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내현적 자기애와 진로미결정과의 관계: 불안의 매개효과와 독립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하정희,허보연,강연우,송언희 한국상담심리학회 2009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1 No.3

        본 연구는 내현적 자기애와 진로미결정과의 관계에서 불안의 매개효과와 독립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대학생 234명을 대상으로 하여 내현적 자기애 검사, 직업결정 검사, 불안 검사, 진로태도 성숙도의 독립성 검사로 구성된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내현적 자기애와 진로미결정의 하위변인인 ‘우유부단’ 간의 관계에서 불안이 부분적으로 매개역할을 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둘째, 독립성 수준에 따라 내현적 자기애와 진로미결정의 하위변인인 ‘필요성 인식 부족’과의 관계가 달라진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즉, 독립성 수준이 낮을 때는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클수록 진로에 대해 필요성을 덜 인식하지만, 독립성 수준이 높을 때는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높더라도 진로에 대한 필요성을 더 많이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큰 사람들이 진로를 결정하지 못하게 되는 과정을 이해하고, 이들이 진로를 결정하는 데 있어서 독립성이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가 진로상담에 갖는 의의 및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anxiety and moderating effect of independence, the subscale of career attitude maturity on the relation of covert narcissism and career indecision among 234 university students.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nxiety mediated partially the relation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indecisiveness', the subscale of career indecision. Second, independence, the subscale of career attitude maturity, moderated the relation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the lack of recognition about necessity’, a subscale of career indecision.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on career counseling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녀의 성취목표지향성에 미치는 영향:강인성의 매개역할

        하정희,정은선,송수민 한국상담학회 2010 상담학연구 Vol.11 No.4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behavioral control, care to students' achievement goal. Furthermore, this study tested if students' hardness would mediate the relations of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behavioral control, care to achievement goal among 245 undergraduate students.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higher performance-avoidance goal. And maternal behavioral control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higher performance-approach goal. Second, commitment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lower performance-avoidance goal, Third, a series of mediation analyses revealed that the relations of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to performance-avoidance goal were mediated by students' commitment. It's implication is future parents education should focus to reducing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lso, the desirable attitude of counselor in effective helping is enhancing commitment. 본 연구는 지각된 부모 양육태도로서 심리적 통제, 돌봄, 행동적 통제가 자녀의 성취목표에 미치는 영향을 통해 부모 양육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이 과정을 개인 성격 특성으로서 강인성이 매개함을 밝히고자 하였다. 298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수거된 279부 중에서 245명의 자료가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높을수록 자녀의 수행회피목표가 높았고, 행동통제가 높을수록 수행접근목표가 높았다. 한편, 강인성의 하위변인인 몰입이 높을수록 자녀의 수행회피목표는 낮았다. 이에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자녀의 강인성, 수행회피목표와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자녀의 수행회피목표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강인성의 하위변인인 몰입이 매개함을 확인하였다. 부모 양육태도로서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과 동시에 자녀 입장에서는 부모의 영향력에서 벗어나 당면한 과제 수행 자체에 몰입할 수 있도록 돕는다면, 수행회피목표를 낮출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위와 같은 내용을 중심으로 상담 및 교육장면에서 본 연구의 시사점을 논의하였고 제한점과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스트레스 지각과 부정정서와의 관계 -완벽주의와 인지적 평가의 매개 효과-

        하정희 한국상담학회 2007 상담학연구 Vol.8 No.4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cognitive appraisal and perfectionism affect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perception and negative emotion.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 appraisal and perfectionism on the relation of stress perception to negative emotion among 355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tress perception, cognitive appraisal, and perfectionism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negative emotion in achievement-related and relationship-related stress events. Furthermore, personal standards perfectionism, compared to concern over mistakes, was more closely related to negative emotion in relationship-related stress events. Second, cognitive appraisal moderated the relation between stress perception and negative emotion in relationship-related stress events.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perception and negative emotion in achievement-related stress events was mediated by personal standards, concern over mistakes, and cognitive appraisal. Also, personal standards perfectionism and cognitive appraisal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stress perception and negative emotion in relationship-related stress ev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perfectionism and cognitive appraisal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relation of stress perception to negative emotion. Key words : stress perception, negative emotion, perfectionism, cognitive appraisal 본 연구는 성취스트레스 상황과 관계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스트레스 지각과 부정정서와의 관계를 살펴봄에 있어서 인지적 평가와 완벽주의가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남녀 중․고등학생 355명을 대상으로 하여 성취 및 관계 스트레스 지각과 부정정서와의 관계에서 인지적 평가와 완벽주의의 중재효과와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양 스트레스 상황 모두에서 스트레스지각, 도전지각, 위협지각, 개인적 기준 완벽주의, 실수에 대한 염려 완벽주의와 부정정서 간에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는데, 관계스트레스 상황에서는 완벽주의 차원 가운데 개인적 기준 완벽주의가 실수에 대한 염려 완벽주의보다 부정정서와 더 밀접하게 관련되었다. 둘째, 관계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스트레스 지각과 부정정서와의 관계에서 인지적 평가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셋째, 성취스트레스 상황에서의 스트레스지각과 부정정서의 관계에서 인지적 평가와 완벽주의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개인적 기준 완벽주의와 실수에 대한 염려 완벽주의의 매개효과를 발견할 수 있었고 인지적 평가의 매개효과 또한 부분적으로 발견할 수 있었다. 관계스트레스 상황에서의 스트레스지각과 부정정서와 관계에서 인지적 평가와 완벽주의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개인적 기준 완벽주의의 매개효과를 발견할 수 있었고 인지적 평가의 매개효과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는 스트레스 지각이 부정정서를 유발시키는 데 있어서 완벽주의와 인지적 평가의 역할이 중요함을 확인시켜 준 것이다. 주요어 : 스트레스지각, 부정정서, 완벽주의, 인지적 평가

      • KCI등재
      • KCI등재

        비합리적 신념에 따른 완벽주의의 순기능과 역기능

        하정희,조한익 한국상담심리학회 2006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18 No.4

        본 연구에서는 완벽주의의 순기능⋅역기능적 차원을 보다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는 변인을 상정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이러한 변인으로 ‘비합리적 신념’을 상정하였다. 비합리적 신념을 완벽주의와 함께 고려함으로서, 완벽주의의 역기능적인 측면 뿐 아니라, 순기능적인 측면을 보다 분명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보고, 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에 청소년 504명을 대상으로 하여 비합리적 신념에 따라 정서 및 성취목표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비합리적 신념은 완벽주의 및 부정정서 및 수행접근 목표, 수행회피목표와 관련되었으며, 특히 개인적 기준 완벽주의 보다 실수에 대한 염려 완벽주의와 더 밀접하게 관련되었다. 둘째, 비합리적 신념의 정도가 높을수록, 완벽주의 성향이 강한 청소년들은 긍정정서와의 관련성이 적어지고 부정정서와의 관련성이 높아졌다. 마지막으로, 비합리적 신념의 정도가 높은 것이 완벽주의 성향이 강한 청소년들의 성취목표 설정에 있어서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개인적 기준 완벽주의 성향이 강한 청소년들은 비합리적 신념이 높은 경우에도 성취목표를 설정함에 있어서 긍정적일 수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이 갖는 시사점 및 제한점에 관한 논의가 있었다. This study proposed the need of finding the variable which can discriminate the positive and negative subscale of perfectionism more clearly. We suggested that we could explain the positive functions as well as negative functions of perfectionism with a consideration of irrational beliefs along with perfectionism in the adolescent population. Five hundred and four adolesc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irrational beliefs were closely correlated to negative functions of the perfectionism. Specifically, irrational beliefs we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subscale of concerns over mistakes. Second, those with higher levels of perfectionism showed more negative emotion according to irrational beliefs partially. Finally, higher levels of perfectionism were shown to be negatively related to the achievement goals according to irrational beliefs' levels. But 'personal standards' of perfectionism were positively related to the achievement goals in spite of the high levels of irrational belief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여중생 학교폭력 가담자 특성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

        하정희,전미이,손재환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1 청소년상담연구 Vol.19 No.1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for Middle school girls' Participation to School Violence. For these purposes, qualitative interviews with ten middle school girls who had been punished of middle school violence were taken. Data from the interview were analyzed using theme analysis method. Results showed that before school violence experiences, participants' experiences were categorized as (1) Obtaining information about the violence (2) Worrying about whether she have to participate fighting in group. During the school violence experiences, participants' experiences were categorized as (1) A way to participate in fighting (2) Situation at the time of the violence (3) Feelings at the time of the violence (4) The meaning of participating to fight. After the school violence experiences, participants' experiences were categorized as (1) Feelings immediately after violence (2) Awareness about the process of punishment after violence (3) Awareness about the 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parents (4) Awareness about law in relation to violenc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with focus on applicability of the program and counseling. 본 연구는 학교폭력 현상에서 점차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는 여자 청소년에 대해서 현상학적인 측면에서 이들 의 주관적 경험과 의미를 구조화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교폭력에 가담하여 경찰청과 교육청으로부터 의뢰된 여자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학교폭력 경험들에 대한 질적 면담을 실시하고 현상학적 분석을 실시 하여 이들이 경험하는 폭력의 의미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분석의 영역은 크게 세 가지로 폭력행위 이전의 경 험과 가담 당시의 경험, 가담 후 처벌에 관한 경험이었다. 첫째, 폭력행위 이전 경험에 대한 분석결과는 ‘싸 움에 대한 정보획득’과 ‘싸움 참여에 대한 결정 과정’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둘째, 폭력행위 가담 당시의 경험분석에서는 ‘참여당시의 상황’, ‘싸움에 대한 개인적 신념’, ‘참여 당시의 정서’, ‘참여 행동 방 식’으로 구분하였다. 셋째, 폭력행위 가담 후의 처벌에 관한 경험 분석에서는 ‘처벌과정에 대한 인식’, ‘처벌에 관한 정서’로 구분하였다. 마지막으로 결과에 대한 연구의 의의,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 뇌조직내 Benzodiazepine 유사물질과 스트레스 - 불안 반응

        하정희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1999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Vol.16 No.1

        세계적으로 그 처방률이 높은 약물들 중 하나인 benzodiazepine계 약물은, 강력한 불안해소작용, 항경련작용, 최면작용 및 근이완작용을 가지고 있다 Benzodiazepine계 약물의 약리작용기전과 관련하여 불안장애의 병인에서 각종 신경전달계의 역할은 밝혀지고 있다. Benzodiazepine 약물은 편도체와 같은 변연계, 후즉 시상하부 및 raphe nuclei에서 GABA성 신경전달을 조절함으로써 불안해소 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공포와 스트레스로 인해 유발되는 행동에 있어서 편도체의 역할은 이미 여러 보고를 통해 시사된 바 있다. 본 종설에서는 GABA성 신경전달 조절작용이 있다고 보고된 내인성 benzodiazepine 수용체 배위자의 불안 및 스트레스 반응의 인지 조절작용 및 기억 형성과정 조절작용 등에 관한 연구결과들을 종합하여 본 결과 내인성 benzodiazepine 수용체 배위자들이 불쾌한 학습과정에 동반되는 스트레스와 불안의 정도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기억 형성과정을 조절한다는 생각을 뒷받침해 주었다. 또한 각종 행동 검사후 나타나는 뇌조직의 benzodiazepine 유사물질의 부위별(편도체, 해마, 중격) 농도 감소는 행동검사에 수반되는 스트레스 및 불안 정도에 비례하므로, 이러한 물질의 감소는 스트레스 및 불안에 대한 변연계의 일반적인 반응으로 생각된다. 부가적으로 이러한 결과는 변연계의 GABAA /benzodiazepine 수용체 복합체는 생체의 스트레스 및 불안반응의 생리, 생화학적 면에서 중추적인 역학을 한다는 생각할 수 있게 하는 결과라 할 수 있다. Benzodiazepines(BZDs) are among the most widely prescribed drugs in the world. They are potent anxiolytic, antiepileptic, hypnotic, and muscle relaxing agents. There is an emerging model of the role of several neural systems in anxiety and their relation to the mechanism of action of BZDs. It has been postulated that BZD drugs exert their anxiolytic action by regulating GABAergic transmission in limbic areas such as the amygdala, in the posterior hypothalamus, and in the raphe nuclei. The involvement of the amygdala in the behaviors triggered by fear and stress has been suggested by many previous studies. In this review, reports about regulatory effects of endogenous BZD receptor ligands on the perception of anxiety and memory consolidation were summerized. These findings further support the contention that BZD receptor ligands modulate memory consolidation of averse learning tasks by influencing the level of stress and/or anxiety that accompanies a learning experience.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decrease in the limbic levels of BZD-like molecules seen after the various behavioral procedures represent a general response to stress and/or anxiety, since it occurs in proportion to the level of stress and/or anxiety that accompany these tasks. In addition, these findings further support the hypothesis that the GABAA/BZD receptor complex in limbic structures plays a pivotal role in the stress and anxiety.

      • KCI등재

        권위주의 성격 및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다문화태도와의 관계

        하정희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15 다문화교육연구 Vol.8 No.3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wo folds: 1)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authoritarian personality,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multicultural attitude. 2) to find out the moderating effects of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on these relations. A sample of 258 office workers completed self report measures of authoritarian personality,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multicultural attitude. The major achievements were as follows. First, authoritarian personality negatively correlated to multicultural attitude, a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positively correlated to multicultural attitude. Second, the regression analysis result suggested that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moderated the effect of authoritarian personality on multicultural attitude. Finally,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bout educational strategies and program development for multiple cultures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성격적 차원 가운데 하나인 권위주의 성격과 무조건적 자기수용을 제시하여, 권위주의 성격 및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다문화태도와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권위주의 성격과 다문화태도와의 관계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의 직장인 258명을 대상으로 하여 권위주의 성격, 무조건적 자기수용, 다문화태도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권위주의 성격과 무조건적 자기수용은 다문화태도와 유의하게 관련되었다. 즉, 권위주의 성격이 강할수록 다문화태도가 부정적으로 형성되며, 무조건적 자기수용을 많이 할수록 다문화태도가 긍정적으로 형성되었다. 둘째, 권위주의 성격과 다문화태도와의 관계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조절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권위주의 성격이 강한 사람이 무조건적 자기수용을 많이 할 경우 다문화태도를 부정적으로 형성하지만, 권위주의 성격이 약한 사람이 무조건적 자기수용을 많이 할 경우에는 다문화태도를 긍정적으로 형성한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다문화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며, 다문화 교육과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전문적 도움추구태도와의 관계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

        하정희 한국상담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2 No.2

        본 연구는 완벽주의의 대인관계적 측면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전문적 도움추구태도와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더 나아가 이들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대학생 217명을 대상으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척도, 자아존중감 척도, 전문적 도움추구태도 척도를 사용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하위변인과 전문적 도움추구태도 간에 부분적으로 관련성을 나타내었으며,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의 하위변인들의 영향력이 통제된 상황에서는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의 하위변인인 ‘불완전함 은폐노력-언어적’이 전문적 도움추구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의 하위변인인 ‘완벽주의적 자기노력’과 전문적 도움추구태도와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전문적 도움추구와 관련된 완벽주의적 성격 특성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었다. 더 나아가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자아존중감을 함께 고려함으로써 타인에게 완벽한 모습만을 보여주고자 노력하는 특성이 강한 사람들이 자아존중감 수준에 따라 전문적 도움추구에 대한 태도가 달라질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는 데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wo-folds; 1)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of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the attitudes towards seeking professional psychological help; 2) to examine the moderation effects of self esteem on these relations. For this study, 217 college students were recruited.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everal sub-factors of the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sub-factors of the attitudes towards seeking professional psychological help. In particular, one of sub-factors of the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nondisclosure of imperfection: language (NDC-L)’, yielded a negative effect on attitudes towards seeking professional psychological help, controlling the effects of other subscales. Second, self-esteem moderated the relation between a sub-factor of the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perfectionistic self promotion(PSP)’ and attitudes towards seeking professional psychological help.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생들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스트레스, 대처방식, 완벽주의, 우울, 충동성의 구조적 관계모형 검증

        하정희,안성희 한국상담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0 No.4

        Increasing suicide rates in our society are becoming a significant public health concern.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individual factors (including passive means of coping with stress, being concerned about mistakes-a subscale of perfectionism, impulsivity, and depression)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among 185 college student volunteers. Impulsivity had the largest effects on suicidal ideation in the adopted model. Stress predicted impulsivity via the passive means of coping with stress, and the impulsivity element predicted suicidal ideation directly. Depression indirectly predicted suicidal ideation via impulsivity. We suggest that other unknown variables predicting suicidal ideation may exist because the variance able to be explained using the variables used was relatively small. The implications for suicidal crisis counseling and future research were also discussed. 이 연구는 스트레스 취약성 모델을 중심으로 하여 스트레스, 소극적 대처방식, 실수에 대한 염려 차원 완벽주의, 우울, 그리고 충동성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경로를 알아보고, 이에 대한 구조모형을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185명을 대상으로 하여 이 변인들의 특성과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자살생각과 관련성이 가장 높은 변인은 충동성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정모형이 최종모형으로 선택되었는데, 이는 충동성이 자살생각에 직접 영향을 줄 뿐 아니라 스트레스가 소극적 대처를 매개로 하여 충동성에 영향을 주고 이러한 충동성이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친다는 경로모형이다. 한편, 우울은 자살생각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충동성과 상호작용하여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예측변인들의 자살생각, 우울, 충동성에 대한 설명량을 살펴보았을 때, 자살생각은 우울이나 충동성보다 예측변인들을 추정하기가 어려운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에 대한 상담학적 의의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