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수도권과 비수도권 교수연구자의 연구업적 비교

        장덕희(Duck Hee Jang),한동성(Dong Seong Han) 한국공공관리학회 2009 한국공공관리학보 Vol.23 No.2

        본 연구는 다분히 기술적 성격의 연구로, 수도권과 비수도권 교수 연구자의 연구업적의 차이를 상대적 비교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대적 비교 관점에서 수행한 본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업적 차이분석 결과 KCI급과 SCI급 모두에서 수도권 연구자의 연구업적이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회귀분석 방법을 이용한 분석결과 학문영역 간 차이가 존재하지만 대체로 수도권 연구자의 연구업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추가적으로 연구비 지원규모와 보조 연구 인력의 성격에 대한 차이분석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비 지원규모 면에서는 수도권 연구자에게 지원된 것이 일관되게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보조연구원 측면에서 비수도권 연구자는 주로 많은 학부생을 연구보조 인력으로 운영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분석된 반면, 박사과정과 포닥 연구원(post-doc)의 경우 수도권 연구자가 더 많이 운영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is mainly technical research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fessors’ research achievements between the Metropolitan Area and local region with a comparative method.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method, the results of the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research achievements by KCI and SCI publications, professors in the Metropolitan Area outperform researchers in the local region. Second, according to the regression analysis, even though there are differences among study areas, professors in the Metropolitan Area lead to higher accomplishments. In addition, the differential analysis of characteristics for research funding and research assistants between two areas presents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funds for professors in the Metropolitan area also larger than local region. Second, professors in local region mainly hire undergraduate students as research assistants, however, in the Metropolitan area, usually Ph.D. students and Post-Doc researchers are usually hired.

      • KCI등재

        연구제안서 동료평가에서 학연이 평가결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이공계분야를 중심으로-

        장덕희 ( Duck-Hee Jang ),강길모 ( Gil-Mo Kang ),도수관 ( Soogwan Doh ),한동성 ( Dong-Seong Han ),양정모 ( Jung-Mo Yang ) 한국정책학회 2015 韓國政策學會報 Vol.24 No.2

        이 연구에서는 동료평가 방식을 적용하는 우리나라 R&D 연구제안서 평가에서 평가자와 피 평가자 사이에 존재하는 학연이 평가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였다. 이연구에서는 이공계 분야를 대상으로 2007-2011년 사이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한 ‘일반연구자지원사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으며, 분석결과 학연은 평가 결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를 간략히 살펴보면, 이 연구에서의 실증분석 결과 평가자들은 동일대학 출신자가 제출한 연구제안서에 상대적으로 더 높은 평가점수를 부여하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는 연구제안서의 채택여부에도 영향을 미쳐, 결과적으로 평가자 가운데 피 평가자와 동일대학(학부, 석사, 박사) 출신자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의 과제선정률이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ing the impact of school ties between the evaluators and evaluatees on the results of research proposal peer review evaluations for the Korean national R&D projects. Specifically, the evaluation results of research proposal entries submitted between 2007 and 2011 for the General Researchers Support Project in the academic areas of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sponsored was analyzed in this study. This project was sponsor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Empirical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school ties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evaluation results in the process of peer review in the areas of natural sciences and engineering.

      • KCI등재

        한의학 연구동향에 대한 사회연결망분석

        권기석(Ki-Seok Kwon),이준혁(Junhyeok Yi),이주연(Juyeon Lee),채성욱(Sungwook Chae),한동성(Dong Seong Han) 한국기술혁신학회 2014 기술혁신학회지 Vol.17 No.2

        본 논문에서는 KCI(한국학술지인용색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한의학 분야 연구동향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기술통계분석 결과에 의하면, 한의학분야 논문은 증가하다가 2008년을 정점으로 감소 추세이며 논문 저자수도 이와 같은 추세를 보여 주었다. 동의생리병리학회지가 가장 많은 논문을 생산하고 있고, 핵심어의 경우 acupunture가 월등한 빈도수 차이로 1위를 차지하였다. 다음으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네트워크의 형태와 중심성 수치를 통해 네트워크의 중심과 핵심그룹을 파악하였고, 연도별 비교를 통해서 네트워크의 모습과 중심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알 수 있었다. 학술지 네트워크의 경우 동의생리병리학회지, 대한한의학회지 등이 핵심적인 그룹을 형성하였고, 그 중 한의학연구원논문집이 최근에 중심적 위치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기관 네트워크에서는 경희대학교가 가장 중심에 있으며, 최근 한의학연구원의 중심성이 커졌다. 핵심어 네트워크를 통해 한의학 연구가 질환의 기전과 치료로 양분되어 수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사회연결망분석의 결과를 통해 심층적인 연구동향을 파악할 수 있어서 연구동향 분석에서 전문가 식견에 의한 동향분석 방법과 서로 연계되는 유용한 방법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 of Korean medicine based on social network analysis. To do this, a dataset has been collected from KCI (Korea Citation Index) database. According to the results, we have identify the longitudinal trend of the number of papers, journals, organizations and key words in this field. Moreover, based on the nodes’ centrality of co-author network, we have found a core journal (i.e. Korean Journal of Oriental Physiology and Pathology), a hub institution (i.e. Kyunghee university) and two main key words (i.e. anti-oxidation and acupuncture) in the research network. In conclusion, integrating field experts’ tacit knowledge in Korean medicine studies with the results of the explicit social network analysis on the research trend, we put forward further policy implications with regard to R&D strategies in this fi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