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심상 촉진이 공감증진에 미치는 영향

        전미이,임성문 한국상담심리학회 2019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1 No.4

        심상은 외현적인 감각 자극이나 운동 활동 없이 기억으로부터 표상을 활성화하고 조작하는 능력을 말한다. 공감은 상대방의 관점을 수용하여 감정이나 생각을 정확하게 아는 능력이다. 따라서 정확한 공감을 위해서는 상대방의 입장을 마음속으로 그려보는 심상작업이 요구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심상작업이 정서적 공감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세우고 실험을 통하여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대학생 48명을 대상으로 5가지 정서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주고, 실험집단에는 각 이야기의 주요 장면에 대해 그림을 그릴 것이라고 지시를 하고, 통제집단에게는 글로 적을 것이라고 지시하였다. 이들이 이야기를 듣는 동안 EMG를 활용하여 안면 표정 근육의 움직임을 측정하여 이야기에 대한 정서적 공감 정도를 파악하였다. 결과는 심상 작업이 활성화된 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각 정서 점수 총합의 공감 점수가 유의미하게 더 높았다. 하지만 5가지 세부 정서 영역에서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점수가 높은 경향성은 있었지만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타인의 상황을 마음으로 그리는 심상작업이 공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한 것이다. 하지만, EMG 보다 내적타당도를 갖춘 공감 측정도구가 필요하다는 제한점이 있다. Mental imagery refers to the ability to activate and manipulate representations from memory without external sensory stimuli or physical activity. Empathy is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accept another person’s perspective, feelings, or thoughts. Empathy requires the ability to imagine the perspectives or situations of others. This study aimed to test the hypothesis that mental imagery effects empathy. Forty-eight college students were presented with information about five emotions. The experimental group was instructed to draw a picture while listening to a story intended to evoke empathy and the control group was instructed to recall the text of the story once it had ended. While subjects listened to the story, their facial muscle movements were measured by EMG. The results indic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empathic score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n the five emotional sub-domain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양육시설 아동의 적응력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의 효과

        전미이,임성문 한국미술치료학회 2005 美術治療硏究 Vol.12 No.1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improving the adaptability of children in a welfare institute. Two research assumpt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decrease the maladjustment which was measured by K-CBCL(Korean-Child Behavior Checklist) and HTP(House-Tree-Person). The subjects were 36 children that was from 1th grade to 6th grade children (22 boys and 14 girls) who has lived in a welfare institute. They were randomly divided and assigned art therapy group of 12 children, recreation group of 11 children and control group of 13 children. The research design was the pretest-posttest repeated measure on the K-CBCL by group , and HTP was added follow-up test again after 2 months post test. To perform this study, the art therapy group program and recreation group program of 20 sessions for 10 weeks(two days a week, 60 minutes per session)and waiting list group were administrated, MANOVA was used for statistical proced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the score of art therapy group and recreation group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control group in post test by K-CBCL. second, the level of tree score of art therapy group and recreation group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with of control group. 본 연구는 양육시설의 아동을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를 20회기 실시하여 K-CBCL의 8개 하위척도에서 문제행동 수준의 변화와 HTP(집-나무-사람) 검사를 통해 심리적 적응변화에 대해 알아보았다. 대상아동은 양육시설의 초등학생 36명이었으며, 미술치료집단, 대조집단, 그리고 통제집단에 무선적으로 배치되었다. 대조집단은 결과분석에서 미술치료집단의 집단활동 자체가 주는 치료효과를 배제하기 위한 유사치료집단으로 미술치료시간과 동일하게 레크리에이션으로 진행된 집단이고, 통제집단은 무처치 집단이다. 사전, 사후, 추후검사를 시행하였고 이를 통해 수집된 자료들로 반복측정 설계에 의한 MANOV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K-CBCL의 위축, 우울/불안, 사회적 미성숙, 공격성의 4개 하위요인에서 미술치료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서 치료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대조집단보다 우월한 치료효과를 보이지는 못했다. 이 결과에 대한 해석으로, 치료적 효과가 본 연구의 대조집단인 레크리에이션 집단에서도 발생했을 가능성과 ‘범람효과’에 의해 결과가 왜곡되었을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HTP에서는 나무그림에서만 미술치료집단과 대조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치료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검사자의 존재에 따라 HTP의 집그림과 사람그림에서는 방어가 나타나기 쉽다고 하는 선행연구의 결과에 입각해 부가적으로 해석되었다.

      • KCI등재

        여중생 학교폭력 행위자들의 집단 프로그램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이해

        전미이,하정희,유선희 한국상담학회 2009 상담학연구 Vol.10 No.2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female bullies' experience to group counseling progress. For these purposes, qualitative interviews with ten female bullies who had been punished of middle school violence were taken. Data from the interview were analyzed using theme analysis method. Results showed that before group counseling program, participants' experiences were categorized as (1) perception about own characteristic (2) the nature of human relations (3) perception about punishment in participating to violence (4) expectation about group counseling program. And more concretely, we came to find nine sub-categories. During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and after the program, their experiences were revealed to five categories, namely, (1) satisfaction or dissatisfaction about group counseling program, (2) perception about own characteristic, (3)the nature of human relations, (4) perception about punishment in participating to violence, (5) participation to an act of violence later on. And we found thirteen sub-categories, more concretely.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with focus on applicability of the program and counseling. 본 연구는 최근 사회문제로 심각성이 더해가는 학교폭력과 관련하여 학교폭력에 참여한 청소년들의 집단프로그램 경험을 살펴보고자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학교폭력에 참여한 후 경찰청과 교육청으로부터 집단 프로그램 참여 처벌을 받은 여자중학생 10명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이 집단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이전과 참여하는 과정 및 참여 직후의 경험들을 발견해보고자 하였다. 이들의 경험을 살펴보기 위해 질적 면접을 실시하였고, 이에 대한 내용을 주제분석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교폭력 행위자 여학생들의 집단 프로그램 참여 이전의 경험으로는 자신의 특성 지각, 인간관계의 특성, 집단폭력 가담 시의 처벌에 대한 지각, 집단상담에 대한 기대의 총 4개 범주로 나뉘었고, 더 구체적으로 9개의 하위범주가 발견되었다. 다음으로 집단 프로그램 참여 과정 및 직후의 경험을 살펴본 결과, 프로그램에서의 만족도여부, 자신의 특성 지각, 인간관계의 특성, 집단폭력 가담 후의 처벌에 대한 지각, 추후 폭력가담에 대한 의지의 총 5개 범주로 나뉘었고, 구체적으로 13개의 하위범주를 발견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결과에 대한 적용점 및 연구의 의의,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여중생 학교폭력 가담자 특성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

        하정희,전미이,손재환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1 청소년상담연구 Vol.19 No.1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for Middle school girls' Participation to School Violence. For these purposes, qualitative interviews with ten middle school girls who had been punished of middle school violence were taken. Data from the interview were analyzed using theme analysis method. Results showed that before school violence experiences, participants' experiences were categorized as (1) Obtaining information about the violence (2) Worrying about whether she have to participate fighting in group. During the school violence experiences, participants' experiences were categorized as (1) A way to participate in fighting (2) Situation at the time of the violence (3) Feelings at the time of the violence (4) The meaning of participating to fight. After the school violence experiences, participants' experiences were categorized as (1) Feelings immediately after violence (2) Awareness about the process of punishment after violence (3) Awareness about the 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parents (4) Awareness about law in relation to violenc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with focus on applicability of the program and counseling. 본 연구는 학교폭력 현상에서 점차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는 여자 청소년에 대해서 현상학적인 측면에서 이들 의 주관적 경험과 의미를 구조화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교폭력에 가담하여 경찰청과 교육청으로부터 의뢰된 여자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학교폭력 경험들에 대한 질적 면담을 실시하고 현상학적 분석을 실시 하여 이들이 경험하는 폭력의 의미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분석의 영역은 크게 세 가지로 폭력행위 이전의 경 험과 가담 당시의 경험, 가담 후 처벌에 관한 경험이었다. 첫째, 폭력행위 이전 경험에 대한 분석결과는 ‘싸 움에 대한 정보획득’과 ‘싸움 참여에 대한 결정 과정’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둘째, 폭력행위 가담 당시의 경험분석에서는 ‘참여당시의 상황’, ‘싸움에 대한 개인적 신념’, ‘참여 당시의 정서’, ‘참여 행동 방 식’으로 구분하였다. 셋째, 폭력행위 가담 후의 처벌에 관한 경험 분석에서는 ‘처벌과정에 대한 인식’, ‘처벌에 관한 정서’로 구분하였다. 마지막으로 결과에 대한 연구의 의의,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들의 Wee스쿨 참여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

        손재환,전미이,이정주,정주희 한국교육개발원 2013 한국교육 Vol.40 No.4

        본 연구는 최근 심각성이 더해가는 학교부적응과 관련하여 위탁대안학교인 Wee스쿨에 참여한 학생들의 경험을 살펴보고자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학교부적응으로 C지역 Wee스쿨에서 교육을 받은 10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Wee스쿨 교육에 참여하기 이전과 참여하는 과정, 참여직후의 경험들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들의 경험을 살펴보기 위해 현상학적 연구방법의 질적 면접을 실시하였고, 면접 내용을 주제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Wee스쿨 참여이전의 경험으로는 ‘학교에 가지 않아 Wee스쿨에 의뢰됨’, ‘교사 학교분위기, 또래 관계, 가족으로부터 스트레스를 경험함’, ‘부적응 방식으로 스트레스를 대처함’ 범주를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Wee스쿨 참여과정의 경험으로는 Wee스쿨을 통한 긍정적 변화요인들이 확인되었는데 크게 세 개의 범주로 확인되었다. ‘이전 학교보다 자유롭고 분위기도 좋음’과, ‘교사의 적극적인 관심과 또래들의 배려로 유대감이 회복됨’, ‘일반 학교에서 경험하지 못했던 교과 과정이 도움이 됨’이 변화요인들이었다. 이어 Wee스쿨 참여 이후 경험을 살펴본 결과 학생들의 변화된 모습에 대한 내용을 얻을 수 있었다. 크게 세 가지 변화로 ‘나 스스로의 변화’, ‘가족이 따듯하게 변화됨’, ‘내적 통제감을 갖게 됨’이었다. 마지막으로 결과에 대한 적용 및 연구의 의의,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adolescents' experience participating in Wee school. For this purpose, the qualitative interview was used with ten students who came back to their school after the program in Wee school. Data from the interview were analyzed with the method of subject analysis. As a results, their previous experiences before participating this program were categorized as the recognition for problem behavior, the experience of previous stress and the way of dealing with stress. During the program of Wee school, their experiences were revealed to 3 categories which are positive changing factors such as the positive perception of the school atmosphere, the personal relationship, and programs. As the result of participants' experiences after the programs, the study showed 3 categories about students' positive changes such as the perception of own changes, the changing perception about the family, and the recognition of inner control. Lastly, this study presents the application, implication, and restri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