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말더듬 아동과 성인에게서 나타난 비유창성의 음운특성

        한진순,이은주,심현섭,Han, Jin-Soon,Lee, Eun-Ju,Sim, Hyun-Sub 한국음성학회 2005 음성과학 Vol.12 No.3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phonemic characteristics influence on the disfluencies of children and adults who stutter. The participants were 10 children(9 boys and 1 girl) and 10 male adults. After having the participants to read out the Paradise-Fluency Assessment(Sim, Shin & Lee, 2004) passages, each of the productions were divided into syllables and words, and then the frequencies and the ratios of their disfluencei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specified phonemic features. In terms of the frequency of the disfluency, the participants stuttered more in the words which start with consonant than vowel. But they showed more disfluencies in the words initiated with vowel than consonant when the ratio of each phoneme's presences were considered. There found different tendencies among the phonemic features related with their disfluencies occuring with ralatively high frequency or ratio. It was difficult to find out the exact relationships among the order of the sound acquisition, phonemic complexity, and the disfluencies. To study the exact influence of the phonemic features upon the disfluencies, it comes important to consider the frequency of the stuttering itself together with the ratio of the disfluencies in which the opportunity of the specific sound's presence was considered. To compare the results of the different studies which has similar purposes, it seems important to consider the tasks and the methodologies in depth.

      • 공명장애 진단모델 개발을 위한 질적 연구

        한진순,심현섭,Han, Jin-Soon,Sim, Hyun-Sub 한국음성학회 2006 음성과학 Vol.13 No.4

        Speech-language therapist's experiences of their clinical practice offer greater insight to develop the assessment model for resonance disorders appropriate to the clinical setting. In order to investigate their experiences of resonance disorders qualitatively, a semi-structured interview questionnaire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review of the literatures about the assessment procedures. From the interviews with 4 speech therapists analysed by using a qualitative, constant-comparative method, 3 main themes were derived: (1) the currently accepted defin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resonance disorders, (2) the status quo of the assessment procedures, and (3) the needs for the improvement of the assessment procedures. In addition, 15 sub-themes were emerged from the 3 main themes. All themes mentioned by the therapists provide the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comprehensive and valid assessment model for the resonance disorders in Korea.

      • KCI등재

        구개열 아동의 자음정확도, 말 명료도 및 말 용인도 간의 상관연구

        한진순(Jin Soon Han)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9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4 No.2

        배경 및 목적: 조음장애에 대한 임상적 의사결정에는 자음정확도 외에 의사소통의 효율성에 대한 지표도 포함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구개열 아동의 문장발화에 대해 산출된 자음정확도, 말 명료도 및 말 용인도가 어떠한 관계를 갖는지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방법: 연령을 일치시킨 구개열 아동, 기능적 조음장애 아동, 일반 아동 각각 9명에게 8음절문장 7개를 따라 말하게 하여 63개 문장 발화의 자음정확도를 산출하였다. 그 다음, 문장 발화를 무선화하여 청취자료로 제작한 뒤 일반인 청취자 40명에게 들려주고 시각적 아날로그 척도를 사용하여 말 명료도와 말 용인도를 평정하게 하였다. 이후 전체 문장, 문장 유형별, 자음정확도, 말 명료도 및 말 용인도 수준별로 산출된 자음정확도, 말 명료도 및 말 용인도 간의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전체 문장에서 판정된 자음정확도와 말 명료도, 자음정확도와말 용인도, 그리고 말 명료도와 말 용인도 간의 상관은 세 아동 집단에서 모두 유의하였다.문장의 유형을 구분하여 자음정확도와 말 명료도, 자음정확도와 말 용인도의 관련성을 분석한결과, 각 집단별로 유의한 상관을 보인 문장 유형은 다르나 대체로 혓소리와 발달상 늦게습득되는 자음 문장에서 상관이 유의하였다. 자음정확도, 말 명료도 및 말 용인도의 수준에 따라 세 변인 간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대체로 말 명료도와 말 용인도 간의 상관 외에는유의하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문장발화에서 판정된 자음정확도가 높을수록 말 명료도와말 용인도도 높게 평가될 수 있다. 자음정확도 외에 말 명료도와 말 용인도의 판정에 미칠수 있는 여러 조음 변인을 논의하였다. 말 명료도와 말 용인도 간의 상관도가 매우 높게 나타났으나, 두 변인에 작용하는 조음 변인이 다를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Background & Objectives: It is important to account for the index of communication effectiveness as well as the percentage of correct consonants (PCC) in clinical decision-making when treating patients with articulation-phonological disorders.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re is a correlation among the PCC, speech intelligibility, and speech acceptability of children with cleft palate (CP). Methods: Nine children with cleft palate, nine children with functional articulation disorder, and nine children without developmental abnormalities, all three to six years of age and age-matched,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subjects were asked to repeat seven eight-syllable sentences. Each utterance was judged in regard to correct articulation of the target sounds, and a PCC score was calculated for each sentence. After listening to each sentence, 40 naive listeners were asked to rate both the speech intelligibility and speech acceptability of each sentence on a 10㎝ Visual Analog Scale. Results: The PCC scores, speech intelligibilities, and speech acceptabilities of the sentences produced by children with cleft palate were significantly relat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among the PCC score, speech intelligibility, and speech acceptability ratings for lingual consonants and consonants that are generally acquired later during development was detected.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PCC scores and the speech intelligibility ratings, and the PCC scores and the speech acceptability ratings were not significant when analyzed by level of PCC, speech intelligibility, and speech acceptability. Discussion & Conclusion: Although speech intelligibility and speech acceptability are influenced by PCC score, they are not interchangeable measures. Variables that may underlie the relationships between PCC, speech intelligibility, and speech acceptability was discussed.

      • KCI등재

        구개열 아동과 일반 아동 및 기능적 조음장애 아동의 자음정확도, 말 명료도 및 말 용인도 비교

        한진순(Jin Soon Han),심현섭(Hyun Sub S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8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3 No.3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구 개열 아동이 기질적 문제가 없는 기능적 조음장애 아동과 정상 조음발달을 보이는 일반 아동에 비 해 자음정확도, 말 명료도 및 말 용인도에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연령을 일치시킨 구개열 아동, 기능적 조음장애 아동, 일반 아동 각각 9명씩에게 8음절 문장 7개를 따라말하게 하여 녹음한 후 전체문장 및 문장 유형별 자음정확도를 산출하였다. 이후 평정명료도 및 평정용인도 측정용 청취자료를 무선화하여 제작한 뒤 40명의 일반인 청취자로 하여금 시각적 아날로그 척도를 이용하여 평정명료도와 평정용인도를 판정하게 하였다. 이후 산출된 자음정확도, 말 명료도 및 말 용인도에서 세 집단의 차이가 유의한지 검증하였다. 결과: 전반적으로 구개열 아 동 집단이 일반 아동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자음정확도, 말 명료도 및 말 용인도를 보였으나, 구개열 아동과 기능적 조음장애 아동 집단 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일부 유형의 문장 에서는 다른 경향성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논의 및 결론: 조음수행 정도에서 크게 다르지 않은 아 동 집단들은 말 명료도와 말 용인도에서도 비슷한 평가를 받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목 표자음에 따라 자음정확도가 낮아도 말 명료도는 높을 수 있으며, 자음정확도가 제한되므로 말 용 인도는 자음정확도보다 더 낮게 평가될 수 있다. Background & Objectives: The purpose of current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Percentage of Correct Consonants (PCC) derived from the speech of the children with cleft palate (CP) have effects on the speech intelligibility and on the speech acceptability. For this, the present study compared the PCC, the speech intelligibility, and the speech acceptability of the CP children with those of the children with functional articulation disorder and the normally developing children. Methods: Three to six year olds age-matched 9 children with cleft palate, 9 children with functional articulation disorder, and 9 normal developing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as speakers. All subjects were asked to repeat seven 8-syllable sentences. The judgment of the correct articulation of the target sound was made and then the PCC was calculated for each sentence. After listening each sentence, 40 naive listeners were asked to rate both speech intelligibility and speech acceptability of each sentence on the 10 cm line of Visual Analog Scale. Results: The PCC, speech intelligibility, and speech acceptability of the sentences in cleft palate children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normal children in general. Discussion & Conclusion: Even though the speech intelligibility and speech acceptability are influenced by the PCC, they are not the same measures.

      • KCI등재

        입원환자의 영양불량위험 검색도구의 개발 및 평가

        한진순(Han Jin Soon),이송미(Lee Song Mi),정혜경(Chung Hye Kyung),안홍석(Ahn Hong Seok),이승민(Lee Seung Min) 韓國營養學會 2009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2 No.2

        이 연구는 다양한 병명을 가진 입원환자의 영양불량위험의 진단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고 재원기간 내의 임상결과를 유의하게 예측하며 NRS 2002와 비교하여 평가하였을 때 일정 수준 이상의 타당도를 가지는 영양불량위험 검색도구를 (Nutritional Risk Screening Tool, NRST) 개발하고자 하였다. NRST의 개발 및 평가는 서울 소재 일개 종합병원에 1년여의 기간 동안 입원한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여 NRST 구성요소의 선정, NRST scoring scheme의 탐색, NRST 평가의 기준점 설정, NRST의 임상결과 예측력 재확인 등의 총 4단계의 과정을 통하여 실시되었다. 아래에 본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을 요약하였다. 1) 재원일수, 사망여부, 합병증 유무, 질병예후를 각각 종속변수로 하는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시행한 결과 나이와 혈청 내 albumin, TLC, Hct 농도가 NRST의 구성요소로 선정되었다. 2) 선정된 각 NRST 구성요소의 수준에 따른 NRS 2002의 OR에 기준하여 NRST의 scoring scheme을 아래와 같이 설정하였다. NRST = Albumin × 1 + Age × 2.5 + Hct × 1.5 + TLC × 2* *Coding: Albumin < 3.5:1, ? 3.5:0. Age > 65:1, ? 65:0. Hct < 37:1, ? 37:0. TLC < 1800:1, ? 1800:0. 3) NRST의 점수변화에 따른 NRS 2000에 대한 민감도와 특이도를 바탕으로 NRST에 의한 영양불량 위험의 진단 기준점수를 3.5 이상으로 정하였다. 4) NRST 결과에 따른 재원일수, 합병증여부, 질병 예후, 사망여부 등의 차이를 검토한 결과 개발된 NRST가 만족할 만한 수준의 임상결과 예측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5) NRST는 다양한 진단명을 가진 입원환자의 영양불량위험 여부를 향후의 임상결과와 관련하여 신속하게 진단하는데 유용하리라 사료된다. Malnutrition of hospitalized patients can adversely affect clinical outcomes and cost. Several nutritional screening tools have been developed to identify patients with malnutrition risk. However, many of those possess practical pitfalls of requiring much time and labor to administer and may not be highly applicable to a Korean population. This study sought to develop and evaluate a Nutrition Risk Screening Tool (NRST) which is simple and quick to administer and widely applicable to Korean hospitalized patients with various diseases. The study was also designed to generate a screening tool predictable of various clinical outcomes and to validate it against the Nutritional Risk Screening 2002 (NRS 2002). Electronic medical records of 424 patients hospitalized at a general hospital in Seoul during a 14-month period were abstracted for anthropometric, medical, biochemical, and clinical outcome variables. The study employed a 4-step process consisting of selecting NRST components, searching a scoring scheme, validating against a reference tool, and confirming clinical outcome predictability. NRST components were selected by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each clinical outcome (i.e., hospitalization period, complication, disease progress, and death) on several readily available patient characteristics. Age and serum levels of albumin, hematocrit (Hct), and total lymphocyte count (TLC) remained in the last model for any of 4 dependent variables were decided as NRST components. Odds ratios of malnutrition risk based on NRS 2002 according to levels of the selected components were utilized to frame a scoring scheme of NRST. A NRST score higher than 3.5 was set as a cut-off score for malnutrition risk based on sensitivity and specificity levels against NRS 2002. Lastly differences in clinical outcomes by patients’ NRST results were examin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RST can significantly predict the in-hospital clinical outcomes. It is concluded that the NRST can be useful to simply and quickly screen patients at high-nutritional risk in relation to prospective clinical outcomes.

      • KCI등재

        구개열 아동, 기능적 조음장애 아동 및 일반 아동의 일음절 낱말 자음정확도, 말 명료도 및 말 용인도 비교

        한진순(Jin Soon Han)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0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5 No.3

        배경 및 목적: 구개열 화자의 임상에서 말소리 산출 특성뿐만 아니라 그 특성이 말 명료도나 말 용인도 등 의사소통의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구개열 아동이 산출한 일음절 낱말의 자음정확도, 전사 말 명료도 및 평정 말 용인도가 기질적 문제가 없는 기능적 조음장애 아동과 정상 조음발달을 보이는 일반 아동에 비해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었다. 방법: 구개열 아동 9명과 연령을 일치시킨 기능적 조음장애 아동 및 일반 아동 각 9명에게 15개의 CVC 일음절 낱말을 산출하게 하여 낱말 초성 자음정확도를 산출하였다. 이후 각 집단별로 일음절 낱말을 무선화하여 청취자료를 제작한 뒤 일반인 청취자 40명에게 들려주고 받아 적기 과제를 이용하여 전사 말 명료도를 산출하였다. 그리고 시각적 아날로그 척도를 사용하여 말 용인도를 평정하게 하였다. 이후 초성 전체, 조음위치, 조음방법 및 발성유형 구분에 따라 산출된 자음정확도, 말 명료도 및 말 용인도에서 세 아동 집단 간의 차이가 유의한지 검증하였다. 결과: 전체 자음정확도는 구개열 아동이 기능적 조음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에 비해 낮았고, 기능적 조음장애 아동이 일반 아동에 비해 낮았다. 그러나 전체 말 명료도는 구개열 아동이 일반 아동에 비해 낮았으나, 구개열 아동과 기능적 조음장애 아동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세 집단의 전체 말 용인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조음위치, 조음방법, 발성유형에 따라 구분하여 비교하였을 때 집단차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난 자음의 종류 및 집단 대조는 자음정확도, 말 명료도 및 말 용인도에서 다소 다른 양상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일음절 낱말에서도 조음수행 정도에서 크게 다르지 않은 아동들은 말 명료도와 말 용인도에서도 비슷한 평가를 받을 것으로 여겨지나 목표자음의 종류에 따라 자음정확도, 말 명료도 및 말 용인도는 다르게 평가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음정확도, 말 명료도 및 말 용인도 판정에 미칠 수 있는 여러 변인에 대해 논의하였다. 『언어청각장애연구』, 2010;15;397-410. Background & Objectives: Accounting for the index of communication effectiveness as well as the percentage of correct consonants (PCC) in clinical decision-making is important when treating patients with articulation-phonological disorders.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PCC derived from single words in children with cleft palate (CP) effects speech intelligibility and speech acceptability. The present study compared the PCC, the speech intelligibility, and the speech acceptability of CP children with those of children with functional articulation disorder and normally developing children. Methods: The present study consisted of three age-matched groups of children: nine with CP, nine with functional articulation disorder, and nine normal developing children. All subjects were asked to repeat seven 15 one-syllable words. Each word was judged in regard to correct articulation of the initial target sounds, and a PCC score was calculated for each word. After listening to each word, 40 naive listeners were asked to write down the word on a phoneme to phoneme basis and to rate the speech acceptability of each word on a 10-cm Visual Analog Scale. Results: The PCC of the words in children with C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children with functional articulation disorders and the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However, the speech intelligibility of the words in children with CP was lower only in comparison to the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dditional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hree groups with regard to speech acceptability. Comparing the differences among the three groups of variable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the target consonant, different tendencies were observed. Discussion & Conclusion: Even though speech intelligibility and speech acceptability are influenced by the PCC, they are not the same measures and represent different variables. Some possible variables which underlie the relationships among PCC, speech intelligibility, and speech acceptability are further discussed.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2010;15;397-410)

      • KCI등재
      • SCOPUS

        정상아동과 성인의 교대운동 속도에 관한 연구

        최정윤(Jungyun Choe),한진순(Jin Soon Han)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998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3 No.-

        Intelligibility an d n atur alnes s of speech can be affect ed by diminished st r en gth , speed, an d r an ge of the art iculatory mu s cles . T her efore, diadochokin etic rate that r equir es alt ernating art iculat ory mov ement s is u s ed to provide an object iv e mea - sur e of the impairment of th e the lips , the anterior and post erior t on gu e, an d th e man dible t o scr een neurological disorder s . T h e purpose of this r esear ch is to provide pr elimin ary norms of diadochokinet ic r ate in Kor ean . One hun dr ed an d twenty - thr ee n ormal people with ag es r an ging from 2 t o 73 y ear s wer e stu died. T hey wer e div ided int o 7 group s accordin g t o th eir ages . Sev en diadochokin etic movement s were recorded with / pa/ , / ta/ , / ka/ , / pata/ , / paka/ , / taka/ , and / pataka/ . T he subject s wer e simply in st ruct ed t o produce th e soun ds as r apidly as pos sible at comfortable pitch and loudness for 7 seconds. T hree trials of each diadochokinetic mov ement wer e elicit ed. Diadoch okinetic r at es incr eas ed as people aged th en start ed t o decrease aft er the ag e of 40. T he differences in diadochokinet ic r at es between male and female subject s wer e n ot significant . Youn g females t end t o perform bett er th an males . Howev er , elderly males t end to perform bet ter than females . Diadochokin et ic rates decr eas ed from high t o low in the following order : / ta/ , / pa/ , / ka/ , / pat a/ , / t aka/ , and / paka/ . T he performances of on e syllable, two syllables , and thr ee syllables showed the r at e r atio of 3:2:1. 본 연구의 목적은 신경계 손상으로 인한 말장애를 선별하기 위해 서로 대립되는 근육 움직임의 빠른 반복적 수행 능력을 측정하는 비교적 간단히 수행할 수 있는 검사인 교대운동 속도에 대한 한국 표준화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었다. 아동 및 성인의 장애 판별 근거로 사용할 수 있는 지침을 제공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2세에서 73세까지의 123명의 정상인을 대상으로 하여 파, 타 , 카, 파타, 파카, 타카 , 파타카를 7초 동안 최대한 빨리 3번씩 산출하도록 하여 그 평균을 구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연령, 성별, 그리고 과제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연령의 증가에 따른 수행속도의 증가가 관찰되었으나 40대 이후부터는 수행속도의 감소를 보였다. 성별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연령이 낮을수록 여성의 수행속도가 남성의 수행속도보다 높았고, 청년층부터는 남성의 수행속도가 더 높은 경향이 있었다. 또한, 과제별 평균속도는 타, 파, 카와 파타 , 타카, 파카의 순으로 수행능력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음절수에 따른 수행정도는 음절수와 반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협응력과 조음능력의 일부는 교대운동 수행능력으로 평가할 수 있으므로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더 많은 수의 대상자를 이용하여 연령, 성별 및 과제간의 차이를 검증하고 좀더 정확한 분석을 위해 음향학적 장비를 이용한 검사가 요구된다.

      • KCI등재

        조음복잡성이 비유창성과 조음오류에 미치는 영향

        이은주(Eun Ju Lee),한진순(Jin Soon Han),심현섭(Hyun Sub S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4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9 No.3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phonetic complexity influences on the disfluencies and articulation errors of people who stutter. The participants were 10 children(9 boys and 1 girl) and 10 male adults. The subjects read the P-FA passages, and then each of the productions were divided into words. The types of disfluencies and articulation errors were identified and the scores of the phonetic complexity were calculated on the basis of the Index of Phonetic Complexity(Jakielski, 1998).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e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but weak correlation between the phonetic complexity scores and the articulation errors, and the phonetic complexity had a significant but weak correlation with the disfluencies. The disfluencies and the articulation errors showed a significant but weak correlation in the child group, while this was not found in the adult group. It was found that words that had higher phonetic complexity scores also showed more articulation errors and disfluencies. Adults were more influenced by the phonetic complexity in their articulation errors than the children, and this difference could not be found for the disfluencies. These results support that the phonetic structure of the words is an influential factor affecting disfluencies and articulation errors. 본 연구의 목적은 조음복잡성이 비유창성과 조음오류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아동과 성인 각 10명씩을 대상으로 하여 읽기과제를 수행하게 한 뒤 각 어절에서 나타난 조음오류, 비유창성의 유형을 판정하고, 각 어절의 조음복잡성지표 점수를 산출하였다. 조음복잡성지표와 조음오류, 조음복잡성지표와 비유창성, 조음오류와 비유창성의 상관분석 결과, 조음복잡성과 조음오류, 조음복잡성과 비유창성 간에는 다소 약하지만 유의한 관계가 있었으나, 조음오류와 비유창성의 상관은 유의하지 않았다. 조음복잡성지표 점수의 고저에 따른 조음오류와 비유창성 빈도의 변화를 살펴보았을 때, 조음복잡성지표 점수가 높은 어절에서 아동과 성인 집단 모두 조음오류와 비유창성이 더 많이 나타났다. 조음복잡성이 조음오류와 비유창성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아동 집단과 성인 집단에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을 때, 조음복잡성이 조음오류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는 아동보다 성인에게서 더 크게 나타났으나, 비유창성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에서는 집단간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어절의 전체적인 음성학적 구조가 비유창성 및 조음오류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임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