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 · 도교육청에 의한 일반계고 학업성취도의 동태적 변화 예측에 관한 탐색적 연구: 시스템 다이내믹스의 적용

        하정윤(Jung-Youn Ha)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9

        본 연구의 목적은 단위학교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시 · 도교육청의 변인을 확인하고, 시 · 도교육청 지원에 따라 학업성취도가 동태적으로 어떻게 변화하는지 예측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6개 시 · 도교육청 총 606개 일반계고의 국가수준학업성취도(국어 · 영어 · 수학 교과의 보통학력 이상 도달 비율) 결과를 다층모형과 시스템 다이내믹스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시 · 도교육청 수준의 지방교육재정 효율화 노력과 교원행정업무 경감 노력, 교원연수 활성화 노력이 단위학교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시 · 도교육청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정책 실험을 통해 단위학교 학업성취도의 동태적 변화를 예측한 결과, 교원연수 활성화 노력이 단위학교 학업성취도의 가장 큰 영향 요인으로 확인되었고, 지방교육재정 효율화 노력, 교원 행정업무 경감 노력 순이었다. 단위학교 학업성취도의 향상을 위해 시 · 도교육청의 기능은 교육책무성에 기반을 두어야 하며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보다 강화된 정책을 수립 · 운영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variables of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that affect the academic achievement of unit schools, and to predict how academic achievements dynamically change with the support of offices of education. The results of academic achievement of 606 general high schools in 16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rates of attaining more than normal education in Korean, English, and mathematics subjects) were analyzed using a multi-level model and system dynamic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vincial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s efforts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local education finance, the efforts to reduce teacher administration, and the facilitation of faculty training were the variables of the provincial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In addition, through policy experiments, efforts to revitalize teacher training we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in academic achievement of unit schools, followed by efforts to streamline local education finances and to reduce the administrative work of teachers. In order to improve the academic achievement of unit schools, the functions of the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should be strengthened based on the education accountability, and policies need to be established in the mid- to long-term perspective.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K-CESA 및 IPA 분석

        하정윤(Ha, Jung-Youn),김성재(Kim, Sung-Ja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2 No.4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핵심역량을 교육과정에서 효과적으로 강화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도출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K-CESA를 활용하여 예비유아교사의 핵심역량을 진단하고, IPA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핵심역량은 대인관계, 자기관리, 종합적사고력, 글로벌역량, 의사소통역량, 자원․정보․기술의 활용역량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핵심역량 수준을 전국 4년제 대학생과 비교한 결과, 예비유아교사가 4년제 대학생에 비해 대인관계역량과 자기관리역량에서 더 높은 수치를 보였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학년별 핵심역량은 학년별로 상이했다. 넷째, IPA 분석을 통해 핵심역량의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한 것은 정서적 유대였고, 토론과 조정이 가장 낮았다. 실행도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인 것은 직업의식이었고, 낮은 값을 나타낸 것은 글로벌화 이해였다. 학년별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중요도에서는 토론과 조정 등 9개 하위요소, 실행도에서는 듣기 등 4개 하위요소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다섯째,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수준을 IPA매트릭스로 구현한 결과, 유연성 및 적극성 등이 2사분면에 위치하였다. This study is conducted to draw the information required for effectively improving pre-service teachers’ core competence in the curriculum. To achieve the goal of the study, this study diagnosed their core competence utilizing K-CESA and investigated their perceptions about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IP) of the core competence. As a result of analysis, first, the pre-service teachers’ core competences included personal relations, self-management, comprehensive thinking skills, global competence, communication competence, application ability of resources, and information and technology. Second, comparing levels of the pre-service teachers’ core competences with that of four-year college students nationwide, the pre-service teachers had higher level in the competence of personal relations and the competence of self-management compared to the four-year college students. Third, the pre-service teachers’ core competences were different by students’ year. Fourth, as a result of an investigation on per-service teachers’ perceptions about the IP of core competences through an IPA analysis, they perceived emotional connection as the most important competence of the core competence whereas taking discussion and mediation the least important competence. Job consciousness was at the highest level in the performance while globalization understanding was at low values.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by students’ year,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nine sub-factors such as discussion and mediation in the importance and four sub-factors such as listening in the performance. Fifth, as a result of realizing and IPA Matrix analysis of the per-service teachers’ perceptions level shown through the IPA analysis on core competences, flexibility and activeness were located on Quadrant II(effort for priority correction).

      • KCI등재

        분산적 리더십이 유치원 교사의 교직헌신에 미치는 영향

        하정윤(Jung-Youn Ha),김진화(Jin-Hwa Kim),정민진(Min-Jin Jeong),나민주(Min-Joo Rah)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분산적 리더십이 유치원 교사의 교직헌신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먼저 유치원 교사들이 인식하는 분산적 리더십과 교직헌신 수준을 확인한 후, 분산적 리더십의 하위 변인들이 교사의 교직헌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연구 대상은 전라남도 지역의 유치원 교사들로 2016년 7월 12일부터 26일까지 온라인과 우편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최종 143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유치원 교사들의 배경 변인에 따른 분산적 리더십 및 교직헌신의 인식 차이는 차이검정을 통해 확인하였고, 분산적 리더십과 유치원 교사의 교직헌신과의 관계는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분산적 리더십이 교사의 교직헌신에 미치는 영향은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유치원에서 분산적 리더십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교직경력과 학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교직헌신은 교직경력과 학력, 유치원 규모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둘째, 유치원에서 분산적 리더십 하위요인과 교사들의 교직헌신 하위요인은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분산적 리더십 하위요인 중 유치원 상황과 교사리더십이 교직헌신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유치원에서 분산적 리더십이 교직헌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원장의 리더십 보다는 교사 자신이 리더라는 생각과 책임과 영향력, 권한 등을 충분히 인식할 때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유치원 교사들이 더 많은 리더십을 발휘하도록 원장의 각종 책임과 권한을 적절히 위임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distributed leadership upon kindergarten teachers commitment of teache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teachers recognition on the distributed leadership at a kindergarten was confirmed to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teaching career and the academic background. And the commitment of teachers perceived by the kindergarten teachers was identifie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eaching career, academic background, and scale. Second, the kindergarten situation and the teacher leadership among sub-factors of the distributed leadership were indicat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commitment of teachers. Especially, the teacher leadership was confirme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whole of professional consciousness, educational love, and passion, which are sub-factors in the commitment of teachers. What the distributed leadership has a positive influence upon the commitment of teachers at a kindergarten can be known to be ultimately the time when a teacher oneself fully recognizes responsibility, influence, and authority with thinking that a teacher oneself is a leader, rather than a directors leadership. Accordingly, a directors many responsibilities and authorities need to be properly entrusted so that the kindergarten teachers can display much more leadership.

      • KCI등재

        대학생 핵심역량에 따른 진로준비행동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장벽의 차이 분석

        하정윤(Jungyoun Ha),김정민(Jeongmin Kim),강지연(Jiyeon Kang),차지철(Jicheol Cha)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5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핵심역량에 따른 진로 변인과의 차이를 분석하여 대학에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설계·운영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K-CESA 진단도구를 통해 대학생 핵심역량을 확인하였고 진로준비행동,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장벽 등의 검사 결과를 수집하여 대학 유형에 따른 변인들 간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일원변량분석과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대학생 핵심역량의 자기관리역량, 대인관계역량, 의사소통역량은 4년제 대학생들보다 지방 전문대 학생들이, 자원·정보·기술활용역량과 글로벌역량은 4년제 대학생들이 더 높은 역량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 변인들은 대학 간 차이가 분명히 나타나지 않았지만, 진로장벽 변인은 수도권 4년제 대학생들이 지방소재 4년제 및 전문대 학생들에 비해 더 큰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핵심역량 상위집단 학생들이 하위집단 학생들보다 높은 수준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을 보였고, 낮은 진로장벽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대학에서 일률적이고 단편적인 진로 프로그램보다는 학생들의 핵심역량과 진로 발달 수준을 고려하여한 진로 프로그램을 설계·운영하는 것이 대학생들의 진로를 보다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get necessary information for designing the systematic and practical career preparation education program by checking the differences among core competency of collegiate and career variables. In order to do that, the core competence of collegiate was identified through Korea collegiate essential skills assessment(K-CESA), and the survey results abou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and career barriers were collected. And then the data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differentiate relationships among core competency of collegiate and career variables, based on the university types and the locations. The data were analyzed by ANOVAs and t-tests using the SPSS 21.0 program. According to the analysis, firstly,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level of collegiate essential skill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s. Secondly, the students at metropolitan four-year universities feel more difficulties primarily in the variable of career barriers than the students at local universities and students at colleges. Thirdly, the students of high rank at core competence showed highe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an the students of low rank, and they feel less difficulties in the matter of career barrier. This study shows that in order to support students career efficiently, it is necessary for each college and university to design career program by considering the core competency and the level of career development of students, instead of providing them with a unified and fractional program.

      • KCI등재
      • KCI등재

        시,도교육청의 정책 지원 노력이 중학교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분석

        하정윤 ( Jung Youn Ha ),나민주 ( Min Joo Rah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6 중등교육연구 Vol.64 No.1

        본 연구는 단위학교를 지원하는 시·도교육청의 정책 지원 노력이 중학교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EDSS를 통해 제공받은 학교정보공시 및 교육기본통계 자료와 교육부의 시·도교육청 평가 자료를 활용하여 단위학교와 교육청의 2수준 HLM 모형을 설계하였다. 분석결과, 중학교 학업성취도의 시·도교육청 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교육청의 정책 지원 변인 중, 교원연수활성화 노력과 교육환경개선 사업비 투자실적 비율이 유의한 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도교육청은 지방교육의 주체이자 단위학교의 상급교육행정기관으로서 단위학교의 학업성취도 제고를 위해 정책적, 재정적 지원을 안정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effects of academic achievement in middle schools and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supporting schools. Based on materials in EDSS, we specifically used the data of official school information system, educational statistics and evaluation material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empirically analyzed the level 2 of unit schools and education offices in HL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ifference of academic achievement in middle schools between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the factors in education offices, the revitalization of teacher training system and the investment of project expenses for the improvement of educational environment showed a significant effect in academic achieveme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s a principal agent of local education and upper organization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needs to provide the unit schools with politic and financial support.

      • KCI등재

        일반계고 학업성취도에 대한 시·도교육청의 영향 분석

        하정윤(Ha, Jungyoun),강지연(Kang, Jiyeon),최진숙(Choi, Jinsook),김대명(Kim, Daemyu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20 열린교육연구 Vol.2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계고의 학업성취도(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의 국어·영어·수학 교과 보통학력 이상 도달 비율)에 대한 시·도교육청의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첫째, 학업성취도는 교육청 변인에 의해 설명될 수 있는가, 둘째, 단위학교 학업성취도 차이는 교육청의 어떤 변인들로 설명할 수 있고, 그 설명력은 어느 정도인가이다. 단위학교 및 시·도교육청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정 하에 2수준 다층모형으로 설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시·도교육청에 의해 설명되는 학업성취도 차이는 12.330%로 확인되었다. 둘째, 단위학교 수준의 변인을 통제한 후, 시·도교육청 변인들에 의한 학업성취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은 교원연수 활성화 노력, 교사의 교육전념 여건 조성 노력, 학교 기본운영비 확대 비율, 교육환경개선 사업비 투자실적 비율이었다. 그리고 일반계고 학업성취도에 대한 시·도교육청 수준의 설명력은 60.74%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시·도교육청 수준의 변인들이 단위학교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된 바, 시·도교육청의 권한과 기능 변화에 따른 정책과 재정 변인들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앞으로 시·도교육청 수준의 다양한 변인을 활용한 실증연구가 보다 활발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on academic achievement (ratio of achieving above the average score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at general high schools. The variables affecting the academic achievement ar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those of the schools and those of the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This study is designed for a multi-level analysis of level two under the hypothesis including variables of the schools and of the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that can affect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variances of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by academic achievement were 12.330%. This means that the difference of academic achievemen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Second, after controlling for school-level variables, the differences between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measured by academic achievement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academic achievement rate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variables depending upon factors such as the effort to revitalize teacher training, the efforts to create teachers devotion to education, the increase in the basic operating cost of the school, and the ratio of investment to educational environment improvement.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level of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general high schools was found to be 60.74%.

      • KCI등재

        학생의 강의 만족 및 불만 요인은 무엇인가? : A대 서술형 강의평가 자료를 중심으로

        하정윤 ( Ha Jungyoun ),나민주 ( Rah Minjoo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연구논총 Vol.38 No.3

        본 연구는 서술형 강의평가 자료에 나타난 대학생들의 강의 만족 요인과 불만 요인을 분석하여 수업의 질 개선에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안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최근 대학에서는 정량적인 강의평가 점수보다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다양한 의견과 요구사항을 내포하고 있는 서술형 강의평가 자료를 분석하여 활용하려는 시도가 나타나고 있다. 이는 강의평가의 주체인 학생들의 의견을 보다 적극적으로 반영함으로써 실제 수업의 질 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변화이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술형 강의평가에서 나타난 대학생들의 강의 만족 요인과 불만 요인은 무엇인가? 둘째, 서술형 강의평가 자료에 나타난 학생들의 강의의 질 개선 요구사항은 무엇인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내 A대학에서 2016학년도 1학기에 두 차례 실시한 학생들의 서술형 강의평가 자료를 질적 연구분석도구인 NVivo 11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교수자의 내용 설명력이 높을 때 학생들은 강의에 만족하고, 수업내용 난이도가 적절하지 않을 때 불만족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개별 교수뿐 아니라 유관부서에서 수업의 질 개선을 위해 구체적으로 어떤 노력을 수행해야 하는지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at contributes to the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of class lectures with priority given to the students` descriptive evaluation of lectures in a university. In recent years, there have been attempts in Korean universities to analyze and utilize descriptive lecture evaluation materials that contain the diverse opinions of students on class lectures and their academic needs. That would be a significant change in that it could improve the quality of instructions by reflecting on opinions of students. The authors utilized the NVivo 11analysis tool for qualitative research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descriptive lecture evaluation materials were written by students at a university and collected twice during the first semester of 2016 and were subsequently analyzed.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The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lectures they attended when the teachers gave better explanations of the content of the lectures. The students were more dissatisfied when the degree of difficulty of the lectures was not appropriate. Also, this study suggests efforts professors and related departments should make to enhance the quality of instruction.

      • KCI등재

        시스템 사고에 기반한 「지역교육청 기능 및 조직개편」 정책의 문제 및 원인 분석

        하정윤 ( Jung Youn Ha ),나민주 ( Min Joo Rah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학회 2014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 연구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functional changes of local educational authority policy based on the systems thinking perspective using causal loop diagrams. In the past, the main function of the local educational authority was to manage and supervise schools. Through this policy, local educational authority would be transformed into a support agency. However, this policy did not achieve the goal, was to cause confusion and require improvement. This study shows structured causes of the problem based on systems thinking. These diagrams make it possible for educational policy makers to provide ideas, although they have some complicated environment. The findings indicate that based on systems thinking in this policy can help those who related to policy decision than existing diagnosis meth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