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문화콘텐츠시대의 영상아카이브를 위한 영상이미지 전문인력 양성의 필요성에 대한 연구

        허용무 ( Yong Moo Heo ) 한국사진학회 2015 AURA Vol.0 No.35

        As cultural contents have been recognized as a strategic industry to strengthen national competitiveness, it is being actively promoted to materialize cultural resources by using the traditional culture of each country, nation or areas as a method to ensure the competitive contents. Among them, as a new concept such as ‘cultural archetype’ or ‘unique culture’ is being highlighted in cultural industries, the importance of archives has been stressed to materialize the culture. In addition,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changes in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video images, the archive is mainly dominated by video images which take the important position. It means that those who have specialty related to video images are not only involved in records of video archive as materials of cultural resources, but their opinions are also needed to examine, analyze, classify and interpret video image materials in the future. At national levels, the government has established the national archives and legislates for the archives of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with large-scale supports for cultural resources because humanity-centered performance has been considered important. It is based on the awareness in which the success of cultural content industries depends on the variety of materials. It is important to examine the needs for training professional personnel in video images for the video archives in a big flow of discovery of materials and archive of cultural resources through traditional culture and cultural archetype in the cultural content industry as a national strategic industry.

      • KCI등재
      • KCI등재

        전통인형연희의 연행방식 연구

        허용호(Heo Yong-Ho) 한국민속학회 2006 韓國民俗學 Vol.43 No.-

        본고는 전통인형연희 전반을 대상으로 하여 그 연행방식을 살피는 본격적인 연구를 표방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전통인형연희의 연행방식을 발화연행과 움직임연행으로 나누어 그 유형과 양상을 살피는 것에서 시작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연행방식에 대한 나름의 체계화를 시도하였고, 그 체계화를 가능하게 한 문화전통과 그 심층에 자리한 인간의 욕망에 대한 추론까지 해 보았다. 이러한 본고에서의 논의를 그림으로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표 참조〉 이렇게 개괄적으로 정리할 수 있는 본 논의는, 우리의 전통인형연희 연행방식의 다양한 양상과 이에 대한 유형화를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나아가 인형 연행방식의 다양함을 확인하는 차원에만 머무르지 않고, 보다 높은 단계에서 그 양상의 다름과 같음을 살피고 체계화까지 시도했다는 점도 이 글이 갖는 의의가 될 수 있다. 구체적 연행방식에 대한 고찰을 통해 추론한 문화적 지향성 또는 기반에 대한 논의나, 변별되는 두 문화기반을 통합하는 인간의 욕망에 대한 논의까지 나아갔다는 점도 필자가 내세우는 이 글의 성과이다. 특히 인간의 욕망에 대한 논의는 왜 인형연회를 하는가에 대한 필자 나름의 해명에 실마리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이후 지속적으로 주목해볼만한 주제가 된다. This article adopts a full-scale study which investigates performance method of the whole traditional puppet performanc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is article begins performance method of the traditional puppet performance to classify into utterance performance and movement performance, and to investigate types and aspects. Be based on this study, I attempt to systematize the performance method, ratiocinate the cultural tradition which make a system possible and human desire which is located in the depth of cultural tradi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o show in a graphic form as follows. This article which abstract in this way is meaningful in view of confirmation of traditional puppet performance method's diverse aspects and typology of traditional puppet performance method. Furthermore, a fruit of this study is what is to investigate difference and similarity of traditional puppet performance method’s diverse aspects in the more higher stage. The discuss of cultural grounds which is ratiocinates through the detailed performance method and the discuss of human desire which integrate the cultural ground are also fruits of this study. Especially the discuss of human desire is a continuously significant study theme, because of a clue to discover a reason why puppet performance is performed.

      • KCI등재

        일반논문 : 인형연행사 기술의 새로운 모색

        허용호 ( Yong Ho Heo ) 한국공연문화학회 (구,한국고전희곡학회) 2009 공연문화연구 Vol.0 No.19

        본 연구는 인형연행의 역사를 기술하는 새로운 모색의 일환으로 자리한다. 일반적인 문화사적 전개에 의존하는 방식이나 왕조별 접근의 방식, 나아가 이 둘의 결합된 방식을 넘어서서 또 하나의 새로운 방식을 시도한 것이다. 여기에는 인형연행의 `역사`가 아니라 `인형연행`의 역사를 기술하려는 필자의 지향이 함축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필자는 조선시대까지의 인형연행 관련 자료를 대상으로 논의를 했다. 이 자료에는 문헌 자료는 물론이고 유물, 그리고 그림까지 포함된다. 논의는 우선 인형연행의 자료를 정리하고 분류 기준을 설정하는 것으로 시작되었다. 50항목에 이르는 자료들을 정리하고, 이를 분류할 기준을 설정하였다. 분류 기준은 1차적으로 인형연행이 자리하는 문맥이 설정되었다. 이는 제의와 오락으로 나타난다. 2차적 분류 기준은 인형연행의 핵심적 사항인 연행방식이다. 이 기준에 따라 조종, 목소리연기, 섬김, 축출, 진열 등의 항목이 설정되었다. 이러한 분류 기준에 따라 인형연행을 유형화하고 시대를 구분하는 논의가 이어졌다. 그 결과 인형연행의 시대는 `다양한 인형 이용의 시대`, `섬김의 제의적 인형연행 시대`, `조종의 오락적 인형연행 시대`, `진열의 제의적 인형연행 시대`, `축출의 제의적 인형연행 시대`, `조종의 제의적 인형연행 시대`, `진열의 오락적 인형연행 시대`, `조종과 목소리연기의 오락적 인형연행 시대` 등으로 구분되었다. 이러한 인형연행의 내적 시대 구분에 따라 이를 통시적으로 펼쳐 보이는 인형연행사 기술이 이어서 이루어졌다. 그 기술의 결과, 인형연행은 왕조사적 시대 구분에 메이지 않고 나름의 전개 과정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정적인형에서 동적인형으로`나 `제의적 연행에서 오락적 연행으로`라는 일반적인 문화사적 전개와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음도 확인되었다. `무언인형에서 유언인형으로의 전개`를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인형연행의 문화사적 전개와는 다른 양상을 보였다. `제의적 인형연행에서 오락적 인형연행으로의 전환`이라는 전개과정은, `제의적 인형연행과 오락적 인형연행의 순환`으로 수정되어야 하는 양상이 나타났다. `정적 인형에서 동적 인형으로`라는 전개과정 역시 `정적 인형과 동적 인형의 순환`이라는 차원에서 바라보는 것이 보다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렇게 일방적인 전환이 아니라 순환으로 나타나는 이면에 자리하고 있는 것은, 인형연행이 한 시대를 마감하게 되었다고 그 시대의 인형연행이 그 전승을 마감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한 시대에서 다른 시대로 인형연행이 전개되는 동시에 이전 시대의 인형연행은 그 나름의 자체적 생명력을 가지고 지속과 변화의 모습을 보였다. 또한 크게는 제의적 인형연행과 오락적 인형연행 사이에, 작게는 각각의 인형연행 유형 사이에 상호영향 관계가 존재한다는 점 역시 인형연행의 역사를 살피는 데 있어 간과해서는 안 될 사항으로 제기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이루어진 인형연행사의 새로운 모색과 기술은 완결된 것이 아니다. 그야말로 `또 하나`의 인형연행사 기술의 시도였을 따름이다. 이 시도는 인형연행 외부에 자리한 정치·경제·사회적 문맥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다. 또한 대단히 조심스러운 태도를 보이고 있지만, 인형연행 전통의 지속을 염두에 둔 기술이었음을 부인하지 못한다. 인형연행 외부 문맥을 감안하고, 지속이 아닌 단절까지 감안하는 인형연행의 문화사 기술이 시도될 필요가 있다. 또한 인형연행사를 넘어서는 다른 전통연행까지 포괄하는 전통연행사를 장기적으로 염두에 두는 포석도 필요하다. 이러한 과정에서 본고에서의 제안이 비판적으로 검토되기를 필자는 기대한다. This study is a link in a chain which grope for the description of puppet performance history. This study imply my intention which is not a description of puppet performance `history` but a description of `puppet performance` history. Object materials of this study is materials connected with puppet performance from ancient times to Chosun dynasty. Object materials of this study include not only records but also remains and pictures. Discussion start with regulation of puppet performance materials and establishment of a classification criterion. As a result of that discussion, the age of puppet performance is as follows: `the age of diverse use of puppet`, `the age of ritual puppet performance of worship`, `the age of play puppet performance of handling`, `the age of ritual puppet performance of display`, `the age of ritual puppet performance of expulsion`, `the age of ritual puppet performance of handling`, `the age of play puppet performance of display`, `the age of play puppet performance of handling and voice-acting`. According to the internal division of age, the description of puppet performance history which is spread chronologically is attempted. As a result of the description, I confirm that puppet performance reveal a one`s unfolding process. And a distinct aspect from the general cultu! re history is found. The development process which is a changeover that is `from ritual puppet performance to play puppet performance` is amended by a circulation of ritual puppet performance and play puppet performance`. And the development process which is a changeover `from static puppet to dynamic puppet` is amended by a circulation of static puppet and dynamic puppet`. Like this the thing which is laid in the inside which is not a one sided changeover but is a circulation is said that from one age of puppet performance to other age of puppet performance is not a close of former puppet performance tradition. Unfolding from one age to other age, on the other hand former puppet performance reveal aspect which is a continuance and change with a one`s vitality. And a relation of mutual influence is exist between the ritual puppet performance and the play puppet performance on a large scale, among the puppet performance types on a small scale. this also don`t overlook in cas! e of a groping of puppet performance history.

      • KCI등재

        감염병 보도 지침에 따른 에볼라 바이러스 언론보도 내용분석:국내 주요 일간지를 중심으로

        허용강(Heo, Yong-Kang),차수연(Cha, Soo-Yeon),서필교(Seo, Phil-Kyo),김소영(Kim, So-Young),백혜진(Paek, Hye-Jin)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 2015 헬스커뮤니케이션연구 Vol.12 No.-

        본 연구는 공중 보건 및 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거의 다루지 않았던 건강위험 이슈에 대해 국내 주요언론들이 언론 보도 지침을 준수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2014년에 공중 보건 영역에서 중요한 이슈로 부각된 ‘에볼라 바이러스’를 주제로, 보건 및 헬스 분야의 전문 학 술단체인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와 보건복지부 출입기자단이 협업하여 수립한 ‘감염병 보도 준칙’과 세계보건기구(WHO)의 ‘감염병 커뮤니케이션 지침’을 바탕으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본 논문에서는 바이러스의 ‘유행’과 관련된 정보가 ‘위험의 크기’ 혹은 ‘위험의 정도’ 와 관련된 기사보다 많았고, 바이러스 ‘질병에 대한 특성’ 및 ‘감염병 관리’에 대한 정보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본 연구는 기존에 개발된 감염병 커뮤니케이션 지침이 실제 뉴스에서 잘 적용 되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보도 지침의 중요성과 더불어 지침을 준수하는 것의 중요성을 촉구하는데 있어 경험적 증거로 사용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Media play a crucial role in informing the public about an emerging infectious disease and its health risk. Thus, Korea Health Communication Association and press corps in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worked together to establish the infectious disease reporting guidelines, guided by and benchmarking World Health Organization(WHO)'s Outbreak Communication Guidelines. But little is known about the extent to which media comply to such guidelines.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examine how mainstream newspapers report an emerging infectious disease comply to the guidelines in the context of Ebola Virus. A content analysis of 213 major newspaper reports indicated that reports cover individual incidents of virus infection more than the degree and magnitude of risk of Ebola Virus. The frequency of reports covering disease characteristics and control of Ebola Virus was not common. Accuracy of information on the Ebola outbreak and preventive guidelines for the public has much room for improvement. This study provides a first step to document evidence on how much media comply to the outbreak communication and reporting guidelines. The results can be used to urge the media to take more responsible reporting practices in such contexts of life-threatening events.

      • KCI등재
      • KCI등재

        마을굿의 시기와 형식을 기반으로 한 문화지도 그리기

        허용호(Heo Yong-Ho) 한국무속학회 2006 한국무속학 Vol.0 No.13

        본 연구는 서울·경기 지역 마을굿의 양상을 살피고, 마을굿이 벌어지는 시기와 형식을 기준으로 권역 구분과 문화 지형을 추론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논의된 바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서울·경기 지역의 마을굿 문화 지형은 동심원 구조로 표현할 수 있다. 중심원에 해당하는 서울 지역은 시월 마을굿 권역과 정월 마을굿 권역이 대치 양상을 보인다. 달리 보면 서울의 정월 마을굿 권역은 문화적 섬으로 자리한다. 시월 마을굿이 서울을 에워싸며 인근 지역에 분포하고 있어, 용산 일대의 정월 마을굿 권역이 시월 마을굿 권역과 대치를 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고립된 섬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서울은 무속적 마을굿의 섬이기도 하다. 한강변을 중심으로 무속적 마을굿이 주변과 어떤 관계도 없이 독자적 권역을 형성하고 있다. 서울과 경기 사이에는 감히 뛰어넘지 못 할 문화적 장벽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시월 마을굿은 서울과 경기 지역 사이에 존재하는 문화적 장벽을 넘어선다. 서울 인근의 경기 지역에 시월 마을굿은 드넓게 그 영향력을 행사한다. 그 영향력의 파장은 경기 지역의 동서남북으로 퍼져간다. 하지만 그 영향력의 강도는 동심원의 지름이 커져갈수록 약해진다. 그래서 마침내 시월 마을굿 권역이라 말할 수 없을 정도의 지역이 나타난다. 그 지역은 경기도의 동서남북 경계에 위치하고 있다. 경기 지역의 남쪽에서는 시월 마을굿에 맞서 정월 마을굿 권역이 만들어진다. 안성천이 그 권역을 만드는데 일정한 역할을 한다. 안성에서 평택에 이르는 안성천 중상류의 흐름이 정월 마을굿 권역을 만들어 내는 문화적 통로 역할을 톡톡히 한다. 시월 마을굿은 경기 남부의 안성천을 힘 있게 넘어서지 못했다. 적어도 시월 마을굿에 있어서 안성천은 쉽게 넘지 못할 문화적 장애물이다. 시월 마을굿은 경기 지역 동쪽에서도 복병을 만난다. 여주와 이천을 흐르는 남한강 지류인 복하천과 청미천이 그것이다. 이 두 하천은 동진하는 시월 마을굿을 거뜬하게 막아내는 동시에 그 흐름에 따라 정월 마을굿 권역을 만들어낸다. 안성천과 남한강 지류라는 뼈대에 그 유역의 평야라는 살을 기반으로 나름의 영역을 형성한 정월 마을굿은 그 배후 역시 튼튼하다. 인접한 충청도와 강원도의 정월 마을굿의 든든한 지원을 받는 것이다. 경기 북부의 경우 북한강과 임진강이 문화 지형 형성에 나름의 역할을 한다. 산간 지역이라는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시월 마을굿은 용케 경기 북부 지역까지 그 영향력의 일단을 드러내 보인다. 하지만 파주에서 세력을 만들고 양주에서 경쟁하고, 남양주와 포천에서 대세를 장악하여 가평 설악읍에 그 둥지를 틀고 있는 일단의 구월 마을굿의 분투에는 어쩌지 못한다. 구월 마을굿의 이러한 분투에는 북한강이 자리하고 있다. 북한강의 흐름에 따른다면 가평 설악읍에 그 권역의 핵을 두고 계속 서진하면서 그 영향력을 뻗치고 있는 양상이라 할 수도 있다. 북한강을 문화적 통로로 삼은 구월 마을굿은 남진하면서 양평까지 그 영향력을 행사하기도 한다. 정월 마을굿권이 남한강을 따라 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는 점에 유념해 본다면, 양평군 양서면 두물머리 인근에서 정월 마을굿의 서진과 구월 마을굿의 남진이 접점을 이루고 있는 것이라 말할 수 있다. 경기 북부 지역에서는 임진강이 구월 마을굿의 또 다른 문화적 통로로 작용한다. 포천 지역 북쪽에 위치한 영북면에서 강력한 세력을 형성한 구월 마을굿이 영북면, 창수면, 영중면, 신북면, 포천읍 등으로 이어지는 임진강 상류의 흐름에 따라 그 권역을 만들어 간다. 임진강을 따라 서진하면서 그 권역을 형성한 구월 마을굿은 파주시의 적성면, 탄현면, 파평면 등까지 그 영향력의 일단을 보인다. 이상에서 정리된 경기 서울 지역의 마을굿 권역을 보면, 하천이 특정 마을굿을 형성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하천은 특정 마을굿이 나름의 권역을 형성하는데 뼈대 역할을 하는 동시에, 다른 마을굿이 영향력을 끼치는 것을 막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꼭 하천만이 마을굿의 권역을 형성하고 정체성을 만드는데 작용하는 것은 아니다. 필자가 주로 하천에만 주목했기 때문에 나타난 상황이라 볼 수도 있는 것이다. 이는 다른 자연 지리적 요소, 역사적 과정, 인문적 정서 등에 대한 검토 역시 필요함을 말하고 있다. 이는 본 연구와 병행해서 진행되고 있는 관련 분야의 전자지도가 완성될 때, 그 연관성이 어느 정도 드러날 것이라 생각한다. 하천과의 관계 역시 보다 섬세하게 살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spect of Seoul·Gyeonggi Maeul Gut, and then to divide a sphere and to ratiocinate the cultural topography with of the Maeul Gut's performance time and form for a basi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e cultural topography of Seoul·Gyeonggi Maeul Gut is represented by means of a concentric circle. The Seoul area where correspond to centric circle stand face to face a sphere of January Maeul Gut and a sphere of October Maeul Gut. In another way, a sphere of January Maeul Gut of the Seoul area is situated cultural island which is isolated. And the Seoul area is a island of shamanic Maeul Gut. A shamanic Maeul Gut build up a independent sphere on the Han river side. It seems that a cultural barrier is between the Seoul and Gyeonggi. But an October Maeul Gut beyonds the cultural barrier which is between the Seoul and Gyeonggi. An October Maeul Gut has influence widely on the Gyeonggi area of nearby the Seoul The influence spreads over the four quarters of the Gyeonggi area. But the strength of influence get weaker as the diameter of centric circle grow bigger. And then the area which can not speak of a sphere of October Maeul Gut come out. The area is situated at the four quarters' border of the Gyeonggi area. Against an October Maeul Gut, a sphere of January Maeul Gut is formed at the south of Gyeonggi area. Anseong stream play an important part role for the sphere is formed. To say the least Anseong stream is a cultural barrier from an October Maeul Gut standpoint. An October Maeul Gut fall into an ambush at the eastward of Gyeonggi area. They are that Bokha stream and Chungmi stream which are tributaries of the Namhan river. Two streams protect from an october Maeul Gut which advance to the east, on the other hand two streams form a sphere of January Maeul Gut run along flowing. The Bukhan river and the Imjin river play an important part role for a formation of cultural topography at the north of Gyeonggi area. A september Maeul Gut influence along the flowing of the Bukhan river. A september Maeul Gut which makes the Bukhan river a cultural passageway influences as progress to the south. the Imjin river is another cultural passageway at the north of Gyeonggi area. As progress to the west along the upper stream of the Imjin river, a sphere of a September Maeul Gut is formed in the neighboring area. As we have seen, river and stream play an important part role for formation a sphere of a Seoul·Gyeonggi play an important part role for formation a sphere of a Seoul·Gyeonggi Maeul Gut. River and stream play a framework part role for formation a sphere of a Maeul Gut, on the other hand river and stream protect from other Maeul Gut's influence. But only river and stream don't play an important part role for formation a sphere of a Seoul·Gyeonggi Maeul Gut. It is necessary to study of other factors in Physical geography, historical process, human mood and so on.

      • KCI등재
      • KCI등재

        가면극의 축제극적 구조

        허용호(Heo Yong-Ho) 한국민속학회 2002 韓國民俗學 Vol.3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carnival structure of mask drama, and to confirm a this suggestion in Pongsan-mask-dance. The relationship of paragraphes of Pongsan-mask-dance has ritual frame in the beginning and end. And three paragraph group, Chungmadang(The scene of apostate Buddhist monk), Yangbanmadang(The scene of nobleman), Halmimadang(The scene of old woman) which represent indepent contents are arranged parallel. Structure of the three Madang which emerge from story system and character confrontation system have equally structure of carnival play. Chungmadang is carnival play of Nojang(The old Buddhist high monk)'s crowning and uncrowning which shows lewdness and expulsion of Nojang. Yangbanmadang is carnival play of Yangban's crowning and uncrowning which shows amusement and loss of authority and power of Yangban. Halmimadang is also carnival play of Miyal's crowning and uncrowning which shows wild nature and death of Miyal. Through these structure analysis, we know each madang holds the crowning and uncrowning Structure of carnival play in common. Therefore, we assume Pongsan-mask-dance has the crowning and uncrowning structure of carnival play. By the way, in terms of the different powerfulness of uncrowning of each Madang, Pongsan-mask-dance looks aside at the realisties of life. But Pongsan-mask-dance assimilates the requirement of the outside world, and to lay the requirement under it's own principle. It is sufficiently proved, to the face that the structure of the crowning and uncrowning. Through it makes a methodological detour, Pongsan-mask-dance accomplishes the logic of carnival by any means. Pongsan-mask-dance which has much the relation of the realisties of life not only expresses the dream of utopia within the limit of a specific ritual, to dissolve it through the psycholic catharsis, but also continues the potential energy even the horizon of every day. Strictly speaking, Pongsan-mask-dance is not the carnival in the Bakhtin's sense of the word. Because there is a distinction between actors and spectators. And a primitive footlight, namely, torchlight exists. Madang(ground) which is able to call stage is also prepared. Therefore Pongsan-mask-dance is indirect. However Pongsan-mask-dance absorbs the substance of carnival. That is, Pongsan-mask-dance is indirect carnival. Moreover the feature of indirect is useful. Because it settles partly the problem of scar or ill effect which is cause by temporary deviation of the officialdom during carnival time. An adjective that is called 'temporary' which decorates the feature of carnival represents the distance of between the utopia and the social real. Severe real stands in the finish of carnival. But carnival inscribes bear a hope in mind. In the finish of carnival, participant of Pongsan-mask-dance may wait for another carnival, or wait for living of carnival which is not temporary anymo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