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학교과 중심의 STEAM 수업이 중학생들의 STEM 분야 진로 흥미도 및 융합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한혜숙 ( Han Hyesook ) 한국수학교육학회 2017 수학교육논문집 Vol.31 No.1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1학년 자유학기제 시간을 활용하여 수학교과 중심의 STEAM 수업을 실시한 후 STEAM 교육이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STEM 분야에 대한 진로 흥미도와 융합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2016년도에 한국과학창의재단/교육부의 지원을 받아 개발된 자유학기제용 수학교과 중심의 STEAM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총 12주 동안 중학교 1학년 학생 40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STEM 분야 진로 흥미도 검사결과에 의하면, STEAM 수업이 중학생들의 과학, 수학 및 기술/공학 분야의 진로에 대한 흥미를 높이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융합적 문제해결력 검사에서도 STEAM 수업은 학생들의 융합적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사고력` 과 `설계 및 실행`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athematics-centered STEAM program which was operated in free semester system classes on middle school students` interest in science, technology/engineering, and mathematics(STEM) career and integrated problem solving ability.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40 first graders in a middle school for 12 weeks using mathematics-centered STEAM program developed for the use of free semester system classes by the support of the Ministry of Education/KOFAC in 2016. According to the results of STEM career interest survey, mathematics-centered STEAM program was effective for improving middle school students` interest in STEM career. And it was also effective in the development of students` integrated problem solving ability.

      • KCI등재
      • KCI등재

        대학생의 교육기부 활동에 관한 인식 조사

        한혜숙(Han, Hyesook),이화정(Lee, Hwa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10

        본 연구는 대학생 교육기부 활동을 통해 대학생들의 ‘봉사 의식’, ‘학습동기 및 진로계획’, ‘핵심역량’, ‘행복지수’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주관하는 ‘함성소리’ 교육기부 프로그램에 참여한 447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함성소리 프로그램을 통해 본 연구에 참여한 대학생들의 교육기부에 대한 인식, 교육기부 수행에 대한 자신감, 지역사회 참여 의식, 일반적인 봉사 의식에 대한 생각에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둘째, 비록 학습 동기 및 진로 계획측면에서는 함성소리 프로그램의 참여 전·후에 변화가 없다고 응답한 비율이 긍정적인 변화를 제시한 응답 비율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아 함성소리 프로그램의 참여가 대학생들의 학습 동기 및 진로에 대한 생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함성소리 프로그램의 참여가 대학생들의 소통 능력, 대인관계 능력, 창의성, 목표지향적 계획 수림 및 수행력, 자 기효능감, 자기존중감과 같은 핵심역량의 강화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소통 능력의 경우 강화되었다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약화되었다고 응답한 비율은 가장 낮게 나타나 함성소리 프로그램의 참여는 대학생들의 소 통 능력의 강화에 가장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함성소리 프로그램의 참여 후 대학생들의 행복지수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niversity students’ changes in perceptions of voluntary consciousness, core competency, academic motivation and future career plan, and happiness after participating in Donation for Education program. A questionnaire designed to uncover changes in students as a result of the experience of Donation for Education was given to 447 undergraduat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 Donation for Education program called as ‘shouting sound’ on completion of the program.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houting sound’ program can positively affect on students’ perceptions of awareness of Donation for Education, voluntary consciousness, self-efficacy for conducting donation for education, and participation in community activities. Second, in academic motivation and future career plan, although the ratio of responses indicating no change through the program was higher than the ratio of positive change, the difference between the ratios of the responses was very small. It tells us a potential that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could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students’ perceptions of academic motivation and future career plan. Third, ‘shouting sound’ program can positively affect on students’ perceptions of their core competencies such as communication skill, creativity, establishment of goal-oriented plan and performance, self-efficacy, and self-esteem. Especially, participation in ‘shouting sound’ program was the most effective for strengthening of students’ communication skill. Fourth, majority of th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program showed positive change in their happiness. It means that the program can positively affect on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of happiness.

      • KCI등재

        코티칭 전략을 활용한 STEAM 수업이 예비수학교사의 융합인재교육 핵심역량에 미치는 효과

        한혜숙(Han Hye so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12

        본 연구에서는 코티칭 전략을 활용한 STEAM 수업이 예비수학교사들의 융합 인재교육 핵심역량에 미치는 효과와 STEAM 수업에서 코티칭 전략의 적용 가능 성에 대한 예비수학교사들의 생각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20명의 예비수학교사 들을 대상으로 수학교육 세미나 강좌 시간을 활용하여 한 학기 동안 수행되었다. 사전, 사후 설문 조사 및 면담 결과에 의하면, 코티칭 전략을 활용한 STEAM 세 미나 수업은 지식 및 태도 범주에 대한 예비수학교사들의 융합인재교육 핵심역량 의 강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식 범주에서는 사전 검사에 비해 사후 검사에서 연구 참여자들의 STEAM 교육의 정의, 도입 배경, 수 업 방법, 수업 준거에 대한 지식이 보다 구체화되고 정교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태도 범주에서는 STEAM 교육에 대한 자기주도적 학습 태도를 제외한 나머지 요 소에서 사전, 사후 검사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 참여한 예비교사들은 STEAM 수업에서 코티칭 전략의 유용성에 대해서 매우 긍 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는데 특히, 타 교과 내용에 대한 이해 및 수업 준비 측면 에서 코티칭 전략의 유용성에 대해 강조하였다.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examine the effect of STEAM course using co-teaching strategies on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core competencies for STEAM education and to investigate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views on the application of co-teaching strategies to STEAM education. The study was conducted in ‘mathematics education seminar course 2’ during one semester with 20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According to the pre and post questionnaires and focus group interviews, STEAM course using co-teaching strategies helped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to develop core competencies in ‘Knowledge’ and ‘Attitude’ categories. In ‘Knowledge’ category, compared to pretest, participants’ knowledge of STEAM education such as definition, background, instructional methods was more elaborated and advanced on posttest. In ‘Attitude’ categor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in all of the attitude questionnaire items excepting one item related to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And the participants thought that co-teaching is a very effective strategy, especially, for contents convergence in the practice of STEAM.

      • KCI등재

        수학교과 중심의 STEAM 프로그램 적용이 고등학교 여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과 창의적 사고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혜숙(Han, Hyesook),주홍연(Joo, Hongyun),이화정(Lee, Hwajeong),이재영(Lee, Jae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5

        본 연구에서는 수학교과 중심의 STEAM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여학생들의 수학 교과에 대한 정의적 특성과 창의적 사고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7개월의 연구 기간 동안 ‘과학적 재난안전관리’ 라는 주제로 총 12차시의 수학교과 중심의 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고등학교 2학년 여학생 44명 에게 3주간 적용하였다. 특히, 효과 분석을 위해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사전 검사를 실시하고, 이로부터 9주 후에 사전 검사와 동일한 검사지를 통해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대응표본 t-검정 결과에 의하면,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 및 창의적 사고 능력의 각 하위 요소에 대한 사전, 사후 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STEAM 수업이 여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흥미, 자신감, 가치인식, 수학불안 요소에 대한 특성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고, 논리 · 비판적 사고 및 유창성, 유연성, 독창성의 발달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수학교과 중심의 STEAM 수업은 학생들의 수학적 지식 기반의 창의적 사고 능력 발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고등학교에서도 수학교과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변화와 더불어 창의성 발달을 위해 수학교과 중심의 STEAM 수업이 보다 적극적으로 도입이 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athematics-centered STEAM program on high school girls’ 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creative thinking. We developed a 12 hour mathematics-centered STEAM program containing 4 thematic modules that connect mathematical ideas to real-world applications such as scientific disaster management for a research period of 7 months, and the program was applied to 44 high school girls for 3 weeks. 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employed to for this study. A pretest was administrated before the instruction, and the same test was administrated 9 weeks after the pretest According to the resul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in all of the subcomponents of 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creative thinking. It means that the use of the STEAM program is effective in developing high school girls’ positive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s and creative thinking. In addition, the use of the mathematics-centered STEAM program played a positive role in developing creative thinking based on mathematical knowledge. These results show that mathematics-centered STEAM program should be used widely in high school to change students’ negative attitude toward mathematics and develop their creative thinking.

      • KCI등재

        교사의 성별에 따른 수학 수업의 각 단계에서 정의적 특성에 대한 인식 및 실태 차이에 관한 연구

        한혜숙 ( Hye Sook Han ),최계현 ( Kye Hyen Choi ) 한국수학교육학회 2012 수학교육논문집 Vol.2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 수업의 각 단계에서 정의적 특성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및 수업 실천에 있어서 교사의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중등학교 수학 교사 327명을 대상으로 수학 교수·학습 과정에서 정의적 특성의 중요도 및 수업 실태와 관련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여교사 집단이 남교사 집단에 비해 수업의 계획, 학생평가, 반성의 단계에서 정의적 특성에 대한 인식 및 실천에서 더 긍정적 반응을 보였고, 특히 가치인식 요소의 경우 수업의 모든 단계에서 여교사 집단의 평균이 남교사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eachers` gender difference in teachers` perceptions of the affective domain in teaching practice.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327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in Gyeonggi-do by survey method. According to the results, female teachers showed more positive responses in perceptions of the affective domain and teaching practices in the aspect of affective domain at the stage of planning lessons, assessing students, and reflecting lessons. Especially, female group showed higher mean scores than male group in the perception of the value of mathematics at the all stages of teaching.

      • KCI등재

        수학교과에서 집중이수제 시행에 관한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 조사

        한혜숙 ( Hye Sook Han ),홍인숙 ( In Suk Hong ),이순용 ( Soon Yong Lee ),유기종 ( Gi Jong Yoo ),김지연 ( Ji Yeon Kim ) 한국수학교육학회 2012 수학교육 Vol.51 No.4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teachers and students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intensive course completion system in mathematics courses and to provide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of the system. Five high school mathematics teachers and 338 10th graders and 87 11th graders in 2 high schools located in Gyeonggi-do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intensive course completion system is more appropriate to the subjects which require less time allotment or practical exercise than mathematics courses. For better implementation of the intensive course completion system in mathematics courses, first of all, enough time allotment for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should be guaranteed. Otherwise, the system can make students feel more burden of learning due to increase in learning volume of mathematics courses.

      • KCI등재

        예비수학교사의 수학적 문제제기에 대한 인식 및 문제제기 전략

        한혜숙(Han, Hyesook),최희선(Choi, Heesun),김성열(Kim, Sungyeol),이재영(Lee, Jae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2

        본 연구에서는 예비수학교사들의 수학적 문제제기에 대한 인식과 그들이 주로 사용하는 문제제기 전략에 대해 조사하였고,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제기 인식 조사에서 연구 참여자 중 약 70%가 문제제기에 대해서 알고 있다고 응답한 반면, 문제제기 전략 및 교육의 효과에 대해서는 50% 이상이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많은 선행연구에서 문제제기 교육의 효과가 보고되어 지속적으로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문제제기 활동을 강조하고 있지만 이러한 결과는 예비교사 교육과정에서 문제제기 교육의 개선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둘째, BBM 과제 수행을 통해 제기 한 문제의 유형으로는 IP단계에서는 주로 조건 수용하기를 활용한 반면 AP단계에서는 조건 수용하기와 조건 변형하기의 비율이 같게 나타났고, 조건 변형하기의 경우 내재적 조건보다는 외재적 조건을 변형한 경우가 더 많았다. 마지막으로 문제제기 과정에서 나타나는 인지적 전략으로 체계적 변화, 연쇄, What-if-not, 대칭 전략 순으로 발견되었는데, 이는 예비교사 교육과정에서 체계적 변화 전략도 What-if-not 전략처럼 또 다른 전형적인 문제제기 전략으로 다루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perceptions of problem posing and their problem posing strategies. First, approximately 70% of the participants answered that they know about mathematical problem posing, while more than half of the participants answered that they do not understand problem posing strategies and the effects.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ers have long emphasized the educational value of problem posing and the activities has been strongly recommended by Korea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Nevertheless, the result that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lack problem posing strategies or understanding of the value of problem posing implies the need of improvement of teacher training program. Second, the examination of the process of posing problem using BBM task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tended to generate more problems by accepting the condition than manipulating the condition, and in the condition-manipulation problems, the proportions of problem generated by manipulating explicit conditions was much more than those by manipulating underlying conditions. In addition, the problems posed by each participant were analyzed to find possible relationships among clusters of posed problems. The most prominent of which was systematic variation strategy, and the result implies that the strategy could be introduced as a formal problem posing strategy such as What-if-not instruction in pre-service teacher training

      • KCI등재후보

        진행성 노인 대장암에 대한 항암요법

        한혜숙 ( Sook Han Hye ) 대한내과학회 2014 대한내과학회지 Vol.87 No.5

        Colorectal cancer (CRC) affects largely elderly populations. However, older patients with CRC are generally excluded from randomized clinical trials, and the healthy subjects who are recruited are not representative of the general elderly patient population. Nevertheless, recent data from clinical trials specifically targeting elderly patients and related subgroup analyses indicate that well-selected elderly patients can have a similar response to that of younger patients. Chronological age should not determine the candidacy for adjuvant or palliative chemotherapy in elderly patients with CRC. The appropriate management of healthy elderly patients would mean that they could receive aggressive chemotherapy in a similar regimen to that of younger patients, whereas the care of frail elderly patients and those with a short life expectancy should focus on palliation. The use of a comprehensive geriatric assessment could allow the use of safe and beneficial chemotherapy regimens in elderly patients with CRC. (Korean J Med 2014;87:530-536)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