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A Review of Video-Based Intervention on Motiv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허유성 한국학습장애학회 2008 학습장애연구 Vol.5 No.2

        The purpose of this review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video-based interventions on improving motiv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SRLS)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LD). An intensive search of the literature between 1980 and April 2007 yielded a total of 14 studies that met the inclusion criteria. Findings included: (a) six types of video-based interventions were identified; (b) five of the six video-based interventions demonstrated effects on motivation and use of SRLS regardless of grade level, curricular area, and classroom setting; (c) the video producing intervention was not effective; (d) the results of studies that compared students with and without LD on motivation and SRLS were not consistent across the dependent variables; (e) authentic tasks, discussion, learner-directed learning, and rich interactions were commonly employed characteristics of effective interventions; (f) compared to single group design studies, treatment/comparison group designs reported mixed results; and (g) settings, intervention implementers, and measures were not associated with the effects of interventions.

      • KCI등재

        국가수준학업성취도 평가결과에서 드러난 기초학력부진 학생의 생태학적 삶 특성

        허유성,나경은,박성기 한국학습장애학회 2011 학습장애연구 Vol.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cological aspects of students with low basic academic skills comparing with ones with basic or average academic skills based on the results of NAEA. For this, we analyzed 21,940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21,651 middle school students’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each group had big differences among ec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amount of reading a month, time to study of one’s own accord, and private education, and degree of conversation with parents, difficulty with beginning study, recognition on effective study strategies, needs to be acknowledged from others, well-integrated relationship with teachers, preparations for class, listening to teachers in class, understanding in class, attention in class, responding to teachers’ questions, utilizing learning materials, and awareness on reasons why they study language arts. In addition, student-related factors that discriminate between students with low basic academic skills and students with basic or average academic skills were analyzed through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elementary or secondary school level respectively. Results were summarized and the study implication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2007년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국어과 성취점수와 동반 수행된 학생 설문 자료를 이용하여 기초학력부진 학생의 일상생활 특성을 비교집단으로 선정된 기초학력, 보통학력 학생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 21,940명과 중학생 21,651명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에 의하면, 한 달에 읽은 책 권수, 부모와의 대화 정도, 집에서 스스로 공부하는 시간, 사교육 시간, 공부 시작의 어려움, 효과적인 공부 방법 인지, 공부로 다른 사람에 인정받고 싶은 정도, 선생님과의 원만한 관계, 수업에 필요한 준비물을 챙기는 정도, 수업시간에 선생님 말씀을 듣는 정도, 수업시간 내용이해, 수업시간 집중 정도, 선생님 질문에 대답하는 정도, 학습지 또는 문제지 활용 정도, 스스로 읽을거리를 찾아 읽는 정도, 국어과가 다른 교과공부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는 정도, 그리고 국어과 공부가 장래 직업에 도움이 된다는 인식 정도에서 집단 간에 차이 정도가 크게 나타났다. 또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학교급별로 기초학력부진 학생과 기초학력 학생, 기초학력부진 학생과 보통학력 학생을 구별할 수 있는 학생관련 요인을 탐색하였다. 논의 및 결론에서는 주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기초학력부진 학생의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스스로 저성취로 인식하는 학습자의 중․고등학교 시기 정서․행동문제 유형과 전이양상 및 관련 변인의 영향

        허유성,김민성 한국학습장애학회 2023 학습장애연구 Vol.20 No.3

        본 연구는 스스로 저성취로 인식하는 학습자의 중․고등학교 시기 정서․행동문제 수준, 유형과 전이양상 및 영향 변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2018’의 중1패널 자료, 3, 5차년도(2020, 2022년)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대상은 3, 5차년도(중3, 고2) 조사에 모두 참여한 1,990명의 학생이다. 이 중 저성취 학생은 중학교가 351명(17.64%), 고등학교는 318명(15.98%)이다. 주요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중․고등 학생의 정서․행동문제 중 위축과 주의집중 문제가 상대적으로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통성취이상 학생보다 저성취 학생의 정서․행동문제 수준이 높았다. 둘째, 정서․행동문제 유형은 정서․행동 안정형, 외현화문제 우세형, 주의집중․위축문제 우세형, 정서․행동문제 관심형, 정서․행동문제 주의형 등 5가지로 분류되었다. 중, 고등학교 모두 정서․행동문제 관심형과 주의집중․위축문제 우세형의 비율이 높았다. 저성취 학생이 보통성취이상 학생보다 중․고등학교 모두 정서․행동문제 관심형과 정서․행동문제 주의형의 비율이 높았다. 셋째, 정서․행동문제의 영향 요인은 스마트폰 의존이 모든 유형에서 일관되게 부정적 요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정서․행동문제의 종단적 전이확률을 분석한 결과, 외현화문제 우세형과 주의집중․위축문제 우세형 간 이동 비율과 정서․행동 관심형과 정서․행동문제 주의형 간 이동이 많았다. 외현화문제 우세형이 정서․행동 안정형으로 이동하는 비율이 높았다. 전이 과정에 스마트폰 의존, 친구관계, 스스로 공부, 저성취 여부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level, type, transition pattern, and influencing variables of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during middle and high school in learners who perceived themselves as low achievers. For this purpose, we used the 3rd and 5th years (2020, 2022) of the 3rd and 5th year of middle school panel data of the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990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3rd and 5th years of the survey (3rd year of middle school and 2nd year of high school). 351 (17.64%) low-achieving students were in middle school and 318 (15.98%) were in high school. According to the results, first, among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ithdrawal and attention problems were found to be relatively severe. Second, the types of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were classified into five types: emotional and behavioral stability type, externalizing problem dominant type, attention․withdrawal problem dominant type,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 attention type, and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 concern type. Third, smartphone dependence was consistently shown to be a negative factor in all types of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Fourth, there was a high rate of movement between the externalizing problem dominant type and the attention․withdrawal dominant type, and between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concern type and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 attention type.

      • KCI등재

        학교생활만족도와 자아개념에 미치는 학업스트레스의 영향에 대한 학교 내 지원적 환경의 완화효과: 고등학교 일반 학생과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의 비교

        허유성,김민성 한국학습장애학회 2012 학습장애연구 Vol.9 No.3

        The social and cultural climate of high schools in Korea have overwhelmingly focused on academic achievement. Without doubt, at-risk students for LD have spent hard time at schools because of their low achievement itself and social and parental pressures on them. They need school-related help with stress as they spend most of their time at school. In this regard, this study tried to find variables that could buffer the negative impacts of stress on students’ school life and their self-concept such as autonomy, 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peers, and collaborative classroom climate. For this, we analyzed 2,104 high school at-risk students with LD and 8,567 general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at-risk students with LD experienced less academic stress than their normal peers. According to buffering effects, relationship with teachers buffered effectively only for at-risk students with LD. In addition, relationship with peers showed buffering effects on the satisfaction of school life and self-concept for both types of students. 본 연구는 학업스트레스로 인한 학교생활만족도와 자아개념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에 대한 학교 내 지원적 환경의 완화효과를 고등학교 학업성취 하위 20%에 해당하는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과 일반 학생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2009년 KEDI ‘학교교육 실태와 수준 분석 연구’에 참여한 고등학생 중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 2,104명과 일반 학생 8,56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에 의하면,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의 학업스트레스는 일반 학생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학생 집단 모두에서 학업스트레스는 학교생활만족도와 자아개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학교 내 지원적 환경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학교생활만족도와 자아개념에 미치는 학업스트레스의 부정적인 영향에 대한 교사-학생 관계의 완화효과는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 집단에서는 유의미하게 나타났지만 일반 학생 집단에서는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학업스트레스의 부정적 영향에 대한 교우관계의 완화효과는 학교생활만족도에서는 두 학생 집단 모두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지만, 자아개념에 대해서는 학습장애 위험군 집단에서만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반면, 학교생활만족도와 자아개념에 미치는 학업스트레스의 부정적 영향에 대한 자율성 허용과 협력적 분위기의 완화효과는 두 집단 모두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학교 내 지원적 환경 중 교사-학생 관계와 교우관계는 모든 학생 집단에서 긍정적인 역할을 수행하였지만 특히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에서 이들 환경의 완화효과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난 것은 위험군 학생을 위한 지원적 관계 구축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

        학습부진 프로그램, 수준별 이동수업 및 사교육이 저성취 중학생의 학업성취도와 자기조절학습능력 변화에 미치는 영향

        허유성,남창우 한국특수교육학회 2009 특수교육학연구 Vol.4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change patterns in low-achieving adolescents' or LD at-risk adolescents' achievements (Korean and Math) and self-regulated learning skills (SRLS) skills, and investigate the factors which affected these change pattern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mployed the datasets of the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test scores of both Korean and Math increased significantly across all levels of adolescent achievement(low-achieving, mid-achieving, and high-achieving adolescents), whereas SRLS skills decreased significantly across all levels of adolescent achievement. Especially, low-achieving adolescents showed lower level of SRLS skills across the three year (from the middle school 1st grade to the high school 1st grad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1) between low-achieving and mid- or high-achieving adolescents, and 2) between mid-achieving and high-achieving adolescents with respect to their SRLS. Both SRLS and private tutoring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the initial status (the middle school 1st grade) and the change rates with respect to the Math scores, but low-achieving supports showed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s on them. In addition, controlling the initial status, neither private tutoring nor level-based clas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change rates with respect to the Math scores. When private tutoring, level-based class, and low-achieving support had effects on SRLS, private tutoring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the change rates with respect to the Math scores, but low-achieving support showed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s on them. 본 연구는 다층모형을 적용하여 저성취 혹은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의 학업성취도 및 자기조절학습 변화패턴을 추정하고, 이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개발원 한국교육종단연구의 4년간의 종단자료를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에 의하면 첫째, 저성취, 중성취, 고성취 집단에 관계없이 모두 국어 및 수학 과목의 성취수준이 중학교 기간 동안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둘째, 중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 청소년들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의 변화양상을 살펴본 결과에 의하면, 성취수준에 관계없이 자기조절학습능력이 오히려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저성취 학생들의 경우에는 동료들에 비해 감소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조절학습능력은 저성취와 중성취 학생 그리고 중성취와 고성취 학생 간에 모두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3년간 수학 성취도의 변화율에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사교육은 정적으로, 학습부진 프로그램은 오히려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기치의 사교육 효과를 통제한 결과에 의하면, 사교육과 수준별 이동수업은 수학 성취도의 변화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자기조절학습능력 검사는 저성취 학생을 구별하는 데 양호한 수준의 도구로 나타났다.

      • KCI등재

        저성취 학생의 중·고등학교 종적전환 과정에서 자기결정적 동기 변화유형과 유형 간 교사-학생관계 및 교우관계의 차이

        허유성,김민성 한국학습장애학회 2014 학습장애연구 Vol.11 No.3

        This study analyzed the student types of identified regulation and intrinsic regulation motivation of students with low achievement in a transition from middle school to high school, and explored the differences of teacher-student and peer relationships among student types. Data from 3th and 5th year Korea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KELS) was used in this study. 523 students with LA including 336 male and 187 femal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is study classified students into four groups such as Low-Low(LL), Low-High(LH), High-Low(HL), and High-High(HH).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overall mean of self-determined motivation was under 3. In identified regulation, HH was the highest, 48.8% and LH was only 9.9%. About intrinsic regulation, LL was 41.3% and LH was 17.4%. About relational variables, in identified regulation student-teacher relationship and peer relationship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groups. However, in intrinsic regula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such findings,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made that relationship could be meaningful variables to enhance students' self-determined motivation in a transition from middle school to high school. 본 연구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조사 3차년도 및 5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저성취 학생들의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의 종적전환 과정에서 자기결정적 동기(확인적 조절, 내재적 조절)의 변화유형과 변화유형 간 교사-학생관계와 교우관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저성취 학생 523명의 데이터를 사용했으며, 남학생 336명과 여학생 187명을 포함하였다. 저성취 학생을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의 종적전환 과정에서 두 시기 자기결정성의 수준에 따라 낮음-낮음(LL), 낮음-높음(LH), 높음-낮음(HL), 높음-높음(HH)의 4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연구결과, 중학교와 고등학교로의 전환과정에서 확인된 조절의 경우, HH의 비율이 48.8%로 가장 높았으며, LH의 비율이 9.9%로 가장 낮았다. 내재적 조절의 경우에는 LL이 41.3%로 가장 높았으며, LH가 17.4%로 가장 낮았다. 한편, 확인된 조절의 변화유형에서 교사-학생관계, 교우관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내재적 조절 변화유형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저성취 학생의 교사-학생관계, 교우관계가 자기결정적 동기의 변화유형 간 차이를 나타내는 변인임을 보여준다.

      • KCI등재

        행복․강점 기반 중재가 저성취 학생의 행복감, 행복하기 위한 의도적 활동, 성격 강점에 미치는 영향

        허유성 한국학습장애학회 2016 학습장애연구 Vol.13 No.2

        This study experimented the effects of a 6-week intervention designed to improve elementary low-achieving students’ happiness, happiness-related activities, and perceptions of their character strengths. This study analyzed the intervention effects using Oxford Happiness Questionnaire, the amount of happiness-related activities, and perceptions of character strengths. A total of 153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64 students were placed at an experimental group and 89 students were placed at a control group. Each group of students was divided into low and normal achieving student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OHQ. However, the amount of happiness-related activities at a post-test was about 2 times more than those of a pre-test at an experimental condition. Furthermore, students’ activities at a post-test changed into more proper ways compared to those of a pre-test. For the strengths, intervention effec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students’ wisdom, courage, justice, temperance, and transcendence. In the case of low-achieving students, there was also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justice.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행복감을 높이고, 자신의 성격 강점을 발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중재를 개발하여 제공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한 실험연구이다. 본 연구에는 총 153명의 학생이 참여하였다. 실험집단이 64명, 통제집단이 89명이다. 각 집단은 성취수준에 따라 보통성취이상 학생과 저성취 학생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중재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옥스퍼드 행복검사, 행복 관련 활동, 성격 강점에 대한 인식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옥스퍼드 행복검사에는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실험집단의 경우, 행복 관련 활동의 빈도수가 사전에 비해 사후에 약 2배 늘어났다. 학생의 전반적인 활동 또한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강점에 대한 인식 변화를 분석한 결과, 지성, 용기, 정의, 절제, 초월 영역에서 중재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저성취 학생만을 비교한 결과에서는 지성, 용기, 절제, 초월에서 차이를 보였다.

      • KCI등재

        중학교 읽기 통합수업에서 PBL 기반의 정착적 교수법이 읽기 학습장애 및 일반 학생의 학업성취도와 교수-학습 활동에 미치는 영향

        허유성 한국특수교육학회 2008 특수교육학연구 Vol.4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roject-based anchored instruction in reading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classroom activities of students with and without learning disabilities (LD) enrolled in a seventh-grade general education classroom setting. Two teachers and 80 randomly selected students including 28 students with LD participated in the study. A quasi-experimental comparison-group design was utilized, experimental classes received the anchored instruction, and comparison classes received non-anchored instruction. Measures included a curriculum-based achievement test and TOSCRF.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students in PBL-based anchored instruction statistically outperformed students in non-anchored instruction on the curriculum-based academic achievement test. It is an important finding because it supports the notion that integrating complex PBL-based constructivist approaches with technology can be the effective way of enhancing students with and without LD's understanding of the novel.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on the reading fluency demonstrated that student-lead learning produced similar academic outcomes than those of teacher-lead classes.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PBL-based anchored instruction changed the classroom activities significantly and increased the frequency of interaction between a teacher and students with LD.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통합교실에서 읽기 학습장애를 가진 학생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전략의 하나로 프로젝트 기반(PBL)의 정착적 교수법(anchored instruction)을 제안하고 그 효과를 탐구하였다. 또한, 소그룹 활동이 강조된 정착적 교수법을 활용하면 읽기 수업의 교수-학습 활동이 어떻게 변하는지, 교사와 학습장애를 가진 학생 간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탐구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중학교 읽기 수업 교사 2명과 학생 141명이 참가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PBL 기반의 정착적 교수법이 교사 중심의 교수법과 비교했을 때, 읽기 과제에 대한 학업성취도가 높았고 읽기 유창성은 두 집단 간 차이가 없었다. 특히, 정착적 교수법이 소설의 주제와 등장인물을 분석하는 고차적인 사고가 필요한 영역에서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교사와 읽기 학습장애를 가진 학생 간의 상호작용이 증가하고, 읽기 수업의 교수-학습 활동유형과 시간에 큰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위치 측정 센서를 이용한 새로운 불꽃 감지 방법

        김수철(Soocheol Kim),이강복(Kang Bok Lee) 한국화재소방학회 2021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추계

        일반 화재 감지기는 화재에서 발생 되는 열, 연기, 불꽃, 연소가스, 연소음과 같은 연소생성물을 감지하여 화재를 판별한다. 특히, 불꽃감지기는 원거리에서 신속한 화재 감지가 가능하여 열 및 연기 감지기 설치가 제한적인 곳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기존 불꽃감지기는 불꽃에서 방사되는 자외선, 적외선을 광검출기로 측정하여 온도를 분석하거나 이산화탄소 분자로부터 공명방사되는 특정 적외선(~3.7um)을 측정하여 불꽃을 감지한다. 추가적으로 불꽃의 특성인 펄럭임(flickering) 신호를 분석하여 불꽃으로 인한 화재 판별의 정확도를 높이고 있다. 하지만 다양한 요소(아크용접, 전열기, 태양광, 할로겐 램프 등)에 의한 자외선 및 적외선 광신호 간섭에 취약하며, 이러한 빛의 간섭을 줄이기 위해 다파장 적외선 센서가 개발되고 있지만 매우 고가의 센서이다. 또한, 수증기, 연기, 미세먼지 등 주위 환경에 따라 flickering 신호 분석에도 어려움이 있으며 오작동의 원인이 된다. 본 연구는 위치 측정 센서를 이용한 새로운 불꽃 감지 방법을 소개한다. 불꽃에서 방사되는 적외선은 적외선 필터와 렌즈를 지나 위치 측정 센서에 집광되며, 이때 적외선의 세기, 집광된 빛의 x와 y 방향의 위치를 측정한다. 측정된 광 세기로부터 flickering 신호를 분석하고, 측정된 빛의 x 및 y 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화염의 도심 공간 분포를 분석하여 불꽃을 감지한다. 수증기, 연기, 미세먼지 등의 비화재보에 의한 화염의 도심 공간 분포는 밀집되어 관찰되고, 화재의 화염 규모가 커질수록 화염의 도심 공간 분포는 광범위하게 관찰된다. 위치 측정 센서를 이용한 새로운 불꽃 감지 기술은 원치 않은 광신호와 flickering을 유발하는 주변 환경으로 부터 간섭없이 불꽃을 높은 정확도로 감지할 수 있으며, 다파장 적외선 센서에 비해 비용 또한 저렴하여 경제적인 효과가 매우 클 것으로 기대하며, 이는 불꽃감지기의 상용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시간 가중치 기반 효율적인 최적 경로 탐색 기법 연구

        허유성,김태우,안용학 한국융합학회 2020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1 No.2

        In this paper, we propose an optimal path search algorithm between each node and midpoint that applies the time weighting. Services for using a location of mid point usually provide a mid point location-based on the location of users. There is a problem that is not efficient in terms of time because a location-based search method is only considered for location. To solve the problem of the existing location-based search method, the proposed algorithm sets the weights between each node and midpoint by reflecting user's location information and required time. Then, by utilizing that, it is possible to search for an optimum path. In addition,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search, it ensures high accuracy by setting weights adaptively to the information given.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 is able to find the optimal path to the midpoint compared with the existing meth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