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항생제 대체 기능성 물질의 사용효과에 관한 연구

        배국환(K . H . Bae),고태구(T . G . Ko),김지훈(J . H . Kim),조원탁(W . T . Cho),한영근(Y . K . Han),한인규(In K . Han) 한국축산학회 1999 한국축산학회지 Vol.41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 antibiotic-free diet for finishing pigs. A total of 150 crossbred pigs (Landrace x Duroc x Large White) initially averaging 68.0 ㎏ BW were used in this experiment. Pigs rare allotted into 5 treatments based on body weight and sex. The five dietary treatments were negative control (basal diet), positive control (basal diet + 0.04% chlortetracycline, CTC-125^ⓡ JEIL VET. CHEM. Co. Ltd.), MOS group (basal diet + 0.1% mannanoligosaccharide, BIO-MOS^ⓡ Alltech Inc.), YE group (basal diet + 0.0125% yucca extract, Fibergest^ⓡ P. S. F Organic Inc.) and GLU group (basal diet + 0.1% β-glucan, Macrogard^ⓡ JEIL VET. CHEM. Co. Ltd.). During phase I, pigs fed diets containing YE showed the best average daily gain (ADG), which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pigs fed the antibiotic-free or GLU diet, whil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DG, ADFI and F/G among other treatments. Pigs fed antibiotics showed better feed utilization than pigs fed the antibiotic-free diet (P$lt; 0.10). Overall, ADG of pigs fed the YE diet was the best and that of pigs fed GLU was the worst. Pigs fed antibiotics showed better feed utilization (P$lt; 0.10) than pigs fed the antibiotic-free diet and pigs fed additive supplemented diets (YE, MOS, GLU) tended to show better feed utilization (p = 0.11).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nutrient digestibilities and carcass traits among treatments.

      • 초음파 터닝센터용 주축 개발에 관한 연구

        문홍만(H. M. Moon),김병철(B. C. Kim),김상원(S. W. Kim),한영근(Y. G. Han)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2021 한국정밀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21 No.11월

        터닝센터(Turning Center)에서 적용되는 공작물의 용도는 통상적으로 정밀연삭 이전의 공정을 수행한다. 본 연구에서는 초음파 터닝센터에 적용되는 내장형 모터 구동형 스핀들(Spindle)의 설계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초음파 터닝센터에 적용되는 공작물은 난삭재가 적용되며 초음파 공구를 적용하여 초정밀 가공을 수행한다. 이러한 초음파 공구가 진동을 발생하며 공작물을 가공시 주축의 베어링과 주축 몸체에 진동 전달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네랄 캐스팅(Mineral Casting)을 적용하였다. 미네랄 캐스팅은 천연 화강석 입자와 합성수지를 혼합하여 경화공법을 통하여 제조된다. 주철 대비 약 10 배의 진동 감쇠 효과가 발생됨을 문헌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본 개발에서는 미네랄 캐스팅 링을 터닝센터의 스핀들 축과 척(Chuck)사이에 조립형으로 배치하여 진동감쇠를 유도하였다. 주축의 척(Chuck) 크기는 8 인치이며 회전수는 4,000 rpm 급으로 설정하였다. 모터(Motor)의 출력은 12 kW 급으로 선정되었다. 추가적인 진동 흡수 또는 진동 감쇠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스핀들 드로우 바(Draw Bar)에 유압형 진동 흡수 질량계(MMK)를 적용할 예정이다. 초음파 터닝센터용 주축 시제품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별도의 성능시험기를 설계 및 제작 예정이다. 성능시험기를 활용하여 주축의 열변위, 진동감쇠 효과, 출력 특성, 가감속 특성, 온도 특성 등을 분석할 예정이다. 최종적으로 개발된 주축은 초음파 터닝센터에 장착 가능한 조립 구조로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하였다.

      • KCI우수등재

        항생제 무첨가 육성돈 사료 개발에 관한 연구

        한인규,김진동,한영근,고태구 한국축산학회 2000 한국축산학회지 Vol.42 No.1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mannanoligosaccharide, yucca extract and β-glucan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s digestibility and amino acid digestibility and to develop antibiotics-free diet in growing pigs. A total of 150 crossbred pigs ((Landrace×Large White)×Duroc) initially averaging 19.09 ㎏ BW were used in this experiment for 42 days. The five dietary treatments were Antifree group (negative control, basal diet), Anti group (positive control, basal diet + 0.04% chlortetracycline, CTC-125^ⓡ JEIL VET. CHEM. Co. Ltd., CTC), MOS group (basal diet + 0.1% mannanoligosaccharide, BIO-MOS^ⓡ, Alltech Inc.), YE group (basal diet + 0.0125% yucca extract, Fibergest^ⓡ, P. S. F Organic Inc.) and GLC group (basal diet + 0.1% β-glucan, Macrogard^ⓡ, Biomaczymal Co., Norway). During day 0∼14,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nti goup showed numerical advantage in the average daily gain (ADG) and feed conversion ratio (FCR) compared to other treatments. During day 15∼28, Anti group also showed numerical improvement in weight gain and FCR compared to other treatments. During day 29∼42, Antifree group showed lower average daily feed intake (ADFI) than MOS group (P$lt;0.05). During day 0∼42, Antifree group also showed lower ADFI than MOS group (P$lt;0.05). Anti group showed lower FCR than MOS group (P$lt;0.05). Among all the treatmen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igestibility of dry matter, gross energy, crude protein and crude fat. However MOS group improved (P$lt;0.05) the phosphorus and ash digestibility. The digestibility of essential amino acids was significantly affected (P$lt;0.05) by treatments except that of threonine, leucine and lysine. The digestibility of non-essential amino acids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treatments except that of glutamate, alanine and total non-essential amino acid (P$lt;0.05). Total feed cost per total weight gain was lower in Anti group than MOS and GLC group (P$lt; 0.05). YE group also showed lower (P$lt;0.05) TFC/TWG compared Eo MOS and GLC groups.

      • 조사료의 종류가 홀스타인 송아지 유선의 발달 , 반추위 돌기 및 성장률에 미치는 영향

        조광근,최윤재,박영우,윤연화,한영근,윤상기,권웅기 한국영양사료학회 1999 韓國營養飼料學會誌 Vol.23 No.6

        본 연구는 홀스타인 송아지에 대한 세 종류의 조사료가 유선조직, 반추위 유두, 번식성적 및 성장률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출생 후 4일된 송아지(42.9±0.9㎏) 24두를 무작위로 선발하여 출생 후 4∼44일까지 전유를 급여하다가 45일에 그룹 1은 볏짚, 그룹 2는 오차드 그래스, 그룹 3은 알괄파를 급여하였다. 또한 유선조직과 반추위의 발달을 측정하기 위하여 3, 9, 18개월령에 도달하였을 때 각 처리구의 송아지를 1마리씩 도살하였다. 알팔파를 급여한 그룹 3은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중체율이 높았으며, 그룹 2는 영양소 이용률과 번식성적이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반추위의 무게는 3개월령 도달시에는 그룹 3이 가장 무거웠으나, 9개월과 18개월령 도달시에는 그룹 2에서 가장 무거운 것으로 나타났다. 반추위의 유두 수는 유두의 성장과 함께 일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유두의 길이와 유두 수와는 서로 상대적인 관계를 나타내었다. 유선의 기능적 활성을 나타내는 RNA/DNA 함량은 3개월 시에는 그룹 3이 가장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 9, 18개월 시에는 반대로 가장 높은 경향으로 나타났으며, 유선세포의 크기를 나타내는 protein/DNA 함량은 18개월 시에 그룹 2가 가장 높은 경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볏짚은 반추위의 초기 발달을 촉진하고 알팔파와 오차드그래스는 성장과 번식성적을 증가시키며 또한 초기에 유선의 발달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Twenty-four Holstein calves were us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ree different forages on growth and reproductive performances, and ruminal papillary and mammary developments. Four-day-old Holstein calves weighing 42.9±0.9 ㎏ were randomly assigned to three forage groups of rice straw (group 1), orchard grass hay (group 2), and alfalfa (group 3). All calves received whole milk from day 4 through day 44. At 45 days of age, the animals were assigned at random to one of the three dietary treatments. When calves reached the ages of 3, 9, and 18 months, one calf in each group was sacrifced for evaluation of ruminal and mammary tissue developments. Calves of group 3 gained more body weight than those of other groups, while group 2 showed an effective nutrient utilization and reproduction performance. At 3 months, the stomach weight of group 3 was the highest, however, group 2 provided the highest stomach weight at 9 and 18 months. A remarkable reduction in papillae number was observed in the rumens of all 3- to 9-month-old heifers. A decrease in number of these papillae was observed in all groups exhibiting papillary growth. There was a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and the length of ruminal papillae. Among the 3-month-old calves, the functional activity (RNAI DNA contents) of the mammary glands of group 3 was lower than those of other groups, whereas the trend was opposite for 9- and 18-month-old heifers. The size of mammary cell (protein / DNA contents) was the greatest for group 2 at 18 months of age. The results suggest that rice straw stimulated earlier development of rumen. Alfalfa and orchard grass improved the growth, reproduction performance, and earlier development of mammary glands.

      • 육성 비육돈을 위한 항생제 무첨가 사료개발을 위한 연구

        한인규,김진동,한영근,고태구 한국영양사료학회 1999 韓國營養飼料學會誌 Vol.23 No.4

        본 시험은 fructooligosaccharide, chitosan 그리고 NIS와 항생제를 비교하여 육성돈 (실험 I)과 비육돈 (실험 II)의 성장, 영양소 소화율, 영양소 배설량 그리고 도체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육성·비육돈을 위한 항생제 무첨가 사료를 개발하기 위하여 평균체중 20.1±0.43㎏ (실험 I)와 53.8±0.76㎏ (실험 II)의 육성·비육돈 150마리를 각각 공시하였다. 처리구는 다음과 같다. 1) Antibiotic (basal diet + 0.05% chlortetracycline). 2) Anti-Free (basal diet), 3) FOS (basal diet + 6% fructooligosaccharides), 4) Chitosan (basal diet + 0.3% chitosan) and 5) NIS (baal diet + 30g/㎏ Nonspecific Immunostimulating Anionic Alkali Solution). 실험 I과 II의 처리구는 각각 6반복, 반복당 5두씩으로 구성되어 있다. 실험 I에서 일당중체량과 일당사료섭취량은 Antibiotic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보다 높았다. 그러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FOS 처리구가 가장 효율적인 성장을 보였다. 영양소 소화율과 배설량에서는 인 소화율을 제외하고는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비육기동안 (실험 II)에도 Antibiotic 처리구가 가장 성장 성적이 좋았으며 (P<0.05), 사료효율도 가장 좋았다. 그러나, Chitosan과 NIS 처리구는 Antibiotic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성장이 떨어지지는 않았다. 비육 전기와 후기에 영양소 소화율은 조회분 소화율을 제외하고는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도체성적에서, Antibiotic 처리구가 도살체중, 도체중 그리고 도체등급에서 성적이 가장 좋았으며, 도체율과 등지방 두께는 Chitosan 처리구가 가장 좋았다. 전체적으로 보면, 본 시험에서 항생제 첨가구가 가장 좋은 성적을 보였으나 fructooligosaccharides와 chitosan을 첨가한 처리구는 항생제 첨가구에 비해 성적이 유의적으로 떨어지지는 않았다. 따라서, fructooigosaccharides와 chitosan은 항생제를 대체할 수 있는 물질로서 그 가능성을 인정 받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150 three cross-bred ((Landrace × Large White) × Duroc) pigs with average body weight of 20.1 ± 0.43㎏ (experiment I) and 53.8 ± 0.76㎏ (experiment II) were used as experimental subjects respectively. Pigs were allocated to the treatments in completely randomized block design based on body weight. Treatments were 1) Antibiotic (basal diet + 0.05% chlortetracycline), 2) Anti-Free (basal diet), 3) FOS (basal diet + 6% fructooligosaccharides), 4) Chitosan (basal diet + 0.03% chitosan) and 5) NIS (basal diet + 0.3 Nonspecific Immunostimulating Anionic Alkali Solution). Each treatment had 6 replicates with 5 pigs per replicate. In experiment I, ADG and ADFI were higher in Antibiotic group than other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nd pigs fed FOS grew more efficiently. Nutrients digestibility and excretio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all treatments except P digestibility. During finishing period (experiment II), pigs fed Antibiotic showed best ADG (P<0.05), and grew more efficiently than others. But, pigs fed Chitosan and NI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Antiobiotic group in ADG during entire experimental period. Among all treatments, nutrients digestibilit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except crude ash digestibility during early and late finishing period. And, FOS group showed best result on nutrients excretion during early finishing period. In carcass characteristics, pigs fed Antibiotic showed highest slaughter weight, carcass weight and carcass grade. Carcass percentage and backfat thickness were better in pigs fed Chitosan. In these study, antibiotic supplementation showed the best growing performance, but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pigs fed fructooligosaccharides and chitosan. So, from these results, it may be concluded that fructooligosaccharides and chitosan have possibility as alternative substances of antibiotics in the diets of growing and finishing pi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