abundant documentations. Nevertheless, his discuss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hipboard world and the rise of capitalism leaves something to be desired, because he "politely sidesteps" to engage deeply with the debates on it. His accounts of the political economy of the early modern remain in the discussions of the economic historians of 1970s and 80s, and fail to include the various discussions of Global economic history evolved since that times. However, given the pivotal role of the Atlantic shipboard life including sailors, slaves, pirates, and motley crews in the rise of capitalism, the significance of his works is underscored because they highlight the perennial questions that should be asked about the phases of modern world history. 본 논문의 목적은, 최근 여러 기회에 주요하게 제시된 ‘바다에서 보는 역사’(또는 ‘해 앙사’)의 연구 범위와 실행 방법을 확장하고 다양화하려는 목적으로 ‘대서양사’ 분야의 대표적인 미국 역사가 마커스 레디커(Marcus Rediker)의 역사관과 그의 연구 방법을 살 펴보는 것이다. 실제로 그는 “근대 초기 대서양의 아래로부터의 역사”를 실천하는 역사 가로 유명하며 자신의 연구 저서로 수많은 학술상을 수상했다. 그는 그보다 “대항해 시 대를 잘 아는 역사가는 별로 없을 것”이라는 높은 평판을 받고 있다. 그래서 본 논문은 그 의 대표작 4개에 주로 기초해, 에릭 홉스봄 등의 논의에 근거한 ‘아래로부터의 역사’와 미 셸 푸코의 배 정의에 입각한 배에 대한 공간 개념에 기반을 둔 그의 역사 연구 방법을 살 펴본다. 그리고 근대 초기 대서양 선상세계와 자본주의 체제의 등장을 연결 짓는 그의 서 술 내용을 살핀다. 마커스 레디커는 2000년대 이래 한국에서는 시대에 뒤진 것으로 종종 치부되던 ‘아래 로부터의 역사’를 실행해온 점에서 한국의 역사가들에게 많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그는 ‘아래로부터의 역사’가 여전히 유효한 역사연구 방법이자 시각임을 보여주며, 바다와 배 에 대한 공간적 접근이 근대 초기 대서양과 등장하는 세계 경제의 이해에 중심적인 인간 의 해양 생활에 대해 많은 것을 드러내리라는 것을 증명한다. 그는 이 모든 것들을 놀랄 정도로 풍부한 자료 조사와 새로운 자료 발굴에 입각해 이루고 있다. 그럼에도 대서양 선 상세계와 자본주의의 등장 간의 관계에 대한 그의 논의는 여전히 아쉬운 부분이 많다. 왜 냐하면 그가 이를 둘러싼 논쟁에 깊이 개입하기를 “정중히 피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 근대 초기의 정치경제에 대한 그의 설명도 1970년대와 1980년대의 경제사가들의 논의에 머물러 있고, 그때 이래 전개된 글로벌 경제사 내의 다양한 논의들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 다. 하지만 자본주의의 등장에서 대서양 선상세계 -선원과 노예, 해적, ‘잡색 무리들’이 살아간- 가 한 중추적 역할을 고려하면, 레디커의 학문적 성취가 가진 중요성은 더욱 두 드러진다. 그런 성취들이 근대 세계사의 여러 국면들과 관련해 끊임없이 제기되어야 할 여러 문제들을 강력하게 조명해 주고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
      • KCI등재

        권력분립이 정당조직과 행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당내정치에 있어서 지도부 선출 및 책임성을 중심으로 –

        玄宰昊 한국의정연구회 2016 의정논총 Vol.11 No.2

        이 논문의 목적은 헌법디자인의 산물인 체제유형이 정당조직과 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당내 리더십 선출 및 책임성의 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대통령제의 본질적 속성이라고 할 수 있는 권력분립이 이 두 가지 문제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대리손실(agency losses)의 두 유형인 역선택(adverse selection)과 도덕적 해이(moral hazard)를 통해 분석한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통령제에 고유한 권력분립적 속성은 당내 리더십 선출 과정에서 정당으로 하여금 조직과 이념에 충실한 당내 후보(insider)보다는 당선가능성이 있는 당외 후보(outsider)를 더 선호하도록 만든다는 것이다. 이는 선거영역에서의 집행부의 기원이 주로 대통령직의 국민투표제적(plebiscitary) 성격에 의존한다는 사실에 기인하는 것으로, 그 결과는 역선택의 증가와 정당조직의 약화로 귀결된다. 둘째, 권력분립적 속성은 정부영역에서도 집행부의 운영이 정당(의회)과는 무관하게 대통령 단독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민주적 통제의 부재와 당내 책임성의 약화를 초래한다는 것이다. 민주주의적 관점에서, 그것은 통제하기 어려운 정치의 엘리트주의적인 성격과 도덕적 해이를 강화시킨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effect of regime types which is the product of constitutional design on party organizations and behavior, focusing on the issue of leadership election and responsibility in the party. For this purpose, this paper analyzes how the separation of powers, which is the essential property of the presidential system, affects these two problems through two types of agency losses: adverse selection and moral hazar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nature of separation of powers inherent in the presidential system makes the political party more favorable to the outsider, who is more likely to be elected than the insider who is faithful to the organization and ideology in the process of leadership selection in the party.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he origin of the executive in the electoral sphere depends mainly on the plebiscitary nature of the presidency, which results in an increase in adverse selection and a weakening of the party organization. Second, the nature of separation of powers is that the operation of the executive in government sphere are made by the president alone regardless of the political party(parliament), resulting in the absence of democratic control and the weakening of accountability within the party. From a democratic point of view, it strengthens the elitist character and moral hazard of politics that is difficult to contr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