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유대화의 음향적 특징 및 언어적 특징 기반의 성인과 노인 분류 성능 비교

        한승훈 ( Seunghoon Han ),강병옥 ( Byung Ok Kang ),동성희 ( Sunghee Dong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3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Vol.12 No.8

        사람은 노화과정에 따라 발화의 호흡, 조음, 높낮이, 주파수, 언어 표현 능력 등이 변화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변화로부터 발생하는 음향적, 언어적 특징을 기반으로 발화 데이터를 성인과 노인 두 그룹으로 분류하는 성능을 비교하고자 한다. 음향적 특징으로는 발화 음성의 주파수(frequency), 진폭(amplitude), 스펙트럼(spectrum)과 관련된 특징을 사용하였으며, 언어적 특징으로는 자연어처리 분야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이고 있는 한국어 대용량 코퍼스 사전학습 모델인 KoBERT를 통해 발화 전사문의 맥락 정보를 담은 은닉상태 벡터 표현을 추출하여 사용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음향적 특징과 언어적 특징을 기반으로 학습된 각 모델의 분류 성능을 확인하였다. 또한, 다운샘플링을 통해 클래스 불균형 문제를 해소한 뒤 성인과 노인 두 클래스에 대한 각 모델의 F1 점수를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로, 음향적 특징을 사용하였을 때보다 언어적 특징을 사용하였을 때 성인과 노인 분류에서 더 높은 성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클래스 비율이 동일하더라도 노인에 대한 분류 성능보다 성인에 대한 분류 성능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 aims to compare the performance of speech data classification into two groups, adult and elderly, based on the acoustic and linguistic characteristics that change due to aging, such as changes in respiratory patterns, phonation, pitch, frequency, and language expression ability. For acoustic features we used attributes related to the frequency, amplitude, and spectrum of speech voices. As for linguistic features, we extracted hidden state vector representations containing contextual information from the transcription of speech utterances using KoBERT, a Korean pre-trained language model that has shown excellent performance i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asks. The classification performance of each model trained based on acoustic and linguistic features was evaluated, and the F1 scores of each model for the two classes, adult and elderly, were examined after address the class imbalance problem by down-sampling.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using linguistic features provided better performance for classifying adult and elderly than using acoustic features, and even when the class proportions were equal, the classification performance for adult was higher than that for elderly.

      • KCI등재

        The Endeavour to Revise Unequal Treaties in East Asia in the Early 1880s

        Seunghoon Han(한승훈)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2018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Vol.23 No.1

        이 글은 1880년대 초반 동아시아 불평등조약체제의 변화 가능성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1880년에 조선은 청국과 일본이 5%의 수입관세율과 관세자주권의 상실로 경제적 손실을 입게 된 사실과 일본이 서구 열강에 조약 개정을 준비한다는 점도 확인하였다. 이에 조선은 일본 측 초안을 근거로 수입품에 대한 관세율을 10%로 정하고, 조선의 관세자주권을 보장하는 조약 초안을 작성하였다. 청국은 조선과 서구 열강의 조약체결을 중재하면서 조약 내에 조선이 10~30%의 수입관세율과 관세자주권을 보장받도록 하였다. 그런데 청국은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1882)을 통해서 청국과 일본에서 시행중이었던 5%의 수입관세율을 조선에 적용시켰다. 일본 역시 조일통상장정(1883)에서 8%의 수입관세율을 조선에 적용시켰을 뿐만 아니라 조선의 관세자주권을 부정하였다. 그 연장선에서 조선과 영국은 제2차 조영조약(1883)에서 주요 수입품에 대한 관세율을 7.5%로 정하였다. 제2차 조영조약의 7.5% 관세율은 청국과 일본에서 시행중인 5%보다는 높았다. 하지만 7.5%는 5%의 관세율에 2.5%의 내지통행세가 별도로 부과되었던 청국의 실질관세율과 동일하였다. 비록 일본은 5%의 관세율만 부과하였지만, 개항장 이외 지역에서 서양인들의 상행위를 엄격히 금지하였다. 반면에 제2차 조영조약에서는 대다수 수입품에 대해서 5%와 7.5%의 관세율을 부과하였다. 즉 실질적으로 조선에 적용되었던 평균 관세율은 7% 정도에 불과하였다. 더군다나 조선에서 서양인들은 개항장 이외의 모든 지역에서 자유로운 상행위가 가능하였다. 결과적으로 1880년 부터 제기되었던 동아시아 불평등조약체제의 개정 가능성은 조선에 불리하게 귀결되었던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identify possible changes in the East Asian unequal treaty system in the early 1880s. In 1880, Korea confirmed that China and Japan had suffered from economic damage due to the loss of 5 percent import duty rate and tariff autonomy, and that Japan was preparing the Western powers to revise treaties. Therefore, Korea drafted a treaty that guaranteed the tariff rate of 10% on major imports and Korea‟s tariff autonomy based on Japan‟s draft of a treaties revision toward Western powers. China, which mediated the settlement of the treaties between Korea and Western powers, secured Korea with an import tariff rate of 10-30 % and tariff autonomy. However, China applied a 5 percent import tariff to Korea, which was in effect in China and Japan, through Regulations for Maritime and Overland Trade between Chinese and Korean Subjects (1882). Japan also applied an import tariff of 8 percent and denied Korea‟s tariff autonomy in regulations under which Japanese trade is to be conducted in Korea (1883). In the extension, Korea and Britain set a tariff rate of 7.5 % on major imports in the second Korea-Britain Treaty (1883). The 7.5% tariff was higher than the 5% tariff in China and Japan. However, the 7.5% tariff was the amount of the import duties and transit duties of China combined. Although Japan imposed only a 5% tariff, she strictly prohibited Westerners" trade in areas other than the open ports.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second Korea-Britain Treaty, Korea imposed a tariff of 5 % and 7.5 % on most imports. The average tariff applied in Korea was only about 7%. Furthermore, Westerners in Korea were free to trade in all areas as well as open ports. The possibility of revising the East Asian unequal treaty system, which was proposed since 1880, ended up being disadvantageous to Korea.

      • KCI등재

        19세기 중반 영국의 대조선 문호개방정책 기원 ― 영·러 대결과 조·청 속방관계와 관련하여

        한승훈 ( Han Seunghoon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7 人文論叢 Vol.74 No.2

        본 논문은 19세기 중반 동아시아 주재 영국외교관이 모색한 대조선 문호개방정책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크림전쟁이 발발하자, 영국 함대는 1854년 8월 말에 프랑스와 공동으로 캄차카 반도의 러시아 기지를 공격하였다. 그와 동시에 홍콩 총독 보어링은 외무부 장관 클레멘든에게 유럽 열강이 참여하는 대조선 문호개방 정책을 외무부에 제안하였다. 1865년 주청 영국공사 웨이드도 러시아가 조선과 육로 통상을 추진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 유럽 열강과 공동으로 조선의 개방을 구상하였다. 영국외교관들이 조선의 문호개방을 구상하게 된 이유는 러시아의 독점적인 조선 진출을 차단함으로써 동아시아에서 상업적 이익을 수호하기 위함이었다. 그들은 유럽 열강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조선의 문호개방을 구상함으로써, 조선을 열강의 이익이 균점되는 협력의 공간으로 만들고자 했다. 하지만 조선은 청의 속방으로 알려져 있었기에 영국은 조선정부의 통치권 행사 여부를 확인했어야 했다. 영국외교관들은 청으로부터 조선이 속방이긴 하지만 내정과 외치를 자주적으로 맡는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영국은 조선을 실질적인 독립국으로 고려하기 시작하였던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true purpose behind Britain`s diplomatic policies to open Korea, undertaken by British diplomats in East Asia in the mid-19th century. When the Crimean War broke out in 1854, the British-French combined fleet attacked the Russian military and naval base at Kamchatka; at the time, John Bowring, Governor of Hong Kong, made a proposal to the 4th Earl of Clarendon, Secretary of State for Foreign Affairs in UK, to open Korea, together with European powers. In 1865, Thomas Wade, the British Minister to China, made plans to open Korea in association with other European powers in order to deter Russian aggression towards Korea. The reason that British diplomats chose to open the doors of Korea was to protect British commercial interests in East Asia by blocking the exclusive entry of Russia. By undertaking the opening of Korea, in association with other European powers, they attempted to make Korea a place where shares of interests were equally divided. However, since Korea was known to be a vassal state of Qing, Britain was required to check whether or not Korea had its own sovereignty. British diplomats confirmed that although Korea was a vassal state, she had sole responsibility for internal and external affairs. Britain therefore began to regard Korea as an independent state.

      • KCI등재

        고립정책과 간섭정책의 이중주

        한승훈(Han, Seunghoon) 역사비평사 2016 역사비평 Vol.- No.114

        This paper examines the British Government’s appreciation and response to the Kanghwa Treaty of 1876 between Korea and Japan, and asks if Britain was a third party to treaty. Britain considered that the conflict between Korea and Japan could directly influence its commercial interests because the conflict would arouse Russian aggression to Korea. Because of this view, Britain adopted a policy of Intervention– the occupation of Geomundo(Port Hamilton) and an “Opening of the Door” policy toward Korea. Although Britain took a wait-and-see attitude on the process of the Kanghwa Treaty, she was prepared to implement a policy of Intervention on the relations between the two Asian countries.

      • KCI등재

        을사늑약을 전후한 영국의 대한정책

        한승훈(Han Seunghoon) 고려사학회 2008 한국사학보 Vol.- No.30

        이 논문은 제2차 영일동맹의 체결과정에서부터 헤이그 특사파견으로 촉발되는 고종의 퇴위에 이르는 1905~1907년간 영국의 대한정책을 다루었다. 이 논문에서는 다음의 두 가지 측면을 고려했다. 첫째, 왜 영국은 제2차 영일동맹에서 일본의 한국 ‘보호국’화를 승인해 주었는가? 기존 연구에서는 영국이 인도 방위를 위한 전략으로 일본의 한국 ‘보호국’화 정책을 승인해 주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한국에 주재하는 서구열강의 조약상의 권리를 고려했던 영국 외상 랜스다운은 일본의 한국 ‘보호국’화 정책을 승인해 주는 데 주저했다. 랜스다운의 이 같은 입장에 대해서 주한영국공사 조던과 주일영국공사 맥도널드는 직간접적으로 일본의 한국 ‘보호국’화가 현실화되었다는 점을 지적함으로써, 영국이 일본의 한국 ‘보호국’화 정책을 승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들이 이같은 주장을 펼쳤던 배경에는 한국 정부 및 사회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그리고 서구식 근대화를 이룩했던 일본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중첩적으로 작용했던 것이다. 결국 현지 영국외교관들의 견해를 받아들였던 영국정부는 제2차 영일동맹의 체결을 통해서 일본의 한국 ‘보호국’화정책을 승인했다. 둘째, 제2차 영일동맹 이후 영국의 대한정책은 어떠한 방향으로 추진되었는가? 러일전쟁 이후 일본은 한국을 ‘보호국’화로 만들기 위해서 을사늑약을 강제했다. 당시 영국은 한국에 주재하는 외국 공사관 철수를 적극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일본의 동맹국으로서 역할을 충실히 수행했다. 그런데 러시아는 일본의 한국 ‘보호국’화 정책, 특히 을사늑약의 부당성을 국제사회에서 공론화시키고자 했다. 이에 영국은 일본의 대한정책에 대해서 부당성을 지적하는 러시아의 주장을 반박함으로써, 일본의 한국 ‘보호국’화 정책을 옹호했다. 그 뿐만 아니라 영국은 일본의 ‘보호국’화 정책에 반발하는 고종을 비롯한 한국의 조야의 움직임에 대해서 냉담하게 반응했다. 심지어는 주한 외국인들이 일본의 대한정책을 비판할 때에도, 현지 영국외교관들은 이들의 주장을 반박하는 보고서를 본국에 올렸다. 즉 영국은 일본의 한국 ‘보호국’화 정책을 일관되게 지지하는 바탕에서 대한정책을 추진함으로써, 동맹국으로서 의무를 다했던 것이다. 영국은 일본의 한국 ‘보호국’화 정책을 일관되게 지원함으로써, 국제사회에서 일본의 대한정책이 갖는 부당성을 호소하는 여론을 차단시켜 주었다. 영국의 이러한 정책은 결과적으로 1907년 헤이그 평화회의에서 한국 문제가 공론화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하는 효과를 가져왔다고 볼 수 있다. This thesis analyzes British policy toward Korea between 1905 and 1907 with regard to Japanese policy toward Korea that Japan would make Korea a protectorate. I concentrate on following aspects: First, why Britain consented that Japan would make Korea a protectorate in the second Anglo-Japanese Alliance(August 12, 1905)? Although most studies have explained that Britain would confirm British defense policy toward India against Russia in exchange for consenting Japanese protectorate over Korea, little is known about the British perception of Japanese protectorate over Korea. Actually, Lansdowne, British Foreign Minister, did not agree with Japanese protectorate over Korea because Britain had to concentrate on another powers' "Treaty Right" in Korea. John Jordan, the Britain Minister in Korea, and Claude MacDonald, the Britain Minister in Japan, however, argued that Britain had to consent that Japan would make Korea a protectorate in the second Anglo-Japanese Alliance because they thought though it would be impossible that Korea was a independent state, Japan succeed in becoming Western type's state. Conclusively, Britain agreed with Japanese policy toward Korea. Second, how did Britain try to promote policy toward Korea after the second Anglo-Japanese Alliance? In November 1905, Japan robbed Korea of the diplomatic right according to the Eulsa Agreement in order to make Korea a protectorate. That time, according to supporting legation's withdrawal of other countries in Korea, Britain backed up Japanese policy toward Korea. Although Russia made an effort to announce the illegality of Japanese protectorate policy toward Korea in international society, Britain defended Japan according to criticizing Russian assertion. According as Britain tried to support Japanese protectorate policy toward Korea, Britain performed her duty as an allied power of Japan. In conclusion, British policy toward pro-Japanese took effect to cut off from arousing public opinion of Korean affairs with regard to Japanese protectorate policy in the second Hague Peace Conference.

      • KCI등재
      • KCI등재

        영국의 거문도 점령 과정에 대한 재검토 - 갑신정변 직후 영국의 간섭정책을 중심으로 -

        한승훈 ( Han,Seunghoon ) 영국사학회 2016 영국연구 Vol.36 No.-

        이 글은 갑신정변 직후 영국이 외교적·군사적으로 추진한 대조선 간섭정책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1884년 12월 갑신정변이 발발하자, 영국은 러시아의 독점적 조선 진출을 차단함으로써 동아시아에서 상업적 이익을 수호하고자 했다. 이에 동아시아 주재 영국외교관들은 외교적 간섭을 추진하였다. 주조선 영국총영사 애스턴은 조선 정부의 거중조정을 수락함으로써, 조선과 일본의 갈등을 원만하게 조정하고자 하였다. 주청 영국공사로 주조선 공사를 겸직하였던 파크스는 청일 군대의 조선 철수를 목적으로 청일 중재를 추진하였으며, 청과 일본이 주축이 되는 조선의 내정 개혁을 구상하였다. 한편 갑신정변 소식을 접한 영국 해군부는 점령을 염두에 둔 거문도 현지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외무부로부터는 러시아의 조선진출이 예상되는 보고서를 계속해서 전달받았다. 결국 아프가니스탄에서 영국과 러시아의 긴장이 고조되자, 해군부는 1885년 3월 28일에 거문도 출동 준비를 지시하고, 4월 15일에 거문도를 점령하였다. 이로서 영국은 대조선 간섭정책을 모두 실현하였다. 하지만 영국은 동아시아 국가들로부터 거문도 점령의 적극적 지지를 얻는데 실패함으로써, 동아시아에서 외교력의 약화를 초래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thesis is to reconsider the true purpose behind the Britain`s diplomatic and military intervention policies immediately after the Gabsin Coup of 1884. When the Gabsin Coup broke out, Britain tried to frustrate Russia`s advances into Korea and also to defend Britain`s economic interest in East Asia. To achieve that end, the British legation and consulate workers in the East Asia region initiated diplomatic intervention. W. G. Aston, the consul general to Korea, accepted the Korean government`s `good offices` to be a mediator between Korea and Japan to resolve the conflicts between two nations amicably. H. S. Parkes, the British Minister to both China and Korea, lead the mediation between China and Japan, and he wished to elicit the both Chinese and Japanese troops` withdrawal while reforming Korea. In Korea, the British Admiralty had begun the field investigation on Geomundo (Port Hamilton) upon hearing the news of the Gabsin Coup. Throughout the investigation, the Admiralty kept receiving the reports on Russia`s potential advances into Korea by the British Foreign Office. The military tension between Britain and Russia heightened in Afghanistan and on March 28, 1885, the British Admiralty ordered to move to Geomundo. The Island was seized on April 15, 1885. With this act, Britain succeeded in diplomatic and military interventions in Korea. However, the succession did not lead to strengthening Britain`s diplomatic presence in East Asia because Britain failed to gain support from the East Asian countries on the seizure of Geomund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