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농업부산물인 산업용 대마(Cannabis sativa L.) 목부를 이용한 고밀화 펠릿 연료

        한규성,이수민,신수정,Han, Gyu-Seong,Lee, Soo-Min,Shin, Soo-Jeong 한국자원식물학회 2009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22 No.4

        종자 수확 후 버려지는 산업용 대마를 이용한 목질 펠릿제조 가능성과 제조된 펠릿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산업용 대마의 성분 분석 결과 활엽수와 비슷한 리그닌 함량과 당구성을 보였으며, 회분 분석 결과 무기물 함량이 0.5% 정도이어서 연료로 사용할 경우 재의 생산량은 크지 않을 것이다. 원소 분석 결과 대기 오염을 유발할 수 있는 질소와 황 함량을 분석한 결과, 황 성분은 전혀 포함하지 않고 있으며, 약간의 질소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는 현사시나무와 비슷한 수준이었다. 고위발열량 측정 결과 대마 목부는 현사시나무보다 다소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바이오매스 생산량이 큰 대마 목부를 이용하여 제조한 펠릿은 활엽수로 제조한 펠릿과 비슷한 화학적 성질과 발열 특성을 가질 것으로 기대되어 고체연료로서의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We prepared densified wood pellet by agricultural waste. The hemp woody core was used as replacing wood resource. Hemp was separated into the bast fiber and the woody core by hot steaming treatment. The hemp woody core had a similar lignin content(19.4%) and carbohydrate composition with hardwood(20-25% lignin in hardwood), respectively. Also, the hemp had a low ash content(0.5%), which resulted in a low ash formation in pellet burning. Heating value of the hemp pellet(18.40 MJ/kg) had a very similar to the pellet made by hardwoods. The hemp woody core could be replaced the hardwood for densified wood pellet.

      • KCI등재

        멜라민수지 함침지 적층에 의한 소나무재의 표면 강화

        한규성,Han, Gyu-Seong 한국가구학회 2006 한국가구학회지 Vol.17 No.1

        Because the surface of pine wood is very soft, there have been many attempts, like as surface coating, resin impregnation, and densificationt, to harden the surface of wood for its interior use.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surface hardening of pine wood by laminating of melamine resin sheet. The effect of laminating method on the characteristics of melamine resin sheet-laminated wood(MLW) was investigated. Flat-sawn softwoods were suitable for MLW making. And the pre-drying of wood at $105^{\circ}C$ for 30min, before laminating, was effective for preparing of defect-free MLW. The abrasion resistance of pine wood was greatly improved by laminating of melamine resin sheet on its surface. Consequently, the laminating of melamine resin sheet was proved to be a favorable method for improvement of surface abrasiveness of pine wood.

      • 목질바이오매스를 이용한 펠릿연료의 제조

        한규성(Han, Gyu-Seong)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6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6 No.11

        Recently, densified pollet fuel from wood biomass is widely used at North America and Europe as a regenerable and clean carbon neutral bioenergy. High-pressure compaction of sawdust of several species of wood to form a densified fuel was studied. Calorific and elemental analysis were carried out to assess pellet fuels Hot-press process was adopted for compact ion of sawdust and compaction was performed under prescribed condition. Densified fuels were evaluated by its oven-dry density and fines after 5-minute shaking test. The target density and fines of densified fuels were over 1.2g/cm³ and below 0.5%, respectively. When the press-temperature is over 60?C densified fuels with density over 1.2g/cm³ and with fines below 0.5% can be produced. And the pressure over 1000kgf/cm² was effect ive for this production.

      • KCI등재
      • KCI등재

        일본잎갈나무와 현사시나무를 이용한 브리켓의 제조

        한규성 ( Gyu Seong Han ),김연일 ( Youn Il Kim ),문경태 ( Kyoung Tae Mun ) 한국목재공학회 2012 목재공학 Vol.40 No.1

        바이오매스로부터의 고밀화연료는 북미와 유럽에서 신재생에너지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잎갈나무와 현사사나무를 피스톤 프레스를 이용하여 브리켓을 제조하였으며. 연료적 특성 및 고밀화 특성을 밝히고자 압력. 가압사간. 수종 및 목분 크기가 브리켓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상온에서 110, 170 MPa의 압력을 가해 제조된 일본잎갈나무와 현사시나무 브리켓의 4주간 경과 후의 밀도는 0.66~0.94g/cm3이고, 적정 가압시간은 12초이며, 제조 압력이 증가하면 브리켓의 밀도는 직선적으로 증가하였다. 일본잎갈나무 브리켓야 현사시나무 브랴켓보다 밀도가 컸으며, 목분의 크기가 클수록 브리켓의 밀도가 컸다. Densified fuels from biomass are widely used in North America and Europe as a regenerable and clean bioenergy. In this study, the fuel characteristics and densification characteristics of Japanese larch and Hyunsasi poplar were studied using a piston-type briquetting machine. The effects of pressure, pressure holding time, species, and particle size on briquette characteristics were studied. At room temperature, the highly densified briquettes of Japanese larch and Hyunsasi poplar can be produced at a compression pressure of 110~470 MPa. The produced briquettes have densities between 0.66 and 0.94 g/cm3 after 28 days of storage at room temperature, The optimum pressure holding time was found to be 12 seconds There is a linear increase in pressure with increase in density. The densities of briquettes from Japanese larch were higher than those of briquettes from Hyunsasi poplar. Also, the coarser particle size resulted in higher densities in briquettes than the finer particle size.

      • 2050 탄소중립 사회 실현을 위한 목재산업의 역할

        한규성 ( Gyu-seong Han ) 한국목재공학회 2021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1 No.1

        최근 2050 탄소중립이 미래사회를 위한 거대담론의 중심이 되고 있다. 산림, 임업 및 목재산업 분야에서도 2050 탄소중립을 위해 어떤 역할과 노력을 해야 할 지에 대해 깊은 고민과 성찰이 필요한 시기이다. 그런데 우리나라의 산림산업과 목재산업은 ‘착한 산림탄소순환체계’를 지켜 나가기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장기화되고 있는 코로나19 사태와 건설경기 침체 등 다양한 외부적 요인으로 인해 국내 목재산업에 불황의 그림자가 점차 짙어지고 있기도 하다. 실제 국산 목재수요의 감소로 입목벌채량이 2018년 546만2000㎥에서 2019년 518만4000㎥로 약 5.1% 감소해 산림산업과 목재산업 모두 힘든 시기를 마주하고 있다. 지금은 그 어느 때보다 산림자원을 적기에 벌채하여 자원으로 활용해야 하고, 그 자리에 다시 나무를 심어 산림의 탄소흡수기능이 더 잘 유지하도록 하는 ‘착한 산림탄소순환체계’ 구축이 시급한 시기임에 틀림없다. 다시 말해 기후문제를 극복하고 탄소중립사회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더 적극적인 신규조림, 재조림, 산림갱신, 목재제품(재료와 에너지로) 이용이라는 순환체계를 구축하여야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산림의 탄소 흡수 기능을 개선하며, 더불어 산림이 건강하게 조성되도록 하고, 궁극적으로는 산불예방, 산사태 방지 등 국민안전을 위협하는 재해에도 대비할 수 있기 때문이다.

      • 목질계 바이오매스 에너지화 목재펠릿 산업의 동향과 전망

        한규성 ( Gyu Seong Han ) 한국공업화학회 2012 공업화학전망 Vol.15 No.6

        우리나라에서는 2008년 말부터 상업적인 목재펠릿 생산이 시작되어, 주택용 펠릿보일러 및 난로, 농업용 펠릿온풍기 및 펠릿보일러, 산업용 펠릿보일러에서의 사용이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발전소의 연료로 사용되기에 이르렀다. 2011년에 약 45천 톤의 목재펠릿이 소비되었을 것으로 추산되며, 2012년에는 현재의 추세대로라면 약 140천 톤이 소비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리고 2013년에는 무려 350천 톤의 펠릿이 소비될 것으로 전망된다.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정부 정책에만 의지하지 않고 업계 스스로 자립할 수 있는 기반이 조성되어야 하는데, 다행히도 열공급 분야에서 목재펠릿의 경제성이 확보되어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안전하면서 고효율의 연소기기가 뒷받침이 된다면 목재펠릿 시장은 지속가능한 연료시장으로 성장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대장직장암에서 수술 전 생검 조직의 범내피세포와 림프관 표지자 발현의 의의

        한규성(Gue Sung Han),김범규(Beom Gyu Kim),차성재(Seong Jae Cha),장인택(In Taek Chang),이태진(Tae Jin Lee) 대한외과학회 2007 Annals of Surgical Treatment and Research(ASRT) Vol.73 No.2

        Purpose: Panendothelial markers such as factor Ⅷ, CD34, CD31, CD105 (endoglin) and D2-40 are useful to identify proliferating endothelium that is related to tumor invasion.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xpressions of panendothelial and lymphatic vessel markers in preoperative biopsy specimens and the clinicopathologic factors. Methods: Preoperative biopsy specimens from 72 patients were immunostained for CD105, CD34, CD31, Factor Ⅷ and D2-40. The microvessel and lympathic vessel densities (MVD and LVD) were counted in dense vascular foci (hot spots) on a ×200 field in each specimen. The correlation between these factors and the clinicopathologic parameters were analyzed. Results: The MVD by CD105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umor emboli, the T-stage, nodal metastasis and the stage, and the MVD by CD34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umor emboli, nodal metastasis and the stage. The lympathic vessel density (LVD) by D2-40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umor emboli, the T-stage and nodal metastasis. Conclusion: The MVD by CD105 and the LVD by D2-40 in preoperative biopsy specimens of colorectal cancers may be useful markers for the prediction of invasive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